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90900Y1 - 양방향 손전등 - Google Patents

양방향 손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0900Y1
KR200190900Y1 KR2020000004515U KR20000004515U KR200190900Y1 KR 200190900 Y1 KR200190900 Y1 KR 200190900Y1 KR 2020000004515 U KR2020000004515 U KR 2020000004515U KR 20000004515 U KR20000004515 U KR 20000004515U KR 200190900 Y1 KR200190900 Y1 KR 200190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flashlight
cover
body portion
refl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5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호
Original Assignee
김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호 filed Critical 김수호
Priority to KR20200000045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0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0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0900Y1/ko
Priority to PCT/KR2001/000211 priority patent/WO2001061238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25Combination of two or more reflectors for a singl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7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전등 사용시 양방향(전·후방)으로의 빛 발산이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이 간편·용이하고 발산되는 빛의 범위를 넓게하여 사용자의 야간(어두운 장소) 시야를 넓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에 건전지와 전구가 내설되고 전면에는 렌즈와 커버가 결합된 몸체부가 구비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면이 개방되고 선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내측단부에 원뿔형태의 보조 반사판이 형성된 덮개가 결합됨에 따라, 손전등의 활용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이며, 빛을 난반사시킴에 따라 빛의 밝기(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있어 경제적이고,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손전등{A BOTH SIDE FLASHLIGHT}
본 고안은 양방향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전등 사용시 양방향(전·후방)으로의 빛 발산이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이 간편·용이하고 발산되는 빛의 범위를 넓게하여 사용자의 야간(어두운 장소) 시야를 넓게 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전등(랜턴)이라 함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에서 시야확보를위해 사용되는 전등수단의 일종으로서, 특히,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간편하여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분야 또한 가정에서부터 산업현장 및 레포츠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손전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원통형상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손잡이(2)가 결합되며 내부에는 전기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건전지(3, 손전등의 사양에 따라 축전지를 사용함)가 내설된 몸체부(4)와, 상기 몸체부(4)에 내설된 건전지(3)와 전기적인 결합에 의해 빛을 발산하는 전구(5)와, 내면 선단에 투명한 재질의 렌즈(6)가 삽입되고 내면에 형성된 나사부(7')에 의해 상기 몸체부(4)와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때, 전구(5)는 손잡이(2)에 설치된 스위치(9)의 수동조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점등 및 점멸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손전등은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수단(전구 및 렌즈)이 일측방 즉, 전면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행동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와 협소한 공간에서의 사용시 방향전환(손전등의 후방을 비추고자 할 경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원활한 행위(작업)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발산되는 빛이 특정부위에 집중되므로 넓은 공간에서의 사용시 확보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시야확보 범위가 좁아 비효율적이며, 빛의 밝기(조도)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너무 과다하게 발산될 경우에는 주위사람 또는 작업자에게 눈부심 현상을 유발시키게 되어정상적인 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함과 동시에 불괘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국내 공개 제84 - 2722호에서는 일반적인 손전등의 후방측에 전구와 반사경을 설치하여 상기한 문제를 해소 하려 시도하고 있으나, 이는 반사경 및 전구의 외면에 단순형태의 투명커버를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때문에 전등을 역 입설하여 사용할경우 발산되는 빛이 상기 투명 커버의 상면을 통해 상부측으로 소실되어버려 종래의 문제는 여전하고, 주변의 조도를 극대화 시키지 못하여 실용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소하고 이를 개선하기위한 것으로서, 빛의 발산이 양방향(전·후방)으로 이루어지고,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되도록 하여 빛이 한방향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주변의 조도를 향상시키고 발산 범위를 넓게 하여 확보할 수 있는 시야의 범위를 최대화 함과 동시에 전등수단 뿐만 아니라, 야외에서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게 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부에 건전지와 전구가 내설되고 전면에는 렌즈와 커버가 결합된 몸체부가 구비된 손전등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면이 개방되고 선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내측단부에 원뿔형태의 보조 반사판이 형성된 덮개가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의, 덮개는 선단이 돔형태로 만곡되게 구성할수 있고, 외주면은 볼록렌즈형상으로 이룰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손전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요부를 절개해 보인 측단면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몸체 16 : 반사판
18 : 덮개 19 : 보조반사판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손전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전면에 전구(12)가 점등·점멸되도록 설치된 몸체부(14)의 후면에 반사판(16)과 전구(12)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반사판(16)과 전구(12)가 차폐되도록 덮개(18)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덮대(18)의 내측단부에는 원뿔형태의 보조 반사판(18')이 형성되어 전구(12)의 점등시 발산되는 빛을 난반사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요부를 절개해 보인 측단면도로서, 몸체부(14)에 건전지가 내설되고 상면에는 스위치(9)가 설치된 손잡이(2)가 결합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는 내면에 보조반사판(19)이 형성 또는 결합된 덮개(18)가 결합되되, 몸체부(14)에는 전구(12)와 반사판(16)이 삽입된 후, 덮개(18)의 결합에 의해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서, 손잡이(2)에 설치된 스위치(9)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도 4a에서와 같이 몸체부(14)의 후방(화살표 방향)으로 밀게되면, 후면에 설치된 전구(12)가 점등되어 빛이 반사판(16)과 보조 반사판(19)에 의해 난반사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4b에서와 같이 몸체부(14)의 전방으로 밀게되면, 전면에 설치된 전구(5)가 빛을 발산시키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9)는 양방향 전환스위치로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별도로 언급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전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몸체부(14) 후면에 결합되는 덮개(18)에 형성된 보조 반사판(19)은 선단이 돔형태로 만곡지고 외주면은 볼록렌즈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단부에는 나팔관형태의 보조 반사판(19)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전·후면이 관통되도록 개방된 몸체부(14)와, 내측단부에 보조 반사판(19)이 형성된 덮개(18)와, 전구(12) 및 반사판(16)이 구비된 상태에서, 몸체부(14)에 건전지(3)를 내설하고 전구(12)를 반사판(16)과 함께 건전지(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한 다음, 덮개(18)를 결합시키게 되면, 양방향 손전등이 완성된다.
이때, 스위치(9)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건전지(3) 및 전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이상태에서, 야간이나 어두운곳에서 시야확보가 요구될 경우에는 스위치(9)를 조작하여 빛을 발산시키되, 확보할 시야 범위가 비교적 좁고 확보하고자 하는 곳의 거리가 먼거리일 경우에는 스위치(9)를 전방으로 밀어(도4b의 화살표 방향) 전면에 설치된 전구를 발산시키면 되고, 확보하고자 할 시야의 범위가 넓고 근거리일 경우 또는 빛을 비추고자 하는 대상이 사람일 경우에는 빛에 의한 눈부심을 예방하기 위해 스위치(9)를 후방으로 밀어(도 4a의 화살표 방향) 후면에 설치된 전구(12)를 발산시키게 되면 발산된 빛은 반사판(16)과 덮개(18)에 형성된 보조 반사판(19)에 의해 난반사되어 비춰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반사판(16)과 보조 반사판(19)에 의해 전구(12)로부터 발산된 빛이 난반사되어 특정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넓은 각도로 분산되므로 빛의 집중에 의한 눈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확보할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최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4)의 후면에 결합되는 덮개(18)는 선단이 돔형태로 만곡지고 외주면은 볼록렌즈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빛의 분산각도를 크게하여 확보할 수 있어 시야 범위를 한층더 넓게 하며, 내측단부에 형성된 보조 반사판(19)을 나팔관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발산된 빛의 난반사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양방향 손전등을 이용함에 따라, 빛이 양방향(전·후방)으로 발산됨에 따라, 활용성이 향상되고 효율적이며, 빛을 난반사시킴에 따라 빛의 밝기(조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있어 경제적이고, 또한, 확보할 수 있는 시야 범위를 최대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효과가 있다.
끝으로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랜턴 형태의 손전등을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기의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 되어야 하며, 상기에서와 같은 랜턴형 또는 바형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가능하다 할것이고, 그 크기나 형태에 구애받지 않으며,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을 양방향이 아닌 일방향 손전등의 형태로 구성하여 넓은 시야 확보 및 조도 향상을 위해 반사판과 보조반사판을 직접 채택 결합시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할것이어서, 그 변형되는 정도가 반사판과 보조반사판의 채택 결합에 의한 것이라면 이는 후술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청구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날수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Claims (2)

  1. 건전지와 전구가 내설되고 전면에는 렌즈와 커버가 결합된 손전등에 있어서,
    몸체부(14)의 후면이 개방되고 선단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내측단부에 원뿔형태의 보조 반사판(19)이 형성된 덮개(1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손전등.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덮개(18)는 선단이 돔형태로 만곡지고 외주면은 볼록렌즈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손전등.
KR2020000004515U 2000-02-18 2000-02-18 양방향 손전등 Expired - Fee Related KR200190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15U KR200190900Y1 (ko) 2000-02-18 2000-02-18 양방향 손전등
PCT/KR2001/000211 WO2001061238A1 (en) 2000-02-18 2001-02-14 Bi-directional flash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515U KR200190900Y1 (ko) 2000-02-18 2000-02-18 양방향 손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0900Y1 true KR200190900Y1 (ko) 2000-08-01

Family

ID=1964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515U Expired - Fee Related KR200190900Y1 (ko) 2000-02-18 2000-02-18 양방향 손전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190900Y1 (ko)
WO (1) WO20010612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50B1 (ko) * 2014-01-16 2015-09-02 조각희 이중반사경을 갖는 조명기구
KR20190081807A (ko) 2017-12-29 2019-07-09 윤주원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양방향 손전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820B2 (en) 2008-10-02 2010-12-07 Life+Gear, Inc. Multipurpose lighting device with electronic glow stick
BRPI0920805A2 (pt) 2008-10-02 2015-12-22 Life & Gear Inc dispositivo de iluminação de múltiplas finalidades e método para operar um dispositivo de iluminação.
US8113682B2 (en) 2008-10-02 2012-02-14 Life+Gear, Inc. Multipurpose waterproof lighting device with electronic glow stick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101U (ja) * 1992-10-09 1994-05-13 賢 太田 懐中電灯
KR19990001664U (ko) * 1997-06-20 1999-01-15 이종희 양방향점등 손전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950B1 (ko) * 2014-01-16 2015-09-02 조각희 이중반사경을 갖는 조명기구
KR20190081807A (ko) 2017-12-29 2019-07-09 윤주원 다양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양방향 손전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61238A1 (en) 200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0342E1 (en) Portable light with stand
US5558430A (en) Dual beam flashlight
US689008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US5944407A (en) Flashlight/area table lamp having a flexible neck
US6004003A (en) Portable lighting device
US6830403B2 (en) Light-emitting pen with a light reflecting chamber
CN2307174Y (zh) 多用途照明装置
US5957566A (en) Flashlight
KR200190900Y1 (ko) 양방향 손전등
US20060171143A1 (en) Handheld rechargeable electric torch
US20070097676A1 (en) Two-usage light
JP2009181834A (ja) センサーライト
JP5452945B2 (ja) 蓄光器
CA2455767C (en) Light-emitting pen with a light reflecting chamber
KR100624900B1 (ko) 조명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
CN215014153U (zh) 一种雨伞伞柄
KR200278580Y1 (ko) 발광체 지지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조명 장치
JP2009032428A (ja) 照明装置
CN211600383U (zh) 一种投光灯
KR200268143Y1 (ko) 후레쉬
KR19990014879U (ko) 손전등
WO2000029781A1 (en) Portable lighting device
KR200340175Y1 (ko) 조명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185937Y1 (ko) 휴대용 소형램프
KR920006025Y1 (ko) 후레쉬가 내장된 콤팩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218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5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219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01206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