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82642Y1 - 장식용 패널 - Google Patents

장식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642Y1
KR200182642Y1 KR2019990028047U KR19990028047U KR200182642Y1 KR 200182642 Y1 KR200182642 Y1 KR 200182642Y1 KR 2019990028047 U KR2019990028047 U KR 2019990028047U KR 19990028047 U KR19990028047 U KR 19990028047U KR 200182642 Y1 KR200182642 Y1 KR 200182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eer
glass plate
decorative
light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지크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지크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지크디자인
Priority to KR20199900280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6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6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주로 목재를 사용하고, 그 표면에 무늬목을 접착시킨 형태로 장식용 패널을 사용하였던 바, 이는 빛이 투과될 수 없는 반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에 형성된 무늬 모양만을 가지고 장식 효과를 얻을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생동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에는 그 무늬 모양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아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리판(1)의 일측면 상에 상기 유리판(1)과 동일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박판형태의 무늬목(2)이 형성되고, 상기 무늬목(2)과 유리판(1) 사이에는 접착층(3)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3)의 타측부 무늬목(2) 상에는 도장층(4)이 형성됨으로써 빛에 의해서 무늬목이 생동감있게 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는 실내장식은 물론 백화점 또는 전시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의 각종 물품의 디스플레이시에는 새로운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또한 이로인해 실내 분위기 및 물품의 전시 판매를 보다 획기적으로 변화 및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장식용 패널{DECORATIVE PANEL}
본 고안은 각종 실내 내부 벽면 또는 전시 판매용 디스플레이시에 자재로써 사용되는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에 의해서 나무의 무늬 모양이 보다 생동감있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한 장식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벽면이나 전시 판매의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자재로써는 주로 목재로 된 패널(panel)이 사용되고, 목재의 경우에는 나무의 무늬모양을 살리기 위해 목판의 표면에 무늬목을 접착시켜 장식용 패널로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식용 패널은 빛이 투과될 수 없는 반투과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자체에 형성된 무늬 모양만을 가지고 장식 효과를 얻을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생동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에는 그 무늬 모양이 선명하게 나타나지 않아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나무의 무늬 모양이 빛에 의해서 보다 생동감있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나무의 무늬 모양이 야간에 더욱 선명하게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판의 일측면 상에 상기 유리판과 동일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박판형태의 무늬목이 형성되고, 상기 무늬목과 유리판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의 타측부 무늬목 상에는 도장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장식용 패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공정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유리판 2:무늬목
3:접착층 4:도장층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정 두께 및 크기를 갖는 유리판(1)이 구비되고, 이 유리판(1)의 일측면 상에는 박판 형태로 된 무늬목(2)이 구비되는데, 이때 상기 무늬목(2)은 유리판(1)과 동일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유리판(1)과 무늬목(2) 사이에는 이들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층(3)이 형성되고, 상기 무늬목(2) 상에는 외부 접촉에 의한 무늬목(2)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장층(4)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3식에 도시된 바와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으로, 먼저 유리를 원하는 형태 및 크기로 절단하는 재단공정을 수행한 후, 그 재단된 유리판(1)을 세척한다. 그런 다음 이 세척된 유리판(1)의 일측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1차 도포공정을 수행하고, 다시 상기 유리판(1)과 동일형태 및 크기로 재단된 무늬목(2)의 일측면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2차 도포공정을 수행한다.
그 후, 상기 유리판(1)에 무늬목(2)을 상호 접착시켜 접착층(3)을 형성한 다음, 이를 열압착시켜 접착시키게 되며, 상기 열압착공정을 수행한 후에는 접착층(3)의 타측부 무늬목(2) 위에 투명의 라카(Lacca) 등으로 입히는 1차 도장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1차 도장공정을 완료한 후에는 굳어진 그 도장표면을 샌드페이퍼 등으로 다듬질한 후, 다시 그 표면처리된 도장표면 상에 투명의 라카 등으로 입히는 2차 도장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일련의 제작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그 자체로만으로도 미감을 가질 수는 있으나, 가장 특징적인 것은 빛을 사용하는데 있다. 즉, 광을 조사하게 되면, 이 광은 유리판(1)을 투과하여 무늬목(2)에 도달하고 그 무늬목(2)이 빛을 받아 밝게 빛나면서 나무 자체의 무늬 모양이 생동감있게 표현되는 것으로, 야간에 더욱 무늬목(2)이 선명하게 표출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빛에 의해서 무늬목이 생동감있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장식은 물론 백화점 또는 전시장 등과 같은 장소에서의 각종 물품의 디스플레이시에는 새로운 심미감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고, 또한 이로인해 실내 분위기 및 물품의 전시 판매를 보다 획기적으로 변화 및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유리판(1)의 일측면 상에 상기 유리판(1)과 동일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박판형태의 무늬목(2)이 형성되고, 상기 무늬목(2)과 유리판(1) 사이에는 접착층(3)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3)의 타측부 무늬목(2) 상에는 도장층(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장식용 패널.
KR2019990028047U 1999-12-13 1999-12-13 장식용 패널 KR200182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47U KR200182642Y1 (ko) 1999-12-13 1999-12-13 장식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047U KR200182642Y1 (ko) 1999-12-13 1999-12-13 장식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642Y1 true KR200182642Y1 (ko) 2000-05-15

Family

ID=19601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047U KR200182642Y1 (ko) 1999-12-13 1999-12-13 장식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6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00B1 (ko) * 2015-11-20 2017-04-07 김정구 방염판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600B1 (ko) * 2015-11-20 2017-04-07 김정구 방염판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2642Y1 (ko) 장식용 패널
KR101400118B1 (ko) 입체감을 갖는 장식 복층유리의 제조방법
US5128194A (en) One piece mosaic mirror with decorative pattern and surface groove
KR100779546B1 (ko)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및 그 제조방법
JPH04289370A (ja) 装飾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216686B2 (ja) 手芸用宝飾ユニット及びその加工方法
CN201371693Y (zh) 水晶装饰画
JP2008025203A (ja) 採光扉
CN2846171Y (zh) 透光石材拼图复合板
KR20050104987A (ko) 자개무늬 패널 제조방법
KR101034845B1 (ko) 스티커 액자의 제조방법
JP2507812Y2 (ja) 装飾用板
CN209832830U (zh) 镜像涂装木皮饰面板组合
KR200424612Y1 (ko) 일측면에 장식분말이 피착된 장식문양이 음각 형성된유리판
CN206277870U (zh) 柔性珍珠母板
CN2132619Y (zh) 镭射光栅二次反光玻璃
JPH049900Y2 (ko)
CN206714536U (zh) 一种平面装饰镜
KR200270586Y1 (ko) 목재 박판을 이용한 장신구
KR200238246Y1 (ko) 문짝의 장식구조
KR200413510Y1 (ko) 양면 인쇄층을 갖는 투명평판
JPH0614634Y2 (ja) ステンドグラス風装飾付き鏡
CN2142392Y (zh) 金属纤维复合装饰板
JPS629298Y2 (ko)
JP2556005Y2 (ja) 半透視物重ね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21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2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