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1871Y1 -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871Y1
KR200191871Y1 KR2020000006139U KR20000006139U KR200191871Y1 KR 200191871 Y1 KR200191871 Y1 KR 200191871Y1 KR 2020000006139 U KR2020000006139 U KR 2020000006139U KR 20000006139 U KR20000006139 U KR 20000006139U KR 200191871 Y1 KR200191871 Y1 KR 2001918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lay unit
mobile phone
closed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6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현
Original Assignee
세원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원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6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8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8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87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본체에 마련된 신호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에 투명한 창이 마련되어 있어서, 커버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도 그 창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 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통화를 하지 않고 단순히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열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Portable phone}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커버 부위의 구조가 개선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는 플립형 휴대전화기, 폴더형 휴대전화기 등 여러 종류의 것이 있다. 그 중, 현재 가장 소형화된 형태인 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일례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휴대전화기는 본체(2)와 그 본체(2)의 상측에 마련된 힌지부(4)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 커버(3)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의 전면에는, 숫자나 문자 등의 신호입력을 위한 신호입력버튼(21)들과, 날짜 및 시간 등의 기본정보나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2)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전화기를 단순히 소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에는 커버(3)를 도 1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닫아서, 그 휴대전화기의 전체적인 외관크기를 소형화시켜 둠과 동시에, 커버(3)에 의해 신호입력버튼(21)들 및 디스플레이부(22)가 덮이도록 함으로써 그 신호입력버튼(21) 및 디스플레이부(22)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그리고, 통화시에는 도 1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입력버튼(21)들 및 디스플레이부(22)가 노출되도록 커버(3)를 열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구성의 종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커버를 닫게 되면 그 커버에 의해 디스플레이부가 완전히 덮여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커버를 닫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를 전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통화를 하지 않고 단순히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커버를 열어서 디스플레이부를 외부로 노출시킨 후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버를 닫아둔 상태에서도 본체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 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 부위의 구조가 개선된 휴대전화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휴대전화기의 일례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략적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가 닫힌 상태의 휴대전화기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전화기의 Ⅳ-Ⅳ선을 따른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본체 51...신호입력버튼
52...디스플레이부 70...커버
71...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신호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신호입력버튼들 및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혀있을 때에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내용이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는, 그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대면하도록 된 위치에, 투명한 창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의 개략적 사시도로서 각각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 보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도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 종래 휴대전화기와 마찬가지로 본체(50)와 커버(70)를 구비하고 있으며, 본체(50)의 전면에는 문자의 입력을 위한 신호입력버튼(51)들과, 날짜 및 시간 등의 기본정보나 문자메시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52)가 구비되어 있다. 커버(70)는 본체의 상측에 마련된 힌지부(60)를 중심으로 하여 본체에 대해 회동되면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는, 종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투명한 유리나 투명한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창(71)이 커버(7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창(7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를 닫았을 때 디스플레이부(52)와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도, 단순히 소지하는 경우나 보관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를 닫아서 휴대전화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여둠과 동시에 그 커버(70)에 의해 신호입력버튼(51)들 및 디스플레이부(52)가 덮여서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이물로부터 보호되도록 한다.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0)를 열어서 신호입력버튼(51)들을 노출시켜 두고 사용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는, 커버(70)에 투명한 창(71)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커버(70)를 닫아둔 상태에서도 그 창(71)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52)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휴대전화기와는 달리, 통화를 하지 않고 단순히 디스플레이부상의 정보나 문자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70)를 열 필요가 없어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불편이 해소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단순 휴대나 보관시에 신호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덮어서 보호하도록 된 커버에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진 창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통화를 하지 않고 단순히 디스플레이부상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를 열지 않아도 그 투명한 창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Claims (1)

  1. 신호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며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신호입력버튼 및 디스플레이부를 보호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혀있을 때에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내용이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에는, 그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대면하도록 된 위치에, 투명한 창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2020000006139U 2000-03-06 2000-03-06 휴대전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2001918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39U KR200191871Y1 (ko) 2000-03-06 2000-03-06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6139U KR200191871Y1 (ko) 2000-03-06 2000-03-06 휴대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871Y1 true KR200191871Y1 (ko) 2000-08-16

Family

ID=1964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6139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1871Y1 (ko) 2000-03-06 2000-03-06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8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5716B1 (en) Housing arrangement for a portable device wtih a display
US7502636B2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image data
JP3217972B2 (ja) タッチパネル付き携帯通信機器
US6731753B2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telephone combination device
US6615058B2 (en) Portable phone device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US20040198476A1 (en) Cell phone
JP2000295326A (ja) 携帯電話
US20040137965A1 (en) Folder-type communication apparatus
KR200191871Y1 (ko) 휴대전화기
WO1999021343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see-through flip element
US7664256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JP3700887B2 (ja) 収納ケース及び端末システム
KR100274298B1 (ko) 플립형 휴대전화 단말기
KR200295401Y1 (ko) 투과형 디스플레이창과 기능키가 외부에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JP2001358811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200198699Y1 (ko) 디스플레이부와 신호입력버튼이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휴대폰
KR200205525Y1 (ko) 투명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된 폴더형 휴대폰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205526Y1 (ko) 디스플레이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폴더형 휴대폰
KR100447882B1 (ko) 상폴더에 이중 액정화면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0018115A (ko) 액정화면의 노출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0198286Y1 (ko) 무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커버
JP2001136253A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KR200183196Y1 (ko) 휴대용 전화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306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307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7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