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2134Y1 -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 Google Patents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2134Y1
KR200192134Y1 KR2019980010494U KR19980010494U KR200192134Y1 KR 200192134 Y1 KR200192134 Y1 KR 200192134Y1 KR 2019980010494 U KR2019980010494 U KR 2019980010494U KR 19980010494 U KR19980010494 U KR 19980010494U KR 200192134 Y1 KR200192134 Y1 KR 200192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village
kill
hole
se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0893U (ko
Inventor
어영상
이영주
Original Assignee
어영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영상 filed Critical 어영상
Priority to KR2019980010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134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2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213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요동을 완화시켜주는 부이의 빌리지 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이의 몸체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빌리지 킬을 결합시켜 부이가 해풍이나 파도에 의해 좌우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요동을 칠 때 홀을 통해 부이의 몸체 하부 즉 부이가 수면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바닷물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부이의 충격 즉 부이가 완만하게 요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부이 몸체(14) 하부에 있어서;
홀(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10)을 용접으로 결합하고, 빌리지 킬(10)의 하단부에 3개의 앵커 바아(16)를 상호 120°를 갖도록 결합하는 것과, 빌리지 킬(10)의 좌우·측을 체인(18)으로 결합하여 부이(10)가 파도에 기울어질 때 바닷물이 홀(1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요동을 완화시켜주는 부이의 빌리지 킬이다.

Description

체인요동을 완화시켜주는 부이의 빌리지 킬{Village kill of buoy for swing-mitigating}
본 고안은 요동을 완화시켜주는 부이의 빌리지 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부이의 몸체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된 빌리지 킬을 결합시켜 부이가 해풍이나 파도에 의해 좌우로 기울기를 가지면서 요동을 칠 때 홀을 통해 부이의 몸체 하부 즉 부이가 수면으로 기울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는 바닷물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부이의 충격 즉 부이가 완만하게 요동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이란 물위의 일정한 위치에 설치된 부표, 수로의 한계를 나타내거나, 또는 얕은 곳, 암초, 침선 등의 위험물을 나타내는 항로 표지용 부이와 항구 내에 정박하는 배를 계류하기 위한 계류 부이가 있다.
전자의 형상, 색채는 그 용도에 따라 법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후자는 일반적으로 넓적한 중공의 철제 원통형 부표로서, 바다 밑에 닻으로 고정되어 있다, 윗면에는 계류용 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및 색채 형상을 가지고 있는 부이의 대표적인 용도로는 바닷물인 해조의 흐름을 파악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물론 바다물의 온도, 풍향, 풍속, 그리고 바다물의 염분 농도을 파악하는 일을 하는 것이다.
육지의 지하 자원이 점차적으로 고갈되어 가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있어서, 에너지 및 자원이 거의 무한대인 바다를 개척하고자 각국의 해양 조사 연구소 및 기타 연구단체에서 끊임없이 연구 노력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는 연구자가 바다에서 직접 해류 및 풍향을 조사하는 것이 아니라 부이를 바다 위에 띄워놓고 부이에 설치된 태양 전지로부터 태양을 이용하여 자가 발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발전된 전기를 가지고 각종 측정 장치를 가동시켜 필요로 하는 해류의 흐름 및 온도, 풍향, 염분도의 자료를 측정하여 육지에 있는 연구소로 자료를 전송 되도록 하여 연구자가 편안하게 해양의 상태를 파악 및 연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종래의 부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상 바닷물에 떠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조류에 밀려 떠내려가지 못하도록 부이 몸체 (100)하부에 앵커 바아(102)와 체인(104)으로 결합 고정시켰다.
그러나 바다에는 해풍과 파도가 항상 발생하며 해풍이나 파도로 인해 부이가 좌우로 해풍이나 파도의 강도에 따라 흔들리게 되는데 기존에는 좌우로 요동치는데 있어서 별다른 요동 방지 장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부이에 장착된 각종 측정 장치가 크게 흔들리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파손도 되어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부이의 좌우 요동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홀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을 부이 몸체 하단에 결합시켜 부이 몸체가 파도나 해풍에 의해 요동을 치면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지는 부이의 몸체에 접촉하는 바닷물이 홀을 통해 빠져나가 부이의 요동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통상의 부이 몸체 하부에 있어서;
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을 용접으로 결합하고, 빌리지 킬의 하단부에 3개의 앵커 바아를 상호 120°를 갖도록 결합하는 것과, 빌리지 킬의 좌우·측을 체인으로 결합하여 부이가 파도에 기울어질 때 바닷물이 홀을 통해 빠져나가 요동이 완화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 부이의 정면도
도 2 는 본 고안 부이의 저면 개략도
도 3 은 종래 부이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빌리지 킬
(12) : 홀
(14) : 부이 몸체
(16) : 앵커 바아
(18) : 체인
(20) : 부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부이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고안 부이의 저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통상의 부이 몸체(14) 하부에 있어서;
홀(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10)을 용접으로 결합하고, 빌리지 킬(10)의 하단부에 3개의 앵커 바아(16)를 상호 120°를 갖도록 결합하는 것과, 빌리지 킬(10)의 좌우·측을 체인(18)으로 결합하여 부이(20)가 파도에 기울어질 때 바닷물이 홀(1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부이 몸체(14) 하부에 원형의 홀(1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10)을 용접으로 결합한다.
결합된 빌리지 킬(10)의 하단에 120°간격을 갖는 3 개의 앵커 바아(16)와 체인(18)을 빌리지 킬(10)에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부이(20)를 연구하고자 하는 위치의 바다에 설치한다.
바다에서 발생되는 해풍이나 파도가 부이(20)에 접촉하게 되면 부이(20)가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요동을 치게 된다.
부이(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쪽 바닷물에 부이 몸체(14)가 닿게되면 바닷물이 홀(12)을 통해 빠져나가게 됨으로 인해 부이(20)가 천천히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는 원형의 홀(12)이 형성되어 있지만 홀의 형상에 관계없이 타원 혹은 사 각형 등의 홀을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빌리지 킬(10)의 형상도 사각이 아닌 마름모나 기타 어떠한 형상으로도 제작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부이 몸체 하부에 홀이 형성된 빌리지 킬을 부착하여 부이가 기울어지는 방향에 있어서 바닷물이 홀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요동이 완화되면서 기울어질 수 있어 부이에 장착되어 있는 각종 측정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부이 몸체(14) 하부에 있어서;
    홀(12)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빌리지 킬(10)을 용접으로 결합하고, 빌리지 킬(10)의 하단부에 3개의 앵커 바아(16)를 상호 120°를 갖도록 결합하는 것과, 빌리지 킬(10)의 좌우·측을 체인(18)으로 결합하여 부이(20)가 파도에 기울어질 때 바닷물이 홀(12)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동을 완화시켜주는 부이의 빌리지 킬.
KR2019980010494U 1998-06-18 1998-06-18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Expired - Fee Related KR200192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94U KR200192134Y1 (ko) 1998-06-18 1998-06-18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494U KR200192134Y1 (ko) 1998-06-18 1998-06-18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93U KR20000000893U (ko) 2000-01-15
KR200192134Y1 true KR200192134Y1 (ko) 2001-04-02

Family

ID=6951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494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2134Y1 (ko) 1998-06-18 1998-06-18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21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2833B (zh) * 2022-05-10 2024-08-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五研究所 一种北斗定位测波浮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893U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0190A (en) Submerged ocean current electrical generator and method for hydrogen production
CA1321514C (en) Spar buoy pen system
CN201037770Y (zh) 自持式海洋环境监测装置
US4264233A (en) Fluid dynamic repeller for protecting coast from erosion
CN114207218B (zh) 浮动式防波堤结构
CN211855426U (zh) 一种基于多点式锚系结构的小型海洋资料浮标观测网
CN111959689A (zh) 一种多功能海洋水域环境监测装置
US20110013987A1 (en) Guide apparatus for inducing downward flow of surface water
KR200192134Y1 (ko) 요동을완화시켜주는부이의빌리지킬
KR102115002B1 (ko) 풍향에 대응하는 수질 정화 장치
US6694910B1 (en) Floating island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
KR101602174B1 (ko) 위치 유지가 용이한 부표장치
CN110816765A (zh) 一种用于种植的海上浮台
US20230139270A1 (en) Eco-friendly marine-farm type anchor module and floating photovoltaic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floating wind power system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reof, and floating breakwater installation structrue using thereof
JPH06200516A (ja) 水上浮体防風波・風波力発電装置
CN2710360Y (zh) 一种gps监控定位的网具
JPH04191188A (ja) 魚礁一体型海上等の水上浮遊建造物
JP2009174510A (ja) 海上で旋回する環状浮体構造体
JPS60197486A (ja) 半没水型レジヤ−施設
CN109398617A (zh) 一种防风浪浮标
JP2694390B2 (ja) 小形船舶の洋上係留施設
CN211060912U (zh) 一种海洋浮标
JPS62258883A (ja) 浮体係留装置
JPH0353652Y2 (ko)
JPH042596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6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2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6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006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