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208Y1 - 핸들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핸들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4208Y1 KR200174208Y1 KR2019990019280U KR19990019280U KR200174208Y1 KR 200174208 Y1 KR200174208 Y1 KR 200174208Y1 KR 2019990019280 U KR2019990019280 U KR 2019990019280U KR 19990019280 U KR19990019280 U KR 19990019280U KR 200174208 Y1 KR200174208 Y1 KR 20017420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handle
- fishing reel
- recess
- loos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76 ta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06—Hand crank featur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bell or flashing light
- A01K89/0124—Spring biased pawl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085—Crank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핸들 고정 구조체는 핸들의 리세스 내부에 수납되며 그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체결하는 너트 부재와, 그 너트 부재의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 부재와 긴밀히 접촉하는 관계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되는 헐거워짐 방지 부재와, 상기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 로크 부재는 너트를 수납하는 그 내주면에 다각형 홈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낚시용 릴에서의 구동 샤프트와 핸들의 부착 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용 릴, 특히 베이트 캐스팅 릴에 있어서, 구동 샤프트의 한 단부에 장착되는 핸들은 너트에 의하여 체결 및 고정되며, 이 너트에는 너트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헐거움 방지 부재가 장착된다. 이러한 헐거움 방지 부재의 예로서, 일본 실개소55-108873 및 평3-74266호에는 핸들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방식으로 각각 장착 및 고정되어 있는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헐거워짐 방지 부재 모두는 핸들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핸들의 권선 조작 중에, 손가락이 헐거워짐 방지 부재에 우발적으로 접촉하여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게다가, 물고기, 미끼, 먼지 등과 같은 점액(slime)이 헐거워짐 방지 부재에 점착하기가 쉽다. 또한, 낚시줄이 헐거워짐 방지 부재 둘레에 뒤엉키거나 얽히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릴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고려하여, 유럽 특허 제 EP 0 654 216 B1호(Mimura)에는, 외부면이 그 원주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하는 평활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본원에 참조되었다.
상기 유럽 특허에 개시된 한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너트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헐거워짐 방지 부재는 너트(40)와 결합된다. 헐거워짐 방지 부재는, 그것이 핸들(10) 상부면의 중앙에 형성된 타원형 리세스(12)에 삽입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커버(30)로 구성되어 있다. 그 커버(30)는 너트 부재 상에 배치되어 그 너트 부재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는 리세스(36)를 그 배면상에 갖는다. 헐거워짐 방지 부재는 나사(42)를 핸들(10)의 나사 구멍(18)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핸들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헐거워짐 방지 부재는 그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중심부까지 연장하는 범위에서 상방으로 연장하는 만곡면을 갖는다. 따라서,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핸들에 고정되면, 핸들의 만곡면과 연속하는 평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핸들의 만곡면과 연속하는 평활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끼, 손가락, 먼지 또는 낚시줄 등이 헐거워짐 방지 부재에 걸릴 가능성이 제거된다.
상기 미무라 특허에 개시된 헐거워짐 방지 부재는 핸들을 고정하는 너트의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내부면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다. 즉,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리세스가 너트의 외주면과 긴밀히 접촉하도록, 리세스의 형상은 너트의 형상과 상보형을 이루어야 한다.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너트는 통상 육각형 너트이다. 핸들, 구동 샤프트 등의 구성 부품은 제조 시에 제조 공차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너트는 핸들의 리세스 내부에서 일정한 배향도로 배치될 수 없다. 즉, 너
트가 동일한 릴에 적용되더라도, 그 너트는 약간씩 서로 다르게 배향되게 된다. 이에 반하여,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내부면에 형성된 리세스는 그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타원형이기 때문에 고정된 배향도를 갖된다. 따라서, 완전히 체결된 너트가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리세스에 정합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체결되는 너트를 헐거워짐 방지 부재에 형성된 리세스와 정합하도록 배치하기 위해서는, 너트를 다시 좌측으로 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상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미무라 특허에 개시된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내부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너트의 크기 보다 약간 크게하면, 너트는 그 리세스 내부에서 헐거워질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또 단지 하나의 나사만을 사용하여 핸들에 고정되기 때문에, 나사로 고정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이 핸들의 만곡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는 경향이 발생한다. 이러한 돌출 부분뿐만 아니라,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외부면에 노출된 나사 머리 부분의 주변 공간에는 점액 등 이물질이 점착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핸들과 구동 샤프트를 체결하는 너트를 실질ㅈ거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핸들과 구동 샤프트를 체결하는 너트의 배향과 무관하게 그 너트를 고정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헐거워짐 방지 부재를 구비하는 종래 낚시용 릴의 핸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낚시용 릴의 핸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육각형 너트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너트 로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상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핸들
12, 112 ; 리세스
16, 156 ; 보어
20 ; 구동 샤프트
30, 130 ; 커버
40 ; 너트
150 ; 너트 로크 부재
158 ; 홈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중앙에 리세스를 갖는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하는 핸들 고정 구조체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상기 핸들 고정 구조체는 상기 핸들의 리세스 내부에 수납되며 그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체결하는 너트 부재와, 그 너트 부재의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 부재와 긴밀히 접촉하는 관계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되는 헐거워짐 방지 부재와, 상기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이 제공된다.
상기 핸들의 리세스 벽의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핸들과 나사 체결되도록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서, 상기 핸들의 리세스 벽의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핸들과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 로크 부재는 한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갖지며, 그 내주면에 소정의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헐거워짐 방지 부재가 적용된 핸들 조립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핸들(110)이 구동 샤프트(20)에 너트(40)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너트(40)는 구동 샤프트(40)의 나사산에 체결된 상태로 핸들(110)의 중앙에 형성된 리세스(112)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110)
이 끼워지는 구동 샤프트(20) 단부의 직경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핸들(110)의 보어(14) 직경은 구동 샤프트(20)의 단부 직경보다 크지만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핸들(110)은 너트(40)와 구동 샤프트(20)의 큰 직경부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별법으로서, 구동 샤프트는 그 직경이 일정한 상태에서 면적이 다른 회전 방지면들을 가질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 샤프트는 여기에 끼워진 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양 측면이 절삭 가공되어 있다. 핸들의 보어도 이것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상부의 회전 방지면의 표면적이 그 하부의 회전 방지면의 표면적보다 넓게 가공되면, 즉 구동 샤프트의 상단부가 다른 부분보다 더욱 절삭되면, 구동 샤프트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핸들의 보어도 상부의 회전 방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되면, 핸들은 구동 샤프트의 상단에만 끼워지게 된다.
핸들(110)의 리세스(112) 내부에는, 너트 로크 부재(150)가 너트(40)를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너트 로크 부재(150)는 너트(40)와 긴밀히 접촉하지만, 리세스(112)와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너트 로크 부재(150)와 리세스(112) 사이에는 커버(130)의 원통형 부분이 제공된다.
커버(130)의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는 리세스(112)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체결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30)가 리세스(112)에 완전히 나사 체결되면, 커버(130)의 내부 표면중 적어도 일부가 너트 로크 부재(150)가 하방으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그 상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너트 로크 부재(150)는
핸들(110)의 리세스(112) 내부에서 자유 회전하지 못한다. 커버(130)의 상부면에는 리세스(112)에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홈(134)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로서, 상기 커버는,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제공되는 대신에, 스냅 결합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핸들의 리세스 벽에는 스냅 결합부가 끼워질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너트 로크 부재(150)의 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너트 로크 부재(150)는 한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다. 다른 단부에는 구동 샤프트(20)의 회전 방지면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보어(15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너트 로크 부재(1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 회전이 방지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너트 로크 부재(150)가 커버에 의해서도 고정되기 때문에, 너트 로크 부재의 보어(156)를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너트 로크 부재(150)의 저면을 도시하는 도 3을 참조하면, 너트 로크 부재(150)의 내주면에는 12각형 홈(158)이 형성되어 있다. 홈(158)의 길이(d)는 너트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너트 로크 부재(150)는 핸들(110)의 리세스(112) 내부에 삽입될 때 너트가 너트 로크 부재 내부에 삽입되도록 개방 단부가 하방으로 향하게 된다. 이 때, 너트는 작은 회전 만으로도 너트 로크 내주면과 정합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너트 로크 부재의 그 내주면에는 12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육각형 너트는 최대 30°만 회전하여도 내주면과 정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너트 로크 부재(150)는 리세스(112) 내부에 배치
될 때 그 보어(156)가 구동 샤프트(20)의 단부 형상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 배향도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너트(40)는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단단히 체결할 때까지 회전되기 때문에 그 배향도가 제품에 따라 다르게 된다. 너트(40)의 배향도가 너트 로크 부재(150)의 배향도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너트(40)는 좌측 방향으로 최대 30°이내의 회전만으로도 너트 로크 부재(150) 내부에 정합할 수 있다. 너트의 좌측 방향 회전은 너트의 풀림을 의미하지만, 30°이내의 풀림은 핸들과 구동 샤프트의 체결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너트 로크 부재(150)의 보어를 원형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최종 조립된 너트의 배향도와 무관하게 그 너트에 따라 너트 로크 부재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너트 로크 부재의 내주면에 6각형 홈만을 형성하여도, 너트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핸들과 구동 샤프트를 체결하는 너트를 간단한 수단으로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헐거워짐 방지 부재 내부가 12각형의 홈을 가지기 때문에, 너트는 최종 조립된 상태에서 약간만의 이동으로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Claims (10)
- 중앙에 리세스를 갖는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고정하는 핸들 고정 구조체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상기 핸들 고정 구조체는 상기 핸들의 리세스 내부에 수납되며, 그 핸들을 구동 샤프트에 체결하는 너트 부재와, 그 너트 부재의 헐거워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너트 부재와 긴밀히 접촉하는 관계로 리세스 내부에 배치되는 헐거워짐 방지 부재와, 상기 리세스를 차폐하며, 헐거워짐 방지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리세스 벽의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핸들과 나사 체결되도록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리세스 벽의 일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는 핸들과 억지 끼움될 수 있도록 원통형 부분의 외주면에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로크 부재는 한 단부가 개방되어 있는 원통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로크 부재는 내주면에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홈의 길이는 너트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홈은 12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홈은 6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로크 부재는 그 폐쇄 단부에 구동 샤프트에 삽입되는 회전 방지 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그 상부면에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6943 | 1999-04-27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6943 Division | 1999-04-27 | 1999-04-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74208Y1 true KR200174208Y1 (ko) | 2000-03-15 |
Family
ID=19575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19280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4208Y1 (ko) | 1999-04-27 | 1999-09-10 | 핸들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6286774B1 (ko) |
KR (1) | KR200174208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45446A (ja) * | 1999-11-19 | 2001-05-29 | Shimano Inc |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
US6666396B2 (en) * | 2001-06-11 | 2003-12-23 | Gator Grip, Inc. | Multidirectional rotatable handle |
JP5292152B2 (ja) * | 2009-03-26 | 2013-09-18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アーム取付構造 |
JP5479832B2 (ja) * | 2009-09-30 | 2014-04-23 | 株式会社シマノ | 釣り用リールのハンドル組立体 |
JP5487093B2 (ja) * | 2010-12-17 | 2014-05-07 | 三菱航空機株式会社 | 耐雷ファスナ、耐雷ファスナの取付構造、航空機 |
JP7105613B2 (ja) * | 2018-05-22 | 2022-07-25 | 株式会社シマノ |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リターン位置調整機構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69242A (en) * | 1887-08-30 | Ornamental screw-bolt head | ||
US1261002A (en) * | 1915-08-02 | 1918-04-02 | John Baas | Nut-lock. |
US2407928A (en) * | 1941-10-30 | 1946-09-17 | Chrysler Corp | Fastening device |
JP3043237B2 (ja) * | 1993-11-24 | 2000-05-22 | ダイワ精工株式会社 | 魚釣用リール |
GB2315309B (en) * | 1996-07-12 | 2000-02-16 | Philip Denman | Device for restricting access to a head element of a fastener and method of using the device |
JP3325779B2 (ja) * | 1996-08-28 | 2002-09-17 | 株式会社シマノ | 両軸受リールのハンドル取付構造 |
-
1999
- 1999-09-10 KR KR2019990019280U patent/KR200174208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4-21 US US09/556,602 patent/US62867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6286774B1 (en) | 2001-09-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183293B1 (en) | Electrical connector latching mechanism | |
US4957449A (en) | Connector housing unit having threaded fastener | |
US20030121124A1 (en) | Rotating mechanism for LCD monitor | |
KR950013364A (ko) | 낚시용 릴(fishing reel) | |
KR200174208Y1 (ko) | 핸들의 헐거워짐을 방지하는 부재를 구비하는 낚시용 릴 | |
KR100471568B1 (ko) | 양베어링릴의핸들설치구조 | |
US4903569A (en) | Drum lug | |
JP3072846U (ja) | 魚釣用リールのハンドル固定構造 | |
JP4913540B2 (ja) | 操作スイッチの取付け装置 | |
KR0129682Y1 (ko) | 안내부를 갖는 풀림 방지용 볼트 | |
KR102474967B1 (ko) | 너트 잠금 시스템 및 이 같은 너트 잠금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JP3575211B2 (ja) | 付属装置 | |
JP2005054839A (ja) | ボールジョイントのプロテクタ | |
KR100301961B1 (ko) | 너트회전방지용캡 | |
KR200235137Y1 (ko) | 풀림방지용 볼트 | |
KR200207451Y1 (ko) | 가이드부를 갖는 볼트 | |
KR20210146183A (ko) | 풀림방지너트 | |
JP2002221215A (ja) | 連結ピンの螺着連結構造 | |
JP2005240964A (ja) | 緩み止めねじ | |
KR200279381Y1 (ko) | 칼라가 삽입된 낚시용 릴의 로터구조 | |
JP2891963B2 (ja) | 電子部品の取付構造 | |
KR200202611Y1 (ko) | 도어용 힌지장치의 힌지축 체결장치 | |
US20060198716A1 (en) | Fastener cap | |
JP2748850B2 (ja) | 同軸レセプタクル | |
KR19990037846A (ko) | 록킹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UT0201 |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199912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091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1227 Year of fee payment: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1227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