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94964A -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 Google Patents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964A
KR20010094964A KR1020010012223A KR20010012223A KR20010094964A KR 20010094964 A KR20010094964 A KR 20010094964A KR 1020010012223 A KR1020010012223 A KR 1020010012223A KR 20010012223 A KR20010012223 A KR 20010012223A KR 20010094964 A KR20010094964 A KR 2001009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take passage
communication path
combustion engin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3873B1 (ko
Inventor
스즈키오사무
다카하시야스시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9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3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387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2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 F02D9/16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slidably-mounted valve members; having valve members movable longitudinally of conduit the members being rot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서, 중간 개도시에 발생하는 소용돌이를 작게 하여, 유동 저항을 저감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내부에 흡기 통로(12a, 12b)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12a, 12b) 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축선(12c)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14)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12d)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11)과, 이 밸브 케이싱(11)의 회전체 오목부(12d)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13)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11)의 회전체 오목부(12d)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 통로(12a)와 하류측 흡기 통로(12b)를 연통하는 연통로(15)가 상기 밸브 본체(13)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연통로(15)에서 이 연통로(15)의 중심 축선(1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이 밸브 본체(13)의 회전 바깥면의 한쪽에만 도달하는 관통 구멍(18)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Rotary throttle valve for spark ignition typ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특히 유동 저항을 저감한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로서, 일본 실공평 4-4739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가 발표되고, 또 실시되고 있다.
도 12는 이와 같은 종래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의 일례의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도 13의 ⅩⅡ-ⅩⅡ 화살표도),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화살표 단면도, 도 14는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01은 밸브 케이싱이고, 내부에 흡기통로(02a, 0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싱(01)은, 또 상기 흡기통로(02a, 02b)의 중심 축선(02c)과 교차하는 선(04)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0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통형상의 오목부에 원주 형상의 밸브 본체(03)가 상기 축선(04)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본체(03)에는 상기 밸브 케이싱(0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02d)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02a)와 하류측 흡기통로(02b)를 연통하는 연통로(0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본체(03)의 연통로(05)의 바깥측 벽 부분(06a, 06b)은, 도 14에 도시된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 상기 밸브 케이싱(0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02d) 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0 중의 07은 아이들링시의 유로이다.
상기와 같은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는, 유로 내에 장해물이 없기 때문에, 완전히 열린 상태의 흐름은 이상적이지만, 중간 개도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로(05)의 외측벽 부분(06a, 06b)이 유로 내에 돌출하는 한편,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 외측벽 부분(06a, 06b)을 수용한 밸브 케이싱(01)의 원통형상의 오목부(02)가 유로에 개방되므로, 소용돌이(a,b,c,d)가 발생하여 유동저항이 증가하여 압력손실이 발생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이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와 하류측 흡기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연통로에서 이 연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이 밸브 본체의 회전 바깥면의 한쪽에만 도달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중간 개도시, 관통 구멍을 통해, 연통로에 흘러들어가는 흐름에 의해 소용돌이의 일부가 작아지고, 따라서 중간 개도시의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관통 구멍의 밸브 본체 둘레 방향의 치수는, 상기 흡기 통로 직경의 1/3∼2/3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나, 중간정도 열린 때의 어느 경우에서도, 유로 내의 소용돌이, 더 나아가서는 유동저항이 커지지 않고, 소정 유량이 확보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 통로와 하류측 흡기 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의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흡기 통로는 나팔 형상으로 하류를 향해 단면적이 감속하고 있고, 그 경사진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 상류측 흡기 통로의 축선과 밸브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또 깊이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벽의 두께를 넘지않는 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중간 개도시, 연통로에 흘러들어가는 흐름의 소용돌이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중간 개도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이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와 하류측 흡기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연통로에서 이 연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이 밸브 본체의 회전 바깥면의 한쪽에만 도달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상류측 흡기 통로가 나팔 형상으로 하류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고 있고, 그 경사진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 상류측 흡기통로의 축선과 밸브의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또 깊이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벽의 두께를 넘지 않는 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중간 개도의 상태에서는 소용돌이를 작게 하여, 유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도 2의 선Ⅰ-Ⅰ을 따라 절취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Ⅴ-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도 7의 Ⅵ-Ⅵ 화살표),
도 7은 도 6의 선 Ⅶ-Ⅶ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8은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선 Ⅹ-Ⅹ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 개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의 일례의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도시한 정면도(도 13의 선ⅩⅡ-ⅩⅡ을 따라 절취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선 ⅩⅢ-ⅩⅢ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14는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01, 11, 21 : 밸브 케이싱 02a, 12a, 22a, 32a : 상류측 흡기통로
02b, 12b, 22b : 하류측 흡기통로
02c, 12c, 22c, 32c : 흡기통로의 중심 축선
02d, 12d, 22d : 원통형상의 오목부
03, 13, 23, 33 : 밸브 본체 04, 14, 24, 34 : 회전 축선
05, 15, 25, 35 : 연통로 15a, 35a : 연통로의 중심 축선
06a, 06b, 16a, 16b, 26a, 26b, 36a, 36b : 외측벽 부분(밸브 벽)
07, 17, 27 : 아이들링시 유로 18, 38 : 관통구멍
29, 39a, 39b : 홈 a, b, c, d, e, f : 소용돌이
W : 관통구멍의 치수 D : 흡기통로의 직경
s : 홈의 깊이 t : 밸브 벽의 두께
(실시형태 1)
이하, 본 출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출원 발명의 실시의 일형태인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도 2의 선Ⅰ-Ⅰ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선Ⅱ-Ⅱ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선 Ⅴ-Ⅴ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11은 밸브 케이싱이고, 내부에 흡기통로(12a, 1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싱(11)은, 또 상기 흡기통로(12a, 12b)의 중심 축선(12c)과 교차하는 선(14)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1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통 형상의 오목부에 원주 형상의 밸브 본체(13)가 상기 축선(14)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본체(13)에는 상기 밸브 케이싱(1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12d)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 통로(12a)와 하류측 흡기 통로(12b)를 연통하는 연통로(1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본체(13)의 연통로(15)의 바깥측 벽 부분(16a, 16b)은, 도 3에 도시된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 상기 밸브 케이싱(1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12d)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중의 17은 아이들링시의 유로이다.
이상은, 상기 도 12 내지 도 15에 의해 설명한 종래의 것과 같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본체(13)의 연통로(15)에서 이 연통로의 중심축선(1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대향하는 두 개의 밸브벽(16a, 16b) 중 한 쪽(16a)을 관통하여, 밸브 본체(13)의 회전 바깥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18)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이 구성되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간 개도시, 관통 구멍(18)을 통해 연통로(15)에 흘러들어가는 흐름에 의해, 소용돌이(a, c)가 작아진다. 따라서, 중간 개도시의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밸브가 완전히 열린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구멍(18) 내에 소용돌이(e)가 발생하는데, 이 소용돌이는 작아, 압력손실은 미소하다. 또, 도 2에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가 완전히 닫힌 때에는 다른 쪽의 밸브 벽(16b)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는 것은 물론이다.
관통 구멍(18)의 밸브 본체(13) 둘레 방향의 치수(W)는, 흡기 통로(12a, 12b)의 직경(D)의 1/3 이상, 2/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3을 넘으면, 도 3에 도시된 밸브가 완전히 열린 때의 소용돌이(e)가 커져 유동저항이 증가하고, 1/3 미만이면, 도 4에 도시된 중간 개도시의 소용돌이(a, b, c)가 커져, 압력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도 6은 본 출원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인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가 완전히 닫힌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도 7의 선 Ⅵ-Ⅵ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선Ⅶ-Ⅶ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8은 마찬가지로 완전히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마찬가지로 반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선Ⅹ-Ⅹ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서, 21은 밸브 케이싱으로, 내부에 흡기통로(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케이싱(21)은, 또 상기 흡기통로(22a, 22b)의 중심 축선(22c)과 교차하는 선(24)을 축선으로 하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22d)가 형성되어 있고, 그 원통형상의 오목부에 원주 형상의 밸브 본체(23)가 상기 축선(24)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본체(23)에는 상기 밸브 케이싱(2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22d)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22a)와 하류측 흡기통로(22b)를 연통하는 연통로(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본체(23)의 연통로(25)의 바깥측 벽 부분(26a, 26b)은, 도 7에 도시된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에, 상기 밸브 케이싱(21)의 원통 형상의 오목부(22d)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5 중의 27은 아이들링시의 유로이다.
이상은, 상기 도 12 내지 도 15에 의해 설명한 종래의 것, 및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설명한 상기 제1 실시형태와 같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측 흡기통로(22a)는, 나팔(trumpet) 형상으로 하류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고 있고, 그 경사진 벽면의 일부에, 상류측 흡기통로의 중심 축선(22c)과 밸브의 회전축선(24)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한 홈(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홈(29)의 깊이(s)는, 상기 밸브 본체(23)의 밸브 벽(26b)의 두께(t)를 넘지 않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중간 개도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로(25)에 흘러들어가는 흐름의 소용돌이(b)를 작게할 수 있고, 따라서, 중간 개도의 유동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밸브가 완전히 열린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9)의 하류 단부에서 소용돌이(f)가 발생하는데, 이 소용돌이는 작아, 압력손실은 미소하다. 또, 홈(29)의 깊이(s)가 밸브벽(26b)의 두께(t)를 넘지 않기 때문에, 밸브가 완전히 닫힌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는 완전히 차단된다.
(실시형태 3)
다음에,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중간 개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밸브 본체(33)의 연통로(35)에서 동 연통로의 중심축선(3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고, 대향하는 두 개의 밸브 벽(36a, 36b) 중 한쪽의 36a를 관통하여, 밸브 본체(33)의 회전 바깥면에 이르는 관통 구멍(38)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나팔 형상의 입구 통로(32a)의 경사진 벽면의 두 지점에, 상류측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32c)과 밸브의 회전 축선(34)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또 깊이가 밸브 본체(33)의 밸브벽(36a, 36b)의 두께를 넘지 않는 홈(39a, 39b)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중간 개도의 상태에서는, 소용돌이(a, b, c)를 모두 작게 하여,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발명의 실시의 여러 형태에서는, 모두 밸브 케이싱에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원주 형상의 밸브 본체가 끼워맞추어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들의 오목부와 밸브 본체의 형상은, 특히, 원통과 원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구형·통형·원추형 등, 목적이나 조건에 따라 여러 회전체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간 개도시, 관통 구멍을 통해, 연통로에 흘러들어가는 흐름에 의해 소용돌이의 일부가 작아지고, 따라서 중간 개도시의 압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가 완전히 열렸을 때나, 중간정도 열린 때의 어느경우에서도, 유로 내의 소용돌이, 더 나아가서는 유동저항이 크지 않고, 소정 유량이 확보된다.

Claims (4)

  1.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이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 통로와 하류측 흡기 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본체의 연통로에서 이 연통로의 중심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이 밸브 본체의 회전 바깥면의 한쪽에만 도달하는 관통구멍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의 밸브 본체 둘레 방향의 치수는, 상기 흡기 통로의 직경의 1/3∼2/3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3.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와 하류측 흡기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상류측 흡기 통로는 나팔 형상으로 하류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고 있고, 그 경사진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 상류측 흡기 통로의 축선과 밸브의 회전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또 깊이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벽의 두께를 넘지 않는 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4. 내부에 흡기 통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흡기 통로중에 이 흡기 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선을 축심으로 하는 회전체 오목부가 형성된 밸브 케이싱과, 이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맞추어진 회전체 형상의 밸브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케이싱의 회전체 오목부를 사이에 끼운 상류측 흡기통로와 하류측 흡기통로를 연통하는 연통로가 상기 밸브 본체에 설치된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의 연통로에서 이 연통로의 중심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지향하여 이 밸브 본체의 회전 바깥면의 한쪽에만 도달하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상류측 흡기 통로는 나팔 형상으로 하류를 향해 단면적이 감소하고 있고, 그 경사진 벽면의 적어도 일부에 이 상류측 흡기통로의 축선과 밸브의 회전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고, 또 깊이가 상기 밸브 본체의 밸브 벽의 두께를 넘지 않는 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KR10-2001-0012223A 2000-03-30 2001-03-09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0453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4359 2000-03-30
JP2000094359A JP2001280161A (ja) 2000-03-30 2000-03-30 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回転体型スロットル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964A true KR20010094964A (ko) 2001-11-03
KR100453873B1 KR100453873B1 (ko) 2004-10-20

Family

ID=18609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223A Expired - Fee Related KR100453873B1 (ko) 2000-03-30 2001-03-09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61160B2 (ko)
EP (2) EP1138895B1 (ko)
JP (1) JP2001280161A (ko)
KR (1) KR100453873B1 (ko)
CN (1) CN1165676C (ko)
DE (2) DE60117312T2 (ko)
ES (2) ES2277307T3 (ko)
ID (1) ID29712A (ko)
TW (1) TW4759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21314A1 (it) * 2002-06-13 2003-12-15 Silfra Spa Rubinetto temporizzato provvisto di mezzi per la variazione continua del tempo di erogazione e della portata
DE10236393A1 (de) * 2002-08-08 2004-03-04 Pierburg Gmbh Ansaugkanalsystem
US6712040B1 (en) * 2003-01-21 2004-03-30 John Giffin Variable throttle valve
US7478800B2 (en) * 2005-03-04 2009-01-20 Central Coast Patent Agency, Inc. Anti-back-streaming carburetor valve
JP2007239463A (ja) * 2006-03-03 2007-09-20 Komatsu Zenoah Co 2サイクルエンジン
JP2008069767A (ja) * 2006-08-17 2008-03-27 Walbro Japan Inc 層状掃気用気化器
JP2008088835A (ja) * 2006-09-29 2008-04-17 Denso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EP1939432A1 (en) * 2006-12-29 2008-07-02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Servo controlled valve with cylindrical shutter for adjusting the intake air flow rat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882274B (zh) * 2015-06-12 2017-09-26 国网山西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可释放内部压力的电力电容器装置
JP2020012437A (ja) * 2018-07-19 2020-01-2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気装置および吸気流制御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9828B2 (ja) * 1978-11-20 1985-07-12 株式会社ウオルブロ−・フア−イ−スト ロ−タリスロットル弁式気化器
FI72584C (fi) * 1985-09-04 1987-06-08 Neles Oy Ventil.
DE4007260A1 (de) * 1990-03-08 1991-09-12 Bosch Gmbh Robert Drehsteller
JPH0447396A (ja) 1990-06-12 1992-02-17 Matsushita Refrig Co Ltd カップ式飲料自販機の原料攪拌装置
US5105784A (en) * 1991-04-08 1992-04-2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valve and system for duration and phase control
US5474046A (en) * 1994-03-07 1995-12-12 Corona; Jose M. B. Fuel injection system
US5749335A (en) * 1996-07-15 1998-05-12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Barrel throttle valve
DE19634299A1 (de) * 1996-08-24 1998-02-26 Motoren Werke Mannheim Ag Gasmotor mit Walzen-Drehschieber
JPH10274062A (ja) * 1997-03-31 1998-10-13 Nissan Diesel Motor Co Ltd 排気ブレーキ装置
JP3952229B2 (ja) * 1997-11-07 2007-08-01 日本ウォルブロー株式会社 膜型気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9885B1 (en) 2006-12-20
EP1138895A3 (en) 2003-03-05
CN1165676C (zh) 2004-09-08
DE60125430T2 (de) 2007-04-19
US6561160B2 (en) 2003-05-13
ID29712A (id) 2001-10-04
ES2277307T3 (es) 2007-07-01
DE60125430D1 (de) 2007-02-01
EP1559885A3 (en) 2005-11-16
CN1319720A (zh) 2001-10-31
DE60117312D1 (de) 2006-04-27
EP1559885A2 (en) 2005-08-03
TW475971B (en) 2002-02-11
US20010035156A1 (en) 2001-11-01
JP2001280161A (ja) 2001-10-10
EP1138895A2 (en) 2001-10-04
ES2258993T3 (es) 2006-09-16
EP1138895B1 (en) 2006-02-22
KR100453873B1 (ko) 2004-10-20
DE60117312T2 (de)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3873B1 (ko) 불꽃 점화식 내연기관의 회전체형 스로틀 밸브
WO2001005211A3 (en) Gate valve
JP2686999B2 (ja) バルブ用密閉部材
AU2007276060A1 (en) Intake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0778927B1 (en) Butterfly valve assembly
US6016780A (en) Air intake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32894A (en) Variable air intake device
US5060616A (en) Intake system for multiple-valve engine
JPH03100327A (ja) ロータリー内燃エンジン
JP3819716B2 (ja) 気体流量制御装置
CN217177481U (zh) 旋塞阀、机动车空调的冷媒控制装置、机动车空调和机动车
JPH11351416A (ja) バタフライバルブ装置とそのバタフライバルブの組付方法
DK1125076T3 (da) Dobbeltisoleringsventil med rektangulære strømningspassager
JPH0515535Y2 (ko)
JP2007009795A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41299Y2 (ko)
JP2001280162A (ja) 火花点火式内燃機関の回転体型スロットル弁
JP2002317637A (ja) エンジン用可変吸気装置
KR100681065B1 (ko) V형 엔진의 흡기매니폴드 밸브 안착기구
JP3329405B2 (ja) 2バルブエンジンの吸気制御構造
JPH0717783Y2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H061938U (ja) バタフライバルブ
JPH109409A (ja) コック
JP2009002216A (ja) 内燃機関の吸気量制御装置
JP2002317638A (ja) エンジン用可変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10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4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40909

Appeal identifier: 2004101002065

Request date: 2004051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405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312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4090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805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8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8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