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44219Y1 -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219Y1
KR200144219Y1 KR2019960037677U KR19960037677U KR200144219Y1 KR 200144219 Y1 KR200144219 Y1 KR 200144219Y1 KR 2019960037677 U KR2019960037677 U KR 2019960037677U KR 19960037677 U KR19960037677 U KR 19960037677U KR 200144219 Y1 KR200144219 Y1 KR 200144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gun
welding
welding robot
bus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6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288U (ko
Inventor
박태진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376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21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2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2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0Features relating to electrodes
    • B23K11/31Electrode holders and actuating devices therefor
    • B23K11/314Spot welding guns, e.g. mounted on robo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Bus Bar)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점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로보트에서, 상·하부 암(12,14)이 가위식으로 상호 연동되는 용접건(10)을 변압기(3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연결된 동판상의 버스바(42,44)에 케이블(50,52)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진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42,44)의 선단 외측에 ㄱ자형으로된 연장바(60,62)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이 연장바(60,62)의 사이는 절연체(71,72)로 절연이 되며, 상기 연장바(60,62)의 타단과 상기 상·하부 암(12,14)의 후단이 각각 상기 케이블(50,52)로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접건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줄여 용접로보트 장비의 수명이 연장되고, 용접건의 회동반경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여 케이블의 수명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본 고안은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Bus Bar)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 바디패널 조립공정에서 점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을 변압기와 연결할 시 장비의 진동과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잘 아는 바와 같이 용접로보트는 제조분야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용접장비로서, 용접로보트라고 하면 예컨대 자동차의 생산공정중 특히 바디패널의 접합공정에서 사용되는 점용점(Spot Welding) 로보트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용접로보트는 각 공정별 특성에 맞게 설치되어 통상 자동이송장치를 통하여 이송되어 온 소정의 판상부재에 또 다른 판상부재를 겹치고, 이 겹쳐진 판상부재의 소정부를 그 용접건으로 접합시켜 예컨대 자동차의 바디 등을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용접로보트에 있어서 그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건 부분과 이 용접건의 종래 전기적인 연결관계를 첨부된 도면 제1도에 개략적으로 예시하였는 바, 용접건(10)은 상·하부 암(12,14)이 가위식으로 상호 연동되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 암(14)은 이동대(4)에 그 중간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되고, 상부 암(12)은 그 후단이 상기 이동대(4)에 설치된 실린더(6)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대(4)는 베이스(2)의 상단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안착된다.
이와 같은 용접로보트에서 용접을 실시할 경우에는 소정의 이송장치에 판상부재가 로딩된 후, 이 용접로보트로 이송되어 오면 상기 이동대(4)를 전진시켜 상기 상·하부 암(12,14) 선단의 팁(16,18)을 판상부재의 상·하단으로 진입시키고, 이후 실린더(6)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용접건(10)을 통전시키면, 상기 용접건(10)의 팁(16,18)이 판상부재를 압압하면서 판상부재가 국소적으로 녹아 접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접건(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종래의 방법은 통상 변압기(3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에 연결된 동판상의 버스바(42,44)를 구비하고, 상·하부 암(12,14)의 후단에도 동판으로된 버스바(46,48)를 볼트(47,47')로 체결하여, 이 버스바(46,48)를 각각 변압기(30)측의 버스바(42,44)에 케이블(50,52)로 연결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하나의 용접로보트 장비에는 통상 다수의 용접건(10)이 구비되는데, 이들을 상기 변압기(30)측 버스바(42,44)의 중간중간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전기적 연결구조를 갖는 종래의 버스바 연결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용접건(10)의 상·하부 암(12,14) 후단에 중량이 큰 버스바(46,48)가 길게 구비되므로, 상·하부 암(12,14)이 상·하로 회동될 시, 이 버스바(46,48)의 중량과 큰 회동반경으로 인해 첫째는 상·하부 암(12,14)과 버스바(46,48)를 체결하는 볼트(47,47')가 이완되어 전기적인 단선을 초래하고, 둘째는 상기 이동대(4)가 전·후로 이동될시 그 접동부에 마모를 촉진시켜 장비의 정밀도와 수명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접건을 변압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시 상기 용접건의 전체적인 중량과 회동반경을 줄일 수 있는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는 용접건 후단에 연결되는 버스바를 삭제하고, 변압기에 연결된 버스바의 단부에 ㄱ자형의 연장바를 연결하며, 이 연장바의 단부에 상기 용접건의 후단을 케이블로 직접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버스바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이스 4 : 이동대
10 : 용접건 12 : 상부 암
14 : 하부 암 16,18 : 팁
30 : 변압기 42,44 : 버스바
50,52 : 케이블 60,62 : 연장바
70,71,72 : 절연체
이하, 첨부된 도면 제2도를 참조하며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제1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버스바 연결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점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로보트에서, 상·하부 암(12,14)이 가위식으로 상호 연동되는 용접건(10)을 변압기(3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부터 절연체(70)를 개재시켜 연장된 동판상의 버스바(42,44)에 케이블(50,52)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42,44)의 선단 외측에 ㄱ자형으로된 연장바(60,62)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고, 이 연장바(60,62)의 사이는 절연체(71,72)로 절연을 시키며, 상기 연장바(60,62)의 타단에 상기 상·하부 암(12,14)의 후단을 각각 상기 케이블(50,52)로 직접 연결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장바(60,62)는 상기 버스바(42,44)와 동일하게 동판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상·하부의 암(12,14)에 별도의 버스바가 연결되지 않고 케이블(50,52)이 직접 연결되므로 용접건(10)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되는 한편, 상·하부 암(12,14)의 회동반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하부 암(12,14)의 동작에 따른 진동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이동대(4)와 베이스(2)의 접동부에 과다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또한 케이블(50,52)의 움직임이 작게 되므로 케이블(50,52)의 단선 우려도 줄어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는 용접건에 버스바를 구비하지 않고 케이블을 직접 연결함에 따라, 용접건의 동작에 의하여 발생하는 진동을 줄여 용접로보트 장비 전체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므로 장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용접건의 회동반경을 줄임으로써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게 되어 케이블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점용접을 실시하는 용접로보트에서, 상·하부 암(12,14)이 가위식으로 상호 연동되는 용접건(10)을 변압기(30)의 양극단자와 음극단자로부터 절연체(70)를 개재시켜 연장된 동판상의 버스바(42,44)에 케이블(50,52)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용접로보트의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42,44)의 선단 외측에 ㄱ자형으로된 연장바(60,62)의 일단이 각각 연결되고, 이 연장바(60,62)의 사이는 절연체(71,72)로 절연이 되며, 상기 연장바(60,62)의 타단과 상기 상·하부 암(12,14)의 후단이 각각 상기 케이블(50,52)로 직접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KR2019960037677U 1996-10-31 1996-10-31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KR200144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677U KR200144219Y1 (ko) 1996-10-31 1996-10-31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677U KR200144219Y1 (ko) 1996-10-31 1996-10-31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88U KR19980024288U (ko) 1998-07-25
KR200144219Y1 true KR200144219Y1 (ko) 1999-06-15

Family

ID=19472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677U KR200144219Y1 (ko) 1996-10-31 1996-10-31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2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288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9231C (zh) 多相位汇流排系统
KR20010030838A (ko) 진공스위치기어
KR102040498B1 (ko) 공동주택 배전반용 부스바 접속장치
JP4297549B2 (ja) スイッチギヤ
KR200144219Y1 (ko) 용접로보트 용접건의 버스바 연결구조
US7188716B2 (en) Current collector
CA1082272A (en) Circuit breaker bolt-on flexible connector
CN1080212C (zh) 带有链形悬挂支承结构的架空接触网设备
SE8302249D0 (sv) Symmetrisk stromledarsystem for likstromsugn
CN210132207U (zh) 一种变位机绝缘应用之导电结构
KR960013711B1 (ko) 용접장치
CN1098564A (zh) 连接配件
US20030057074A1 (en) Contact arrangement for a grounding switch in switchgears which are provided for supplying and distributing power
US4725248A (en) Connector for flat cable
JP2015167097A (ja) 導電部材
JPH09308047A (ja) 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CN221428175U (zh) 一种可靠定位与绝缘保护的汇流电连接器
CN217536203U (zh) 电泳橇体
CN219658627U (zh) 一种用于大电流的接触器
CN218040232U (zh) 一种开关柜
CN119726530A (zh) 一种可滑动取电的母线槽
US12021419B2 (en) Electronic module and drive
EP0907218A3 (de) Lösbare Verbindung eines Hochstromkabels mit einem sammelschienenartigen Anschlussschwert
JP2906913B2 (ja) 溶接用ケーブル
JPS5856075Y2 (ja) 抵抗溶接機における導電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610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10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902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