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2327Y1 - 위생 양변기 - Google Patents

위생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327Y1
KR200192327Y1 KR2020000007483U KR20000007483U KR200192327Y1 KR 200192327 Y1 KR200192327 Y1 KR 200192327Y1 KR 2020000007483 U KR2020000007483 U KR 2020000007483U KR 20000007483 U KR20000007483 U KR 20000007483U KR 200192327 Y1 KR200192327 Y1 KR 200192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over
seat plate
seat
operating le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4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태
Original Assignee
윤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태 filed Critical 윤종태
Priority to KR20200000074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32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양변기의 좌판이나 덮개의 들어올림이나 내림이 사용자의 손 접촉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남자의 경우 덮개를 올리고 좌판은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에따라 양변기의 좌판으로 소변이 튀기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어지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초래되었는 바, 상기의 비위생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양변기를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양변기(일반가정집은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화장실)에 있어서는 상기 소변이 묻어있는 좌판의 청소를 바로 하지 않고 일정시간이 흐른뒤에 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좌판을 사용시(예: 대소변시) 소변이 묻어있는 좌판 위에 앉을때 불쾌감을 줄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의 좌판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만진 후 들어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등 위생의 깨끗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덮개 및 좌판을 사용자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없이 회전방식의 손잡이(레버)를 통해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위생 양변기를 구성하므로서,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양변기의 덮개 및 좌판과 신체부위(특히 손)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양변기의 사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위생 양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생 양변기{HYGIENE A CHAMBER POT}
본 고안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변기에 사용되는 덮개 및 좌판의 올림이나 내림이 손잡이(레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양변기의 덮개 및 좌판과 신체부위(특히 손)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양변기를 위생적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위생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는 사람이 앉아서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 도구로서, 상기 양변기에는 사람이 앉을수 있는 좌판과 덮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양변기의 좌판이나 덮개의 들어올림이나 내림이 사용자의 손 접촉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남자의 경우 덮개를 올리고 좌판은 올리지 않은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이에따라 양변기의 좌판으로 소변이 튀기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굳어지는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초래되었는 바, 상기의 비위생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항상 양변기를 청소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양변기(일반가정집은 물론 공공장소에서의 화장실)에 있어서는 상기 소변이 묻어있는 좌판의 청소를 바로 하지 않고 일정시간이 흐른뒤에 하는 경우가 허다하므로, 좌판을 사용시(예: 대소변시) 소변이 묻어있는 좌판 위에 앉을때 불쾌감을 줄수 있을뿐만 아니라, 상기의 좌판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만진 후 들어올리거나 내려야 하는 등 위생의 깨끗함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변기에 사용되는 덮개 및 좌판을 사용자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없이 회전방식의 손잡이(레버)를 통해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위생 양변기를 구성하므로서,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양변기의 덮개 및 좌판과 신체부위(특히 손)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양변기의 사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양변기에 있어 덮개 및 좌판과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에 있어 덮개 및 좌판이 동시에 올려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에 있어 덮개만 올려진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양변기에 있어 덮개 및 좌판과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에 있어 덮개 및 좌판이 동시에 올려진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위생 양변기에 있어 덮개만 올려진 상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탱크(1)와 동체(2)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체(2)의 상부플랜지 둘레에 얹혀지는 좌판(3)과, 좌판(3)을 덮는 덮개(4)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2)의 상부플랜지 일측 양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을 세우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에는 각각 복수개로 상면이 개방된 제 1 내지 제 4 관통구멍(10a)(10b)(20a)(20b)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에는 손잡이(30a)(40a)를 포함하는 덮개작동레버(30)와 좌판작동레버(40)를 길이방향으로 체결시키되,
상기 덮개작동레버(30)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의 제 1 및 제 3 관통구멍(10a)(20a)으로 체결하고,
상기 좌판작동레버(40)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의 제 2 및 제 4 관통구멍(10b)(20b)으로 체결하며,
상기 덮개작동레버(30)는 복수개의 제 1 연결판(50)으로 덮개(4)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좌판작동레버(40)는 복수개의 제 2 연결판(60)으로 좌판(3)과 일체로 연결시킨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4)의 들어올림은 덮개작동레버(3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좌판(3)과 덮개(4)의 동시 들어올림은 좌판작동레버(40)의 회전으로 가능하며,
상기 좌판(3)의 내림은 좌판작동레버(40)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좌판(3)과 덮개(4)의 동시 내림은 덮개작동레버(40)의 회전으로 가능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탱크(1)와 동체(2)로 이루어지는 양변기를 구성한다.
이후, 상기 동체(2)의 상부플랜지 일측 양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을 세운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에는 각각 복수개로 상면이 개방된 제 1 내지 제 4 관통구멍(10a)(10b)(20a)(20b)을 형성한다.
한편, 손잡이(30a)를 포함하는 덮개작동레버(30)의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제 1 연결판(5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1 연결판(50)에 양변기의 덮개(4)를 일체화시키고, 손잡이(40a)를 포함하는 좌판작동레버(40)의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제 2 연결판(60)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연결판(60)에 양변기의 좌판(3)을 일체화시킨다.
이후,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에 손잡이(30a)(40a)를 포함하는 덮개작동레버(30)와 좌판작동레버(40)를 길이방향으로 체결시키면, 상기 덮개작동레버(30)와 좌판작동레버(40)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관통구멍(10a)(10b)(20a)(20b)으로 삽입 체결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의 제 1 및 제 3 관통구멍(10a)(20a)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바, 상기의 개방면을 통해 덮개작동레버(30)는 제 1 및 제 3 관통구멍(10a)(20a)으로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10)(20)의 제 2 및 제 4 관통구멍(10b)(20b)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바, 상기의 개방면을 통해 좌판작동레버(40)는 제 2 및 제 4 관통구멍(10b)(20b)으로의 체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덮개작동레버(30)에 포함된 손잡이(30a)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작동레버(30)의 중앙부위에서 제 1 연결판(50)에 의해 일체화된 덮개(4)의 들어올림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의 좌판작동레버(40)에 포함된 손잡이(40a)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좌판작동레버(40)의 중앙부위에서 제 2 연결판(60)에 의해 일체화된 좌판(3)의 들어올림이 가능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의 좌판(3) 위에는 덮개(4)가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덮개(4)는 좌판(3)과 동시에 그 들어올림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좌판작동레버(40)에 포함된 손잡이(40a)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좌판작동레버(40)의 중앙부위에서 제 2 연결판(60)에 의해 일체화된 좌판(3)의 내림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작동레버(30)에 포함된 손잡이(30a)를 잡고 회전시키면, 상기 덮개작동레버(30)의 중앙부위에서 제 1 연결판(50)에 의해 일체화된 덮개(4)의 내림이 가능하게 되고, 더불어 상기의 덮개(4) 아래에는 좌판(3)이 위치하는 바, 상기 좌판(3)은 덮개(4)와 동시에 그 내림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의 좌판(3)과 덮개(4)를 모터의 구동으로 그 올림과 내림을 자동으로 진행시킬수도 있다.
즉,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모터를 정,역회전시켜 좌판(3)과 덮개(4)의 올림과 내림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양변기에 사용되는 덮개 및 좌판을 사용자의 직접적인 신체 접촉없이 회전방식의 손잡이(레버)를 통해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위생 양변기를 구성하므로서, 오염물질이 묻어있는 양변기의 덮개 및 좌판과 신체부위(특히 손)의 접촉을 차단하면서 양변기의 사용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물탱크와 동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동체의 상부플랜지 둘레에 얹혀지는 좌판과, 좌판을 덮는 덮개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동체의 상부플랜지 일측 양단에는 탄성력을 갖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을 세우되,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에는 각각 복수개로 상면이 개방된 제 1 내지 제 4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기둥에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덮개작동레버와 좌판작동레버를 길이방향으로 체결시키되,
    상기 덮개작동레버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의 제 1 및 제 3 관통구멍으로 체결하고,
    상기 좌판작동레버는 제 1 및 제 2 지지기둥의 제 2 및 제 4 관통구멍으로 체결하며,
    상기 덮개작동레버는 복수개의 제 1 연결판으로 덮개와 일체로 연결시키고, 상기 좌판작동레버는 복수개의 제 2 연결판으로 좌판과 일체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양변기.
KR2020000007483U 2000-03-16 2000-03-16 위생 양변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192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83U KR200192327Y1 (ko) 2000-03-16 2000-03-16 위생 양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483U KR200192327Y1 (ko) 2000-03-16 2000-03-16 위생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2327Y1 true KR200192327Y1 (ko) 2000-08-16

Family

ID=1964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483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2327Y1 (ko) 2000-03-16 2000-03-16 위생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24A1 (ko) * 2014-10-06 2016-04-14 홍승조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6724A1 (ko) * 2014-10-06 2016-04-14 홍승조 변기 커버와 변기 시트의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119B1 (ko)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GB1595026A (en) Combination water closet and bidet
KR200192327Y1 (ko) 위생 양변기
KR102503449B1 (ko) 소변튐 방지 좌변기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CN201268874Y (zh) 家用座便器
JP2000213043A (ja) トイレル―ム
JPH1176102A (ja) ポータブル便器及び洋式便器並びに簡易便座
KR200375570Y1 (ko) 재래식 겸용 양변기
WO2020055276A1 (en) Toilet seat
CN211796157U (zh) 一种新型冲水马桶盖板
KR100496701B1 (ko) 오염 방지 및 등받이 기능을 갖는 양변기 커버
JPH1142257A (ja) 歩行障害者用排便設備
WO1991011949A1 (en) Bidet or toilet, seat or lid, handle and spotter
CN213851510U (zh) 具有自助抽排纳污装置的轮椅
JP3053744U (ja) 使用後毎に洗浄、殺菌、消毒、乾燥等の全てを、自動 的に行う装置を内蔵した便器
KR200393543Y1 (ko) 좌판 및 덮개에 핸들이 구성된 양변기
JPH03126417A (ja) 便器ユニット
CN2306281Y (zh) 一种设有脚踏的抽水马桶
KR200263514Y1 (ko) 변기커버
JP3005931U (ja) 洗面槽と下水槽とを単一体に形成した洗面器
JP2001353096A (ja) 移動式ポータブルトイレ
KR19990003881U (ko) 거동불편자용 항문 세척장치
JP2000107079A (ja) 洋式トイレ便座及びカバー上げ下げ用取っ手
KR20220077782A (ko) 커버에 위생을 위한 손잡이가 달린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31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930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5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