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377Y1 - 유리도어의 축받이 - Google Patents
유리도어의 축받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83377Y1 KR200183377Y1 KR2019990024098U KR19990024098U KR200183377Y1 KR 200183377 Y1 KR200183377 Y1 KR 200183377Y1 KR 2019990024098 U KR2019990024098 U KR 2019990024098U KR 19990024098 U KR19990024098 U KR 19990024098U KR 200183377 Y1 KR200183377 Y1 KR 2001833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pered
- bearing
- fixed
- sliders
-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건물의 현관용 출입문으로 널리 사용되는 강화유리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피봇팅시켜주는 축받이에 관한 것으로 상, 하부프레임상에서 상,하부축받이의 위치를 미세조정하면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 하부축받이(16),(18)에 테이퍼진슬라이더(22),(28)를 고정하고, 상, 하부프레임(12),(14)에는 테이퍼진슬라이더(22),(28)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32),(34)를 형성하여, 테이퍼진슬라이더(22),(28)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볼트(24),(30)를 느슨하게 조여주거나 견고하게 조여주는 것에 의해서 상, 하부축받이(16),(18)의 위치조정과 고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유리도어의 축받이임.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건물의 현관용출입문으로 널리 사용되는 강화유리도어를 여닫을 수 있도록 피봇팅시켜주는 축받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축받이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공보 제92-12323호에 제시된 바와같이 연결판으로 연결되어 강화유리끼움부와 설치부를 형성한 'H'형의 상부프래임에는 돌편에 구멍이 뚫린 지지판을 볼트로 고정하여 지지판의 돌편에 끼움구멍이 뚫린 축지구를 좌우이동가능하게 축지구를 조절볼트로 나사맞춤하고, 하부프레임에는 돌편 및 고정판이 용접되고 긴 구멍이 뚫린 지지판을 이동가능하게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하고, 보강편과 끼움구멍이 뚫린 롯트를 볼트로 고정하여 윗쪽끼움구멍은 문틀에 고정한 피버트핀에, 아래쪽끼움구멍은 플로어힌지의 힌지축에 끼워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축받이는 그 설치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없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다.
즉, 축받이는 강화유리도어를 시공할 장소의 조건 다시말해서 문틀에 고정된 피버트핀이나 플로어힌지의 힌지축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조립되어야만 도어의 원활한 개폐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상, 하부프레임에 사전에 뚫어놓거나 현장에서 뚫은 구멍에 상부지지판과 하부지지판을 나사결합하는 것이어서 시공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하기가 매우 까다로웠었을 뿐 아니라 상, 하부프레임에 구멍을 뚫어주더라도 구멍과 구멍간에 존재하기 마련인 간격차이로 말미암아서 그 고정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해 줄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분해, 조립이 매우 번거로워서 사용도중 마모되는 소모성부품을 교체하기가 매우 어려운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이와같은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검토한 결과 상, 하부축받이를 상, 하부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서 상, 하부축받이가 상, 하부프레임의 길이방향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고정시켜 줄 수만 있다면 종래기술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임을 알게 되어서 본 고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상, 하부가 끼워지는 상, 하부프레임상에서 이 프레임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함과 아울러 임의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줄 수 있을 뿐아니라 고정된 위치를 경우에 따라서는 옮겨서 다시 고정시켜주기가 손쉬운 유리도어의 축받이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축받이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도 1 에서 보인 상부축받이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은 도 1 에서 보인 상부축받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2의 A-A선 확대단면도.
도 4 는 도 1 에서 보인 하부축받이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도 1 에서 보인 하부축받이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 4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축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부축받이의 분해사시도.
도 7 은 도 6 에서 보인 상부축받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 6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에 의한 축받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하부축받이의 정면도.
도 9 는 도 6 에서 보인 하부축받이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도 8의 D-D선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유리도어, 12...상부프레임, 14...하부프레임.
16, 16'...상부축받이, 18,18'...하부축받이, 22...테이퍼진
슬라이더, 24...고정볼트, 28...테이퍼진 슬라이더, 30...고정볼트
32...테이퍼진슬로트, 34...테이퍼진슬로트
본 고안은 도 1 에 예시한 바와같이 유리도어(10)의 위, 아래쪽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상, 하부프레임(12),(14)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축받이(16)와 하부축받이(1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도 2와 도 3에 예시한 바와같이 상부축받이(16)의 기판(20)아래쪽에는 종단면형태가 사다리꼴로 된 터이퍼진슬라이더(22)를 기판(20)위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24)로 고정하고, 도 4와 도 5에 예시한 바와같이 하부축받이(18)의 기판(26)윗쪽에는 종단면형태가 역사다리꼴로 된 테이퍼진 슬라이더(28)를 기판(26)아래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30)로 고정하여, 상부프레임(12)의 연결부(31)에는 상기 슬라이더(22)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32)를 형성하고, 하부프레임(14)의 연결부(33)에는 상기 슬라이더(28)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34)를 형성한 것이다.
도6 ∼ 도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표현되어 있다. 도6, 도7에 예시된 상부축받이(16')는 축지지체(36)가 조절나사(38)에 의해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래임(40)의 양쪽에 브래키트(42),(42')를 가진 것으로서, 이 브래키트 (42),(42')의 양측에 테이퍼진슬라이더(44),(44')를 브래키트(42),(42')의 안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46),(46')로 고정한 것이다.
도8, 도9에 예시된 하부축받이(18')는 힌지축지지체(48)가 고정된 프래임(50)이 양쪽에 브래키트(52), (52')를 가진 것으로, 이 브래키트(52),(52')의 양측에 테이퍼진슬라이더(54),(54')를 브래키트(52),(52')의 안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56),(56')로 고정한 것이다.
이와같이 도6 ∼ 도9에 예시된 상부축받이(16')와 하부축받이(18')의 경우에는 도1, 도7 및 도9에 예시된 바와같이 상부프레임(12)의 내측벽(58),(58')에는 상기 슬라이더(44),(44')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60),(60')를 형성하고, 하부프레임(14)의 내측벽(62),(62')에는 상기 슬라이더(54),(54')와 대응하는 테이퍼진 슬로트(64), (64')를 형성해주어야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고정볼트(24),(30),(46),(46'),(56),(56')와 나선결합하여서 조여지는 테이퍼진슬라이더(22),(28),(44),(44'),(54),(54')의 암나사구멍 (66)의 한쪽에는 기판(20),(26)이나 브래키트(42),(42'),(52),(52')의 구멍(68)속으로 끼워맞춤되는 보스(70)를 형성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테이퍼진슬라이더(22),(28),(44),(44'),(54),(54')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고정볼트 (24),(30),(46),(46'),(56),(56')를 보다 쉽고 견고하게 조여줄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정볼트(24),(30),(46),(46'),(56),(56')를 느슨하게 조여준 상태에서는 테이퍼진슬라이더(22),(28),(44),(44'),(54),(54')가 터이퍼진슬로트(32),(34),(60),(60'),(64),(64')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서 상부축받이(16),(16')와 하부축받이(18),(18')를 상, 하부프레임(12),(14)상에서 그 고정할 위치를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할 위치를 결정한 다음 고정볼트(24),(30),(46),(46'),(56),(56')를 견고하게 조여주게 되면 테이퍼진슬라이더(22),(28),(44),(44'),(54),(54')가 당겨지면서 테이퍼진슬로트 (32), (34), (60),(60'),(64),(64')와 밀착되어서 상부축받이(16),(16')와 하부축받이 (18), (18')가 각각 상, 하부프레임(12),(14)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고안은 상, 하부프레임(12),(14)상에서 상, 하부축받이 (16), (16'), (18),(18')자체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면서 상, 하부프레임(12),(14)에 고정시켜줄수 있기 때문에 유리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소모성부품의 교체작업과 같은 유지보수도 쉽게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 유리도어(10)의 위, 아래쪽이 각각 끼워맞춤되는 상, 하부프레임(12),(14)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축받이(16)와 하부축받이(1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부축받이(16)의 기판(20)아래쪽에는 테이퍼진슬라이더(22)가 기판(20)의 윗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24)로 고정되어 있고, 하부축받이(18)의 기판(26)윗쪽에는 테이퍼진슬라이더(28)가 기판(26)의 아래쪽에서 조여지는 고정볼트(30)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12)의 연결부(31)에는 상기테이퍼진슬라이더(22)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3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14)의 연결부(33)에는 상기 테이퍼진슬라이더(28)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3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의 축받이.
-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축받이(16)가 양쪽에 브래키트(42),(42')를 가진 상부축받이(16')로 되어 있고, 하부축받이(18)가 양쪽에 브래키트(52),(52')를 가진 하부축받이(18')로 되어 있으며, 브래키트(42),(42')의 양측에 테이어퍼진슬라이더 (44),(44')가 고정볼트(46),(46')로 고정되어 있고, 브래키트(52),(52')의 양측에 테이퍼진슬라이더(54),(54')가 고정볼트(56),(56')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프레임(12)의 내측벽(58),(58')에는 상기 슬라이더(44),(44)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60),(6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프레임(14)의 내측벽(62),(62')에는 상기 슬라이더(54),(54')와 대응하는 테이퍼진슬로트(64),(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도어의 축받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098U KR200183377Y1 (ko) | 1999-11-05 | 1999-11-05 | 유리도어의 축받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24098U KR200183377Y1 (ko) | 1999-11-05 | 1999-11-05 | 유리도어의 축받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83377Y1 true KR200183377Y1 (ko) | 2000-05-15 |
Family
ID=1959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24098U Expired - Fee Related KR200183377Y1 (ko) | 1999-11-05 | 1999-11-05 | 유리도어의 축받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8337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1394B1 (ko) | 2007-12-07 | 2011-11-08 | 라움플러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벽, 도어 또는 창문 부재 |
-
1999
- 1999-11-05 KR KR2019990024098U patent/KR200183377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81394B1 (ko) | 2007-12-07 | 2011-11-08 | 라움플러스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벽, 도어 또는 창문 부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39367B2 (en) | Hidden door hinge | |
US6098342A (en) | Movable partition system having a rail, and a rail for a carriage for a movable partition, and a method for use of a movable partition system having a rail | |
EP1384846B1 (en) | Display cabinets and hinges therefor | |
JPS63247480A (ja) | 回動扉を具備したシャワー用仕切り | |
RU2001129495A (ru) | Система монтажа для термоакустических окон | |
US20030177607A1 (en) | Hinge | |
US20070261201A1 (en) | Hinge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 |
KR200183377Y1 (ko) | 유리도어의 축받이 | |
KR101077987B1 (ko) |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 |
EP3822441B1 (en) | Safety guide kit for sliding doors | |
CN101672147A (zh) | 折叠门 | |
EP0989275B1 (en) | A hinge assembly | |
KR20030040622A (ko) | 차량의 슬라이드 도어의 롤러 힌지 결합구조. | |
CN222924264U (zh) | 一种限位锁孔的调节机构 | |
KR200180525Y1 (ko) | 붙박이장용 문호차 | |
CN217999286U (zh) | 一种重型可调节的合页 | |
KR0127019Y1 (ko) | 출입문용 경첩 | |
CN220301977U (zh) | 一种滑撑 | |
KR930004957B1 (ko) | 간막이 구조체 | |
KR200205945Y1 (ko) | 문짝 설치용 힌지 | |
KR200357349Y1 (ko) | 미닫이 도어용 하부롤러 | |
KR200387445Y1 (ko) |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 |
KR200209626Y1 (ko) | 투명도어설치용 힌지 | |
KR20110139517A (ko) | 도어의 회전지지장치 | |
KR200150795Y1 (ko) | 도어상단 지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105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003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105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