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72954A -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2954A
KR20010072954A KR1020017002388A KR20017002388A KR20010072954A KR 20010072954 A KR20010072954 A KR 20010072954A KR 1020017002388 A KR1020017002388 A KR 1020017002388A KR 20017002388 A KR20017002388 A KR 20017002388A KR 20010072954 A KR20010072954 A KR 2001007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block
message
information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드 에릭슨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ublication of KR2001007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295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04W52/028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switching on or off only a part of the equipment circuit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607Supply circuits
    • H04B1/1615Switching on; Switching off, e.g. remote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력 절약 대기 모드는 기지국이 반복된 데이터 워드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메시지의 제1 워드를 수신할 때, 이동 전화의 적어도 수신기에 공급되는 전력은 파워 다운된다. 수신 메시지의 디코딩, CRC 검사 및 MIN 비교는 수신기가 파워 다운된 후에 실행된다. 초기 파워 다운 프로시져는 이동 전화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EXTENDED SLEEP MODE METHOD AND APPARATUS}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은 각각 특정 통신 가능 지역 또는 셀을 가지며 다수의 이동형 또는 휴대용 전화(이후부터는 "이동 전화"라고 함)들과 통신하는 기지국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이동 전화가 호출을 발신하지도 않고 수신하지도 않을 때, 이동 전화는 "대기 모드"가 된다. 본래 대기 모드에서는 비활동적이지만, 이동 전화는 호출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가장 가까운 기지국에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AMPS(American Mobile Phone System) EIA-553 셀룰러 표준에서, 기지국들은 40-비트 워드 구조들을 대기 모드의 이동 전화에 송신한다. 워드 비트 구조들(또는 간단히 "워드들" 또는 "제어 워드들")은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으로 공지된 전화 번호를 메시지에 포함함으로써 호출된 이동 전화를 식별한다. 각각의 워드 비트 구조는 또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코드를 포함하는데, 그 값은 워드 비트 구조의 데이터 비트들에게 좌우된다. CRC 코드는 정확한 디코딩을검증하고 워드 비트 구조의 단일 비트 오류들을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40-비트 워드 비트 구조는 28개의 데이터 비트들과 12개의 CRC 비트들(예를 들면, BCH(Bose-Chaudhuri-Hocquenghem) 코드 비트들)로 구성된다.
상술된 워드 비트 구조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메시지 워드 구조(또는 간단히 "메시지")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개략적으로, 메시지 워드 구조는 "D" 및 "S"로 라벨된 프리앰블 비트-블록들을 포함한다. 프리앰블 후에, 상술된 워드 비트 구조가 여러번 반복된다. 즉, 메시지 워드 구조는 제1 40-비트 워드 "A"의 5번 반복 A1, A2, ... A5 및 제2 40-비트 워드 "B"의 5번 반복 B1, B2,... B5를 전달한다. A 및 B 워드들은 홀수 및 짝수 MIN들을 각각 갖는 이동 전화들을 위해 의도된 독립적인 메시지들에 속한다.
도 3은 도 2의 메시지 워드 구조의 초반부를 더 자세히 도시한 것이다. "도팅 시퀀스(dotting sequence)" D는 수신기에게 심볼 재동기 기회들(symbol resynchronization opportunities)을 제공하기 위해 의도된 1과 0이 교체되는 10-비트 블록이다. 심볼들은 맨체스터 코드를 사용하여 송신되는데, 여기서 "1"은 신호 업스윙 다음에 신호 다운스윙이 이어지는 것을 나타내고, "0"은 다운스윙 다음에 업스윙이 이어짐을 나타낸다. EIA-553 셀룰러 표준에서, 비트 레이트는 10kb/s이다. 맨체스터 코딩 후에 번갈아 나타나는 1들과 0들은 5 KHz 톤으로서 나타난다. 맨체스터 코딩 비트들은 무선 캐리어의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10-비트 도팅 시퀀스 앞에 단일 비트 통화/유휴 플래그가 주어져서, 도 2 및 도 3에 "D"로 라벨된 총 11개의 비트들이 제공된다. 도팅 시퀀스 다음에 통화/유휴 플래그가 앞선 11-비트 동기 워드가 와서, 도 2 및 도 3에 "S"로 라벨된 12개의 비트들이 된다. 또한, 각각의 반복 워드에서, 4개의 여분의 통화/유휴 비트들이 삽입되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4-비트 블록들을 이룬다. 따라서, 호출 채널 사이클의 총 비트들의 수는 1 + 10 + 1 + 11 + 2 ×5 ×(40 + 4) = 463 비트들이다.
MIN은 34 비트 길이이다. 따라서, 전화를 식별하는데는 2개의 호출 메시지들이 필요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IN의 처음 24개의 비트들은 제1 사이클(예를 들어, 제1 메시지 워드 구조)로 송신되고 MIN의 나머지 10개의 비트들은 제2 사이클(예를 들어, 제2 메시지 워드 구조)로 송신된다. 다중 워드 메시지의 제1 워드는 연속 워드들이 예측됨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연속 워드들은 연속 플래그 세트를 갖는다. 연속 플래그는 이동국이 홀수 또는 짝수 MIN을 갖는 여부에 따라 A 또는 B 워드에서 나타난다. 몇몇 경우에서 호출은 2개 보다 많은 워드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미 시작된 메시지의 연속인지 또는 새로운 메시지의 연속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제3 워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다른 가능한 메시지 타입들은 무시될 수 있는 단일 워드일 수도 있는 더미 메시지들 또는 충전 문자, 및 모든 이동 전화에 의해 프로세스될 1-워드 또는 다중-워드 방송 또는 "오버헤드" 메시지이다.
상술된 바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사용되는 NMT 표준, 영국에서 사용되는 ETACS 표준 및 상술되지 않은 다른 관련 표준들과 관련된다.
다중 "A" 및 "B" 워드들의 상술된 송신은 페이딩 및 충격 잡음과 같은 무선 채널의 왜곡에 대항하는 리던던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동 전화는 반복 메시지들을 수집한 후에 3/5 다수결 투표(majority voting)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디코드할 수 있다. 이는 BCH 프로세싱과 함께 효율적인 오류 검출 및 오류 보정을 제공한다.
상술된 프로토콜은 다수의 문제점들을 야기한다. 특히, 대기 모드에서, 이동 전화는 호출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 섹션을 동작시켜야만 한다. 말할 필요도 없이, 상기 모니터링 동작은 이동 전화의 배터리를 닳게 하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는 특히 소형 배터리들을 사용하는 소형 이동 전화에 관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터리 전원을 보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대기 모드에서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Harte의 유럽 특허 제 EP 0 473 465에 기술되어 있다. Harte는 수신되는 대로 각각의 메시지 반복을 독립적으로 디코드하고, CRC를 사용하여 정확한 디코딩을 위한 검사를 실행하고, 정확한 디코딩이 CRC 검사에 의해 표시되면, 수신 이동 전화의 MIN이 수신된 워드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전화를 제안한다. MIN이 수신된 워드에 존재하지 않으면, 다수의 메시지들의 경우에, 이동 전화는 다음 세트의 5개의 메시지 반복들이 끝날때까지 파워 다운한다. 따라서, 유럽 특허에 따라, 이동 전화는 반복들 중 첫번째 반복이 이동 전화의 MIN을 포함한다고 생각되지 않을 때마다 나머지 4개의 메시지 반복들을 위해 감소 전력 모드로 들어갈 수 있어서, 대기 모드에서 소비되는 배터리 에너지의 적어도 80%가 잠정적으로 절약된다. 또한, 이동 전화가 MIN이 수신 이동 전화의 MIN과 일치하지 않음을 메시지의 2개의 제어 워드들 중 첫번째 워드로부터 이미 식별했을 때, 이동 전화는 제2 워드를 프로세스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제2 워드의 5개 반복들 모두에 대해 파워 다운할 수 있다. 이는 대기 모드에서 잠정적으로 90%의 전력을 절약하게 한다.
상기 기술에서, 이동 전화가 제1 워드가 이동 전화에 속하지 않는다고 결정하면 이동 전화는 5개의 반복 워드들 모두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미국 EIA-553 표준의 다수결 투표를 사용하기에는 최적으로 설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무선 채널의 페이딩 및 다른 성능 저하와 직면했을 때 상기 기술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는 감소된 성능을 가질 수도 있다.
Croft 외 다수의 미국 특허 제5,568,513호("'513 특허")는 하트 기술을 개선한 것이다. '513 특허는 온전히 그대로 참조용으로 인용된다. '513 특허는 메시지를 검출할 때 이동 전화가 메시지 워드의 데이터 비트들과 검사 비트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누산기들을 리셋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반복 워드들의 처음 워드를 수신할 때, 이동 전화는 각각의 비트의 값들을 누산기들 중 대응하는 누산기에 가산한다. 그 후 누산기 내용들이 프로세스되어 누산기들의 데이터 비트들에 대응하는 값들이 검사 비트들에 대응하는 값들과 일관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검사 비트 프로세싱에 따라 검사 또는 비검사 지시가 생성된다. 비검사 지시가 생성되면, 워드의 다른 반복이 수신되고 그 비트 값들은 대응 누산기들에게 가산된다. 상기 기술은 모든 워드 반복들이 누산되거나 검사 신호가 생성될 때까지 상술된 프로세싱을 반복한다.
검사 지시가 생성될 때, 상기 기술은 워드의 나머지 반복들을 위해 이동 전화의 파트들을 파워 다운하고, 또한 누산기 값들을 프로세스하여서 워드 파트가 이동국의 식별 번호의 대응 파트와 일치하는지를 결정한다. 일치 또는 불일치 지시는 상기 프로세싱을 근거로 생성된다. 불일치 지시가 생성될 때, 상기 기술은 동일한 메시지의 나머지 워드들의 송신 존속 기간 동안 파워 다운된 이동 전화를 홀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513 특허는 감소 전력 소비라는 장점들을 갖지만, 페이딩 효과를 감소시키는 다수결 투표라는 중요한 특징을 잃게 된다.
상술된 기술들이 몇몇 장점들을 갖지만, 대기 모드의 이동 전화의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기 위해 본 기술 분야에서 개선될 여지가 남아 있다. 특히, 휴대용 전화의 수신기가 활성화된 기간을 더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여타 목적들은 정보의 제1 반복 블록을 수신한 후에 이동 전화의 수신기 유닛의 전력을 즉시 감소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디코딩, CRC 검사 및 MIN 비교가 이동 전화의 수신기가 파워 다운 되는 동안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을 포함하는데,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 전화들을 서브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정보 비트들의 반복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의 블록은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에 좌우되는 값들을 갖는 다수의 검사 비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술은 (a)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전화의 메시지 내의 제1 정보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b) 디코드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제1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는 단계; 및(c)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이 검사 비트들과 일치할 때 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해 디코드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사를 실행하고,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이 검사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비검사 지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유익한 특징에 따라, 수신 단계 후에, 그러나 디코딩 단계와 오류 검사 단계 전에, 이동 전화의 적어도 수신기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은 필요한 배터리 충전과 재충전 사이의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대기 모드의 이동 전화와 같은 휴대용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제부터 다음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공지된 표준에 따른 제어 워드의 비트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공지된 표준에 따른 송신 사이클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프리앰블 비트-블록 D 및 S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공지된 표준에 따른 MIN을 포함하는 2개의 워드들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양상들에 따른 플로우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포맷에 따라 송신된 메시지들을 수신 및 디코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전화 수신기의 일례의 블록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된 특정 프로토콜의 범위를 넘어서 적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감소 전력"이라는 문구(또는 그와 상등)의 사용은 단지 전력 레벨을 저하시켰다는것 뿐만 아니라 전력을 완전히 턴 오프함을 의미한다.
도 5에 도시된 수신기(100)는 일반적으로 안테나(102), 수신기 유닛(104), 복조기(106), 동기 검출기(108), 누산기(110), CRC 검사 회로(112), 메시지 프로세서(114), "MIN" 검출기(116) 및 제어 유닛(118)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18)은 수신기의 다른 구성 소자들에게 제공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듈(120)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118)은 불필요하게 본 명세서를 복잡하게 하지 않기 위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다수의 접속들을 통해 수신기의 다른 모듈들을 제어한다.
적어도 수신기 유닛(104)을 제외하고 상술된 프로세싱 유닛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별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와 개별 논리 회로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 계산들과 관련된 이득은 수신기 유닛(104)에 의해 요구된 전력에 비해 작다. 따라서, 주요한 목적은 적어도 수신기 유닛(104)이 동작하고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이동 전화의 수신기 유닛(104)은 프로세싱을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들을 수신, 증폭 및 필터한 후 신호들을 적합한 주파수로 다운컨버트한다. '513 특허에 기술된 맨체스터 코드 모뎀과 같은 복조기(106)는 신호들을 프로세스하여서 송신된 비트 극성들을 결정한 후, 프로세스된 비트들을 동기 검출기(108) 및 누산기(110)에 전달한다.
본 경우에, 동기 검출기(108)는 항상 필요한 것이 아님을 나타내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대부분의 AMPS 전화들은 슬리핑 기간 동안 순방향 제어 채널들과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화는 선행 도팅 및 동기 없이 적절한 워드의 반복(1)을 웨이크 업 할 수 있다.
누산기(110)(누적형 다수결 투표 회로)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의 40 비트들 각각에 대해 누적형 다수결 투표 디코딩을 제공한다. 따라서, 누산기(110)는 제어 워드의 각각의 비트를 위한 누산기를 포함하여서, 총 40개의 누산기들을 제공한다. 누산기(110)는 동기 검출기가 동기 워드 S가 다음에 이어지는 도팅 시퀀스 D를 검출할 때 동기 검출기(108)로부터 리셋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응답시, 누산기(110)의 40개의 개별 누산기들은 0으로 리셋된다. 일반적으로 누산기(110)는 제어 메시지의 제1 워드를 수신할 때 리셋된다.
다수결 투표는 보통은 홀수(3, 5, ...)의 반복들만을 위해 정의되지만 본 기술은 또한 짝수의 반복들에게도 다수결 투표를 실행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짝수의 반복들에 대한 다수결 투표 디코딩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드 다수결 투표 보다는 소프트 다수결 투표를 사용한다.
하드 다수결 투표에서, 데이터 비트는 불 값들 "0" 및 "1"에 대응하는 값 1 또는 -1로 표시된다. 반복된 데이터 비트의 분리 추정들은 그 후 수 가산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비트의 제1 추정이 +1이고, 제2 추정이 +1이고 제3 추정이 -1이면, 그 합은 1+1-1 = +1이 되어서 다수결 투표의 결과가 +1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하드 비트 결정에서 짝수를 결합할 때, 0이라는 비결정 값(예를 들어, 1+1-1-1=0)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드 다수결 투표는 원칙적으로 여전히 짝수의 반복들을 디코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결과가 비결정적인 경우 하나의 비트 극성 또는 다른 비트 극성을 임의대로 지정하여야만 한다.
소프트 다수결 투표에서, 비트는 (불 값들 0 및 1에 대한) 값들 1 또는 -1로 표시되지 않지만, 연속 측정에 의해 비트 극성의 신뢰성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0.9는 고 신뢰성을 갖는 "0"을 나타내고, 0.1은 저 신뢰성을 갖는 "0"을 나타내는 반면, -1.25는 매우 높은 신뢰성을 갖는 "1"을 나타내고 -0.05는 매우 낮은 신뢰성을 갖는 "1"을 나타낸다. 대응 비트들의 신뢰성 값들을 가산함으로써, 비트의 극성을 나타내는 정가(net) 또는 누적형 신뢰성 값이 획득되는데, 이 값은 홀수의 반복들 뿐만 아니라 짝수의 반복들에게도 유효하다. 소프트 비트 값들을 가산함으로써 정확히 0인 결과를 얻을 가능성은 작기 때문에, 항상 양수(또는 대안적으로 음수)인 0에 대한 임의 처리는 결과 오류 레이트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따라서 다소 덜 양호한 결과들을 갖는 하드 다수결 투표가 이용될 수도 있지만, 소프트 다수결 투표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양호한 기술이다.
CRC 검사 회로(112)는 제어 유닛(118)에 의해 활성화 되어서, 다수결 투표 회로들의 내용들을 프로세스하여 40-비트의 오류 없는 워드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CRC 검사 회로(112)는 누산기들의 소프트 비트 값들을 -1 또는 +1(불 값 1 또는 0)로 임시적으로 하드-양자화한(hard-quantizes) 후 증후를 계산하는데, 이는 종래 기술에 따라 CRC 다항식에 의한 워드의 다항식 나눗셈의 나머지이다. 모든 제로 증후는 오류 없는 워드를 의미한다. 40개의 0이 아닌 증후 값들은 선정된 가능한 단일-비트 오류 패턴들 중 하나에 대응하고, 모든 다른 증후 값들은 단일 비트 오류 이상에 대응한다. 28개의 데이터 비트들 또는 12개의 CRC 비트 위치들 중 하나의 단일-비트 오류를 야기하는 40개의 가능한 증후들 각각으로 0이 아닌 증후를 검사함으로써, 상기 단일-비트 오류가 발생했는지와 어디에서 발생했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그 후 비트 자체를 반전함으로써 보정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임의의 다른 0이 아닌 증후가 취해져서 데이터 비트들이 의존될 수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CRC 검사 회로(112)는 수신된 메시지에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이 없는 경우에, CRC 검사 회로(112)는 또한 메시지 프로세서(114)를 활성화시켜서 메시지 타입이 호출 메시지, 방송 메시지 또는 더미(충전 문자) 메시지인지를 검사한다. 메시지 프로세서(114)가 메시지가 호출 메시지라고 결정하면, MIN 검출기(116)를 활성화한다. MIN 검출기(116)는 워드가 수신 전화의 MIN의 적어도 한 파트를 포함하는지를 결정한다. 수신된 MIN 비트들이 수신 전화의 MIN의 대응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으면, MIN 검출기(116)는 "MIN이 아님" 이라는 표시를 생성한다.
파워 다운 유닛(120)은 적어도 메시지 타입의 표시와 MIN 검출기(116)의 출력 둘 다를 수신한다. 파워 다운 모듈(120)은 그 후 수신기(100)의 특정 파트들이 셧 다운되어야만 하는지와 얼마 동안 셧 다운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호출 메시지의 MIN이 전화의 MIN과 일치하지 않으면, 수신기(104) 및 관련 회로(예를 들면, 누산기(110), CRC 검사 회로(112), 등)에 제공되는 전력은 남은 메시지를 위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히 유익한 양상에 따라, 파워 다운 제어 모듈(120)은 송신된 정보의 초기 워드가 수신된 직후에 적어도 수신기 유닛(104)에 공급되는 전력을 감소시킨다. 수신기의 다른 모듈들(예를 들면, 복조기(106), 누산기(110), CRC 검사 회로(112), MIN 검출기(116), 등)은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후자에 언급된 모듈들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양호하게 구현되기 때문에, 수신기 유닛(104) 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따라서, 계속된 동작이 배터리 소모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초기 워드가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을 포함한다고 결정되면, 수신기(104)는 제어 워드의 처음 가능한 반복으로 시작해서 다른 워드를 수신하도록 다시 턴 온된다. 이상적으로 이는 제어 워드의 제2 반복이지만, 잠정적인 수신기 한계 때문에 더 나중의 반복, 예를 들면, 제3 반복일 수도 있다. 그 후 수신기 유닛(104)으로의 전력은 즉시 셧 오프된다.
일단 수신되면, 제2 워드로부터 획득된 40-비트 값들은 다수결 투표 회로들에게 가산된다. 따라서, 제2 반복의 마지막의 다수결 투표 회로(110)는 제1 및 제2 워드 반복들(상술된 바와 같이, 연속 반복들일 필요가 없음. 예를 들면, 제어 워드들 A1 및 A2일 필요가 없음)의 대응 비트 값들의 합을 포함한다. 소프트 비트 값들이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될 때, 결과 40개의 값들은 반복 자체 보다는 높은 보정 신뢰성을 갖는 40-비트 워드를 나타낸다. 하드 비트 값들이 대신 누산되면, 결과 값들은 반드시 보정 워드를 제공할 확률이 높을 필요가 없지만, 적어도 독립적으로 보정될 확률을 갖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반복들 후에 오류 없는 워드가 검출될 누적 확률은 제1 반복 자체에서 검출될 확률 보다 높다.
그 후 누산기(110)의 누산된 내용들은 프로세싱을 위해 CRC 검사 회로(112)에 송신된다. 메시지가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을 포함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제어 워드는 상술된 방식으로 프로세스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호출 타입의 메시지라고 결정되면, 메시지는 MIN 비교를 위해(이동 전화가 호출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MIN 검출기(116)에게 발송된다.
제2 CRC 검사가 오류 없는 메시지를 나타내지 않으면, 제3 메시지 반복이 수신되고 다수결 투표 회로들(110)에게 누적으로 가산되어 CRC가 소정의 스테이지에서 검사하거나 모든 5개의 메시지 반복들이 고갈될 때까지 계속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장점은 적어도 수신기 유닛(104)의 전력이 워드 수신 뒤에 즉시 턴 오프된다는 점이다. 대조적으로, '513 특허는 CRC 검사 회로에 의해 오류 없는 워드가 표시된 후에만 전력을 턴 오프한다. 하트 기술은 MIN 비교가 실행된 후에만 전력을 턴 오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다 호율적인 전력 사용을 잠정적으로 제공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확장 슬리프 모드 기술을 플로우챠트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제어 기능들은 적합하게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18)은 다음과 같이 기술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를 기억하는 ROM(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는 이동 전화가 예를 들어 이동 전화의 스위치-온 또는 이전 호출의 종료시 대기 모드로 들어가는 단계(200)에서 시작한다. 단계(202)에서 이동 전화는 상술된 특정 확장 모드(전력이 워드 수신후에 즉시 감소됨)가 사용될 지를 결정한다. 특정 확장 모드가 활성화되지 않으면, 단계(204)에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대기 프로세싱 모드들이 활성화된다. 다른 대기 모드들은 슬리프 모드 프로세싱이 실행되지 않는 제1 대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에서, 5개의 반복들 각각이 이동 전화에 의해 수신되어 프로세스된다. 제2 대기 모드는 하트에 의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제3 대기 모드는 '513 특허에 의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가 간헐적으로만 동기화되기 때문에, 슬리프 모드들을 사용하는 것은 오류 없는 메시지 수신을 보다 어렵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슬리프 모드에서 동작할 때, 이동 전화는 이동 전화의 논-슬리프 동작 모드에 비해 보다 적은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결정을 근거로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이 저조할 때 슬리프 모드로부터 종래의 (논-슬리프)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셀에 과도한 양의 간섭이 존재할 때, 무선 채널의 품질은 셀 경계 부근에서 저조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은 다수의 방법들로 평가될 수 있다. 이동 전화는 RSSI 측정치 또는 몇몇 신호 대 간섭 비율과 같은 다양한 신호 강도 측정치들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을 결정한다. 또한, 이동 전화는 이전 메시지들에서 수신된 오류들의 통계 측정치를 평가할 수 있고, 상기 통계 측정치를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지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산기(110)에 기억된 신뢰성 정보는 무선 채널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강도 기준 및 통계 오류 기준 측정치들의 몇몇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확장 슬리프 모드가 활성화되어 있다고 가정되면, 프로세싱은 파워 다운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206)로 진행한다. 이 간격은 (호출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동 전화가 언제 웨이크 업 하여서 제어 워드를 수신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한 실시예에서, 웨이크 업 시간 간격은 '513 특허에서처럼 이동 전화가 웨이크 업 해서 도팅 및 동기화 코드들을 포함하는 메시지의 제1 워드를 수신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웨이크 업 시간 간격은 이동 전화가 웨이크 업 해서 메시지의 제1 워드만을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후자의 실시예는 이동 전화들이 슬리핑때 높은 정도의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단계(208)에서, 이동 전화는 설정된 슬리프 시간 간격이 끝났는지를 (transpire) 결정한다. 끝나지 않았으면, 이동 전화는 슬리프 모드를 유지한다. 간격이 끝났으면, 알고리즘은 단계(210)로 진행하여, 메시지의 제1 워드가 수신된다. 제1 워드는 이동 전화의 MIN이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인식함으로써 (예를 들어, 필요한 경우 데이터의 블록을 스킵함으로써) 결정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전화는 제어 워드만을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동기화 프리앰블을 수신할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에, 제1 워드를 수신한 직후에, 적어도 수신기 유닛(104)은 파워 다운된다. 이동 전화의 남은 프로세싱이 적합하게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양호하게 실행되는데, 이는 수신기 유닛(104)과 같이 수신기의 개별적인 구성 소자들에 비해 거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 워드의 데이터는 그 후 단계(214)에서 디코드되는데, 그 동안 수신기 유닛(104)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동기화가 이용되면, 디코딩은 동기화 단계(216)를 수반한다. 특히, 중앙 타이머는 도팅 D 및 동기 S 워드들을 탐색하기 위해 특정 윈도우에서 수신기를 파워 업하도록 설정된다. 윈도우는 다음 동기화가 예측되기 전에 고정된 시간에서 시작하여서 그 후 고정된 시간, 예를 들면, ±하나의 심볼에 끝난다.
제1 워드를 디코딩할 때(단계(218)의 n = 1로 설정된 바와 같이), 누산기(110)의 카운터들은 0으로 리셋된다. 알고리즘은 그 후 단계(220)에서 누산기(110)에 제1 워드를 기억시킨다.
다음 단계(224)에서, CRC 검사가 누산기(110)의 내용들을 근거로 실행된다. CRC 검사가 (단계(226)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이 존재한다고 나타내면, 프로세싱은 단계(228)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알고리즘은 (n = n + 1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른 워드를 판독하려고 한다. 그러나, (단계(230)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최대 수의 워드들이 이미 판독되었다면, 누산 루틴은 중단되고 프로세싱은 단계들(202, 206)로 복귀한다. 모든 반복들이 누산되지 않았고 CRC 검사 후에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이 있으면, 프로세스는 단계(232)에서 수신기 유닛(104)을 파워 업하여서 다음 워드를 검출한다. 다은 워드는 그 후 단계(234)에서 검출된다. 다음 워드(n = n + 1)는 다음 세트의 비트들(상이한 타입의 메시지에 속함)을 스킵함으로써 결정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기의 한계 때문에, 다음 워드는 특정 메시지의 다음 연속 워드가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워드가 A1이면, 다음 워드는 A3, A4 또는 A5일 수도 있다.
다음 워드로부터의 비트들은 단계(224)에서 누산된다. CRC 검사는 그 후 누산기(110)의 갱신된 내용들을 근거로 다시 실행된다. CRC 검사가 여전히 보정되지 않은 오류들이 존재한다고 나타내면, 상술된 프로시져는 반복되고, 또 다른 "다음" 워드가 판독된다.
CRC 검사가 모든 5개의 반복들을 프로세싱하기 전이나 프로세싱한 후에 오류 없는 워드를 나타내는 경우에, 프로세싱은 단계(236)로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단계에서 메시지의 속성(즉, 타입)이 검사되어서 파워 다운 타이머가 얼마 동안 작동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메시지의 타입들은 다음과 같다:
1) 1-워드 호출,
2) 다중-워드 호출
3) 1-워드 충전 문자
4) 1-워드 방송/오버헤드 메시지, 또는
5) 다중-워드 방송.
메시지의 2개의 비트들은 단일-워드 메시지들, 다중-워드 메시지의 제1 워드 및 다중-워드 메시지의 연속 워드를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메시지 타입을 검사한 후에, 이동 전화는 다음 동기가 끝날때까지 파워 다음함으로써 송신 사이클의 나머지를 무시하거나, 또는 사이클 나머지 및 다음 사이클 전체를 무시하거나, 또는 1-워드 또는 2-워드 호출이 전화의 MIN 비트들을 포함한다고 검출되었기 때문에 대기 모드를 종료한다.
특히, 메시지가 단일 워드 충전 문자이면, 루틴은 (단계(202)를 경유하여)단계(206)로 진행하여서 파워 다운 타이머를 설정한다. 메시지가 단일 워드 방송 오버헤드 메시지이면, 워드는 기억되고 프로세스 된 후 서브루틴은 단계(206)로 복귀한다.
메시지가 단일 워드 호출이라고 결정되면, 플래그들은 클리어되고 처음 24개의 비트들은 이동 전화의 MIN과 일치하는지를 검사받는다. 일치하면, 이동 전화는 대기 모드를 종료한다. 24개의 비트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루틴은 단계(206)로 복귀한다.
상이한 타입들의 메시지들에게 실행되는 프로세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참조용으로 인용된 '513 특허에 기술되어 있다.
결론으로, 파워 다운 단계는본 발명에서 예를 들면 도 6A의 단계(212)에서처럼 비교적 일찍 실행됨을 주지하자. 대조적으로, '513 특허는 파워 다운 단계가 도 6B에 도시된 단계(226) 후에 실행되는 실시예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전화의 배터리의 보다 호율적인 사용을 잠정적으로 제공한다.
수신기 유닛(104)이 파워 다운되는 정확한 시간이 도 6A 및 도 6B에 특별히 규정된 시간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한 실시예에서, 수신기 유닛(104)이 적어도 디코딩, CRC 검사, 및 MIN 비교전에 파워 다운되는 것이 양호하다. 수신기(100)의 다른 모듈들도 역시 즉시 파워 다운 될 수 있다.
상술된 발명이 셀룰러 전화와 관련되어 기술되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파워 보존 장치 및 방법은 비퍼(beeper), 페이저(pager), 및 송신된 메시지 수신시 자체-식별이 가능한 이동국들 또는 고정국들을 갖는 임의의다른 시스템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지국이 리던던트 메시지들을 송신하고, 이동 전화가 상이한 스테이지들에서 일련의 프로세싱 단계들을 실행하는 시스템들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실시예에서, 수신기 유닛은 제1 메시지를 수신한 직후에 파워 다운된다.
기술된 기본 원칙들 및 청구 범위를 보유하는 다른 수정들 및 개선점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원리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Claims (24)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이동국들을 서브(serve)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정보 비트의 반복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의 블록은 상기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에 의존하는 값들을 갖는 다수의 검사 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서 상기 메시지 내의 제1 정보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디코드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는 단계;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 일치할 때 검사 지시(check indication)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디코드된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사를 실행하고,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비검사 지시(no-check indication)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 단계 후에, 그러나 상기 디코드 단계와 상기 오류 검사 단계 전에, 상기 이동국의 적어도 하나의 수신기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지시를 생성할 때,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나타내는 메시지가 어떤 타입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데이터 비트들이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일치할 때 일치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비트들이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때 불일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가 호출 메시지라고 결정될 때,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이동국의 식별 번호를 전달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불일치 신호를 생성할 때,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동국의 선택된 파트들에게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비검사 지시를 생성할 때,
    상기 수신기에 전력을 재인가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내의 다른 정보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기로의 전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다른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는 단계;
    누산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누산기에 상기 제1 정보 블록과 함께 상기 다른 정보 블록을 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누산 출력을 근거로 검사 지시 또는 비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누산 출력에 대한 오류 검사를 실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비검사 지시가 각각의 오류 검사 단계에서 생성되는 한, 그리고, 수신된 추가 블록들의 최대 수가 초과되지 않는 한, 추가 반복 블록들을 수신하고, 디코드하고, 누산하고, 오류 검사하는 단계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단계가 소프트 다수결 투표(soft majority voting)에 의해 상기 정보 비트들의 값들을 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단계가 하드 다수결 투표(hard majority voting)에 의해 상기 정보 비트들의 값들을 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단계가 정보 비트들의 반복 블록들의 제1 블록을 수신할 때 누산기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사 단계가 사이클 리던던시 검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품질 측정치를 생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또는 전력 감소 단계가 상기 품질 측정치가 선정된 기준을 만족시킬 때만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치가 수신된 신호의 RSSI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치가 상기 이동국에 의해 마주친 오류들의 통계 측정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동국들의 대기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상기 이동국들을 서브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정보 비트들의 반복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의 블록은 상기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에 의존하는 값들을 갖는 다수의 검사 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서 상기 메시지 내의 제1 정보 블록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
    디코드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 일치할 때 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디코드된 데이터를 검사하고,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비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사 수단; 및
    상기 수신기 수단이 상기 제1 블록을 수신한 후에, 그러나 상기 디코더 수단 및 상기 오류 검사 수단이 상기 제1 블록을 프로세스하기 전에, 적어도 상기 수신기 수단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지시를 생성할 때,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나타내는 메시지가 어떤 타입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 및
    데이터 비트들이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일치할 때 일치 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비트들이 이동국의 식별 번호와 일치하지 않을 때 불일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가 호출 메시지라고 결정될 때,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이동국의 식별 번호를 전달하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불일치 신호를 생성할 때,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이 선정된 기간 동안 상기 이동국의 선택된 파트들에게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6. 제13항에 있어서,
    비검사 지시를 생성할 때,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이 상기 수신기 수단에 전력을 재인가하고;
    상기 수신기 수단이 상기 메시지 내의 다른 정보 블록을 수신한 후,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이 상기 수신기 수단으로의 전력을 다시 감소시키며;
    상기 디코딩 수단이 상기 다른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고;
    누산 출력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 블록과 함께 상기 다른 정보 블록을 누산하기 위한 누산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류 검사 수단이 상기 누산 출력을 근거로 검사 지시 또는 비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누산 출력을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수단이 소프트 다수결 투표에 의해 상기 정보 비트들의 값들을 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수단이 하드 다수결 투표에 의해 상기 정보 비트들의 값들을 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누산 수단이 정보 비트들의 반복 블록들의 제1 블록을 수신할 때 누산기를 리셋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검사 수단이 사이클 리던던시 검사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1. 제13항에 있어서,
    품질 측정치를 생성하기 위해 무선 통신 채널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한 품질 측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제어 수단이 상기 품질 측정치가 선정된 기준을 만족시킬 때만 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치가 수신된 신호의 RSSI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 측정치가 상기 이동국에 의해 마주친 오류들의 통계 측정치와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4. 감소된 대기 전력 소비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이동국을 서브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은 정보 비트들의 반복된 블록들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각각의 블록은 상기 블록의 데이터 비트들에 의존하는 값들을 갖는 다수의 검사 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에서 상기 메시지 내의 제1 정보 블록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수단;
    디코드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정보 블록을 디코드하기 위한 디코딩 수단;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일치할 때 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디코드된 데이터를 검사하고, 상기 디코드된 제1 정보 블록의 상기 데이터 비트들이 상기 검사 비트들과 일치하지 않을 때 비검사 지시를 생성하기 위한 오류 검사 수단; 및
    상기 수신기 수단이 상기 제1 블록을 수신한 후에, 그러나 상기 디코더 수단 및 상기 오류 검사 수단이 상기 제1 블록을 프로세스하기 전에, 적어도 상기 수신기 수단에 인가되는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력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KR1020017002388A 1998-08-26 1999-08-20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 KR20010072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140,469 1998-08-26
US09/140,469 US6223047B1 (en) 1998-08-26 1998-08-26 Extended sleep mode method and apparatus
PCT/SE1999/001423 WO2000013327A1 (en) 1998-08-26 1999-08-20 Extended sleep mode method and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2954A true KR20010072954A (ko) 2001-07-31

Family

ID=22491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388A KR20010072954A (ko) 1998-08-26 1999-08-20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23047B1 (ko)
EP (1) EP1108290A1 (ko)
KR (1) KR20010072954A (ko)
CN (1) CN1168226C (ko)
AU (1) AU5889799A (ko)
WO (1) WO20000133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3297B1 (ko) * 1998-07-31 2001-09-24 윤종용 휴대폰의 전원절약방법
US9112579B2 (en) * 1998-11-03 2015-08-18 Gilat Satellite Networks Ltd. Switching VSAT transmitter with smart stand-by mode
US6363267B1 (en) * 1999-04-07 2002-03-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e terminal decode failure procedur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6606490B1 (en) 1999-08-10 2003-08-12 Intel Corporation Battery operated radio receivers having power save by reducing active reception time
IL134512A0 (en) * 2000-02-13 2001-04-30 Dspc Tech Ltd Offline acquisition method for cdma
KR100374568B1 (ko) * 2001-01-17 2003-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 파워오프 제어방법
US7301987B2 (en) 2001-02-08 2007-11-27 Intel Corporation Background processing and searching for a communication channel
US8160020B2 (en) * 2001-06-25 2012-04-17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ntrol
US8195187B2 (en) * 2001-06-25 2012-06-05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ntrol
US7061879B2 (en) * 2001-08-10 2006-06-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ing communication unit battery life
US6748247B1 (en) * 2002-03-12 2004-06-08 Winphori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of handling dormancy in wireless networks
US7099679B2 (en) * 2002-07-18 2006-08-29 Intel Corporation Method of saving power by reducing active reception time in standby mode
US7596366B2 (en) * 2002-12-31 2009-09-29 Temic Automotive Of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in a wireless client device
KR100830164B1 (ko) * 2003-09-04 2008-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슬립 모드와 어웨이크 모드간 천이 방법
EP1714443B1 (en) * 2004-02-06 2010-10-2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ystem and method for hibernation mode for beaconing devices
DE102004009695A1 (de) * 2004-02-27 2005-09-29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Effizienter Stromsparmodus für WLAN-Kommunikationssysteme
KR100617731B1 (ko) * 2004-06-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US7630701B2 (en) * 2004-10-18 2009-12-08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processing operations within a wireless terminal following receipt of a null page
US8826093B2 (en) * 2005-01-19 2014-09-02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aving method for coded transmission
US8099504B2 (en) * 2005-06-24 2012-01-17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Preserving sessions in a wireless network
US20060291420A1 (en) * 2005-06-27 2006-12-28 Dennis Ng Network-initiated dormant handoffs
CN1913354B (zh) * 2005-08-12 2010-05-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恢复电子装置电源供应的系统及方法
US20070049251A1 (en) * 2005-08-31 2007-03-01 Mock Von A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emergency situations
JP4787708B2 (ja) * 2005-10-13 2011-10-05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端末、受信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64821A1 (en) * 2005-10-28 2009-06-25 Nxp B.V.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sleep mode of a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or in a mobile point-to-point connection
US8619702B2 (en) * 2005-12-16 2013-12-31 Ericsson Evdo Inc. Radio network control
US8145221B2 (en) * 2005-12-16 2012-03-27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network communication
US8094630B2 (en) * 2005-12-16 2012-01-10 Airvana Network Solutions, Inc. Radio frequency dragging prevention
US20070242648A1 (en) * 2006-04-12 2007-10-18 Deepak Garg Managing dormant handoffs in radio access networks
US7751858B2 (en) * 2006-05-05 2010-07-06 Intel Corporation Sleep-mode statistics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US8085696B2 (en) * 2006-07-14 2011-12-27 Airvana Networks Solutions, Inc. Dynamic modification of route update protocols
KR101162384B1 (ko) * 2006-08-09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유닛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843638B2 (en) * 2007-12-13 2014-09-23 Ericsson Evdo Inc. Handing off active connections
EP2457332B1 (en) * 2009-07-23 2019-05-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when operating as a bluetooth low energy device
US20130166996A1 (en) * 2010-08-03 2013-06-27 Continental Teve AG & Co., oHG Communication Method and Echo
US10180339B1 (en) * 2015-05-08 2019-01-15 Digimarc Corporation Sensing systems
US10784989B2 (en) 2018-03-14 2020-09-2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Bit error correction for wireless retransmission communications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25880A (en) 1969-11-27 1973-08-08 Pye Ltd Battery economy apparatus
US4370753A (en) 1975-06-26 1983-01-25 Motorola, Inc. Battery saver for a tone coded signalling system
US4631496A (en) 1981-04-06 1986-12-23 Motorola, Inc. Battery saving system for a frequency synthesizer
US4518947A (en) 1981-09-28 1985-05-21 E-Systems, Inc. Apparatus for decoding redundant interleaved data
US4449248A (en) 1982-02-01 1984-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saving radio circuit and system
US4613990A (en) 1984-06-25 1986-09-23 At&T Bell Laboratories Radiotelephone transmission power control
EP0188554B2 (en) 1984-07-13 1995-05-24 Motorola, Inc. Cellular voice and data radiotelephone system
EP0408086B1 (en) 1984-12-05 1997-02-26 Seiko Corporation Watch pager system
JPS6223266A (ja) 1985-07-23 1987-01-31 Hitachi Ltd セルラ方式無線電話機
JPS62128228A (ja) * 1985-11-28 1987-06-10 Hitachi Ltd 間欠受信方式
US4905234A (en) 1987-06-03 1990-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over a radio communications channel
US5039984A (en) 1987-10-20 1991-08-13 Telefind Corporation Paging receiver with programmable areas of reception
CA1292781C (en) 1987-11-16 1991-12-03 Victoria Ann Leonardo Paging terminal apparatus with message storage and retransmission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JPH01190054A (ja) 1988-01-25 1989-07-31 Man Design Kk 受信機
JPH0642691B2 (ja) 1988-05-21 1994-06-01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電話端末
JPH0616601B2 (ja) 1988-09-07 1994-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電波処理回路のパワーセイブ回路及びそのパワーセイブ方法
US4996526A (en) 1988-12-01 1991-02-26 Motorola, Inc. Pow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ion of a synchronous information signal
GB2226475A (en) 1988-12-23 1990-06-27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Power economising in multiple user radio systems
US4961073A (en) 1989-02-27 1990-10-02 Motorola, Inc. Battery sav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optimum synchronization codeword detection
US5128938A (en) 1989-03-03 1992-07-07 Motorola, Inc. Energy saving protocol for a communication system
JPH02261226A (ja) 1989-03-31 1990-10-24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電話機
JP2795323B2 (ja) 1989-06-14 1998-09-10 富士通株式会社 位相差検出回路
US5025251A (en) 1989-06-29 1991-06-18 Motorola, Inc. Self-tuning direct coupled data limiter of a battery saver type paging receiver
US5129095A (en) 1989-11-03 1992-07-07 Motorola, Inc. Global communication system recei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5072449A (en) 1989-12-21 1991-12-10 Stratacom, Inc. Packet framing using cyclic redundancy checking
US5123014A (en) 1990-02-27 1992-06-16 Motorola, Inc. Data link with an imbedded channel
SG68663A1 (en) 1990-06-04 1999-11-16 Motorola Inc Battery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ive receiving power switching
US5091942A (en) 1990-07-23 1992-02-25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Authentication system for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s
US5224152A (en) 1990-08-27 1993-06-29 Audiovox Corporation Power saving arrangement and method in portable cellular telephone system
US5144296A (en) 1990-09-07 1992-09-01 Motorola, Inc. Adaptive battery saving controller with signal quality detecting means
US5109530A (en) 1990-10-24 1992-04-28 Motorola, Inc. Receiver with battery saver
US5265270A (en) 1990-10-31 1993-11-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conserv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276907A (en) 1991-01-07 1994-01-04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distribution of a communication channel load in 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179724A (en) 1991-01-15 1993-01-12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Holding Inc. Conserving power in hand held mobile telephones during a receiving mode of operation
GB2253972B (en) 1991-03-04 1995-02-1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ging a remote subscriber
GB2254971B (en) 1991-03-07 1994-12-21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tations
US5175874A (en) 1991-04-10 1992-12-29 Motorola, Inc. Radiotelephone message processing for low power operation
US5440560A (en) 1991-12-24 1995-08-08 Rypinski; Chandos A. Sleep mode and contention resolution within a common channel medium access method
JP2796464B2 (ja) 1991-12-27 1998-09-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GB9202249D0 (en) 1992-02-03 1992-03-18 Philips Electronics Uk Ltd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selective call system
US5533094A (en) 1992-05-12 1996-07-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 Corp. Of Sweden Allocation of paging capacity in cellular applications by storing a set of page request group designations, paging extents and paging priority parameters
US5369681A (en) 1992-05-12 1994-11-2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paging areas
US5355518A (en) 1992-05-26 1994-10-11 Kindinger Peter A Receiver with constant battery saving duty cycle
US5345500A (en) 1992-07-13 1994-09-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leting inboun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L172775B1 (pl) 1992-09-30 1997-11-28 Motorola Inc Sposób i system dostarczania komunikatów w lacznosci telekomunikacyjnej PL PL PL
US5603081A (en) 1993-11-01 1997-02-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604744A (en) 1992-10-05 1997-02-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igital control channels having logical channels for multiple access radiocommunication
KR950013619B1 (ko) 1992-11-13 1995-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무선휴대 단말기에서의 밧데리 절약(Battery Saving)방법
US5376975A (en) 1992-11-27 1994-12-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amble battery saving in selective call receivers
US5299228A (en) * 1992-12-28 1994-03-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CDMA communication unit
DE69431977T2 (de) 1993-02-25 2003-08-28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Tokio/Tokyo Verfahren zur selektiven personsuche per funk, und empfänger für fernruf
US5568513A (en) 1993-05-11 1996-10-22 Ericsson Inc. Standby power savings with cumulative parity check in mobile phones
US5627882A (en) 1993-06-02 1997-05-06 U.S. Philips Corporation Enhanced power saving method for hand-held communications system and a hand-held communications system therefor
US5406613A (en) 1993-06-29 1995-04-11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cellular telephone by adaptively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the reception of a received message block
US5471655A (en) 1993-12-03 1995-11-28 Nokia Mobile Phon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radiotelephone in an extended stand-by mode of operation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WO1995021507A1 (fr) 1994-02-03 1995-08-10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ysteme mobile de radiocommunication et recepteur radio
US5590396A (en) 1994-04-20 1996-12-31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ep-sleep mode in a digital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542116A (en) 1994-05-06 1996-07-30 Motorola, Inc. Power saving system for a mobile radio
DK1796274T3 (da) 1994-07-21 2010-12-20 Interdigital Tech Corp Fremgangsmåde til strømforbrugsstyring til en TDMA-radioabonnentenhed
US5548250A (en) 1995-01-05 1996-08-20 Cirrus Logic, Inc. Low power phase lock loop clocking circuit for battery powered systems
US5613235A (en) 1995-06-29 1997-03-1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Operation of a radiotelephone in a synchronous extended standby mode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23047B1 (en) 2001-04-24
CN1324519A (zh) 2001-11-28
EP1108290A1 (en) 2001-06-20
WO2000013327A1 (en) 2000-03-09
CN1168226C (zh) 2004-09-22
AU5889799A (en) 200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2954A (ko) 확장 슬리프 모드 방법 및 장치
KR100301915B1 (ko) 이동전화에서의 대기전력 절약시스템
JP2800411B2 (ja) 通信装置用電池節約装置
US5570369A (en)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station
EP13898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incoming message decod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6308068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US7646748B2 (en) Power sav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EP1151544B1 (en) Slotted idle mode for dual mode subscriber stations
JP2001508274A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池の節約
US624030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RF power consumption optimization of extended standby mode
US7953037B2 (en) Electronic device for acquisition of a dummy paging message
EP11739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power comsumption of a receiver in stand-by mode
US6209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an error-correcting decoder
US60384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portable, battery-operated radios
US20020101846A1 (en) Method for adapting a receiver to transmission conditions and a corresponding receiver
EP1499141A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2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6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