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2843B1 -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12843B1 KR100712843B1 KR1020040097564A KR20040097564A KR100712843B1 KR 100712843 B1 KR100712843 B1 KR 100712843B1 KR 1020040097564 A KR1020040097564 A KR 1020040097564A KR 20040097564 A KR20040097564 A KR 20040097564A KR 100712843 B1 KR100712843 B1 KR 1007128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shortcut key
- key
- menu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4—Additional connecting arrangements for providing access to frequently-wanted subscribers, e.g. abbreviated dial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3—Predictive input, predictive dialling by comparing the dialled sequence with the content of a telephone dir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6)
- 키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수행되는 서비스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표시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특수문자와 조합된 숫자가 입력된 경우 상기 숫자를 단축키나 메뉴번호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인식된 메뉴번호로 이동하여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 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마이컴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일 때 상기 특수문자와 조합된 숫자가 입력될 경우 상기 숫자를 단축키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 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마이컴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뉴선택모드일 때 상기 특수문자와 조합된 숫자가 입력될 경우 상기 숫자를 선택 가능한 메뉴의 번호로 인식하고 메뉴번호에 해당하는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 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로 특수문자와 조합된 숫자가 입력되는 제1 단계와;상기 제1 단계에서 입력된 숫자를 단축키나 메뉴번호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단축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거나 인식된 메뉴번호로 이동하여 해당 서비스를 실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상기 제2 단계 전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있는지 또는 메뉴선택모드에 있는지 파악하는 모드 파악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모드 파악단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 입력된 숫자를 단축키로 인식하고 단축키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과정과; 메뉴선택모드에 있는 경우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메뉴의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7564A KR100712843B1 (ko) | 2004-11-25 | 2004-11-25 |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7564A KR100712843B1 (ko) | 2004-11-25 | 2004-11-25 |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8498A KR20060058498A (ko) | 2006-05-30 |
KR100712843B1 true KR100712843B1 (ko) | 2007-05-02 |
Family
ID=3715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756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2843B1 (ko) | 2004-11-25 | 2004-11-25 |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128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9231A (ko) * | 2000-12-30 | 2002-07-12 | 정장호 |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KR20030021766A (ko) * | 2001-09-07 | 2003-03-15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
KR20040024729A (ko) * | 2002-09-16 | 2004-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축키를 활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KR20040037998A (ko) * | 2002-10-31 | 2004-05-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메뉴 설정 및 단축키를 이용한메뉴 선택 방법 |
-
2004
- 2004-11-25 KR KR1020040097564A patent/KR10071284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9231A (ko) * | 2000-12-30 | 2002-07-12 | 정장호 | 이동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KR20030021766A (ko) * | 2001-09-07 | 2003-03-15 | (주) 엘지텔레콤 |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
KR20040024729A (ko) * | 2002-09-16 | 2004-03-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구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축키를 활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KR20040037998A (ko) * | 2002-10-31 | 2004-05-08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메뉴 설정 및 단축키를 이용한메뉴 선택 방법 |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1020020059231 |
1020030021766 * |
1020040024729 * |
102004003799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8498A (ko) | 2006-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4526B2 (en) |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al registration method and dial registration program therefor | |
KR100201942B1 (ko) | 국가번호 및 지역번호 다이얼 방법. | |
KR100480290B1 (ko) | 휴대폰의 폰 북을 이용한 다이얼링 방법 | |
KR100686159B1 (ko) |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 |
KR20020007852A (ko) | 휴대폰의 문자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 |
KR100712843B1 (ko) | 숫자 및 문자조합의 단축키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 |
KR20010110034A (ko) | 개인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정의 단축키 설정방법 | |
KR100581827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 |
KR100608762B1 (ko) | 전화 번호 순차 검색에 의한 전화 연결 방법 | |
KR100455171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 |
KR100608828B1 (ko) | 단축다이얼 전화번호 등록방법 | |
KR100700289B1 (ko) | 핸드폰의 전화 걸기 방법 | |
KR100638216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입력방법 | |
KR100754663B1 (ko) |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 |
KR100724409B1 (ko) | 통신 단말의 단축 키 등록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이용한통신 방법과 상기 단축 키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 | |
KR100652635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 |
KR100479588B1 (ko) | 단말기의 정보 검색 방법 | |
KR100713450B1 (ko)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검색방법 | |
KR20000059719A (ko) |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통신용 단말기 시스템 | |
JP2002297580A (ja) | 携帯電話機 | |
KR970010837B1 (ko) | 전화기의 한글 저장 방법 | |
KR100585787B1 (ko) | 단축버튼을 이용한 호출 방법 | |
KR20060056603A (ko) |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 |
KR20040018046A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 화면 설정 방법 | |
KR20060011630A (ko) |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04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3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