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1435Y1 -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1435Y1
KR200191435Y1 KR2020000005484U KR20000005484U KR200191435Y1 KR 200191435 Y1 KR200191435 Y1 KR 200191435Y1 KR 2020000005484 U KR2020000005484 U KR 2020000005484U KR 20000005484 U KR20000005484 U KR 20000005484U KR 200191435 Y1 KR200191435 Y1 KR 2001914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dial pad
dial
main body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해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시스게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시스게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시스게이트
Priority to KR2020000005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14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14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14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04M1/0256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wherein the modules are operable in the detached state, e.g. one module for the user interface and one module for the trans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본 고안은, 본체전면에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수의 다이얼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키 및 기능키가 본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이얼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에 대해 착탈할 수 있으며 전자수첩의 기능을 내장한 다이얼패드에 다수의 다이얼키 및 기능키를 설치하고, 전화를 걸 때에는 상기 다이얼패드의 키를 눌러 전화를 할 수 있으며, 특히 통화중에 휴대폰 본체로부터 다이얼패드를 분리하더라도 통화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통화중에도 다이얼패드를 빼내어 전자수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Handphone having detachable dial pad}
본 고안은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의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키 및 기능키를, 휴대폰본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별도의 다이얼패드에 설치한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전자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휴대폰은 계속적으로 발전하여 소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은 대부분 전화기의 기본적인 기능인 통신기능은 물론 전자수첩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은 전자수첩의 기능을 가지고는 있지만 통화중에는 전자수첩을 사용할 수 가 없는 한계가 있었다. 즉, 전화와 전자수첩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통화를 하는 동안 다른 사람의 주소나 전화번호를 알아야 하는 경우 특히 휴대폰내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알아야 할 때, 일단 전화를 끊고 휴대폰을 전자수첩 모드로 변환한 다음 알고 싶은 내용을 알아내야 한다.
이와달리, 별도의 다른 전자수첩이나 종이수첩을 가지고 다니는 것은 휴대폰의 전자수첩 이외에 다른 하나의 수첩을 동시에 가지고 다닌다는 것이되어 휴대폰의 전자수첩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 전면에 위치한 액정디스플에이부와 다이얼키 및 기능키를, 휴대폰의 본체로부터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며 전자수첩의 기능을 갖는 별도의 다이얼패드에 설치하고, 전화를 걸 때에는 다이얼패드의 키를 눌러 전화를 할 수 있으며, 특히 통화중에 휴대폰 본체로부터 다이얼패드를 분리하더라도 통화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 필요시 통화중에 전자수첩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장착되는 다이얼패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상기 다이얼패드가 장착되는 휴대폰 본체의 접속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다이얼패드를 장착 및 분리 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휴대폰 본체 12:다이얼패드(dial pad)
14:액정디스플레이부 16:걸림턱
18:장착홈 20:기능키
22:다이얼키 24:전원단자
26:연결포트 28:배터리
30:다이얼패드장착부 32:지지턱
34:푸시보턴 36:설치홈
40:충전지 42:전원단자
44:연결포트 46:송화구
48:요홈 50:푸시로드
52:경사면 54:스프링
56:지지벽 58:이동부재
60:지지턱구멍 62:하부면
64:환형돌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전면에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수의 다이얼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 키 및 기능키는 본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이얼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패드는 휴대폰본체에 장착되어서는 본체의 회로 및 전원과 연결되어 다이얼링기능을 가지고, 휴대폰본체와 분리되어서는 전자수첩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휴대폰은 통화중에 휴대폰본체로부터 다이얼패드를 분리시켜도 통화가 계속 유지되는 회로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이얼패드내에는 자체의 전원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폰의 측면 또는 전면에는 다이얼패드를 휴대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시보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은, 휴대폰본체(10)와, 상기 휴대폰본체(10)의 전면에 착탈가능하도록 끼워지는 다이얼패드(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을 위해 휴대폰본체(10)의 전면에는 다이얼패드(12)가 장착되는 공간부인 다이얼패드장착부(30)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다이얼패드장착부(30)에 다이얼패드(12)가 끼워지는 것이다.
상기 휴대폰본체(10)와 다이얼패드(12)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하여 다이얼패드장착부(30)에는 지지턱(32)과 걸림턱(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16)은 다이얼패드(1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착홈(18)을 지지하는 부위이고, 지지턱(32)은 다이얼패드(12)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도 2의 48)내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턱이다.
상기 걸림턱(16)은 휴대폰본체(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턱(32)은 다이얼패드장착부(30)내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왕복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턱(32)의 왕복운동은 후술하는 푸시보턴(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푸시보턴(34)을 누르면 지지턱(32)은 다이얼패드장착부(30)로부터 빠져나가고, 푸시보턴(34)을놓으면 스프링(도 4의 54)의 작용에 의해 다이얼패드장착부(30)로 다시 빠져나온다.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자세히 후술된다.
상기 휴대폰본체(10)의 후면에는 배터리(28)가 장착되어 휴대폰본체(10)와 다이얼패드(12)로 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28)로부터 휴대폰본체(10)로의 전력공급은 통상의 휴대폰과 같다. 그러나 상기 배터리(28)로부터 다이얼패드(12)로의 전력공급은 다이얼패드장착부(30)내에 벽으로 구비되어 있는 전원단자(도 3의 42)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폰에 있어서, 배터리(28)의 전기는 휴대폰본체(10)내의 전기장치를 구성함 동시에 상기 전원단자(도 3의 42)를 통해 다이얼패드(12) 내부의 전기장치를 구동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얼패드(12)에는 상기 전원단자(42)와 접속하는 전원단자(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패드(12)의 전원단자(24)는 다이얼패드(12)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지(도 2의 40)에 연결된다.
결국 배터리(28)의 전기의 일부는 휴대폰본체(10)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전원단자(42,24)를 통해 충전지(도 2의 40)로 공급되어 충전지(40)를 충전시킨다. 따라서 다이얼패드(12)를 휴대폰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패드(12)의 충전지(40)의 전기가 모두 방전된 경우 다이얼패드(12)를 다이얼패드장착부(30)에 장착하면 충전지(40)는 배터리(28)로부터 전기를 다시 공급받아 충전된다. 상기 배터리(28)가 방전되면 외부의 충전지(미도시)를 사용하여 배터리(28)를 충전함은 물론이다.
상기 다이얼패드(12)는 휴대폰본체(10)의 다이얼패드장착부(30)에 끼워져, 통상의 휴대폰에서의 키패드의 역할을 한다. 즉, 보통의 휴대폰에서 전화를 걸 때 전화번호와 통화보턴을 눌러야 하는데, 상기 전화번호보턴과 통화보턴이 기능키(20)와 다이얼키(22)로서 다이얼패드(12)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다이얼패드(12)와 휴대폰본체(10)와의 사이에 신호의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신호전달통로가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신호전달 통로로서 위해 다이얼패드(12)의 단부에는 연결포트(26)가 설치되어 있으며, 휴대폰본체(10)에도 연결포트(도 3의 44)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포트(26,44)는 통신포트로서 마치 컴퓨터의 본체와 주변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포트와 같은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포트(26,44)의 구조는 실시예에 따라 다르게 변형할 수 있으며, 또한 휴대폰본체(10)의 연결포트(44)와 다이얼패드(12)의 연결포트(26)의 위치도 다른 곳으로 변형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다이얼패드(12)의 전면에는 다수의 기능키(20)와 다이얼키(22) 및 액정디스플레이부(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14)는 기능키(20) 및 다이얼키(22)가 눌림에 따라 눌린 내용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하는 부위이다. 또한 다이얼패드(12)의 전면부 하단에는 장착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홈(18)은 다이얼패드장착부(3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16)에 의해 지지되는 홈이다. 상기 장착홈(18)에 걸림턱(16)이 삽입됨으로써 다이얼패드(12)는 휴대폰본체(10)와 견고히 결합하며 다이얼패드장착부(30)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아 전원단자(24,42) 및 연결포트(26,44)의 접속은 항상 안정되이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패드(12)에는 전자수첩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다. 즉 내부에 공지의 메모리부와 연산부 및 IC콘트롤러가 구비되어 계산기의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 각종 주소록이나 스케쥴관리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자요소 및 회로는 다이얼패드(12)내에 구비되어 있는 충전지(도 2의 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다이얼패드(12)내에 함께 설치된 통신과 관련되는 기능은 통화를 개시하는 기능만 담당하고, 통화의 유지나 전화를 받는 기능은 휴대폰본체(10)내에 구비되어 있다. 즉, 전화를 걸 때에는 다이얼패드(12)의 기능키(20) 및 다이얼키(22)를 눌러 송신하지만 일단 통화가 이루어진 순간부터의 통화유지기능은 휴대폰본체(10)가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일단 통화가 시작된 다음에는 휴대폰본체(10)로부터 다이얼패드(12)를 분리하더라도 통화는 계속유지되는 것이다. 다시말하면 통화중에 전자수첩을 별도로 사욜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46은 송화구이다.
도 2는 상기 다이얼패드내에 충전지가 구비되어 있음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이얼패드(12)의 내부에는 충전지(4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충전지(40)는 전원단자(24)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도 1의 28)의 전기는 전원단자(도 3의 42)와 다이얼패드(12)의 전원단자(24)를 통해 충전지(40)로 공급되어 충전지(40)로 하여금 항상 다이얼패드(12)를 작동하도록 한다.
아울러 다이얼패드(12)의 전원단자(24)의 반대측 단부에는 요홈(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48)은 직사각형의 홈으로서 지지턱(도 1의 32)이 삽입되는 구멍이다. 또한 다이얼패드(12)의 상면에는 액정디스플레이부(14)와 다수의 키(20,22)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휴대폰본체의 다이얼패드장착부에 구비된 전원단자와 연결포트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다이얼패드장착부(30)의 하부면(62)에는 연결포트(44)와 전원단자(4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전원단자(42)는 배터리(도 1의 28)의 전원과 내부연결되어 다이얼패드(12)에 전기를 공급하는 단자이다. 상기 연결포트(44)는 휴대폰본체(10)내부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으며 다이얼패드(12)의 연결포트(도 2의 26)와 접속한다. 상기 다이얼패드(12)의 연결포트(26)도 다이얼패드(12) 내부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포트(26,44)의 접속에 의해 휴대폰본체(10)와 다이얼패드(12)의 내부회로의 연결이 이루어져, 다이얼패드(12)의 키(20,22)를 눌러 휴대폰본체(10)로 하여금 통화를 개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다이얼패드를 장착 및 분리하는 기구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다이얼패드(12)의 장착 및 분리는 푸시보턴(34)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푸시보턴(34)을 누르면 다이얼패드(12)를 휴대폰본체(10)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으며, 푸시보턴(34)을 놓고 휴대폰본체(10)에 대해 다이얼패드(12)를 가압하면 장착이 이루어진다.
상기 푸시보턴(34)은 휴대폰본체(10)의 전면에 구비되돠, 푸시보턴(34)이 휴대본본체의 전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홈(36)내에 구비된다. 상기 설치홈(36)은 휴대폰본체(10) 전면에 형성한 홈으로서 내부에 푸시보턴(34)을 포함하며 푸시보턴(34)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푸시보턴(34)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연장된 푸시로드(50)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50)의 하단부는 둥글게 마감처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50)의 하측부에는 이동부재(58)가 접하여 설치된다. 상기 이동부재(58)는 푸시로드(50)의 승강운동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는 부재이다.
상기 푸시로드(50)의 하강에 따라 이동부재(58)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이동부재(58)의 상면에는 도면상 우측으로 경사진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50)의 하단부가 둥글게 마감처리되어 있고, 또한 이동부재(58)의 상면에는 경사면(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시보턴(34)이 하강하면 이동부재(58)는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58)는 스프링(54)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이를 위해 이동부재(58)의 외주면에는 환형돌기부(64)가 형성되며 스프링(54)은 지지벽(56)에 지지되어 상기 환형돌기부(64)를 가압한다.
상기 환형돌기부(64)의 우측단부에는 도면상 우측하부로 경사진 형상을 갖는 지지턱(3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32)은 푸시보턴(34)가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지지턱구멍(6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지지턱(32)이 하부로 경사져 있으므로, 다이얼패드(12)가 다이얼패드장착부(30) 내측으로 하강하면, 상기 지지턱(32)이 화살표 c방향으로 밀리며 다이얼패드(12)의 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다이얼패드(12)가 완전히 하강하여 요홈(48)이 지지턱(32)과 같은 높이에 도달하면, 지지턱(32)은 스프링(54)의 탄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을 따라 지지턱구멍(60)을 통하여 요홈(48)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다이얼패드(12)의 장착이 완료된다.
도 5는 휴대폰본체에 장착되어 있던 다이얼패드를 분리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푸시보턴(34)을 화살표 f방향을 따라 하부로 가압하면 푸시로드(50)가 경사면(52)을 가압하고 동시에 스프링(54)을 압축시키며 이동부재(58)를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58)가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지턱(32)이 다이얼패드(12)의 요홈(48)으로부터 빠져나와 휴대폰본체로부터 다이얼패드(12)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고안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하고자 하면 통상의 휴대폰처럼 휴대폰전면의 다이얼패드(12)의 다이얼키(22) 및 기능키(20)를 누르고 통화를 하며, 통화중에 전자수첩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보턴(34)을 눌러, 휴대폰본체(10)로부터 다이얼패드(12)를 분리하여 통화를 계속하면서도 전자수첩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수첩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이얼패드(12)를 휴대폰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 도 있고, 따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은, 휴대폰 본체에 대해 착탈할 수 있으며 전자수첩의 기능을 내장한 다이얼패드에 다수의 다이얼키 및 기능키를 설치하고, 전화를 걸 때에는 상기 다이얼패드의 키를 눌러 전화를 할 수 있으며, 특히 통화중에 휴대폰 본체로부터 다이얼패드를 분리하더라도 통화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통화중에도 다이얼패드를 빼내어 전자수첩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본체전면에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수의 다이얼키 및 기능키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부와 다이얼 키 및 기능키는 휴대폰본체에 대해서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한 다이얼패드(12)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패드(12)는 휴대폰본체(10)에 장착되어서는 휴대폰본체(10)의 회로 및 전원과 연결되어 다이얼링기능을 가지고, 휴대폰본체(10)와 분리되어서는 전자수첩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통화중에 휴대폰본체(10)로부터 다이얼패드(12)를 분리시켜도 통화가 계속 유지되는 회로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패드(12)내에는 자체의 전원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본체(10)의 측면 또는 전면에는 다이얼패드(12)를 휴대폰본체로부터 분리시키는 푸시보턴(34)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KR2020000005484U 2000-02-28 2000-02-28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KR2001914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84U KR200191435Y1 (ko) 2000-02-28 2000-02-28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484U KR200191435Y1 (ko) 2000-02-28 2000-02-28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1435Y1 true KR200191435Y1 (ko) 2000-08-16

Family

ID=1964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484U KR200191435Y1 (ko) 2000-02-28 2000-02-28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14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64734A (en) Telephone with sliding keypad
KR100642310B1 (ko) 와치 타입 블루투스 헤드셋 어셈블리
KR20000034939A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CN212519098U (zh) 一种多功能的充电手机壳
KR200191435Y1 (ko) 착탈식 다이얼패드를 갖는 휴대폰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JP3776851B2 (ja) 充電用卓上ホルダ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264827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플렉시블 피씨비 구조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0542951B1 (ko) 휴대폰의 무전기용 스위치
KR100357318B1 (ko) 차량용 핸즈프리
KR100659051B1 (ko) 배터리플립 휴대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42918Y1 (ko) 착탈식 유에스비(usb) 메모리 드라이브 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KR200166418Y1 (ko) 다이얼링이 가능한 스티커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JP3674055B2 (ja) 携帯型無線電話機
KR20020006159A (ko) 휴대폰의 밧데리팩 착탈구조
KR200392048Y1 (ko) 핸드폰 연결용 전화기
KR20060080799A (ko) 배터리 팩 록킹장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19990021432U (ko) 무선전화기의 안테나 인출장치
KR20010025245A (ko) 키 패드를 가진 무선 모뎀 카드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2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2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0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10511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1I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7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