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73153Y1 -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 Google Patents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153Y1
KR200173153Y1 KR2019990022216U KR19990022216U KR200173153Y1 KR 200173153 Y1 KR200173153 Y1 KR 200173153Y1 KR 2019990022216 U KR2019990022216 U KR 2019990022216U KR 19990022216 U KR19990022216 U KR 19990022216U KR 200173153 Y1 KR200173153 Y1 KR 200173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display unit
text
character
teach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2216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종택
Original Assignee
고종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택 filed Critical 고종택
Priority to KR2019990022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15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153Y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3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comprising elements to be used without a special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가 흥미를 가지고 쉽게 문자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자 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것은 책자형태의 것, 카드형태의 것, 조각문자형태의 것 등이 있었으나, 학습효율이 떨어지는 반면,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는 소정의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표시부 및 그림 표시부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고 그림 표시부에 표시된 그림과 관련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펠트지 등으로 만들 수 있어 부드럽고 안전하며, 그림보여주기, 또 그림과 관련된 전체단어, 낱글자, 글자의 결합구조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눈과 손을 동시에 이용하도록 하여 눈과 손의 협응력 향상에도 도움을 주고, 또 펠트지 등의 섬유로 만드는 경우 세탁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 교습구를 장기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xt teaching tool that helps children learn the text with interest, and the conventional one has a book form, a card form, a sculptural form, but the learning efficiency is inferior. , The text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icture display unit and a pict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picture, and can be folded forward or backward as needed, and a configuration including a letter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picture display unit It is made of felt paper, so it is soft and safe, and it shows the picture and makes it easy to recognize the combined structure of words, words, and letters related to the picture, and to use the eyes and hands at the same time. It helps to improve hand coordination, and washing is possible when it is made of fibers such as felt paper. This ensures long-term cleanliness for text teaching tools.

Description

문자 교습구{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본 고안은 교습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가 흥미를 가지고 쉽게 문자를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자 교습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ching ai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ching aid to help a child learn interesting and easy writing.

일반적으로 어린이가 문자를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습구로는 그림과 문자가 표시된 책자형태의 것, 카드형태의 것, 여러 개의 글자조각으로 이루어진 것 등이 있다. 이들 중 책자 형태의 것은 그림과 그에 대응되는 문자가 지면에 인쇄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글자가 지면 상에 정적으로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글자를 배우는 어린이가 쉽게 싫증을 내고 학습효과도 떨어진다는 문제점은 안고 있다. 또 카드형태의 것 역시 카드에 그림과 그에 대응되는 문자가 단순하게 표시된 것으로, 책자형태의 것과 동일한 문제점을 안고 있고, 여러 개의 글자조각으로만 된 것은 분실 염려가 있고, 그림과 연계하여 학습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학습효과면에서 다른 것에 비해 떨어진다.In general, the teaching aids for children to learn the characters include a book and a card, a card, and a plurality of pieces of letters. Among them, the form of a book is made up of pictures and the corresponding letters printed on the ground, and since the letters are displayed statically on the ground, children who learn letters easily get tired of the learning effect and have a low learning effect. have. In addition, the card type is also displayed on the card and the corresponding letters are simply displayed, with the same problems as the book type, and only a few pieces of letters may be lost, it is difficult to learn in conjunction with the picture Because it is difficult, it is inferior to others in terms of learning effect.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가 흥미를 가지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고, 특히 그림에 대응되는 글자를 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글자인식과 동시에 손가락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인식력과 운동신경 발달에 도움을 주어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문자 교습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hildren to learn with interest, and in particular, to dynamically recognize the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s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as well as to recognize the letters and finger movements at the same time. It is to provide a text teaching tool that helps to improve coordination by helping to develop cognitive and motor nerv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etter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문자 교습구 11 : 그림 표시부10: text teaching zone 11: picture display unit

12 : 그림 13 : 문자12: Figure 13: Character

14 : 문자 표시부 16 : 절개부14: character display portion 16: incision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이에게 문자를 교습하기 위한 문자 교습구에 있어서, 소정의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표시부 및 그림 표시부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고 그림 표시부에 표시된 그림과 관련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교습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xt teaching tool for teaching a text to a child, which is connected to a picture display part and a picture display part in which a predetermined picture is displayed, which can be folded forward or backward as needed, and a character associated with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picture display part. It can be achieved by the character teaching phra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haracter display portion is displayed.

위 문자 교습구는 펠트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위 문자 표시부는 절개부에 의해 구획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text teaching tool is made of felt paper, and the upper text display section is configured to be partitioned by a cutout.

위 문자 표시부에는 음절단위로 문자가 각각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 문자 표시부에는 음소단위로 문자가 각각 표시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The character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characters in syllable units, and in some cases, the character display unit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characters in phoneme uni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ext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10)는 그림 표시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그림 표시부(11)에는 병아리 그림(12)이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ext teaching tool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cture display unit 11. In this figure display section 11, a chick figure 12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표시부(11)에는 문자 표시부(14)가 연결되어 있다. 이 문자 표시부(14)는 그림(12)에 대응되는 문자(13)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문자 표시부(14)는 절개부(16)에 의해 글자 수만큼 구획되어 있으며, 각 구획마다에는 “병”자와 “아”자 및 “리”자가 음절단위로 순서대로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 교습구(10)는 쉽게 접을 수 있고, 또 접은 상태에서 손을 떼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복원력이 뛰어난 펠트지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is connected to the picture display unit 11. This character display part 14 is a part in which the character 13 corresponding to the figure 12 is displayed so that it may be folded forward or backward as needed.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is divided by the number of characters by the cutout section 16, and in each section, "bottle", "son" and "ri" are displayed in order of syllable units, respectively. The letter teaching tool 10 can be easily folded and made of felt paper having excellent restoring force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elasticity when released from the folded state.

즉, 문자 표시부(14)를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뒤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병아리 그림(12)을 어린이에게 보여준 후에, “병”자를 잡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탄성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고, 어린이는 “병”자를 볼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아”자와 “리”자가 표시된 문자 표시부(14)에서 순서대로 손가락을 떼면 그 부분 역시 펼쳐지면서 “아”자와“리”자가 어린이에게 보이게 된다. 물론, 문자 표시부(14)가 펼쳐지는 순간에 거기에 표시된 글자에 대응되는 발음을 하는 것이 학습에 더 도움이 된다. 즉, 어린이는 “병”자와 “아”자 및 “리”자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게되고, 또 순서대로 펼쳐지는 문자에 더욱 흥미를 갖게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앞에서 설명한 과정을 어린이가 직접 되풀이하게하면 시각에 의한 글자 인식력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신경도 발달되어 눈과 손의 협응력도 향상된다.That is, after showing the chick picture 12 to the child in the state of folding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4 back to the double-dotted line, when the finger holding the "bottle" is released, it is restor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elasticity. The child can see the “sick”. Then, when the fingers are released from the letter display unit 14 marked with the letter "A" and "Lee", the part is also unfolded so that the letter "A" and "Lee" are visible to the child. Of course, at the moment whe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is unfolded, it is more helpful for learning to make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s displayed there. In other words, the child can recognize the "ill", "a" and "ri" characters separately, and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unfolded letters. In some cases, if the child repeatedly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not only the visual recognition of the letters but also the motor nerve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s, thereby improving the coordination of the eyes and hands.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림 표시부(11)에 양 그림(12)이, 문자 표시부(14)에는 “양”문자(13)가 표시되어 있다. 이 그림 표시부(11)와 문자 표시부(14)는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의 문자 표시부(14) 역시 그림(12)에 대응되는 문자(13)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문자 표시부(14)는 가장자리 안쪽 소정 경로를 따라 형성된 절개부(16)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양”자가 표시되어 있다.As shown, both pictures 12 are displayed on the picture display unit 11, and the " both " characters 13 are displayed on the letter display unit 14. The picture display section 11 and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is also a portion where the character 13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12 is displayed so that it can be folded forward or backward as necessary. This character display portion 14 is partitioned off by a cutout 16 formed along a predetermined path inside the edge, where " quantum "

이 역시 문자 표시부(14)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뒤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양 그림(12)을 어린이에게 보여준 후에, “양”문자(13)가 표시된 문자 표시부(14)를 잡고 있던 손가락을 떼면 탄성에 의해 처음의 위치로 복원되고, 어린이는 “양”자를 볼 수 있게 된다. 물론, 문자 표시부(14)가 펼쳐지는 순간에 거기에 표시된 글자에 대응되는 발음을 하는 것이 학습에 더 도움이 된다. 즉, 어린이는 “양”자를 동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되고, 흥미를 갖게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어린이가 직접 그 과정을 되풀이하게하면 시각에 의한 글자 인식력뿐만 아니라 손가락의 움직임에 따른 운동신경도 발달되어 눈과 손의 협응력도 향상된다.Again, after showing the picture 12 to the child in the state of folding the letter display unit 14 back as described above, remove the finger holding the letter display unit 14 in which the " sheep "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hild can see the "quantum". Of course, at the moment when the character display unit 14 is unfolded, it is more helpful for learning to make a pronunciation corresponding to the characters displayed there. In other words, the child can dynamically recognize the “quantity” and become interested. In some cases, if the child repeatedly repeats the process, not only the visual recognition of the letters but also the motor nerve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nger, thereby improving the coordination of the eyes and hand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또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문자 교습구(10)의 그림 표시부(11)에는 가위 그림(12)이 표시되어 있고, 그 문자 표시부(14)에는 “ㄱ”“ㅏ”“우”“ㅣ”와 같이 음소단위로 문자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이는 그림(12)이 가위이고, 또 “가”자는 “ㄱ”과 “ㅏ”가 결합되어 만들어지고, 또 “위”자는 “우”와 “ㅣ”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는 것을 어린이에게 동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문자 교습구(10) 역시 앞에서 설명한 도 1과 도 2에서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어린이에게 학습을 시키면 되고, 또 스스로 그렇게 학습 해보도록 하여도 된다.Fig. 3 shows a picture of scissors 12 in the picture display section 11 of the text teaching area 10, and the text display section 14 displays the text in phoneme units, such as “a” “ㅏ” “right” “ㅣ”. Are indicated respectively. This is a dynamic recognition to the child that the picture (12) is a pair of scissors, the “head” i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a” and “ㅏ”, and the “up” is made up of a combination of “right” and “ㅣ”. It allows you to. This text teaching tool 10 may also be taught to the children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1 and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haracter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문자 교습구(10)는 글자 전체모양을 어린이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역시 그림 표시부(11), 이 그림 표시부(11)에 표현된 그림(12)과 관련된 문자(13)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부(14)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문자 교습구(10)는 문자 표시부(14) 그 자체가 문자(13) 형태로 되도록 절개부(16)를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문자 교습구(10) 역시 그림 표시부(11)에 표현된 사자 그림(12)에 대응되는 문자 표시부(14)의 “사”자와 “자”자는 앞쪽으로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으며, 앞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식대로 어린이에게 학습을 시키면 된다.The text teaching phrase 10 as shown in FIG. 4 is for the child to easily recognize the entire shape of the character, which is also a picture display unit 11, a picture 12 represented in the picture display unit 11 and It consists of a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on which the relevant character 13 is displayed. 4, the text teaching tool 10 is formed with a cutout 16 such that the letter display section 14 itself is in the form of a letter 13. Such a text teaching phrase 10 can also be folded "forward" and "sleep" characters of the character display portion 14 corresponding to the lion figure 12 represented in the image display portion 11 forward or backward, You can do this in the same way as described.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의 또다른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letter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문자 교습구(10)를 그림(12)이 표시되는 그림 표시부(11)와 절개부(16)에 의해 형성되고 그림(12)에 대응되는 글자의 첫 자음이 표시된 문자 표시부(14)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문자 표시부(14) 역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외 나머지 구성 및 학습 방법, 작용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As shown in FIG. 5, in some cases, the text teaching phrase 10 is formed by a picture display portion 11 and a cutout portion 16 in which a picture 12 is displayed, and the first consonants of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picture 12. The displayed character display part 14 can be comprised. The character display section 14 here is also foldable forward or backward. The rest of the composition, learning method, and effects ar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자 교습구는 펠트지 등으로 만들 수 있어 부드럽고 안전하며, 그림보여주기, 또 그림과 관련된 전체단어, 낱글자, 글자의 결합구조 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눈과 손을 동시에 이용하도록 하여 눈과 손의 협응력 향상에도 도움을 준다. 또, 펠트지 등의 섬유로 만드는 경우 세탁이 가능하기 때문에 문자 교습구를 장기간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해준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ext teach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felt paper, etc., so that it is soft and safe, and it can show the picture and make it easy to recognize the combined words, words, and combinations of letters related to the picture. In addition, by using the eyes and hands at the same time helps to improve eye-hand coordination. In addition, if made of fibers such as felt paper can be washed, so that the text teaching tools can be kept clean for a long time.

Claims (4)

어린이에게 문자를 교습하기 위한 문자 교습구에 있어서,In the letter teaching zone to teach a letter to a child, 소정의 그림이 표시되는 그림 표시부; 및A pictur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picture; And 상기 그림 표시부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앞쪽 또는 뒤쪽으로 접을 수 있고 상기 그림 표시부에 표시된 그림과 관련된 문자가 표시되는 문자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교습구.And a text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picture display unit, which can be folded forward or backward as necessary and displays a character related to the picture displayed on the picture display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교습구는 펠트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자 표시부는 절개부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교습구.The text teaching tool of claim 1, wherein the text teaching tool is made of felt paper, and the text display part is partitioned by a cutou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표시부에는 음절단위로 문자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교습구.The tex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ext display unit displays characters in syllable unit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표시부에는 음소단위로 문자가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교습구.The text teach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text display unit displays characters in phoneme units, respectively.
KR2019990022216U 1999-10-15 1999-10-15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Expired - Fee Related KR20017315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16U KR200173153Y1 (en) 1999-10-15 1999-10-15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2216U KR200173153Y1 (en) 1999-10-15 1999-10-15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3153Y1 true KR200173153Y1 (en) 2000-03-15

Family

ID=1959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2216U Expired - Fee Related KR200173153Y1 (en) 1999-10-15 1999-10-15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153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60342A1 (en) Teaching method and device
Goodman et al. Learning to read is natural
Davis et al. The Gift of Dyslexia, Revised and Expanded: Why Some of the Smartest People Can't Read... and How They Can Learn
Thompson “I make a mark”: The significance of talk in young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US65440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nting characters using a template
KR200173153Y1 (en) Training implement for learning character
KR102160938B1 (en) Young children's writing learning parish
Bsees Qurʾānic quotations in Arabic papyrus amulets
KR200232119Y1 (en) Teaching aid
Sassoon Handwriting problems in the secondary school
Atamian What are the Stages of Reading
Serafini et al. Considering Design Features.
Silverman Poor handwriting: A major cause of underachievement
Alexander et al. Is learning a signed language easier than learning a spoken language?
Hogg Subject of Passions: Charles Le Brun and the Emotions of Absolutism.
KR0137260Y1 (en) Hangul learning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JP6608243B2 (en) Text learning materials
KR200266958Y1 (en) The Character Training Utensil
KR102567787B1 (en) Writing textbook for language learning using children’s books
KR101097663B1 (en) Study Tattoo Stickers
Sassoon By Accident or Design: Challenges and Coincidences in My Life
Al-Tawil " Primitivism" in 20 th Century Art: Affinity of the Tribal and the Arrogant
Davis The teaching of reading to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Avichay et al. Imparting Writing Skills to Children with ASD
KR200254946Y1 (en) The alphabet folding c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91015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2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19991016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00216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09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