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1846Y1 - 자동차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846Y1
KR200141846Y1 KR2019960003989U KR19960003989U KR200141846Y1 KR 200141846 Y1 KR200141846 Y1 KR 200141846Y1 KR 2019960003989 U KR2019960003989 U KR 2019960003989U KR 19960003989 U KR19960003989 U KR 19960003989U KR 200141846 Y1 KR200141846 Y1 KR 200141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rod
driver
fixed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39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535U (ko
Inventor
장윤
Original Assignee
장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 filed Critical 장윤
Priority to KR20199600039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846Y1/ko
Publication of KR9700515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5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846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 뒤에서 어깨를 지나 겨드랑이 사이로 인출되어 착용되는 동시에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하여 운전자를 핸들에 부딪히지 않게 잡아줌으로써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타입의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벨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요부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록킹구 측을 보인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를 착용시 인출되는 범위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를 착용후 운전자가 움직일 때 인출될 수 있는 범위를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가 충돌사고시 운전자를 잡아주게 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를 착용시 인출되는 길이를 체형에 따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벨트인출부재
21 : 인출요부 30 : 고정부재
40,90 : 축봉 50,100 : 메탈 베어링
60 : 안내구 61 : 지지봉
70 : 상부프레임 80 : 하부프레임
110 : 작동구 120 : 벨트
130 : 승강구 140,150 : 스프링
160 : 록킹구 160 : 봉
171 : 랙기어 180 : 조절부재
190 : 안내레일 220 : 모터
201 : 피니언
본 고안은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후 행동이 자유로우며 자동차의 충돌 사고나 급제동시 운전자를 잡아줌으로써 핸들에 운전자가 부딪힘으로써 발생되는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제공된 안전벨트는 후방 상부에서 어깨를 거쳐 허리에 채워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도 장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박감을 주게 되어 대단히 불편하였다.
또한 안전벨트는 착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야함에도 불구하고 충돌사고나 급제동시 운전자 측으로 돌출된 핸들에 운전자가 부딪히지 않도록 확실히 잡아주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로인한 인명피해가 계속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시트 뒤에서 어깨를 지나 겨드랑이 사이로 인출되어 착용되는 동시에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하여 운전자를 핸들에 부딪히지 않게 잡아줌으로써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타입의 자동차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인출요부(21)가 형성되어 시트(10)의 상부 양측에 고정 설치된 벨트인출부재(20)와; 상기 벨트인출부재(20)로부터 하부 고정부재(30)에 세워지게 설치된 두 개의 축봉(40)과; 지지봉(61)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봉(40)에 메탈베어링(50)과 함께 삽입설치된 안내구(60)와; 벨트인출공(7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지지로울러(72)가 축설되어 상기 벨트인출부재(20)의 후방으로 고정설치된 상부프레임(70)과; 상기 상부프레임(70)으로부터 하부프레임(80)까지 세워지게 설치된 축봉(90)과; 상기 축봉(90)에 메탈베어링(100)과 함께 삽입설치된 작동구(110)와; 상기 인출요부(21)에 걸리는 체결구(121)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지지봉(61)과 지지로울러(72)에 안내되어 벨트인출공(71)을 통해 다른 한쪽 끝이 축봉(90)에 삽입설치된 승강구(130)에 연결된 벨트(120)와; 상기 승강구(130)와 작동구(110)에 양끝이 각각 고정설치된 제1스프링(140)과; 상기 작동구(110)와 하부프레임(80)에 양끝이 각각 고정설치된 제2스프링(150)과; 측면에 랙기어(17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21)에 채워지는 록킹구(160)가 봉(161)으로 연결설치된 조절부재(180)와; 상기 조절부재(180)가 삽입설치된 안내레일(190)과; 상기 랙기어(171)에 치합되어 모터(200)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201)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벨트인출부재(20) 및 고정부재(30), 상부프레임(70), 하부프레임(80) 등은 통상의 시트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나사 등으로 일정한 위치에 고정설치되며, 벨트인출부재(20)는 시트(10) 상부에 인출되는 벨트(120)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상태로 내설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어깨 위쪽의 체결구(121)를 손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벨트(120)가 벨트인출부재(20)의 인출요부(21)에 의해 벨트인출부재(20)에 닿지 않는 상태로 벨트(120)가 빠져 나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지지봉(61)은 벨트(120)를 당겨주는 힘에 의해 축봉(40)에 삽입설치된 안내구(60)와 함께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즉 지지봉(61)이 상승하는 거리의 2배만큼 벨트(120)의 한쪽 끝이 인출요부(21)을 통해 빠져나오게 되는 것으로 벨트인출공(71)을 통해 승강구(130)에 연결된 다른쪽 끝은 승강구(130)가 제1스프링(140)에 의해 잡혀 있기 때문에 이동하지 않는다. 지지봉(61)이 상승될 수 있는 거리는 착용시 필요한 벨트(120) 길이의 1/2이 되며, 착용시 필요한 벨트(120) 길이는 약 70cm이다. 벨트(120)를 자동으로 인출하는 수단을 시트에 부가할 수도 있다.
벨트(120)를 인출하여 체결구(121)를 시트(10) 옆의 록킹구(160)에 채우게 되면 벨트(120)의 착용이 끝나게 되는 것으로 이때 벨트(120)에는 지지봉(61)의 자중만이 작용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벨트(120)가 인체를 압박하지 않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체결구(121)를 록킹구(160)에 채워 벨트(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몸을 움직여 벨트(120)에 당겨주는 힘이 가해지게 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구(130)가 축봉(9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에따라 제1스프링(140)이 인장되게 되는데 제2스프링(150)의 탄성력이 크기 때문에 작동구(110)는 움직이지 않는다.
승강구(130)가 상승하는 거리는 몸을 움직일 때 벨트(120)가 인출되어야 하는 길이와 동일한 것으로 이 길이는 약 10cm 정도면 충분하다.
벨트(120)를 당겨주는 힘이 제거되면 제1스프링(140)의 복원력에 의해 승강구(130)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따라 벨트(120)의 끝은 벨트인출공(71)으로 끌려들어가게 된다.
주행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거나 급제동시 운전자의 몸이 급속히 앞으로 쏠리게 되면 벨트(120)에는 큰 힘이 순간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이에따라 제1스프링(140)이 인장되면서 승강구(130)가 최대한 상승하게 되는 동시에 제1스프링(140)의 하단이 고정설치된 작동구(110)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봉(90)을 따라 끌려올라오게 된다. 이때 제2스프링(150)은 인장되는데 인장될 수 있는 길이는 15cm~25cm 정도로 제한되어 있다.
이렇게 제2스프링(150)이 인장되어도 운전자의 몸은 핸들에 닿지 않으며 제2스프링(150)의 탄성력은 운전자의 몸을 잡아주는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운전자가 핸들에 부딪힘으로써 발생되는 인명사고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벨트(120)에 가해진 충격력이 제거되면 제1, 제2스프링(140)(150)의 복원력에 의해 벨트(120)는 끌려들어가 복원력이 작용하지 않는 평상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한편 벨트(120)를 착용한 상태가 불편한 경우에는 모터(200)에 의해 랙기어(171)에 치합된 피니언(201)을 구동시킴으로써 조절부재(180)를 안내레일(190)에서 전후로 이동하면 동일한 벨트(120) 인출길이를 가지고도 다양한 체형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형이 큰 사람의 경우에는 조절부재(180)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주면되고 체형이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조절부재(18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주면된다.
또한 상기 록킹구(160)가 고정 설치된 봉(161)을 솔레노이드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체형에 따른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시트(10) 뒤에서 어깨를 지나 겨드랑이 사이로 인출되어 착용되는 동시에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는 더 이상 인출되지 않게 하여 운전자를 핸들에 부딪히지 않게 잡아줌으로써 충돌사고나 급제동시에도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타입의 자동차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중앙에 인출요부(21)가 형성되어 시트(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벨트인출부재(20)와; 상기 벨트인출부재(20)로부터 하부 고정부재(30)에 세워지게 설치된 두 개의 축봉(40)과; 지지봉(61)으로 연결되어 상기 축봉(40)에 메탈베어링(50)과 함께 삽입설치된 안내구(60)와; 벨트인출공(71)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지지로울러(72)가 축설되어 상기 벨트인출부재(20)의 후방으로 고정설치된 상부프레임(70)과; 상기 상부프레임(70)으로부터 하부프레임(80)까지 세워지게 설치된 축봉(90)과; 상기 축봉(90)에 메탈베어링(100)과 함께 삽입설치된 작동구(110)와; 상기 인출요부(21)에 걸리는 체결구(121)에 한쪽 끝이 연결되고 지지봉(61)과 지지로울러(72)에 안내되어 벨트인출공(71)을 통해 다른 한쪽 끝이 축봉(90)에 삽입설치된 승강구(130)에 연결된 벨트(120)와; 상기 승강구(130)와 작동구(110)에 양끝이 각각 고정설치된 제1스프링(140)과; 상기 작동구(110)와 하부프레임(80)에 양끝이 각각 고정설치된 제2스프링(150)과; 측면에 랙기어(171)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121)에 채워지는 록킹구(160)가 봉(161)으로 연결설치된 조절부재(180)와; 상기 조절부재(180)가 삽입설치된 안내레일(190)과; 상기 랙기어(171)에 치합되어 모터(200)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20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벨트.
KR2019960003989U 1996-02-29 1996-02-29 자동차용 안전벨트 Expired - Lifetime KR200141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989U KR200141846Y1 (ko) 1996-02-29 1996-02-29 자동차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3989U KR200141846Y1 (ko) 1996-02-29 1996-02-29 자동차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535U KR970051535U (ko) 1997-09-08
KR200141846Y1 true KR200141846Y1 (ko) 1999-06-01

Family

ID=19451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3989U Expired - Lifetime KR200141846Y1 (ko) 1996-02-29 1996-02-29 자동차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84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48B1 (ko) * 2011-05-03 2011-12-22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 안전벨트가 구비된 쇼핑카트용 등받이
US20250058737A1 (en) * 2023-08-17 2025-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nchor mechanis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948B1 (ko) * 2011-05-03 2011-12-22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 안전벨트가 구비된 쇼핑카트용 등받이
US20250058737A1 (en) * 2023-08-17 2025-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nchor mechanism
US12296785B2 (en) * 2023-08-17 2025-05-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ncho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535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874B1 (en) Variable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KR200141846Y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
JPH09136612A (ja) 3点ベルトマウントシート
KR0148668B1 (ko) 자동차 시트트랙의 로드 리미터
KR10051624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앵커
KR0133480Y1 (ko) 안전벨트 높이 조절장치
KR0145390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00456567B1 (ko) 로드 리미트 기능을 갖는 시트 벨트 버클 구조
KR0150904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0150893B1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46830U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KR200145624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낮이 조절장치
KR200150717Y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자동차 프론트 시트 벨트
KR0135354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0143651B1 (ko) 시트벨트의 웨빙용 완충장치
KR930009205B1 (ko) 자동차용 안전벨트의 벨트장력 조절장치
KR200147494Y1 (ko) 자동차의 뒷자석 안전벨트 가이드
KR0177444B1 (ko) 탄성체가 장착된 시트벨트의 충격 완화 장치
KR0142251B1 (ko) 자동차 시트벨트의 어퍼 앵커 플레이트 브라켓 설치식 로드 리미터
KR20050040340A (ko) 시트벨트 하이어드져스트 일체형 로드리미트 장치
KR0136711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용 로드리미터의 구조
KR100362113B1 (ko) 시트벨트용 미니앵커의 취부구조
KR100429021B1 (ko) 자동차의 뒷좌석 시트벨트용 버클의 설치구조
KR0134562Y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KR200152925Y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가이드 플리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02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62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0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107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