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68973Y1 -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 Google Patents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8973Y1
KR200168973Y1 KR2019970015488U KR19970015488U KR200168973Y1 KR 200168973 Y1 KR200168973 Y1 KR 200168973Y1 KR 2019970015488 U KR2019970015488 U KR 2019970015488U KR 19970015488 U KR19970015488 U KR 19970015488U KR 200168973 Y1 KR200168973 Y1 KR 2001689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blade
unit
photosensitive medium
piezoelectric mater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983U (ko
Inventor
김유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5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897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19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9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89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8973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쇄기의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물질중 기록용지로의 전사과정 이후 잔류된 현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의 선단을 감광매체에 가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와 결합된 압전소재판과, 압전소재판에 전위를 가변시켜 인가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감광매체에 블레이드의 접촉 및 분리 제어가 용이함은 물론, 접촉상태에서도 전계인가를 가변시킴에 의해 차등화된 가압력제어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인쇄기의 클리닝장치{Cleaning apparatus for printer}
본 고안은 인쇄기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기록지에 전사되지 않고 감광매체에 잔류된 현상물질을 제거하면서 수거하는 인쇄기의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와 같은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노광에 의해 정전 잠상이 형성되어 있는 감광매체에 고체상태의 현상물질인 토너 또는 액체상태의 잉크를 분사시켜 화상을 형성시킨 후, 그 감광 매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롤러 사이로 기록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은 인쇄기는 감광매체의 순환에 의해 계속적인 인쇄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구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어 현상장치에 의해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물질이 전사과정에서 기록용지 또는 기록용지로의 화상전이를 중계하는 매개체로의 100%전이가 이루져야만 한다.
그러나, 전사과정에서 기록용지 또는 상기 매개체로 현상물질의 100%전이는 실질적으로 어렵고, 전사과정이후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소량의 현상물질이 감광매체에 잔류하게 된다.
제거되지 않는 잔류 현상물질을 이후 계속적인 인쇄횟수에 비례하여 누적되어 인쇄화상의 질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재(3)가 그 표면에 마련되어 있는 클리닝봉(2)을 감광매체인 감광드럼(1)에 접촉시켜 잔류현상물질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감광드럼에 부착된 잔류현상물질의 고착력정도에 따라 다단계로 그 가압력을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감광매체상에 가압유지시키는 가압력을 다단계로 조절하여 현상물질의 고착력 정도에 따라 제거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36: 감광드럼 2: 클리닝봉
3: 흡착부재 12: 광주사유니트
13: 현상기 14: 기록용지
15: 정착기 20: 클리닝 장치
21, 31: 블레이드 22, 23: 압전소재판
24: 전원공급 제어부 25, 37: 수거용기
26, 38: 지지대 32: 상측 금속판
33: 하측 금속판 34: 바이메탈판
35: 히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부와 입력된 화상을 공급된 용지에 인쇄하도록 감광매체, 광주사유니트 및 현상기를 구비하는 인쇄부,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인쇄부 전방에 마련되어 인입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부, 상기 용지공급부, 상기 인쇄부 및 상기 용지배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물질을 기록용지로의 전사과정 이후 잔류된 현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인쇄기의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압전소재판과;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가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압전소재판에 전위를 가변시켜 인가시키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어 열전변형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상기 블레이드를 가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이메탈판과; 상기 바이메탈판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 히터;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인쇄기는 감광드럼(11) 주위의 순환궤도상에 순차적으로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니트(12)와 염료를 분사하는 현상기(13), 그리고 감광드럼(11)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시켜 기록용지(14)에 인쇄하는 정착기(15),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부인 클리닝 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컬러구현용 인쇄기에서는 색상별로 현상기(13) 및 광주사유니트(12)가 구비되고, 감광드럼(11) 대신에 감광벨트(미도시)가 이용되기도 한다.
정착기(15)와 광주사유니트(12) 사이에 위치된 클리닝 장치(20)는 블레이드(21)와, 블레이드(21) 상, 하측에서 각각 결합되어 있는 압전소재판(22)(23)과, 압전소재판(22)(23) 각각의 신축을 제어하기 위해 전위(v1)(v2)를 가변인가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제어부(24)를 구비한다. 지지대(26)는 압전소재판(22)(23)의 일측을 고정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감광드럼(11)에 접촉된 블레이드(21)에 의해 제거되어 떨어지는 잔류 현상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용기(25)가 마련되어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시에는 전원공급제어부(24)가 각 압전소재판(22)(23)에 전위(v1)(v2)가 인가되지 않도록 전원공급을 차단 또는 해제시킴으로서 블레이드(21)는 그 선단이 감광드럼(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잔류현상물질 제거시에는 전원공급제어부(24)가 어느 한 측 또는 양측의 압전소재판(22)(23)에 전위(v1)(v2)를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압전소재판(22)(23)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21)는 휘어지면서 그 선단이 감광드럼(11)에 접촉된다. 예컨대 상측 압전소재판(23)에는 전위(v2)를 인가하지 않고, 블레이드(21) 하측에 있는 압전소재판(22)에 양(+)의 전위(v1)를 인가하게 되면 하측 압전소재판(22)은 팽창하게 되고, 이 팽창거리에 대응하여 결합된 블레이드(21)는 위쪽으로 휘게 된다. 반대의 경우로서, 하측 압전소재판(22)에는 전위(v1)를 인가하지 않고, 상측 압전소재판(23)에 음(-)의 전위(v2)를 인가하게 되면 상측 압전소재판(23)은 수축하게 되고, 이 수축거리에 대응하여 결합된 블레이드(21)는 위쪽으로 휘게 된다.
따라서, 블레이드(21)의 한측에만 전계인가 유무에 따라 수축 이완 가능한 압전소재판(22)(23)을 결합시키고, 상기 압전소재판(22)(23)에 인가하는 전위를 제어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한편, 양측 모두의 압전소재판(22)(23)에 전위(v1)(v2)를 인가하되, 하측에 있는 압전소재판(22)에 양(+)의 전위(v1)를 인가하고, 상측 압전소재판(23)에 음(-)의 전위(v2)를 인가하게 되면 상측 압전소재판(23)의 수축과 하측 압전소재판(22)의 팽창에 의해 블레이드(21)의 휨제어를 강화시킬 수 있다. 특히, 압전소재판(22)(23)은 그 수축 및 팽창길이가 인가되는 전위(v1)(v2)에 대응하기 때문에 블레이드(21)의 힘에 의한 그 선단 위치이동거리를 다단계로 제어할 수 있어 감광드럼(11)에 차등된 가압력을 제공하기가 대단히 용이하다. 통상적인 압전소재판(22)(23)은 인가전위(v1)(v2)변동에 따라 수나노미터 내지 수마이크로미터 단위까지 수축 팽창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다단계의 가압력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수 있다.
이를 이용한 효과적인 사용방법으로서는 현상물질 도포 영역에 해당하는 감광드럼(11)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기의 도움을 받아 감광드럼(11) 회전시 해당 잔류 현상물질 분포영역이 통과될 때만 블레이드(21)를 접촉시키도록 구동제어하고, 잔류 현상물질 제거를 위한 블레이드(21) 접촉횟수가 설정된 값이 되면 압전소재판(22)(23)에 인가하는 전위(v1)(v2)를 상승시켜 보다 강화된 블레이드(21)의 가압력에 의해 보다 강력한 제거구동을 반복적으로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블레이드(21)의 마모를 고려하여 압전소재판(22)(23)에 인가하는 전위(v1)(v2)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가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클리닝장치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클리닝 장치는 블레이드(31)가 바이메탈판(34)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바이메탈판(34)에 열을 가할 수 있는 히터(35)가 마련되어 있다. 바이메탈판(34)은 그 일측이 지지대(38)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도 1과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참조부호로 표기되어있다.
이와 같은 클리닝장치는 히터(35)에 가하는 전위(v3)의 가변에 의해 바이메탈판(34)의 휨정도 즉, 블레이드(31) 선단의 초기위치로부터 그 선단의 위치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판(34)에서 상측금속판(32)은 하측 금속판(33)에 대해 열팽창계수가 작은 물질로 되어 있어 열이 가해지게되면 열팽창계수차이에 의해 휘게된다. 참조부호 37은 제거된 잔류 현상물질 수거용기이다.
바이메탈판(34)을 이용한 블레이드(31)의 제어는 압전소재판(22)(23)( 도 1)보다 응답속도가 떨어지지만, 감광드럼(36)에 접촉되어야 길이가 긴 블레이드(31)를 요구할 경우에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인쇄기의 클리닝 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블레이드의 접촉 및 분리 제어가 용이함은 물론, 접촉상태에서도 차등화된 가압력제어가 가능하여 잔류 현상물질과 같은 이물질 제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1.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부와 입력된 화상을 공급된 용지에 인쇄하도록 감광매체, 광주사유니트 및 현상기를 구비하는 인쇄부,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인쇄부 전방에 마련되어 인입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부, 상기 용지공급부, 상기 인쇄부 및 상기 용지배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물질을 기록용지로의 전사과정 이후 잔류된 현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인쇄기의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에 결합된 압전소재판과;
    상기 블레이드의 선단이 상기 감광매체에 가압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압전소재판에 전위를 가변시켜 인가시키는 전원공급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2. 용지를 공급하는 용지공급부와 입력된 화상을 공급된 용지에 인쇄하도록 감광매체, 광주사유니트 및 현상기를 구비하는 인쇄부, 상기 용지가 이송되는 용지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인쇄부 전방에 마련되어 인입된 용지를 배출하는 용지배출부, 상기 용지공급부, 상기 인쇄부 및 상기 용지배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제어부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감광매체에 도포된 현상물질을 기록용지로의 전사과정 이후 잔류된 현상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인쇄기의 클리닝장치에 있어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어 열전변형에 의해 상기 감광매체에 상기 블레이드를 가압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바이메탈판과;
    상기 바이메탈판에 열을 가할 수 있도록 설치된 히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KR2019970015488U 1997-06-24 1997-06-24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689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488U KR200168973Y1 (ko) 1997-06-24 1997-06-24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488U KR200168973Y1 (ko) 1997-06-24 1997-06-24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983U KR19990001983U (ko) 1999-01-15
KR200168973Y1 true KR200168973Y1 (ko) 2000-02-01

Family

ID=1950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488U Expired - Lifetime KR200168973Y1 (ko) 1997-06-24 1997-06-24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897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983U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3921A (en) Variable transfer assist blade force
JPH08119473A (ja) ユニット式フィード部材装置、シートフィーダを備える電子写真印刷機、及びシートフィーダ用顧客交換可能ユニット
US5452065A (en) Combination photoreceptor and fuser roll cleaner with additional oil supply function
US6263176B1 (en) Apparatus for cleaning transfer roller and optical photoreceptor of printing device
WO1992014194A1 (en) Electrostatic roller transfer of toned images from a photoconductor member to a sheet substrate
JPH11249475A (ja) 剥離剤管理構造、加熱加圧定着器および剥離剤供給方法
KR200168973Y1 (ko) 인쇄기의 클리닝장치
US20080124140A1 (en) Toner repelling stripper finger assembly
JP200007575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815788A (en)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toner powder images on both sides of an image receiving support
JP3394843B2 (ja) 定着装置
JP2001005327A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クリーニング装置
JP3243363B2 (ja) 離型剤塗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定着装置
US5881348A (en) Release agent supplying member, release agent supplying apparatus and fix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JP2002278347A (ja) 定着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79910B2 (ja) 画像転写装置およびその一部をクリーニングするための方法
JPH11174889A (ja) 定着装置
KR930002855Y1 (ko) 전자사진 응용기기의 용지분리장치
JP2001356626A (ja) 定着装置
JPH028138A (ja) ペーパーフィードローラ清掃機構
JP2003167496A (ja) 画像形成装置
JP3132191B2 (ja) 定着装置
JPS6247672A (ja) 定着装置
JP2918233B2 (ja) 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7062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7062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906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10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111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111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8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