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5624Y1 -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624Y1
KR200145624Y1 KR2019950053003U KR19950053003U KR200145624Y1 KR 200145624 Y1 KR200145624 Y1 KR 200145624Y1 KR 2019950053003 U KR2019950053003 U KR 2019950053003U KR 19950053003 U KR19950053003 U KR 19950053003U KR 200145624 Y1 KR200145624 Y1 KR 200145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ack gear
locking
seat belt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5628U (ko
Inventor
이판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53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624Y1/ko
Publication of KR9700356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56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624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2/201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 B60R22/202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 B60R22/203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with the belt anchor connected to a slider movable in a vehicle-mounted track the slider comprising spring-actuated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movably mounted on the sli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벨트 착용자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어퍼 앵커리지의 상하위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높이조절용 랙기어(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를 필러 판넬(22)에 설치되는 레일(23)의 좌우내측벽(23a)(23b)에 각각 수직모양으로 설치하고, 그 레일(23)의 전후면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로(24a)(24b)에 축(25)을 관통시켜 그 축(25) 상에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각각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를 설치하며, 상기 레일(23)과 피니언 기어(26)에 각각 록킹 스프링(27)을 예압접촉시켜 그 록킹 스프링(27)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26)가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맞물리면서 동시에 상기 축(25)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5a)이 상기 레일(23)의 바깥쪽에 걸리면서 상시 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축(25)의 바깥쪽단에는 필러 트림(28)의 외부로 돌출시켜 조절노브(2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축(25) 상에 시트벨트 어퍼 앵커리지(3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높이조절용 랙기어 21 : 록킹용 랙기어
22 : 필러 패널 23 : 레일
23a,23b : 좌우내측벽 24a,24b : 샤프트 통로
25 : 축 26 : 피니언 기어
27 : 록킹 스프링 28 : 필러 트림
25a : 걸림턱 29 : 조절노브
30 : 어퍼 앵커리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벨트 착용자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어퍼 앵커리지의 상하위치가 착용자의 신체크기에 따라 최적의 상채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나의 조절노브를 두고, 그것을 누르고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높낮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어 시트벨트는 차량의 충돌사고시에 승객이 차내에서 2차충돌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귀중한 생명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트벨트는 사고를 대비하여 평상시에 착용하여야 하는데, 그 착용중에 시트벨트의지지 포인트가 승객의 체형과 조화를 이루지 않게 되면, 승객이 불편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려 종래의 차량에는 벨트착용자의 어깨부분을 압박하는 어퍼 앵커리지를 상하방향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는 푸쉬(PUSH) 또는 풀(PULL) 및 업(UP) 또는 다운(DOWN)조작을 복합적으로 하여야만 조작이 가능하므로, 그 사용이 복잡하여 사용사의 불편함을 느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시트벨트 착용자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어퍼 앵커리지의 상하위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높이조절용 랙기어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록킹용 랙기어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를 필러 패널에 설치되는 레일의 좌우내측벽에 각각 수직모양으로 설치하고, 그 레일의 전후면에 각각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로에 축을 관통시켜 그 축 상에 상기 록킹용 랙기어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에 각각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설치하며, 상기 레일과 피니언 기어에 각각 록킹 스프링을 예압접촉시켜 그 록킹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가 상기 록킹용 랙기어와 그 높이 조절용 랙기어에 모두 맞물리면서 동시에 상기 축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이 상기레일의 바깥쪽에 걸리면서 상시 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축의 바깥쪽 단에는 필러 트림의 외부로 돌출시켜 조절노브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축 상에 시트벨트 어퍼 앵커리지를 설치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용 랙기어(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를 필러 판넬(22)에 설치되는 레일(23)의 좌우내측벽(23a)(23b)에 각각 수직모양으로 설치하고, 그 레일(23)의 전후면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로(24a)(24b)에 축(25)을 관통시켜 그 축(25) 상에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 조절용 랙기어(20)에 각각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를 설치하며, 상기레일(23)과 피니언 기어(26)가 각각 록킹 스프링(27)을 예압접촉시켜 그 록킹 스프링(27)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26)가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모두 맞물리면서 동시에 상기 축(25)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5a)이 상기 레일(23)의 바깥쪽에 걸리면서 상시 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축(25)의 바깥쪽 단에는 필러 트림(28)의 외부로 돌출시켜 조절노브(2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축(25) 상에 시트벨트 어퍼 앵커리지(30)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호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절노브(29)를 축방향으로 누르게 되면, 록킹 스프링(27)이 압축되면서 조절노브(29)에 연결되어 있는 축(25)과 피니언 기어(26)가 축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피니언 기어(26)가 록킹용 랙기어(21)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때 피니언 기어(26)는 높이조절용 랙기어 (20)로부터는 벚어나지 않고, 이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맞물려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절노브(29)를 일측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피니언 기어(26)가 높이조절용 랙기어(20)를 타고 아래위로 승강운동을 하게 되고, 어퍼 앵커리지(30)도 함께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와 동시에 축(25)은 레일(23)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로(24a,24b)에서 상하방향으로 안내된다.
한편, 높이를 조절할 후에 누르고 있던 조절노브(29)로부터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피니언 기어(26)는 록킹 스프링(27)의 탄성력에 의해 축방향으로 밀리면서 록킹용 랙기어(21)에 맞물리면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즉, 피니언 기어(26)의 양측이 높이조절용 랙기어(21)에 각각 걸려 있으므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조절노브(29)는 축(25)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5a)이 레일(23)의 뒷면 걸리면서 록킹 스프링(27)에 의해 돌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효과는 시트벨트 착용자의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어퍼 앵커리지의 상하위치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높이조절용 랙기어(20)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요 랙기어(20)를 필러 패널(22)에 설치되는 레일(23)의 좌우내측벽(23a)(23b)에 2각각 수직모양으로 설치하고, 그 레일(23)의 전후면에 각각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 통로(24a)(24b)에 축(25)을 관통시켜 그 축(25) 상에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각각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6)를 설치하며, 상기 레일(23)과 피니언 기어(26)에 각각 록킹 스프링(27)을 예압접촉시켜 그 록킹 스프링(27)에 의해 상기 피니언 기어(26)가 상기 록킹용 랙기어(21)와 그 높이조절용 랙기어(20)에 모두 맞물리면서 동시에 상기 축(25)의 내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25a)이 상기 레일(23)의 바깥쪽에 걸리면서 상시 록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축(25)의 바깥쪽단에는 필러 트림(28)의 외부로 돌출시켜 조절노브(2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깥쪽단에는 필러 트림(28)의 외부로 돌출시켜 조절노브(29)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바깥쪽으로 노출되어 있는 축(25)상에 시트벨트 어퍼 앵커리지(3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2019950053003U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Expired - Lifetime KR200145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003U KR200145624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003U KR200145624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28U KR970035628U (ko) 1997-07-26
KR200145624Y1 true KR200145624Y1 (ko) 1999-06-15

Family

ID=1944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003U Expired - Lifetime KR200145624Y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48B1 (ko) * 2018-10-30 2020-04-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코트후크의 위치 조절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848B1 (ko) * 2018-10-30 2020-04-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코트후크의 위치 조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5628U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0204A (en) Height-adjustment device for a motor-vehicle safety belt
AU1339099A (en) Restraint device with a safety belt
KR2001456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US4118053A (en) Safety belt device with a winder/unwinder especially for automobiles
KR20230142052A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200151633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KR100366594B1 (ko) 유아용 시트벨트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JPH051629U (ja) シートベルト用保持具
KR20014184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KR100265963B1 (ko) 자동 시트 벨트
KR0125107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의 웨빙고정용 클립
KR20015292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플리구조
KR20060055659A (ko) 차량용 시트의 웨빙가이드 장치
KR0134222Y1 (ko) 차량용 시트벨트 조절장치
KR0126085Y1 (ko)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구조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100435371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버클의 길이조절 장치
KR100418504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길이조절장치
KR19990024390U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텅플레이트
KR0115298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가이드풀리의 위치조정구조
KR200148253Y1 (ko) 위치 변화가 가능한 자동차 시이트 벨트 앵커
KR2001529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버클구조
KR19980016097A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어져스터
KR0124653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가이드풀리의 위치조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2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2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29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19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2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2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