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5277Y1 -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 Google Patents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5277Y1
KR200165277Y1 KR2019970033992U KR19970033992U KR200165277Y1 KR 200165277 Y1 KR200165277 Y1 KR 200165277Y1 KR 2019970033992 U KR2019970033992 U KR 2019970033992U KR 19970033992 U KR19970033992 U KR 19970033992U KR 200165277 Y1 KR200165277 Y1 KR 2001652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battery
locking groove
cradle
antenn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9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0515U (ko
Inventor
이영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339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527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0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52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5277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안테나를 독립적으로 분리하여 소형화에 유리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일측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 홈이 형성되고, 저면 착탈가능한 배터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휴대폰; 및 안테나 유니트가 실장되고, 상기 제 1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1 걸림돌기를 홀더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돌기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크레이들로 구성하여 휴대폰에서 안테나 유니트를 독립적이게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 2 걸림홈의 중간에 휴대폰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 돌기의 중간에 안테나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2 접속단자를 구성하여 휴대폰과 크레이들의 일몸체 조립시에 크레이들 배터리가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홀더 타입의 휴대폰

Description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본 고안은 휴대용 단말기중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체와 안테나 유니트가 분리된 휴대폰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장치는 휴대폰, 카폰, CT-2 및 PCS등을 칭한다. 이런 휴대장치중 휴대폰은 바 타입(bar type)과 플립 타입(flip type)이 있다. 현재는 바 타입과 플립 타입이 공존하고 있으며, 점점 플립 타입의 휴대폰이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또한 신규하게 소형화에 유리한 폴더 타입의 휴대폰이 점점 각광을 받고있다.
여러타입의 휴대폰중, 플립 타입의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어 지는 이유는 본체에 설치된 플립커버가 다수개의 키들을 보호하고,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여 음의 감도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플립타입의 휴대폰이 기기세트의 소형화와 디자인 설계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여러 장점은 홀더 타입의 휴대폰에도 적용이 된다.
더욱이, 현재의 추세로는 이러한 휴대장치는 디자인의 소형화 및 제품의 경량화를 더욱 추구하고 있으며, 이에따라 플립타입의 휴대장치에서는 플립커버에 마이크나 스피커를 설치하여 소형화를 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별도의 연결수단을 이용하여 마이크나 스피커를 본체에 연결시킴으로서 소형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러한 플립 타입의 휴대폰은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과 플립 타운 타입(flip down type)이 있다. 플립 업 타입은 플립 커버가 기기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유형이고, 플립 다운 타입은 플립 커버가 기기본체의 하측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플립 업 다운 타입(flip up down type)의 휴대폰은 본체의 상하양측에 플립커버를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양단 플립형 휴대폰을 말한다. 또한 홀더 타입은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본체와 커버가 동일한 크기로 개폐되어 지는 타입을 의미한다.
또한 플립 타입이나 홀더 타입의 휴대폰은 통화각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플립커버 개폐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휴대폰은 본체와, 플립커버 및 플립커버 개폐장치등으로 크게 구성된다.
앞으로는 플립 타입이나 홀더 타입의 휴대폰이 점점 일반화 되어 질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여러 타입의 휴대폰중, 플립 타입이나 홀더 타입은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한다. 본체에 RF 모듈, LCD 디스플레이, 마이크나 스피커 및 그밖의 여러 기판이나 부속품이나 안테나 유니트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야 한다. 플립타입이나 홀더 타입에서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런 구성요소들을 소형화나 슬림화하여 소형화를 추구하고 있으나, 이것 또한 소형화에 한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필수 구성요소중 안테나 유니트를 분리시킨 휴대폰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과 안테나 유니트를 분리시킨 휴대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형화에 유리한 휴대폰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휴대폰과 크레이들에 각각 배터리를 장착하고, 크레이드 배터리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 홈이 형성되고, 저면 착탈가능한 배터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휴대폰; 및 안테나 유니트가 실장되고, 상기 제 1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1 걸림돌기를 홀더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돌기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크레이들로 구성하여 휴대폰에서 안테나 유니트를 독립적이게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 2 걸림홈의 중간에 휴대폰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 돌기의 중간에 안테나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2 접속단자를 구성하여 휴대폰과 크레이들의 일몸체 조립시에 크레이들 배터리가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크레이들이 일몸체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과 크레이들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후방을 나타내는 외관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휴대폰 20:크레이들
30:안테나 유니트 110:제 1 걸림홈
120:제 2 걸림홈 130:휴대폰 배터리
210:제 1 걸림 돌기 220:제 2 걸림 돌기
240:크레이들 배터리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을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휴대폰은 홀더 타입이다. 상기 도면에서는 본체와 안테나 유니트가 실장된 크레이들이 일몸체로 조립된 상태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후방외관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휴대폰을 의미하는 본체10과 안테나 유니트30이 실장된 크레이들20이 분리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체가 휴대폰을 의미한다. 상기 휴대폰10은 안테나 유니트30만 실장되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 휴대폰10은 홀더 타입이고, 상기 크레이들20은 사용자의 벨트등에 착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휴대폰10은 사용자의 주머니등에 휴대할 수 있는 소형화된 사이즈이며, 상기 휴대폰10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서 크레이들20에 착탈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휴대폰10에는 도면에 미도시된 송수화부의 필수구성요소인 RF 모듈, 스피커, 마이크, LCD 디스플레이부, 기판 및 그 밖의 필수구성요소들이 장착되고, 저면에서 배터리130이 장착된다. 또한 크레이들20에는 안테나 유니트30이 장착된다. 상기 안테나 유니트30은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와 연결된 RF 모듈등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크레이들의 안테나 유니트30이 실장된 공간 이외의 여유공간은 배터리240이 장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상기 크레이들의 배터리의 저면모서리부에는 미도시된 충전단자가 위치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휴대폰과 크레이들의 착탈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크레이들의 상부에 형성된 홀더부분230의 내측면에는 제 1 걸림 돌기210이 돌출된다. 상기 제 1 걸림 돌기210은 홀더230부분의 측면방향으로 향한다. 또한 상기 제 1 걸림돌기210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화살표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이들20의 중간에서 약간 하부에는 제 2 걸림돌기220이 돌출된다. 상기 제 2 걸림 돌기220은 휴대폰이 장착되는 화살표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휴대폰과 접촉되는 면에서 상방으로 향한다.
그리고, 상기 제 1,2 걸림 돌기210,220들과 대응하는 제 1,2 홈110,120이 휴대폰의 상단면과 배터리의 저면에 형성된다. 상기 홈중 제 1 걸림돌기210과 대응하는 제 1 홈110은 휴대폰10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다른 제 2 홈120은 휴대폰의 배터리130 저면 중간에서 약간 아래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 1,2 홈110,120은 화살표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제 1 걸림 돌기210과 제 1 걸림홈110에 의한 결합과 다른 제 2 걸림 돌기220과 제 2 걸림홈120에 의한 결합에 의해 휴대폰10이 크레이들20에 화살표방향으로 밈으로서 결합된다. 상기 휴대폰10의 저면은 크레이들의 상면과 슬라이딩 면접촉을 하면서 착탈된다. 상기 제 1 걸림 돌기210과 제1 걸림 홈110에 의한 결합방향과 상기 제 2 걸림 돌기220과 제 2 걸림홈120에 의한 결합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여 서로를 구속하기 때문에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휴대폰10을 크레이들20에 장착할 경우 휴대폰10은 크레이들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1,2 걸림 돌기210,220과 제 1,2 걸림홈110,120은 각각 화살표방향으로 연장되었기 때문에 용이하게 장착방향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휴대폰10을 크레이들20에서 분리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휴대폰10이 크레이들20에 일몸체로 된 경우, 상기 휴대폰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130 이외에 크레이들20에 장착된 배터리240에도 연결된다. 상기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130은 휴대폰10에 전원을 공급하고, 크레이들에 장착된 배터리240은 안테나 유니트30에 전원을 공급한다.
휴대폰 배터리130과 크레이들 배터리240을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걸림 돌기220 중간부위에 접속 단자221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접속 단자221와 대응하는 접속단자121를 제 2 걸림홈120에 설치한다. 상기 접속단자121은 홈120의 중간부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 단자중, 휴대폰10에 설치된 접속단자121은 휴대폰 배터리130에 연결되고, 크레이들에 설치된 접속 단자221도 크레이들 배터리240에 연결된다. 따라서 휴대폰10을 크레이들20에 조립한 경우에는 휴대폰은 두 개의 배터리130,240에 연결된다. 또한 안테나 유니트30은 독립적으로 배터리24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따라서 사용자는 외출시, 휴대폰10과 크레이들20을 분리한 채, 본체는 가방이나 주머니에 넣고, 크레이들20은 허리에 착용한 채 외출하고, 크레이들에 안테나 유니트30에 의하여 수신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안테나 유니트에서 수시된 전파가 휴대폰10의 RF 모듈에 송신을 하고, 사용자는 통화를 한다.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본체를 주머니나 가방에 넣는다. 안테나가 수신된 상태가 된 경우에는 기존과 같이 각종 경보기능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면 된다.
한편, 본체와 크레이들을 일몸체로 조립된 상태일 경우, 충전기에 충전시키면, 크레이들 배터리240에도 충전되고, 접속단자에 의해 휴대폰 배터리130에도 충전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홀더 타입의 휴대폰에 있어서 안테나를 독립적으로 휴대폰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구현함으로서 소형화에 유리하다.

Claims (2)

  1. 안테나 유니트, LCD 디스플레이, 마이크, 스피커, 기판 및 RF 모듈등이 실장된 휴대폰에 있어서,
    일측 상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 걸림 홈이 형성되고, 저면 착탈가능한 배터리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휴대폰; 및
    안테나 유니트가 실장되고, 상기 제 1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1 걸림돌기를 홀더의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돌기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크레이들로 구성하여 휴대폰에서 안테나 유니트를 독립적이게 착탈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 2 걸림홈의 중간에 휴대폰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1 접속단자와, 상기 제 2 걸림홈에 상응하는 제 2 걸림 돌기의 중간에 안테나의 배터리와 연결된 제 2 접속단자를 구성하여 휴대폰과 크레이들의 일몸체 조립시에 크레이들 배터리가 휴대폰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폰은 홀더 타입임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KR2019970033992U 1997-11-26 1997-11-26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2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92U KR200165277Y1 (ko) 1997-11-26 1997-11-26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3992U KR200165277Y1 (ko) 1997-11-26 1997-11-26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15U KR19990020515U (ko) 1999-06-15
KR200165277Y1 true KR200165277Y1 (ko) 2000-01-15

Family

ID=1951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992U Expired - Fee Related KR200165277Y1 (ko) 1997-11-26 1997-11-26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52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68B1 (ko) 2003-11-26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68B1 (ko) 2003-11-26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515U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344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for minimizing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value of electromagnetic waves
US6600662B1 (en) Light guide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CA2432540C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ple detachable communication modules
EP0414365B1 (en) Portable radio telephone
US6049725A (en) Charging cradle
US7400917B2 (en) Protective devices for a mobile terminal
GB2322504A (en) Tri-fold cellular telephone
US6973185B2 (e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to be worn on the wrist having flexible battery strap
KR200165277Y1 (ko) 안테나가 분리된 휴대폰
JP2008288151A (ja) 防水端子構造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KR100849998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케이스 조립체 및 이를 가지는 휴대용단말기
KR101429277B1 (ko) 다기능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기기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40457B1 (ko) 와치 타입 텔레폰
JP3776851B2 (ja) 充電用卓上ホルダ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20020078373A (ko) 삼중 폴더형 단말기
KR100316160B1 (ko) 바-타입변환휴대폰
KR20020078381A (ko) 삽입 및 이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수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H065231U (ja) 携帯用通信機器
KR100617738B1 (ko) 거치용 충전기를 구비한 무선 단말 장치
KR200184589Y1 (ko) 하단 부착식 배터리를 구비한 무선 단말기
KR200202211Y1 (ko) 개선된 배터리 구조를 갖는 휴대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11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112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0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01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0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