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60073A -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0073A
KR20010060073A KR1019990068185A KR19990068185A KR20010060073A KR 20010060073 A KR20010060073 A KR 20010060073A KR 1019990068185 A KR1019990068185 A KR 1019990068185A KR 19990068185 A KR19990068185 A KR 19990068185A KR 20010060073 A KR20010060073 A KR 2001006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racket
inner panel
width direction
lo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8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원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8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0073A/ko
Publication of KR2001006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007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165Details, e.g. sliding or rolling gu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프레임리스 도어에서 도어에 장착되는 글래스의 도어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브라켓)의 도어 폭 방향 위치를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레귤레이터 어셈블리)의 수직 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도어 폭 방향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 패널(I)과 아우터 패널(O) 사이에 위치되는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의 브라켓(1) 저면에 형성된 플랜지(2)와, 상기한 인너 패널(I)의 저면에 도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4)을 통해 플랜지(2)와 나사 결합되고 장공(4)으로 머리 부분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장공(4)을 따라 이동/고정 가능한 볼트(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ADJUSTING STRUCTURE OF DOOR GLAS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도어 조절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프레임리스 도어에서 도어에 장착되는 글래스의 도어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에는 승객이 탑승할 수 있도록 도어가 설치되는 바, 상기한 도어에는 도어 글래스를 승강시킬 수 있는 레귤레이터 어셈블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도어중 프레임리스 도어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너, 아우터 패널(I, O)로 이루어진 패널 어셈블리(50)와, 상기한 인너 패널(I)과 아우터 패널(O)의 사이에서 인너 패널(I)의 내측면에 설치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와, 상기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에서 채널(52)을 타고 승강되고 도어 글래스(53)에 연결된 슬라이더(5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는 채널(52) 하부에 설치된 브라켓(55)에 의해 인너 패널(I)에 고정되는 바, 상기한 브라켓(55)의 고정 위치에 의해 채널(52) 즉, 도어 글래스(53)의 도어 폭방향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5)을 관통하도록 나사 결합됨과 아울러 브라켓(55)과 소정 간격을 두도록 플랜지(56)가 형성된 마운팅 돌기(57)와, 상기한 마운팅 돌기(57)의 상면에 연장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너트공(58)이 형성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절 돌기(59)와, 상기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인너 패널(I)에 고정된 너트(60)로 구성되어, 상기한 너트공(58)에 특수 공구인 육각 너트(T)등을 삽입하여 브라켓(55)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한 육각 너트(T)를 너트공(58)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상기한 너트(60)와 결합된 나사산에 의해 마운팅 돌기(57)가 도어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55)의 도어 폭 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너트(60) 및 조절 돌기(59)는 도어 트림을 결합시킨 상태에서는 보이지 않는 바, 상기한 브라켓(5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어 트림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 즉, 도어 글래스의 도어 폭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어 트림을 분리시킨 후 특수 공구인 육각 너트로 조절 돌기를 회전시켜 조절하게 되면, 브라켓 조절을 위한 특수 공구를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조절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이 인너 패널 측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중력 방향에 대한 강성이 약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브라켓 즉, 채널의 수직 위치가 용이하게 변경되어 도어 글래스의 승강 동작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글래스(브라켓)의 도어 폭 방향 위치를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브라켓(레귤레이터 어셈블리)의 수직 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도어 폭 방향 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사이에위치되는 레귤레이터 어셈블리의 브라켓 저면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한 인너 패널의 저면에 도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플랜지와 나사 결합되고 장공으로 머리 부분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 가능한 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를 도시한 도어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2는 도1에서 브라켓의 사시도,
도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및 레귤레이터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도3에서 인너 패널에 브라켓이 장착되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5는 도4에서 브라켓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브라켓 2: 플랜지
3: 볼트 4: 장공
I: 인너 패널 O: 아우터 패널
도1과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와 브라켓 사시도로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의 브라켓(1)과 채널(5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브라켓(1)의 저면에 플랜지(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플랜지(2)의 저면에 나사 결합된 볼트(3)가 인너 패널(I)의 저면에 도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4)을 통해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한 브라켓(1)이 직립된 상태에서 도어의 인너 패널(I) 저면에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한 볼트(3)가 인너 패널(I)의 장공(4)에 결합되어 인너 패널(I)과 브라켓(1)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브라켓(1)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한 플랜지(2)는 장공(4)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라켓(1)이 상기한 장공(4)으로 빠지지 않게 되고, 상기한 볼트(3)의 머리 부분이 장공(4)보다 크기 때문에,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한 볼트(3)는 통상적으로 부품 조립 시 사용되는 공용 부품인 바, 이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서 별도의 특수 공구가 필요하지는 않게 된다.
물론, 상기한 브라켓(1)과 채널(52)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지 않고, 종래와 같은 브라켓(55)을 사용하여도, 상기한 볼트(3)가 브라켓(55) 저면에서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면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도어에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를 조립하기 위해서, 상기한 도어의 인너 패널(I)과 아우터 패널(O) 사이에 레귤레이터 어셈블리(51)를 위치시킨 후, 인너 패널(I)의 저면에 형성된 장공(4)을 통해 볼트(3)를 브라켓(1)에 체결하게 된다.
볼트(3)를 브라켓(1) 저면에 체결하게 되면, 상기한 브라켓(1)이 고정되는 바, 이 상태에서 차량이 주행하게 되면, 진동등에 의해 상기한 브라켓(1)의 도어 폭 방향 위치가 변화될 수 있다.
브라켓(1)의 도어 폭 방향 위치가 변화되면 도어 글래스(53)의 승강 동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바, 이때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도어를 열고 도어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볼트(3)를 돌려 브라켓(1)과 인너 패널(I) 사이가 헐거워지도록 한다.
브라켓(1)이 헐거워지면 상기한 장공(4)을 따라 볼트(3)를 이동시키면서 상기한 도어 글래스(53)의 폭 방향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즉, 종래와 같이 도어 글래스(53)를 조절하기 위해서 도어 트림을 분리시킬 필요가 없이, 도어의 저면에서 직접 폭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때문에, 도어 글래스(브라켓)의 조절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한 도어의 저면으로 돌출된 볼트(3)는 도어를 닫을 때 바디와 간섭되지 않도록, 바디에 홈을 형성하거나 인너 패널(I)의 장공(4)을 홈 형상으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브라켓(1)을 인너 패널(I) 저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인너 패널 측면에 고정하는 것에 비해 수직 하중에 대한 강성이 대폭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인너 패널 저면에 도어 폭 방향의 장공을 형성하고, 상기한 장공을 관통하도록 볼트를 설치하여 레귤레이터 어셈블리의 브라켓과 결합함으로써, 수직 하중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도어 글래스의 폭 방향 위치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도어의 인너 패널과 아우터 패널 사이에 위치되는 레귤레이터 어셈블리의 브라켓 저면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한 인너 패널의 저면에 도어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을 통해 플랜지와 나사 결합되고 장공으로 머리 부분이 빠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장공을 따라 이동/고정 가능한 볼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KR1019990068185A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Ceased KR20010060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85A KR20010060073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8185A KR20010060073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073A true KR20010060073A (ko) 2001-07-06

Family

ID=1963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8185A Ceased KR20010060073A (ko) 1999-12-31 1999-12-31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0073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0297A1 (fr) * 1977-06-06 1979-01-10 COMPAGNIE INDUSTRIELLE DE MECANISMES en abrégé C.I.M. Société dite: Lève-glac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JPH0776975A (ja) * 1993-06-30 1995-03-20 Kanto Auto Works Ltd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固定構造
KR960013796U (ko) * 1994-10-20 1996-05-17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의 취부구조
KR980006226A (ko) * 1996-06-17 1998-03-30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00009508U (ko) * 1998-11-06 2000-06-0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0297A1 (fr) * 1977-06-06 1979-01-10 COMPAGNIE INDUSTRIELLE DE MECANISMES en abrégé C.I.M. Société dite: Lève-glace, notamment pour véhicules automobiles
JPH0776975A (ja) * 1993-06-30 1995-03-20 Kanto Auto Works Ltd ウィンドレギュレータの固定構造
KR960013796U (ko) * 1994-10-20 1996-05-17 차량용 윈도우 레귤레이터 장치의 취부구조
KR980006226A (ko) * 1996-06-17 1998-03-30 김광호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20000009508U (ko) * 1998-11-06 2000-06-05 홍종만 자동차의 도어 레귤레이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915A (en) Door for an automotive vehicle
US20120110918A1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mounting a decorative panel
KR20010060073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조절 구조
US7043878B2 (en) Cabriolet door with adjustable window regulator rail and corresponding method of assembly
US10093257B2 (en) Bumper fascia adjustment mechanism
JPS6255239A (ja) 自動車のミラ−取付構造
JPH06137024A (ja) 自動車用ドアのウインドゥガラスの案内機構の調整構造
KR100388172B1 (ko) 도어 스트라이커의 무조정 장착 구조
CN222310742U (zh) 一种间隙面差调节机构及车辆
KR100527745B1 (ko) 차량의 도어 힌지 결합구조
KR100388202B1 (ko) 자동차의 리어 필라 내부 패널과 휠 가드 조립 구조
JPH07300019A (ja) ウインドウパネル昇降ガイドレールの取付調整装置
KR012571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글래스 가이드 취부구조
JPH02204150A (ja) バンパ構造
KR100535625B1 (ko) 자동차용 도어 힌지 구조
KR0132915Y1 (ko) 자동차 후드 높이 조절용 후드 힌지
KR100348050B1 (ko) 자동차의 윈도우 채널 장착구조
KR100345799B1 (ko) 자동차의 윈도우레귤레이터 장착구조
KR20240121096A (ko) 위치 조정이 용이한 차량의 스윙인 타입 도어 어셈블리
KR100558992B1 (ko) 자동차용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결합 구조
KR19980062397A (ko) 자동차용 레귤레이터(regulator) 취부구조
KR19990011001U (ko) 도어용 미러의 베이스플레이트장착구조
KR19980039187U (ko) 자동차용 도어 레규레이터의 취부구조
KR19990011329U (ko) 프레임레스 도어의 도어글라스홀더
JPH08268070A (ja) 自動車のドア構造及びその組立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3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