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8002Y1 -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 Google Patents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002Y1
KR200148002Y1 KR2019950009835U KR19950009835U KR200148002Y1 KR 200148002 Y1 KR200148002 Y1 KR 200148002Y1 KR 2019950009835 U KR2019950009835 U KR 2019950009835U KR 19950009835 U KR19950009835 U KR 19950009835U KR 200148002 Y1 KR200148002 Y1 KR 2001480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test
pipe connection
base surfac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975U (ko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권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윤 filed Critical 권태윤
Priority to KR2019950009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002Y1/ko
Publication of KR960037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0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002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7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in connection with the appearance or detection of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에 배수관연결부(30)와 결합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가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동시에 시험용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걸림턱(11)이 중간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부는 시험용수가 넘치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시험마개(10)를 마련한 후, 상기 배수관연결부(30)에 시험마개(10)를 결합한 다음, 기초면(20)에 시험용수를 충진하여 기초면(20)과 배수관연결부(30)에서 누수되는가를 시험함으로서, 소비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타일을 깔기위해 마감재(50)가 기초면(20)에 적층될때 마감재(50)가 상기 배수관연결부(30)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시, 물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험마개 11 : 걸림턱
12 : 결합부
본 고안은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면에 배수관연결부를 매설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사이에서 자연 형성되는 경계선을 통해 물등이 누수되는가를 미리 시험하여 완벽하게 배수관연결부가 기초면에 시공되게 하므로서 소비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타일을 깔기위해 마감재가 기초면에 적층될때 마감재가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시, 물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욕실등에 사용되는 배수관연결부는 시멘트등으로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면에 매설 고정된다.
이때, 기초면 시공시에 배수관연결부에 시멘트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상부에 마개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배수관연결부에 마개가 결합된 상태에서, 기초면이 굳으면 배수관연결부와 기초면의 경계선에 방수처리가 요구되는데, 이때 방수처리를 위해 방수액이 경계선에 충진될 수 있도록 마개를 분리시킨 다음, 정등의 기타도구를 이용하여 배수관연결부 주위에 있는 기초면을 까내고, 까낸공간에 방수액을 충진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가 되면 타일을 깔기위해 마감재가 기초면에 적층되면서 배수관연결부의 내부로 침투되어 사용시, 마감재에 의해 물등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가 누수되는가를 시험하여야 되는데 종래에는 누수여부를 시험할만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누수여부를 시험하지 않고 계속공사를 진행하였다. 이에따라 완공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가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하부에 배수관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동시에 시험용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걸림턱이 중간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부는 시험용수가 넘치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지는 시험마개를 마련한 후, 상기 시험마개를 배수관연결부에 결합하고 기초면에 시험용수를 충진하여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을 통해 물등이 누수되는가를 미리 시험함으로서 완벽한 공사를 함은물론, 소비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험마개를 배수관연결부에 결합하여 타일을 깔기위해 마감재가 기초면에 적층될때 마감재가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시, 물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기초면(20)에 매설된 배수관연결부(30)의 상부에 시험마개(10)가 결합되고, 시험마개(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시험용수가 기초면(20)에 충진된 상태를 나타낸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로서, 상부가 밀폐되면서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아래로 걸림턱(11)과 결합부(12)가 차례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도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욕실등의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면(20)과, 상기 기초면(20)의 내부에 매설 고정되어 물등을 배수하는 배수관연결부(30)와, 상기 배수관연결부(30)와 기초면(20) 사이에 자연 형성되는 경계선(60)을 통하여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기하기 위하여 상기 경계선(60)에 상부에 방수액(40)을 일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기초면(20)에 배수관연결부(30)를 매설시 상기기초면(20)과 배수관연결부(30)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60)의 상단에 방수액(40)이 형성되고 난 후, 이 경계선(60)을 통하여 물이 상층에서 하층으로 낙수되는 가를 시험하기 위해 배수관연결부(30)의 상부에 시험마개(10)를 결합 사용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시험마개(10)는 하부에 배수관연결부(30)와 결합되는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가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동시에 시험용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걸림턱(11)이 중간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부는 시험용수가 넘치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질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욕실등의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면(20)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면(20)의 내부에 배수관연결부(30)를 매설한 다음, 상기 배수관연결부(30)와 기초면(20)의 경계선(60)이 방수될수 있도록 상기 배수관연결부(30)와 기초면(20)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60)의 상부에 방수액(40)을 충진한 후, 상기 배수관연결부(30)에 결합부(12)를 이용하여 시험마개(10)를 결합한다.
이때, 중간 외부로 돌출된 걸림턱(11)에 의해 더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않고 배수관연결부(30)에 시험마개(10)가 구속됨과 동시에 배수관연결부(30)를 외부와 밀폐시킨다.
상기와 같이 시험마개(10)가 배수관연결부(30)에 밀착 고정된 상태에서, 타일을 깔기 위한 마감재(50)를 기초면(20)에 적층시키 더라도 시험마개(10)에 의해 배수관연결부(30)로 마감재(50)가 침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마감재(50)가 적층된 상태에서 기초면(20)과 배수관연결부(30)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60)을 따라 물이 누수되는 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먼저 아파트 베란다등에 시험용수를 시험마개(10)가 넘치지 않을 정도로 충진하여 기초면(20)과 배수관연결부(30) 사이에 형성된 경계선(60)을 통해 물이 누수 되는지를 시험하면 된다.
그리고 시험용수를 시험마개(10)가 넘칠정도로 충진하더라도 상부가 밀폐되고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 시험마개(10)에 의해 배수관연결부(30)로 시험용수가 침투되지 않기 때문에, 계속적으로 기초면(20)과 배수관연결부(30)의 누수여부를 시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수관연결부에 시험마개를 결합한 다음, 기초면에 시험용수를 충진하여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경계선에서 물이 누수되는가를 시험함으로서, 완벽한 공사를 하여 소비자의 신뢰성을 증대시킬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타일을 깔기 위해 마감재가 기초면에 적층될때 마감재가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용시, 물등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아파트의 베란다 또는 욕실등의 바닥면을 이루는 기초면과, 상기 기초면의 내부에 매설 고정되어 물등을 배수하는 배수관연결부와, 상기 배수관연결부와 기초면의 경계선이 방수될수 있도록 충진되는 방수액에 있어서, 상기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를 시공후, 누수여부를 시험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연결부의 상부에 시험마개가 밀착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마개는 하부에 배수관연결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가 더이상 내려가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동시에 시험용수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걸림턱이 중간 외주면에 돌출되며, 상부는 시험용수가 넘치지 않도록 상부가 밀폐되고 일정한 높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KR2019950009835U 1995-05-10 1995-05-10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Expired - Lifetime KR2001480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835U KR200148002Y1 (ko) 1995-05-10 1995-05-10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835U KR200148002Y1 (ko) 1995-05-10 1995-05-10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75U KR960037975U (ko) 1996-12-18
KR200148002Y1 true KR200148002Y1 (ko) 1999-06-15

Family

ID=1941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835U Expired - Lifetime KR200148002Y1 (ko) 1995-05-10 1995-05-10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0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975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7638Y1 (ko) 단열재가 부착된 벽체 매립형의 배관 점검함
KR20140115150A (ko) 지하주차장 누수에 대한 방수 방법
CN212865930U (zh) 一种抗浮锚杆锚固结构
KR200148002Y1 (ko) 기초면과 배수관연결부 누수여부 시험마개
KR102605459B1 (ko) 이중 배수시스템
US7963082B1 (en) Concrete vapor barrier integrity system and method
CN211080323U (zh) 地下室连通口变形缝的堵漏结构
US5189861A (en) Sewer chimney coupling and method of building a sewer chimney
CN212718618U (zh) 一种用于屋面的防渗水接头、防渗水装置
CN104358948B (zh) 预埋防漏接头系统
KR1020371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보수 공법
KR102744207B1 (ko) 건축물의 배수 드레인용 슬리브
KR100396852B1 (ko) 지하밸브실 내부 바닥 모서리부의 균열보수방법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KR100367517B1 (ko) 지하 구조물의 안정화 시공방법
KR100476840B1 (ko)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CN218644336U (zh) 一种处治隧道施工缝、变形缝渗水的排水装置
KR0180959B1 (ko) 건축 구조물의 방수공법
JP2004270155A (ja) 止水材注入方法および堤体
JP2714775B2 (ja) 確認孔付き擁壁ブロック及びそのグラウト充填方法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Golle Remedial waterproofing-Doing half a J..!
KR100929441B1 (ko) 균열보수용 패커구조체를 이용한 균열보수공법
KR95001499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부위 방수충진방법
JPH04240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51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51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3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6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3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