[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9503Y1 - 유희용 장난감 - Google Patents

유희용 장난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03Y1
KR200199503Y1 KR2020000014244U KR20000014244U KR200199503Y1 KR 200199503 Y1 KR200199503 Y1 KR 200199503Y1 KR 2020000014244 U KR2020000014244 U KR 2020000014244U KR 20000014244 U KR20000014244 U KR 20000014244U KR 200199503 Y1 KR200199503 Y1 KR 2001995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hole
fixed
toy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4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진성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진성무역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진성무역
Priority to KR2020000014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난감 인형이 순간적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멜로디나 소리 등이 들리도록 시각과 청각을 자극토록 함으로써, 어린이의 호기심을 끌 수 있도록 한 유희용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난감은 시각과 청각 중 어느 한 감각만을 자극토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경우 그 호기심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희용 장난감(1)은 케이스(2)의 외측에 소정의 길이로 노출된 누름 손잡이(3)를 눌렀을 때, 누름 손잡이(3)가 케이스(2)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배터리(4)의 전원을 음성 발생부 (5)로 인가시켜 아이 러브 유 등의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동시에 크로스 작동부(6)를 작동시켜 그 위의 장난감 고정부(7)에 고정된 인형이 돌출되도록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를 보고 있는 어린이의 시선을 집중시킨 상태에서 음성이 발생되도록 하여 호기심을 유발시켜 호감을 갖도록 하고, 아울러 음성 발생부에 잘자 내꿈 꿔 ~, 아이 러브 유 등 특정 메세지가 들리도록 할 경우, 연인들의 사랑의 메세지 선물 등으로 사용토록 하여 사랑을 돈독하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희용 장난감{pastime a toy}
본 고안은 유희용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의 일측으로 노출된 손잡이를 눌렀을 때 인형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대를 놀라게 하고, 주위를 집중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설치된 음성 발생부로부터 메세지나 멜로디가 들리도록 하여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장난감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음성 발생부에 잘자 내꿈 꿔?… 아이 러브 유 …등의 특정 메세지 등을 담을 경우, 연인들의 사랑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선물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의 장난감이나 선물용 장난감은 단순히 동물과 기타의 형상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봉제 인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형상을 갖는 장난감들은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기 어렵고, 이러한 호기심을 자극시키기 위해 장난감에서 소정의 멜로디나 소리 및 말소리 등이 들리도록 구비되어 있다.
소리나는 장난감은 장난감 몸체의 일측에 스위치를 구비하고, 스위치의 접속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을 메모리 IC에 인가시켜 스피커로 소정의 소리가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장난감은 단지 장난감 몸체의 일부분을 눌렀을 때, 청각만을 자극시키도록 IC에 기록된 소리만이 들림으로써, 장기간 사용할 경우 어린이의 호기심이 낮아지게 되고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위쪽이 개방된 양측면으로 고정홀과 연결되는 안내 레일을 대칭되게 구비하고, 고정단자와 가동단자를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축을 가지며, 동시에 스프링 고정부와 배터리 보관함 및 다수의 연결구를 갖도록 분리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의 힌지축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프링 이탈 방지핀과 장공 및 누름단을 일체로 갖는 누름 손잡이와; 누름 손잡이에 의해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접속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IC에 인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IC에 저장된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음성 발생부와; 고정홀에 끼워지는 단축과 장공에 삽입되는 축을 가지며, 타단에 연결핀을 삽입하는 구멍 및 힌지핀을 삽입하는 힌지공을 중앙에 일체로 갖도록 구비된 로드와, 안내 레일에 끼워지는 단축과 연결핀에 의해 다른 로드와 결합되는 구멍 및 힌지핀이 삽입되는 힌지공을 일체로 갖는 로드 및 로드와 로드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로드와, 끝단에 다른 단축을 갖는 말단 로드가 중간 로드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크로스 작동부와; 말단 로드의 일측에 구비된 단축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 및 타측의 단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부와 위치 결정구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 몸체와, 덮개의 고정돌기가 위치 결정구에 삽입됨과 동시에 나사로 고정된 인형 고정부와; 덮개 윗면에 고정되는 인형으로 이루어져 누름 손잡이를 눌렀을 때 크로스 작동부재에 의해 인형이 돌출 되도록 하여 상대를 놀라게 하고, 동시에 IC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음성이나 멜로디가 외부로 들리도록 하여 어린이의 호기심 유발을 촉진시켜 호감을 갖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장난감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장난감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장난감이 돌출되었을 때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장난감에 내장된 음성 발생부의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케이스, 2a:힌지축, 3:누름 손잡이,
4:배터리, 5:음성 발생부, 6:크로스 작동부,
7:인형 고정부, 8:인형, 9:고정홀,
10:안내 레일, 11,12:고정축, 13:나사,
14:고정단자, 15:가동단자, 16:스프링 고정부,
16a:스프링, 17:배터리 보관함, 18,18a,18b:연결구,
21:장공, 22:스프링 이탈방지핀, 23:누름단,
24:IC, 25:스피커, 26:로드,
27:로드, 29:중간 로드, 30:말단 로드,
31:단축, 32:축, 33:연결핀,
34:구멍, 35:힌지공, 36:단축,
37:연결핀, 38:구멍, 39:힌지공,
45:단축, 47:고정부, 48:슬라이드부,
49:위치 결정구, 50:고정 몸체, 52:덮개,
51:고정돌기, 53:나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희용 장난감(1)은 케이스(2)의 외측에 소정의 길이로 노출된 누름 손잡이(3)를 눌렀을 때, 누름 손잡이(3)가 케이스(2)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배터리(4)의 전원을 음성 발생부(5)로 인가시켜 음성이 발생되도록 함과 동시에 크로스 작동부(6)를 작동시켜 그 위의 장난감 고정부(7)에 부착된 인형(8)을 순간적으로 튀어나가 돌출되도록 설치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2)는 양측을 맞닿게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크로스 작동부(6)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양측의 위쪽면이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양측면에 고정홀(9)과 연결되는 안내 레일(10)이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의 내측벽에는 복수 개의 고정축(11)(12)을 구비하여 나사 (13)로 고정단자(14)와 가동단자(15)를 고정하고, 그 밑으로 스프링(16a)을 지지하는 ' ㄷ ' 형태를 갖는 스프링 고정부(16)와 배터리 보관함(17)이 구비되어 있고, 상하 양측으로 다수의 연결구(18)(18a)(18b)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연결구(18)(18a)(18b)는 케이스(2)를 결합시킬 때 상하 좌우의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나사(19)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연결구(18)(18a)(18b)의 중앙은 나사(19)가 관통되도록 하고, 동시에 나사(19) 머리가 걸려지도록 하는 구멍(20)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맞닿는 다른 측에 있는 연결구는 나사(19)의 나사산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누름 손잡이(3)는 '' 형태로 중앙의 하단은 케이스(2) 내부에 구비된 힌지축(2a)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그 상단 일측에 장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장공(21)의 하부로 스프링 이탈 방지핀(22)이 구비되어 있고, 장공(21)이 형성된 타단부에 손가락으로 누르기 위한 누름단(23)이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음성 발생부(5)는 배터리(4)의 전원이 가동단자(14)와 고정단자(14)를 통해 음성이나 멜로디가 저장된 IC(24)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고, 동시에 IC(24)의 출력단을 통해 음성이 스피커(25)로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크로스 작동부(6)는 복수 개의 로드(26)(27)가 교차되도록 힌지핀(28)으로 고정되어 있고, 그 단부에 다수의 중간 로드(29) 및 말단 로드(30)를 구비하여 길이(상부) 방향으로 그 길이가 변하도록 되어 있다.
즉, 로드(26)는 '' 형태를 갖는 것으로 그 하단부는 상기 고정홀(9)에 끼워지는 단축(31) 및 장공(21)에 삽입되는 축(32)을 가지며, 상단부는 연결핀(33)이 삽입되는 구멍(34) 및 힌지핀(28)이 삽입되는 힌지공(35)이 중앙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다른 로드(27)는 안내 레일(10)에 끼워지는 단축(36)과 다른 연결핀(37)에 의해 중간 로드(29)에 결합되는 구멍(38) 및 힌지핀(28)이 삽입되는 힌지공(39)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 로드(29)는 '' 형태로 그 양단에 연결핀(33)(37)이 삽입되는 구멍(40)(41)이 대칭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그 중앙 부위에 다른 힌지핀(42)이 삽입되는 힌지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말단 로드(30)는 중간 로드(29)와 장난감 고정부(7)를 연결하는 것으로 중간 로드(29)와 연결되는 부위는 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은 단축(4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장난감 고정부(7)는 그 중앙에 말단 로드(30)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부(46)의 양측면에 단축(45)을 고정하는 고정부(47)와 움직이도록 하는 슬라이드부(48)가 구비되어 있고, 그 일측면에 위치 결정구(49)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 몸체(50)와, 위치 결정구(49)에 삽입되는 고정돌기(51)를 갖는 덮개(52)가 나사(53)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에서 고정 몸체에 부착된 장난감을 피카츄 인형을 사용하였으나 그 밖에 다른 형상(머리, 손, 발 등)을 갖는 인형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IC에 아이 러브 유, 잘 자 내꿈 꿔 등을 미리 저장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스(2)의 일측으로 노출된 누름 손잡이(3)의 누름판(23)을 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누름 손잡이(3)의 하단부가 힌지축(2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프링(16a)을 압축시키게 되고, 장공(21)이 형성된 외측면 부위가 가동단자(15)의 자유단부를 눌러 고정단자(14)에 접속시킨다. 그로 인해 배터리(4)의 전원이 IC(24)로 인가되고, 이어 그 출력단을 통해 저장된 소리가 스피커(25)를 통해 외부로 들리게 된다.
그리고, 이 누름 손잡이(3)의 장공(21)에 삽입된 축(32)이 상부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단축(31)이 고정홀(9)에 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이 고정홀(9)을 중심으로 로드(2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로드(2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그 중심부에 힌지핀(28)으로 다른 로드(27)가 결합되어 있음으로써, 다른 로드(27)의 단부에 있는 단축(36)이 안내 레일(10)을 따라 고정홀(9)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양 로드(26)(27)의 하단부가 가까워짐에 따라 그 상단부가 세워지게 되고, 연결핀(33)(37)으로 연결된 중간 로드(29) 및 말단 로드(30)가 동일한 방향으로 세워져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말단 로드(30)의 상단부가 가까워지면서 그 단부에 구비된 단축(45)이 고정부(47)에 의해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타단에 구비된 단축은 슬라이드부(48)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말단 로드(30)가 '' 형태로 펴지게 되면서 크로스 작동부(6)의 전체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장난감 고정부(7)의 윗면에 고정된 장난감 인형(8)이 마치 케이스(2)에서 위로 퉁겨져 나가는 듯한 인상을 받게 하여 호기심을 유발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손잡이(3)의 누름판(23)에서 손가락을 떼게 됨과 동시에 스프링(16a)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 손잡이(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단자(14)로 부터 가동단자(15)가 단락 됨으로써, 음성이 그치게 된다.
그리고, 장공(21)의 내측 벽면이 축(32)을 밑으로 당겨 단축(31)이 고정홀(9)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로드(26)와 중간 로드(29) 및 말단 로드(30)를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돌출 되었던 장난감 고정부(7)와 장난감 인형(8)이 원상태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 일측에 노출된 손잡이를 눌렀을 경우, 그 위에 고정된 장난감 인형을 신속히 돌출시켜 호기심을 갖도록 하고, 시선을 집중시킨 상태에서 멜로디가 들리도록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장난감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아울러 IC에 잘 자 내꿈 꿔 ~, 혹은 아이 러브 유 등 특정한 메세지가 발생되도록 IC에 기억시켜 사용트록 함으로써, 연인들의 사랑의 메세지 등을 전달토록 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위쪽이 개방된 양측면으로 고정홀(9)과 연결되는 안내 레일(10)을 대칭 되도록 구비하고, 고정단자(14)와 가동단자(15)를 나사(13)로 고정하는 고정축(11)(12)을 갖으며, 동시에 스프링(16a)을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부(16)와 배터리 보관함 (17) 및 다수의 연결구(18)(18a)(18b)를 갖는 분리된 케이스(2)와;
    케이스(2) 내부의 힌지축(2a)에 하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스프링 이탈방지핀(22)과 장공(21) 및 누름단(23)을 일체로 갖는 누름 손잡이(3)와;
    누름 손잡이(3)에 의해 가동단자(15)가 고정단자(14)에 접속되어 배터리(4)의 전원이 IC(24)에 인가되도록 함과 동시에 IC(24)에 저장된 음성이 스피커(25)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음성 발생부(5)와;
    고정홀(9)에 끼워지는 단축(31)과 장공(21)에 삽입되는 축(32)을 갖으며, 타단에 연결핀(33)을 삽입하는 구멍(34) 및 힌지핀(28)을 삽입하는 힌지공(35)을 중앙에 일체로 갖도록 구비된 로드(26)와, 안내 레일(10)에 끼워지는 단축(36)과 연결핀(33)(37)에 의해 다른 로드(29)와 결합되는 구멍(38) 및 힌지핀(28)이 삽입되는 힌지공(39)을 일체로 갖는 로드(27) 및 로드(26)와 로드(27)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로드(29)와, 끝단에 다른 단축(45)을 갖는 말단 로드(30)가 중간 로드(29)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루어진 크로스 작동부(6)와;
    말단 로드(29)의 일측에 구비된 단축(45)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부(47) 및 타측의 단축이 이동 가능하도록 한 슬라이드부(48)와 위치 결정구(49)를 일체로 구비한 고정 몸체(50)와, 덮개(52)의 고정돌기(51)가 위치 결정구(49)에 삽입됨과 동시에 나사(53)로 고정된 인형 고정부(7)와;
    덮개(52) 윗면에 고정되는 인형(8)으로 이루어져 누름 손잡이(3)를 눌렀을 때 크로스 작동부재(6)에 의해 인형이 돌출되도록 하여 상대방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동시에 IC(24)에 배터리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저장된 음성이 외부로 들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장난감.
KR2020000014244U 2000-05-19 2000-05-19 유희용 장난감 KR2001995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44U KR200199503Y1 (ko) 2000-05-19 2000-05-19 유희용 장난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244U KR200199503Y1 (ko) 2000-05-19 2000-05-19 유희용 장난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03Y1 true KR200199503Y1 (ko) 2000-10-02

Family

ID=1965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4244U KR200199503Y1 (ko) 2000-05-19 2000-05-19 유희용 장난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60Y1 (ko) * 2013-11-14 2014-12-31 최효성 멜로디가 발생 되는 소꿉놀이 장난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760Y1 (ko) * 2013-11-14 2014-12-31 최효성 멜로디가 발생 되는 소꿉놀이 장난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2039B1 (en) Variable performance toys
US3170265A (en) Animated toothbrush holder
JP2002519726A (ja) 音読玩具
WO2002068859A2 (en) Flexible plush lighting apparatus
US6733359B1 (en) Talking action figure having facial expressions
US5447461A (en) Sound generating hand puppet
US6524156B1 (en) Talking stick horse
KR200199503Y1 (ko) 유희용 장난감
US6461217B1 (en) Talking doll having extendible appendages
US5451180A (en) Toy with a movable figure
US6547629B1 (en) Electronic to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WI391172B (zh) 仿真眼睛
JP3129881U (ja) メロディーハンドパペット
US20070218801A1 (en) Compressible toy
JP3099686U (ja) 動物玩具
JP2005261579A (ja) ぬいぐるみ
CN209548696U (zh) 走路公仔
JP3091143U (ja) 人形用椅子
CN217430808U (zh) 一种组合式玩具乐器车
WO2025032583A1 (en) Toy figurine including a book-accommodating space
JP3150654B2 (ja) 動作玩具装置
CN207941192U (zh) 交互式角色物
JP3076098U (ja) 発声機能を備えた人形玩具
EP0620032A1 (en) Dolls
GB2320701A (en) Childrens&#39; book with movable animal or bird&#39;s 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5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8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5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