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3498Y1 -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498Y1
KR200183498Y1 KR2019990030835U KR19990030835U KR200183498Y1 KR 200183498 Y1 KR200183498 Y1 KR 200183498Y1 KR 2019990030835 U KR2019990030835 U KR 2019990030835U KR 19990030835 U KR19990030835 U KR 19990030835U KR 200183498 Y1 KR200183498 Y1 KR 200183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glass door
boss
partition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30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복
Original Assignee
최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복 filed Critical 최진복
Priority to KR2019990030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3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4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을 출입하기 위한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안전장치는 마주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절취홈(14)이 형성되는 두 유리도어(10)를 갖추고 있다. 유리도어(10)의 내외면중 어느 한쪽에 절취홈(14)의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제1 홀더분할체(20)가 장착된다. 제1 홀더분할체(20)의 한쪽 끝에 고정홈(24)을 갖는 덮개부(26)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끼움구멍(28)을 갖는 제1 보스(30)가 형성되고, 끼움구멍(28)의 내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된다. 또한, 유리도어(10)의 다른 한쪽에 제1 홀더분할체(20)와 대응되도록 제2 홀더분할체(40)가 장착되며, 제2 홀더분할체(40)에는 제1 홀더분할체(20)의 덮개부(26)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홈(44)을 갖는 덮개부(46)가 형성된다. 제2 홀더분할체(40)는 제1 보스(30)의 걸림턱(32)에 걸리도록 끼움구멍(28)에 끼워지는 제2 보스(48)를 가지며, 제2 보스(48)를 관통하여 제1 보스(30)에 나사(60)가 체결된다. 제1 및 제2 홀더분할체(20, 40)의 고정홈(22, 42)에 탄성변형체(70)의 고정부(72)가 끼워져 고정되고, 고정부(72)의 한쪽에 변형흡수공간(80)을 갖는 변형부(76)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두 유리도어의 경계면에 제1 및 제2 홀더분할체의 협동에 의해 탄성변형체를 장착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출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고 유리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리도어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유리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자의 손 등을 보호하기 위한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출입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도어에는 미닫이, 여닫이 등 여러 가지방식이 있으며, 도어는 건물의 내부가 외부에서도 보이도록 투명한 유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한편으로, 유리도어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우에서 열리고 닫히도록 구성하고 있는 바, 유리도어를 열고 닫을 때 유리도어 사이에 출입자의 손이 끼어 부상을 당하는 경우가 자주 있었다.
이와 같이 유리도어를 출입하는 출입자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예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9-40512호를 살펴보면, 두 유리도어의 경계면에 절개부를 형성되어 있고, 절개부의 내면에 다수의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강재의 길이 방향으로 탄성부재를 끼워 보강재의 전면으로 탄성부재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한 뒤, 이것을 유리도어의 절개부에 장착시키고, 보강재와 탄성부재를 관통하여 유리도어의 나사구멍에 나사를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유리도어에 있어서는, 유리도어의 나사구멍에 보강재와 탄성부재를 다수의 나사에 의해 조립시켜야 하므로, 조립이 어렵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특히, 비교적 강도가 높은 유리도어에 나사구멍을 뚫기는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유리도어의 특성상 나사구멍을 뚫을 때 균열에 의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체결 작업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나사의 체결력이 강하여 보강재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유리도어가 강한 조임력을 부여받을 때도 나사구멍의 주위에서 균열이 발생하고, 유리도어를 열고 닫을 때 부여되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도 유리도어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체결되는 나사의 수가 많고, 나사를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하여 가격이 비싼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출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도어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고 유리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도어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전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유리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 - I 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유리도어 14: 절취홈
20: 제1 홀더조립체 26: 덮개부
30: 제1 보스 32: 걸림턱
40: 제2 홀더분할체 46: 덮개부
48: 제2 보스 60: 나사
70: 탄성변형체 72: 고정부
76: 변형부 80: 변형흡수공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마주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절취홈이 형성되는 두 유리도어와; 유리도어의 내외면중 어느 한쪽에 절취홈의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한쪽 끝에 고정홈을 갖는 덮개부가 형성되며, 내면에 끼움구멍을 갖는 제1 보스가 형성되고, 끼움구멍의 내면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제1 홀더분할체와; 유리도어의 다른 한쪽에 제1 홀더분할체와 대응되도록 장착되며, 제1 홀더분할체의 덮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홈을 갖는 덮개부가 형성되고, 제1 보스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제2 보스를 갖는 제2홀더분할체와; 제2 보스를 관통하여 제1 보스에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제1 및 제2홀더분할체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를 가지며, 고정부의 한쪽에 격판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변형흡수공간을 갖는 변형부가 형성되는 탄성변형체로 이루어지는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건물의 두 유리도어(10)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서로 근접하여 힌지(12)를 중심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도어(10)의 마주하는 면에는 대략 가운데에 위치하도록 절취홈(14)이 길게 형성되며, 유리도어(10)의 내외면에는 손잡이(16)가 각각 갖추어진다.
유리도어(10)의 내외면중 어느 한쪽에는 절취홈(14)의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제1 홀더분할체(20)가 각각 장착되고, 유리도어(10)의 내외면중 다른쪽에는 제1 홀더분할체(20)와 대응하는 제2 홀더분할체(40)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는 유리도어(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절취홈(14)내에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내면 가장자리 한쪽에 서로 접하는 리브(22, 24)가 각각 형성되며, 리브(22, 24)의 높이는 유리도어(10)의 두께에 맞도록 적정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한쪽 끝에는 원호형 고정홈(24, 44)을 갖는 덮개부(26, 46)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홀더분할체(20)의 내면에 끼움구멍(28)을 갖는 두개의 제1 보스(30)가 돌출 형성된다. 제1 보스(20)의 끼움구멍(28)의 내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홀더분할체(40)의 내면에는 제1 보스(30)의 끼움구멍(28)에 끼워져 결합되는 제2 보스(48)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유리도어(10)의 내면과 외면에서 제1 보스(30)의 끼움구멍(28)에 제2 홀더분할체(40)의 제2 보스(48)를 끼워 결합시킬 때 제2 보스(48)의 선단은 제1보스(30)의 걸림턱(32)에 걸려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 사이의 정해진 간격을 유지해 주게 된다. 즉, 제2 보스(48)의 선단이 제1 보스(30)의 걸림턱(32)에 걸리는 것에 의해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가 유리도어(10)의 두께에 맞게 조립되는 것이다. 제2 보스(48)를 통하여 제1 보스(30)에 고정수단, 예를 들어 나사(60)를 체결시키면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가 유리도어(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유리도어(10)의 절취홈(14)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어 있는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덮개부(26, 46) 사이에 탄성변형체(70)의 상하단이 끼워져 고정된다. 탄성변형체(70)의 한쪽에 덮개부(26, 46)의 고정홈(24, 44)에 대응하는 관계로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72)가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된다. 탄성변형체(70)의 고정부(72)의 한쪽에 유리도어(10)가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홈(74)이 형성되고 다른쪽에는 변형부(76)가 형성된다. 변형부(76)의 내측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할 수 있도록 가운데의 격판(78)에 의해 두개의 변형흡수공간(80)으로 나뉘어져 형성된다. 그리고, 탄성변형체(70)는 두 유리도어(10)의 경계면에서 밀착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좋다.
지금부터는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유리도어(10)의 내면과 외면에서 절취홈(14)의 상하단에 위치되도록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를 마주하게 한 후, 제1 홀더분할체(20)의 제1 보스(30)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멍(28)에 제2 홀더분할체(40)의 제2 보스(48)를 끼워 결합시킨다. 이때, 제1 보스(30)의 걸림턱(32)에 제2 보스(48)의 선단이 걸려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 사이의 간격이 유리도어(10)의 두께에 맞도록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덮개부(26, 46) 사이에 탄성변형체(70)의 상하단을 각각 끼우면서 덮개부(26, 28)의 고정홈(24, 44)에 탄성변형체(70)의 고정부(72)를 끼워 고정시키며, 이와 동시에 유리도어(10)의 절취홈(14) 내면에 탄성변형체(70)의 끼움홈(74)을 끼워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제2 보스(48)를 통하여 제1 보스(30)에 나사(60)를 체결시키면,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가 유리도어(10)의 절취홈(14)에 견고하게 조립되며,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협동에 의해 탄성변형체(7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제1 보스(30)의 걸림턱(32)에 제2 보스(48)의 선단이 걸리는 것에 의해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 사이의 간격이 유리도어(10)의 두께에 맞도록 유지되므로, 나사(60)를 체결할 때 나사(60)의 체결력이 강해도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유리도어(10)가 일정 범위내에서만 조임력을 받기 때문에 파손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나사(60)의 체결을 손쉽게 행할 수 있으며, 체결되는 나사(60)의 수가 종래기술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어 조립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유리도어(10)의 절취홈(14)에 제1 홀더분할체(20)와 제2 홀더분할체(40)의 협동에 의해 탄성변형체(70)를 장착시킨 상태에서, 출입자가 유리도어(10)를 열고 닫다가 부주의로 인하여 유리도어(10) 사이에 예를 들어 출입자의 손등이 끼이게 되면, 탄성변형체(70)의 변형흡수공간(80)이 탄성변형되어 출입자의 부상을 방지해 주게 된다. 그리고, 두 유리도어(10) 사이에서 탄성변형체(70)가 밀착되는 것에 의해 건물의 실내와 실외로의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방음 및 냉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리도어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두 유리도어의 경계면에 제1 및 제2 홀더분할체의 협동에 의해 탄성변형체를 장착시키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출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이 용이하고 유리도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마주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긴 절취홈(14)이 형성되는 두 유리도어(10)와;
    상기 유리도어(10)의 내외면중 어느 한쪽에 상기 절취홈(14)의 상하단에 위치하도록 장착되고, 한쪽 끝에 고정홈(24)을 갖는 덮개부(26)가 형성되며, 내면에 끼움구멍(28)을 갖는 제1 보스(30)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28)의 내면에 걸림턱(32)이 형성되는 제1 홀더분할체(20)와;
    상기 유리도어(10)의 다른 한쪽에 상기 제1 홀더분할체(20)와 대응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제1 홀더분할체(20)의 덮개부(26)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홈(44)을 갖는 덮개부(46)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스(30)의 걸림턱(32)에 걸리도록 상기 끼움구멍(28)에 끼워지는 제2 보스(48)를 갖는 제2 홀더분할체(40)와;
    상기 제2 보스(48)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보스(3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홀더분할체(20, 40)의 고정홈(22, 42)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72)를 가지며, 상기 고정부(72)의 한쪽에 격판(78)에 의해 분할되어 있는 변형흡수공간(80)을 갖는 변형부(76)가 형성되는 탄성변형체(7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KR2019990030835U 1999-12-31 1999-12-31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183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835U KR200183498Y1 (ko) 1999-12-31 1999-12-31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30835U KR200183498Y1 (ko) 1999-12-31 1999-12-31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498Y1 true KR200183498Y1 (ko) 2000-05-15

Family

ID=1960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30835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3498Y1 (ko) 1999-12-31 1999-12-31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3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5B1 (ko) * 2001-03-08 2003-08-06 전정희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795B1 (ko) * 2001-03-08 2003-08-06 전정희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9583A (en) Deviating device of a locking bar brace for a window or a door
EP3922800B1 (en) Gently-positioned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US20040049988A1 (en) Door module support
BG60976B1 (en) Profile for cold storage thermoinsulated doors
KR200183498Y1 (ko)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JP2007092425A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JP3078695U (ja) ガラスドア用安全装置
KR200192016Y1 (ko) 유리도어용 안전장치
MXPA05004585A (es) Herraje para una puerta enteramente de vidrio.
KR200340534Y1 (ko) 도어의 안전장치
KR200245210Y1 (ko) 유리문의 손 보호구
KR19990040512U (ko) 유리문의손보호구
KR200142525Y1 (ko) 차량용 도어 윈도우 글래스 채널구조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200238243Y1 (ko) 유리도어의 출입자 안전장치
GB2415743A (en) Mounting structure for key cylinder cap
KR20000019691U (ko) 현관문의 외풍방지 및 손 보호구
KR200313265Y1 (ko) 여닫이식 출입문 경첩
KR20180000779U (ko) 풀다운창이 결합된 미서기창
KR200306009Y1 (ko) 도어용 패킹 조립체
KR200252525Y1 (ko) 가구용 손잡이
JP4183600B2 (ja) 錠受け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具
KR0127436Y1 (ko) 창문용 정지장치
KR100393795B1 (ko) 여닫이식 유리문용 손 보호구
KR20020031736A (ko) 호차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UA0108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St.27 status event code: A-5-4-M10-M11-oth-UT07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31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2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503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31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