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476840B1 -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 Google Patents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6840B1
KR100476840B1 KR10-2002-0049608A KR20020049608A KR100476840B1 KR 100476840 B1 KR100476840 B1 KR 100476840B1 KR 20020049608 A KR20020049608 A KR 20020049608A KR 100476840 B1 KR100476840 B1 KR 100476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structure
wall
waterproof
joints
constr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514A (ko
Inventor
최춘식
Original Assignee
최춘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식 filed Critical 최춘식
Priority to KR10-2002-004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68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6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684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00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 E02D1/08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in situ after finishing the foundation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와 같은 취약부에 시공되는 방수 공사시 방수 시트를 벽면에 부착하기 전에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형성된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에 지하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기성제품으로 만든 소구경의 유공관을 삽입 또는 부착 설치한 후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고 보호몰탈을 바르고 양생과정을 거쳐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한다. 이렇게 완료한 구조물에서 유공관을 설치한 부위를 경유하여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방수에 결함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여 누수가 발생한 부위의 방수보수대책으로 해당부위에 미리 방수검사용으로 설치한 유공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압력 주입하여 해당 부위에 방수를 실시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 그라우팅 방법 {apparatus for easy examining waterproof of wall and grouting method for preventing leak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하철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등과 같은 취약부에 시공되는 방수 공사시 방수 시트를 벽면에 부착하기 전에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면에 형성된 시공 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에 지하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의 기성제품으로 만든 소구경의 유공관을 삽입 또는 부착 설치한 후에 그 위에 방수 시트를 부착하고 보호몰탈을 바르고 양생과정을 거쳐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하고 난 후에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기히 매설된 유공관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하거나 벽체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방수검사용으로 기히 매설된 유공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압력 주입하여 해당 부위에 방수를 실시하는 벽체 간이방수검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 그라우팅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지하 구조물이 완성된 후에는 지중에 지하 구조물이 매립되어 지하 구조물에서 취약부인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등에 완벽한 방수가 시공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되었을 때 방수검사용으로 기히 매설한 유공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누수의 원인이된 부위를 방수그라우팅을 하여 충전시켜 누수를 차단하는 완벽한 방수를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것은 지하 구조물의 취약부에대한 누수검사를 병행하면서 유공관을 통하여 누수여부를 확인한 후에 방수가 안된 부분에는 유공관을 통하여 재차 방수를 시공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지하 구조물을 시공하면서 벽체등에 면정리를 한 후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위에 방수시트를 부착한 후에 보호몰탈로 방수시트를 보호하는 방수공사를 실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수방법에는 방수시트가 균일하게 벽체와 접착이 완벽하게 되지 않고 중간중간에 들뜨게 되는 점과 또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등과 같은 시공상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부분이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또는 거푸집에 의해 충분한 밀실 다짐이 이행되지 않아 벽체에 무수한 공극이 발생된 채로 시공되어 방수가 이뤄지게되면 추후에 이러한 시공상의 취약부분이 누수의 원인이되는 취약부로 발전이되는데 지중에 설치된 지하구조물인 관계로 이러한 누수부위를 용이하게 발견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며,설령 발견을 하더라도 누수부위에 재차 방수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위의 모든 토사를 제거하여야하고 누수부위를 일정부분 제거한 다음에 그라우팅 또는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재공사를 시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재시공에 따른 제경비와 누수의 재발이 되는지를 끊임없이 관리를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누수의 여부를 점검하여 방수공사의 완벽여부를 점검하면서 누수가 발생되면 해당 부위에 방수검사용으로 기히 매설되어 있는 유공관을 통하여 방수 그라우팅액을 압입 주입하여 해당부위에 그라우팅액이 충전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하는 벽체 간이방수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 그라우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철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12)등에 지하 구조물(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된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된 V자형태 또는 사다리꼴형태의 면목 홈(13)이 형성된 홈내에 유공관(16)을 삽입하거나 또는 이러한 이음부의 면에 유공관을 부착한 후에 방수 시트(14)를 부착하고 보호몰탈을 바르고 양생과정을 거쳐 지하 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한 후에 지하 구조물 벽체에 기히 매설된 유공관을 통하여 또는 벽체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경우 기히 지하 구조물 벽체에 매설된 유공관(16)을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압력 주입하여 누수부위를 그라우팅액으로 충전하여 누수를 차단하여 방수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지하 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벽체 간이방수검사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지하 구조물(10)의 설치를 위하여 지하 지반에 기초콘크리트(15)를 타설양생하고 그 위에 지하 구조물(10)을 구축하게되는데 이때 지하 구조물의 설치크기등을 감안하여 시공이음부(12)를 설치하거나 거푸집의 크기에 의하여 거푸집 이음부(12)를 두게 된다. 이러한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12)와 같은 이음부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재료분리 현상으로 인하여 벽체가 수많은 공극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거푸집에 의하여 밀실하게 콘크리트의 다짐이 시행되지 못하여 역시 공극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취약부에 누수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와같은 취약부에 거푸집을 설치할 때 두게되는 면목에 의하여 형성되는 V자 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태의 홈(13)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10)의 길이 방향으로 유공관을 삽입설치하거나 또는 시공이음부의 면에 유공관을 부착설치하고 "ㄷ"자 형태의 유공관 고정구(18)로 지하 구조물 벽체에 유공관을 고정시킨다. 이때미리 매설하거나 부착된 유공관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면 유공관(16)을 통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하여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20)의 중간부분 까지 유공관(16)을 홈에 삽입한 후에 유공관을 마개(17)로 막아 놓거나 이음부에 유공관을 부착시키고 벽체의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에 방수시트(14)를 접착시공하고 보호물탈을 타설양생하여 방수시트를 보호하면서 벽에 밀착되게 한다. 이렇게 지하 구조물(10)의 구축 공사가 완료된 후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는 유공관(16)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그라우팅액을 압력 주입하여 누수가 발생되는 부분을 그라우팅액으로 충전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다. 주로 지하 구조물의 벽체의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된 1단 벽체 또는 2단 벽체에 설치하거나 하단부의 벽체와 기초 콘크리트 위에 설치되는 헌치와의 경계부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위에 누수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부위에 발생된 물이 모여서 누수가 진행되는 경우가 자주발생되기 때문이다. 유공관의 직경은 1 ~ 1.5㎝이며 바람직한 것은 1㎝이다. 또한, 면목에 의하여 형성된 V자형태 또는 사다리꼴형태의 홈의 깊이는 2㎝이며 그라우팅액을 유공관내에 주입할 때에 압력의 크기는 2 ~3 ㎏/㎠이다.
도 2a는 도 1의 벽체 간이방수검사장치의 유공관을 지하 구조물 벽체(11) 및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20)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12)에 거푸집에 설치된 면목에 의하여 형성된 홈(13)내에 유공관(16)을 삽입하고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12)의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20)에는 향후에 발생될 수 있는 누수에 대비하여 유공관(16)을 통한 그라우팅을 시공하기 위하여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20)의 중간부분까지만 홈(13)을 형성하고 홈에 유공관(16)을 매설하고 유공관(16)의 끝단에 마개(17)로 막아 놓아 이물질등이 유공관(16)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지하 구조물(10)의 구축이 완료된 후에 유공관(16) 또는 지하 구조물 벽체(11)에 누수가 발생될 경우에 해당부위의 유공관(16)의 마개(17)를 제거하고 유공관의 주입구에 일정한 압력의 그라우팅액을 주입하고난 후에 유공관의 주입구를 마개로 밀봉하면누수 방지 그라우팅이 완료된 것이다. 도 2b는 도 1의 벽체간이 방수검사장치의 유공관(16)을 벽체 및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20)에 설치한 다른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의 면에 유공관을 부착설치하고 지하구조물 벽체 연결면(20)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13)을 설치하고 홈에 관(21)을 매설하고 지하에 매설되는 부분이 아닌 쪽에는 주입관(22)을 관(21)에 삽입하고 유공관(16)이 부착설치된 쪽의 관(21)에는 유공관(16)을 연장하여 관(21)에 삽입하고 그 위에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보호몰탈을 바르고 양생과정을 거쳐 구조물의 구축을 완료한다. 주입관을 설치한 것은 향후에 유공관을 통하여 누수되는 경우에 주입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을 실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공관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유공관을 고정시키는 고정구 단면도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방수검사장치를 이용한 누수지수 그라우팅 방법은 지하 구조물에서 취약부로 인식되어 온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의 누수문제를 상기 점검장치를 통하여 방수여부를 점검하고 유공관을 통하여 누수가 발생되면 유공관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방수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누수부위를 그라우팅액으로 충전하는 것으로서 종전의 방법과는 달리 누수가 진전되는 부위의 유공관을 통하여 그라우팅액을 충전하면 간단히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지하구조물의 지하 구조물 벽체에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를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의 유공관을 지하 구조물 벽체 및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의 유공관을 지하 구조물 벽체 및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에 설치한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공관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유공관을 고정시키는 유공관 고정구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하 구조물 11...지하 구조물 벽체
12...시공 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
13...홈 14...방수시트
15...기초콘크리트 16...유공관
17...마개 18...유공관 고정구
19...구멍 20...지하 구조물 벽체연결면
21...관 22...주입관

Claims (8)

  1. 지하 구조물의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에 V자홈으로서 깊이가 2cm로 형성된 홈과 홈내에 삽입된 직경 1~1.5cm인 유공관과 유공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유공관 고정구와 향후 그라우팅을 위하여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의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까지 형성한 홈과 홈내에 삽입된 유공관과 유공관에 삽입된 마개로 이루어진 벽체간이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공관을 지하 구조물의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에 설치하는 것은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에 부착설치하고, 지하 구조물벽체 연결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홈내에 관을 매설하며, 지하에 매설되지 않는 쪽에는 주입관을 관에 삽입하며, 일측에는 유공관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관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간이방수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지하 구조물의 벽체에 발생되는 누수부위에 시행하는 그라우팅방법으로서,
    (a) 지하 구조물의 벽체를 면정리하는 단계;
    (b) 지하 구조물의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이음부에 거푸집에 의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면목에 의하여 V자 또는 사다리꼴 형태로 된 홈을 설치하는 단계;
    (d) 형성된 홈내에 유공관을 삽입하고, 유공관 고정구로 유공관을 고정하는 단계;
    (e)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에 삽입된 유공관의 끝단에 마개로 막는 단계;
    (f) 지하 구조물의 벽체에 프라이머를 바르고 방수시트를 부착하며 그 위에 보호몰탈을 타설양생하여 방수를 마감하는 단계;
    (g) 방수시공이 완료된 후에 유공관 또는 지하 구조물 벽체에 누수가 진행되어 해당부위에 설치된 유공관의 마개를 제거하고, 일정한 압력으로 그라우팅액을 주입하고 주입구를 마개로 밀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누수지수 그라우팅방법에 있어서,
    상기 (b)와 (d)단계의 사이에 (c) 단계로서 지하 구조물의 벽체의 시공이음부 또는 거푸집 이음부에 유공관을 부착설치하고, 지하 구조물 벽체 연결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홈을 형성하고, 홈내에 관을 매설하고, 지중에 매설되지 않은 쪽에는 주입관을 관에 삽입하며, 일측에는 유공관을 일정길이 연장하여 관에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간이 방수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 그라우팅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2-0049608A 2002-08-22 2002-08-22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76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08A KR100476840B1 (ko) 2002-08-22 2002-08-22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608A KR100476840B1 (ko) 2002-08-22 2002-08-22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14A KR20040017514A (ko) 2004-02-27
KR100476840B1 true KR100476840B1 (ko) 2005-03-18

Family

ID=3732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6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476840B1 (ko) 2002-08-22 2002-08-22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68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058A (zh) * 2019-06-06 2019-10-01 甘肃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教学用地下综合管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2950B (zh) * 2010-11-11 2012-04-04 东南大学 地下结构施工缝分液注浆补强方法
CN104878741B (zh) * 2015-05-12 2017-01-18 安徽省建筑科学研究设计院 一种地连墙幅墙接缝后压浆防水结构及其防水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020A (ja) * 1984-03-12 1985-09-30 Fujita Corp 地中連続壁における打継部の止水工法
JPS60199123A (ja) * 1984-03-23 1985-10-08 Ise Bosui Kogyo:Kk コンクリ−ト壁の防水方法
KR950014993A (ko) * 1993-11-15 1995-06-16 오노 시게오 투영광학계 및 투영 조정기
JPH08135032A (ja) * 1994-11-02 1996-05-28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打継部止水ホースの施工法
JPH09184206A (ja) * 1995-12-28 1997-07-15 Ohbayashi Corp ひび割れ誘発目地
JPH09228403A (ja) * 1996-02-28 1997-09-02 Aichi Toso:Kk 地中建造物の防水性維持方法
JPH1181496A (ja) * 1997-09-02 1999-03-26 Hayakawa Rubber Co Ltd 継手構造及び継手構造の補修工法
KR100310201B1 (ko) * 1998-10-07 2001-12-17 최춘식 콘크리트구조물에있어서의누수부위의배면방수그라우팅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92020A (ja) * 1984-03-12 1985-09-30 Fujita Corp 地中連続壁における打継部の止水工法
JPS60199123A (ja) * 1984-03-23 1985-10-08 Ise Bosui Kogyo:Kk コンクリ−ト壁の防水方法
KR950014993A (ko) * 1993-11-15 1995-06-16 오노 시게오 투영광학계 및 투영 조정기
JPH08135032A (ja) * 1994-11-02 1996-05-28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ンクリート打継部止水ホースの施工法
JPH09184206A (ja) * 1995-12-28 1997-07-15 Ohbayashi Corp ひび割れ誘発目地
JPH09228403A (ja) * 1996-02-28 1997-09-02 Aichi Toso:Kk 地中建造物の防水性維持方法
JPH1181496A (ja) * 1997-09-02 1999-03-26 Hayakawa Rubber Co Ltd 継手構造及び継手構造の補修工法
KR100310201B1 (ko) * 1998-10-07 2001-12-17 최춘식 콘크리트구조물에있어서의누수부위의배면방수그라우팅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99058A (zh) * 2019-06-06 2019-10-01 甘肃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教学用地下综合管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514A (ko) 200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406A (en) Surfacing or rehabilating structures without supporting forms
US86837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leaking crack repair
CN209385153U (zh) 隧道管片漏水处的封堵构造
KR101847131B1 (ko) 중,대구경 관로 주변 그라우트 겸 내면 보수 및 보강공법
US5328647A (en) Process to seal structural joints
CN106838463B (zh) 提高矩形顶管工后纵向整体刚度的预埋组件及用法
KR100476840B1 (ko) 벽체 간이방수 검사장치 및 그를 이용한 누수지수그라우팅 방법
KR100512074B1 (ko) 건축 구조물의 이음부위 방수공법
CN211312769U (zh) 一种塑料管与混凝土预制检查井的连接构件
KR102083378B1 (ko) 콘크리트 관로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관로 보수공법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617507B1 (ko) 수밀형 맨홀
KR10203716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보수 공법
KR0180959B1 (ko) 건축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0617522B1 (ko) 수밀형 맨홀의 접속관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19990046507A (ko) 다발관&#34;케이블&#34;에의한콘크리트시공&#34;조인트그라우팅&#34;공법.
JP2905176B2 (ja) 埋設管補修方法
KR200255534Y1 (ko) 옹벽의 누수차단장치
KR20190141624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 보수용 신축 유닛 및 그 신축 유닛을 이용한 균열부위 보수 시공방법
KR100381548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사후방수 유지관리시스템
CN112252281B (zh) 一种土石堤坝穿坝涵管导排包封灌芯组合封堵结构及施工方法
KR200265427Y1 (ko) 섬유 거푸집을 이용한 관 접합 구조
JP2022134850A (ja) 管口止水工法並びに止水用リング及び管口止水具セット
KR20010025497A (ko) 터널의 누수방지용 보수재 및 보수공법
JPH041367A (ja) クラック注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8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