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8979Y1 -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979Y1
KR200168979Y1 KR2019970018827U KR19970018827U KR200168979Y1 KR 200168979 Y1 KR200168979 Y1 KR 200168979Y1 KR 2019970018827 U KR2019970018827 U KR 2019970018827U KR 19970018827 U KR19970018827 U KR 19970018827U KR 200168979 Y1 KR200168979 Y1 KR 200168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outlet
valve member
inlet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8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5492U (ko
Inventor
유용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8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979Y1/ko
Priority to CN98109000A priority patent/CN1098475C/zh
Priority to US09/096,353 priority patent/US5890039A/en
Publication of KR199900054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4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97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4Preparing, mixing, transport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잉크저장용기에 저장된 잉크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펌프와; 그 펌프를 통과한 잉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감광수단에 형성된 이미지를 현상하는 현상부로 통하는 제 1유출구와, 잉크저장용기로 통하는 제 2유출구를 구비한 중공의 캐비넷과;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잉크경로선택수단;을 포함하여, 잉크저장용기 내부에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습식 현상기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Apparatus to prevent toner from being precipitated in liquid development}
본 고안은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인쇄기의 습식 현상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체 토너와 액체 캐리어가 혼합된 잉크가 저장된 잉크저장용기에서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현상기유니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 및 용매의 기능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 소정의 비율로 혼합된 잉크(I)가 저장된 잉크저장용기(11)와, 그 잉크저장용기(11)로부터 분사노즐(13)을 통해 잉크를 공급받아 예를 들어 감광벨트(14)와 같은 감광수단 위에 원하는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그 잉크를 전사하는 현상부(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습식 현상기유니트는, 인쇄작업시 잉크저장용기(11)로부터 잉크공급용 펌프(15)를 통해 상기 현상부(12)로 잉크가 공급되고, 상기 현상부(12)에서 상기 감광벨트(14)로 전사되고 남은 잉크는 회수관(16)을 통해 다시 잉크저장용기(11)로 회수되는 순환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습식 현상기유니트에는 예를 들어 인쇄작업이 장시간 수행되지 않을 때 잉크(I)가 순환되지 않아 정체된 상태에서 고체상의 토너가 상기 잉크저장용기(11)의 저면에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토너 침전 방지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토너 침전 방지장치는, 상기 잉크저장용기(11) 하방에 구동모터(17)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마그네트(18a)가 설치되고, 상기 잉크저장용기(11) 저면에 설치된 제 2마그네트(18b)가 그 제 1마그네트(18a)의 자력에 대응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2마그네트(18b)에는 프로펠러 형상의 회전체(19)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 2마그네트(18b)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토너가 침전되지 않도록 잉크를 휘젓게 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21은 감광벨트(14)에 근접 설치되도록 현상부(12) 내부에 마련되어 그 감광벨트(14)의 주행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잉크저장용기(11)에서 공급되는 잉크를 감광벨트(14)에 전사하는 현상롤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참조부호 111 및 112는 상기 잉크저장용기(11)에 저장된 잉크(I)가 항상 일정한 혼합비율이 유지되도록 소정 공급부(미도시)로부터 토너와 캐리어가 공급되는 토너유입구 및 캐리어유입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는, 별도의 마그네트(18b)가 잉크저장용기(1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므로 조립성이 떨어지고, 수리 등을 위하여 마그네트(18b)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교체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현상기유니트 내부에 잉크가 순환되는 구조를 이용하여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토너 침전 방지장치가 채용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토너 침전 방지장치가 채용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주요 부위를 부분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2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토너 침전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잉크저장용기 12..현상부
121..현상롤러 15..펌프
21..밸브부재 22..구동원
211..몸체부 211a..탄성편
211b..돌기부 212a..제 1관통공
212b..제 2관통공 30..캐비넷
30a..돌기삽입홈 31..유입구
31a..제 1유입구 31b..제 2유입구
32a..제 1유출구 32b..제 2유출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는, 현상부로 공급될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잉크 내의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용기에 저장된 잉크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통과한 잉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현상부로 통하는 제 1유출구와, 상기 잉크저장용기로 통하는 제 2유출구를 구비한 중공의 캐비넷과; 상기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잉크경로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크경로선택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유입구가 상기 일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유출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다른 관통공을 통해 제 2유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밸브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돌기부와, 상기 캐비넷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돌기부를 수용가능한 복수의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토너 침전 방지장치가 채용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주요 부위를 부분 절제하여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의 참조부호 중 앞서 설명된 도면의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방지장치는, 펌프(15)를 통해 잉크저장용기(11)로부터 배출된 잉크(I)가 인쇄작업이 없을 때에는 잉크저장용기(11)로 되돌려져 순환됨으로써, 그 잉크저장용기(11)에 저장된 잉크(I)가 유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토너가 침전되지 않도록 된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펌프(15)를 통해 현상부(12)로 공급되는 잉크의 공급경로 상에는 중공 형상의 캐비넷(3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30)에는 잉크가 유입되는 한 쌍의 유입구(31a)(31b)와, 잉크가 유출되는 한 쌍의 유출구(32a)(32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유출구(32a)(32b)는 잉크가 상기 현상부(12)로 유출되도록 된 제 1유출구(32a)와 상기 잉크저장용기(11)로 잉크가 유출되도록 된 제 2유출구(32b)로 구분된다.
상기 제 1유출구(32a) 및 제 2유출구(32b)는 상기 캐비넷(30)의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한 쌍의 유입구(31a)(31b)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에는 상기 제 1유출구(32a)와 이에 대응되는, 예를 들어, 제 1유입구(31a)를 연결하거나 상기 제 2유출구(32b)와 이에 대응되는 제 2유입구(31b)를 연결함으로써 잉크(I)의 경로를 선택하는 잉크경로선택수단(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잉크경로선택수단(20)으로, 모터 등의 구동원(22)에 의해 상기 캐비넷(30) 내부에 회전가능한 밸브부재(21)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부재(21)는 상기 캐비넷(30)의 중공부 내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몸체부(211)를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한 쌍의 관통공(212a)(2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12a)(212b)은 상기 캐비넷(30)의 축선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90도) 상호 틀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부재(21)가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관통공(212a)(212b) 중 어느 하나인, 예를 들어 제 1관통공(212a)에 의해 상기 제 1유출구(32a)와 상기 제 1유입구(31a)가 연결되어 잉크가 현상부로 공급가능해지거나 또는 제 2관통공(212b)에 의해 상기 제 2유출구(32b)와 상기 제 2유입구(31b)가 연결되어 잉크가 잉크저장용기(11)로 다시 환원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에서 상기 밸브부재(21)의 회전된 위치를 록킹하는 록킹수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재(21)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30)에 복수의 돌기삽입홈(30a)이 마련되고 그 돌기삽입홈(30a)에 수용되도록 밸브부재(21)에 돌기부(211b)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삽입홈들은 캐비넷의 내주면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간격(본 실시예에서는 90도 간격)으로 4개(도 4에는 2개만 도시되어 있음)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211b)는 상기 밸브부재(21)에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탄성편(211a)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토너 침전 방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인쇄작업 중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관통공(212a)에 의해 제 1유입구(31a)와 제 1유출구(32a)가 연결되고 상기 제 2유입구(31b)와 제 2유출구(32b)는 밸브부재(21)의 몸체부(211)에 막혀 있다. 따라서, 상기 잉크저장용기(11)에서 펌프(15)에 의해 배출된 잉크가 상기 캐비넷(30)을 통과하여 상기 현상부(12)로 공급되고 현상롤러(121)에 의해 감광벨트(14)에 부착된다. 한편, 인쇄작업이 오랫동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인쇄작업이 행해지는 경우, 예를 들어 인쇄기의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인지하여, 상기 펌프(15) 및 구동원(22)을 작동시킨다. 상기 구동원(22)의 작동에 의해 상기 밸브부재(21)가 90도 회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관통공(212b)이 상기 제 2유입구(31b)와 제 2유출구(32b)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21)가 회전이 완료된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211a)가 돌기삽입홈(30a)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그 위치에서 상기 밸브부재(21)의 위치가 록킹된다. 이때 상기 제 1유입구(31a)와 제 1유출구(32a)는 상기 밸브부재의 몸체부(211)에 막히게 되므로 상기 잉크저장용기(11)로부터 배출된 잉크가 상기 캐비넷(30)을 통과하여 상기 잉크저장용기(11)로 다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은 순환작용에 의해 잉크저장용기(11) 내의 잉크(I)가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잉크가 골고루 혼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비넷(30)으로 잉크가 유입되는 유입구(31a)(31b)를 상기 한 쌍의 유출구(32a)(32b)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21)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유출구(32a)(32b)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밸브부재(21)의 몸체부(211)에 의해 잉크경로가 차단되도록 되기만 하면 유입구(31)가 하나로 마련되어도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경로선택수단으로서 구동원(22)에 의해 회전되고 그 몸체부(211)에 한 쌍의 관통공(212a)(212b)이 형성된 밸브부재(21)를 개시하였으나, 밸브부재가 그 몸체부에는 관통공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며 예컨대 솔레노이드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왕복이송가능하여 그 관통공이 상기 밸브부재의 이송된 위치에 따라 잉크 공급경로가 선택적으로 변경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는, 단지 잉크의 공급경로를 변경하여 잉크저장용기의 잉크가 자체 순환되도록 하여 잉크저장용기에서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로써 용이하게 실시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현상부로 공급될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저장용기 내에서 상기 잉크 내의 토너가 침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저장용기에 저장된 잉크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통과한 잉크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현상부로 통하는 제 1유출구와, 상기 잉크저장용기로 통하는 제 2유출구를 구비한 중공의 캐비넷과;
    상기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입구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잉크경로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경로선택수단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관통공이 형성된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유입구가 상기 일 관통공을 통해 상기 제 1유출구에 연결되거나 상기 다른 관통공을 통해 제 2유출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유출구와 제 2유출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록킹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밸브부재에 마련되며 상기 밸브부재의 외주면에 대해 탄성적으로 출몰가능한 돌기부와,
    상기 캐비넷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돌기부를 수용가능한 복수의 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현상기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KR2019970018827U 1997-07-16 1997-07-16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68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827U KR200168979Y1 (ko) 1997-07-16 1997-07-16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CN98109000A CN1098475C (zh) 1997-07-16 1998-05-26 湿式显影装置中防止墨粉沉淀的装置
US09/096,353 US5890039A (en) 1997-07-16 1998-06-12 Apparatus for preventing toner from settling in a wet develop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8827U KR200168979Y1 (ko) 1997-07-16 1997-07-16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492U KR19990005492U (ko) 1999-02-18
KR200168979Y1 true KR200168979Y1 (ko) 2000-02-01

Family

ID=19505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8827U Expired - Lifetime KR200168979Y1 (ko) 1997-07-16 1997-07-16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90039A (ko)
KR (1) KR200168979Y1 (ko)
CN (1) CN10984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320B1 (ko) * 1998-06-30 2002-05-09 윤종용 습식인쇄기용잉크공급장치
KR100481543B1 (ko) * 2002-10-11 2005-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4885A (en) * 1979-09-10 1980-11-18 A. B. Dick Company Remote ink valve
US4398818A (en) * 1980-10-03 1983-08-16 Xerox Corporation Liquid toner fountain for the development of electrostatic images
JPS62209480A (ja) * 1986-03-10 1987-09-14 Fuji Photo Film Co Ltd 液体現像装置
US5585900A (en) * 1989-05-15 1996-12-17 Indigo N.V. Developer for liquid toner imager
US5623715A (en) * 1994-08-23 1997-04-22 Clark; Lloyd D. Liquid toner concentra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5713062A (en) * 1996-09-26 1998-01-27 Xerox Corporation Color mixing and control system for use in an electrostatographic printing machine
US5722017A (en) * 1996-10-04 1998-02-24 Xerox Corporation Liquid developing material replenishment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05461A (zh) 1999-01-20
US5890039A (en) 1999-03-30
KR19990005492U (ko) 1999-02-18
CN1098475C (zh) 200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49655B1 (en) Ink delivery system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color printer and ink refilling method thereof
EP0510180B1 (en) Multicolor development system having detachable liquid cartridges
KR10031100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칼라인쇄기용잉크전달시스템
KR100234283B1 (ko) 습식현상기의 현상액 공급 시스템
KR100503842B1 (ko) 현상제 회수 용기
KR200168979Y1 (ko) 습식현상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KR20000051016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잉크 전달 시스템
US5539503A (en) Magnetic drive for a liquid toner cartridge and the liquid supply system for the cartridge
US6324367B1 (en) Reversible pump and system for supplying developer in a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ing the same
KR200158758Y1 (ko) 습식 현상기 유니트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US617097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tirring a developing liquid stor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43160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인쇄기의잉크전달시스템
KR19990008333U (ko) 프린팅기기의 토너 침전 방지장치
KR20050083255A (ko) 다중헤드기어펌프 및 이를 채용한 습식 화상형성장치
US6253049B1 (en) Liquid developer refilling system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and method thereof
KR100331319B1 (ko) 인쇄기의토너침전방지장치
JP2001134055A (ja) トナー補給装置
KR200293587Y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회수장치_
KR100346707B1 (ko) 습식 인쇄기의 현상액 공급장치
JPH04141681A (ja) 画像形成装置のトナーディスペンス部におけるリザーブタンク
KR100370199B1 (ko) 습식 인쇄기용 잉크 순환 탱크
KR100532610B1 (ko) 튜브부재의 슬러지 방지장치 및 그것을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000041731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용 잉크 전달 시스템
KR100561410B1 (ko) 잉크순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2001134053A (ja) トナー補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7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7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7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1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