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110034A -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034A
KR20010110034A KR1020000030939A KR20000030939A KR20010110034A KR 20010110034 A KR20010110034 A KR 20010110034A KR 1020000030939 A KR1020000030939 A KR 1020000030939A KR 20000030939 A KR20000030939 A KR 20000030939A KR 20010110034 A KR20010110034 A KR 2001011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hortcut
unit
input
menu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홍
Original Assignee
김영귀
(주)팻토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주)팻토리닷컴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20000030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10034A/ko
Publication of KR2001011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0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CS 등)에 사용자정의가 가능한 단축키 설정을 부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부 등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메모리부와, 개인휴대용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부와, 그리고 키입력부와 표시부를 갖춘 개인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정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각종의 기능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메뉴창 표출중 단축키 설정을 위한 활용키도 동시에 표출되어 단축키 입력여부에 따라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을 진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단축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단축번호와 상기 데이터메모리부를 검색하여 기저장된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표시부에 경고알림을 통해 알리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교 결과 기저장된 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창에 표출된 기능들이 일괄 단축번호로 상기 데이터메모리부에 등록되는 제4과정과, 키입력부로터 상기 제4과정에서 등록된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해당메뉴가 일괄실행되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A shorten key control method of the PDA by a comsumer definition}
본 발명은 개인휴대용 단말기(핸드폰, PCS 등)에 사용자정의가 가능한 단축키 설정을 부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휴대용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메뉴중 특히 자주 이용하는 기능들을 별도의 단축키 설정으로 지정하여 설정번호키 누름으로 일괄 실행되도록 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개인휴대용 단말기 기능의 사용법은 그 첫째로 메뉴키를 작동하여 메뉴창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여러번 네비게이터(선택/이동) 이동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는 방식과 간단히 키조작으로 작동하는 방식(단축키)이 있는바, 그중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단축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데, 자주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단축키에 대응시켜 등록해두고, 사용자가 상기 등록된 단축키를 길게 누르면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축 다이얼링기능이 있으며, *이나 #키를 길게 누르면 진동모드전환(매너모드)기능, 기타 잠금기능등 미리 설정된 단축키를 누르면 그에 해당하는 기능으로 진입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제품 출하시 기기 내부에 단축키가 미리 설정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역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자 할 경우 그에 해당하는 단축키만을 선택해야 함은 필연적일 수 밖에 없다.
여기서, 개인휴대용 단말기에는 단축키외에도 각종의 부가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이 부가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단축키를 미리 암기하여 사용하거나 혹은 네비게이터 이동으로 메뉴창의 메뉴를 일일이 찾아내어야 하므로 그에따른 번거러움이 클수 밖에 없고, 특히 자주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을 표시부에 표출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네비게이터 해야 하므로 조작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 개인별로 자주 이용하는 기능들이 매우 적다는 것에 착안한 것으로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탑재된 기능들이 모두 나타나는 메뉴에서사용자 개별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기능들을 자유로이 선정하되, 특히 메뉴상에서 사용자정의 단축기능키를 부여하여 선정된 기능들이 단지 번호키(단축키) 한번의 조작으로 일괄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조작시간의 단축 및 고기능추가에 대한 제품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개인휴대용 단말기인 휴대폰의 제어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무선부,
30 : 키입력부, 40 : 표시부,
50 : 프로그램 메모리부, 60 : 데이터메모리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번호부 등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메모리부와, 개인휴대용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부와, 그리고 키입력부와 표시부를 갖춘 개인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정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각종의 기능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메뉴창 표출중 단축키 설정을 위한 활용키도 동시에 표출되어 단축키 입력여부에 따라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을 진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단축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단축번호와 상기 데이터메모리부를 검색하여 기저장된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표시부에 경고알림을 통해 알리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교 결과 기저장된 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창에 표출된 기능들이 일괄 단축번호로 상기 데이터메모리부에 등록되는 제4과정과, 키입력부로터 상기 제4과정에서 등록된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해당메뉴가 일괄실행되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개인휴대용 단말기인 휴대폰의 제어 블록 구성도,도 2는 본 발명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 제어 흐름도이다.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그 내부 구성은 크게 제어부(10), 키입력부(30), 표시부(40), 무선부(20), 프로그램메모리부(50), 데이터메모리부(60)로 나뉠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는 후술하는 프로그램메모리부(50), 데이터메모리부(60)로부터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읽어 개인휴대용 단말기 전체 동작을 제어함은 물론이고, 특히 본 발명 사용자정의 단축설정 동작 제어도 포함한다. 프로그램메모리부(50)는 통상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로 구현되며 제어 프로그램 즉, 단말기 전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데이터메모리부(60)는 EEPROM으로 구현되며 전화번호부, 일정관리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능들을 구현 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본 발명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 데이터도 포함된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지만 단말기 제어부(10)의 억세스에 필요하며 일시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SRAM으로 구현되는 메모리부도 포함됨은 당연하다. 키입력부(30)는 다이얼링하기 위한 숫자키와 송신키 등과 같은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생성하여 제어부(10)로 입력한다. 표시부(40)는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휴대폰이 상태에 따른 메시지 또는 키입력부(30)로부터 입력된 키데이터를 출력하거나 각 데이터메모리부(60)로부터 리드한 각 기능들을 메뉴창으로 표출한다.
무선부(20)는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를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도 2를 근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사용자정의 단축키가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번호로 설정코자 할 경우 먼저, 키입력부(30)를 통해 메뉴키를 입력하면(S10) 제어부(10)는 프로그램메모리부(50)와 데이터메모리부(60)를 리드하여 각 메뉴창을 활성화한다(S11). 이 메뉴창에는 각가지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는데(S12) 이때의 기능들은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각 사양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일이 설명하기는 어려우나 다만 상위메뉴에서 하위메뉴로 하위메뉴에서 상위메뉴로 네비게이터 이동함은 동일하다.
여기서,네비게이터 이동중 상기 메뉴창에서 표출되는 모든 기능을 사용자 정의 단축키 설정으로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해당되는 단축키를 입력한다(S13).
예컨데, 사용자가 "전화번호부-최근발신번호보기", "일정관리-전자수첩" 등을 설정코자 한다면 메뉴창에서 상기한 기능들까지 네비게이터 이동한 다음 사용자 정의 단축키를 입력한다.
이와같이 단축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단축번호(S15)와 상기 데이터메모리부(60)를 검색하여 기저장된 번호와 비교하는데, 이는 단축기능키 설정시에 동일번지의 저장된 전화번호(S16)를 회피하기 위한 것으로 당연히 일치할경우 표시부(40)로 경고알림을 통해 기등록된 전화번호가 있음을 알린다(S20).
상기 비교 결과 기저장된 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창에 표출된 기능들이 일괄 단축번호로 데이터메모리부(60)에 등록된다(S17). 이 등록된 단축키는 예컨데, 1번("전화번호부-최근발신번호보기"), 2번("일정관리-전자수첩")로 설정된다.
이후 키입력부(30)로터 등록된 단축번호(1번, 2번)가 길게 입력되면(S18) 표시부(40)에 해당메뉴가 일괄실행되어(S19) 표시부(40)에 기설정된 기능들이 곧바로 표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기능만을 모아서 암기하기 쉬운 특정번지에 기록할 수 있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향후 많은 부가기능이 부가되어도 개인이 선별적으로 유용한 기능만을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전화번호부 등 각종 기능들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 데이터메모리부와, 개인휴대용 단말기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부와, 그리고 키입력부와 표시부를 갖춘 개인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정의 단축키를 설정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메뉴키가 입력되면 메뉴창이 활성화되어 데이터메모리에 저장된 각종의 기능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메뉴창 표출중 단축키 설정을 위한 활용키도 동시에 표출되어 단축키 입력여부에 따라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을 진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단축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된 단축번호와 상기 데이터메모리부를 검색하여 기저장된 번호와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표시부에 경고알림을 통해 알리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비교 결과 기저장된 번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메뉴창에 표출된 기능들이 일괄 단축번호로 상기 데이터메모리부에 등록되는 제4과정과,
    키입력부로터 상기 제4과정에서 등록된 단축번호가 입력되면 표시부에 해당메뉴가 일괄실행되어 표시부에 표출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사용자 정의 단축키 설정은 메뉴창에서표출되는 모든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1020000030939A 2000-06-05 2000-06-05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Ceased KR20010110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39A KR20010110034A (ko) 2000-06-05 2000-06-05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0939A KR20010110034A (ko) 2000-06-05 2000-06-05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034A true KR20010110034A (ko) 2001-12-12

Family

ID=19671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939A Ceased KR20010110034A (ko) 2000-06-05 2000-06-05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1003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827A (ko)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단축키 지정 방법
KR20030056557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100424475B1 (ko)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40037381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선택방법
KR100605996B1 (ko) * 2004-04-27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64112B1 (ko) * 2004-02-2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KR100775628B1 (ko) * 2000-06-16 2007-11-1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휴대전화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628B1 (ko) * 2000-06-16 2007-11-1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휴대전화기
KR20030042827A (ko) * 2001-11-24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단축키 지정 방법
KR20030056557A (ko) * 2001-12-28 2003-07-04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100424475B1 (ko) * 2002-01-10 2004-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단축키를 이용한 통신 기능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40037381A (ko) * 2002-10-28 2004-05-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선택방법
KR100664112B1 (ko) * 2004-02-20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실행 방법
KR100605996B1 (ko) * 2004-04-27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855B1 (ko) 다이얼 셔틀을 사용하여 옵션을 선택하는 통신 터미널 장치 및 방법
US8127250B2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tems in a mobile device
KR10046010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검색 방법.
US6198939B1 (en) Man machine interface help search tool
KR2004004889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지능적 검색 및 선택 기능
KR1006861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10110034A (ko)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KR200500828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핫키 설정 방법
KR20080088090A (ko) 메인 메뉴와 서브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이동통신단말의메뉴 표시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
KR100417194B1 (ko) 이동 전화기에서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121531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방법
KR100806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100665815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통합검색/바로실행방법
JP3487816B2 (ja) 無線携帯端末及びその電話番号表示方法
KR10060878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정보 검색방법
JP2001285450A (ja) 携帯電話機の検索電話番号表示方法及び装置
KR100479588B1 (ko)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KR20030056557A (ko)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바로 가기 방법
KR100712843B1 (ko)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500558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60564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번호 이동방법
KR2004003738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메뉴 선택방법
JP2000278385A (ja) 携帯電話端末とサービス機能短縮呼出方法
KR20010097353A (ko) 무선 전화기의 다이얼 정보 검색화면 표시방법
KR20070056832A (ko) 단축 문자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