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9805A - 퀵타입 커플링 - Google Patents

퀵타입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9805A
KR20010059805A KR1019990067335A KR19990067335A KR20010059805A KR 20010059805 A KR20010059805 A KR 20010059805A KR 1019990067335 A KR1019990067335 A KR 1019990067335A KR 19990067335 A KR19990067335 A KR 19990067335A KR 20010059805 A KR20010059805 A KR 20010059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coupling
ring
lock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547B1 (ko
Inventor
박임곤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9006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54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9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9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5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 F16L37/2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means of balls, rollers or helical springs under radial pressure between the parts by means of 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퀵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선단개구부에 내외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잠금볼이 외주상에 선단부로 가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링에 의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소켓과,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되어 잠금볼과 결합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된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 후단에 위치되는 외주상에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링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볼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링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의 외주상에 소켓의 잠금링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링을 설치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커플링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고 또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퀵타입 커플링{one-touch type coupling}
본 발명은 유체배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coupling)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손으로도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커플링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퀵타입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공압, 수압 등을 전달하기 위한 배관의 연결부에는 연결상태를 순쉽게 분리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플링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커플링(101)을 도시한 것으로, 이 커플링(101)은 서로 분리된 호스의 단부를 연결하기 의한 소켓(110)과 플러그(130)로 구성되어 있다.
소켓(110)의 선단개구부(111)에는 다수의 잠금볼(113)이 원주상으로 대략 동일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잠금볼(113)은 내외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소켓(110)의 선단개구부(111) 외주면에는 잠금링(115)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으며, 잠금링(115)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116)는 코일 스프링(117)에 의해 선단개구부(111)쪽으로 가압되어 잠금볼(113)은 내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소켓(110)의 내측에는 호스연결부(119)의 일단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그 호스연결부(119)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호스의 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나선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소켓(110)의 중앙에는 밸브(121)가 호스연결부(119)의 일단부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122)에 의해서 선단부(131)쪽으로 가압 지지되어 있다.
플러그(13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부(131)는 소켓(110)의 선단개구부(111)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이루어져 있고, 그 선단부(131)의 외주면에는 잠금볼(113)을 수용하는 환형홈(1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130)는 선단부(131)의 반대측 외면에 호스 연결부(133)를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커플링(101)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소켓(110)과 플러그(13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한손으로 소켓(110)을 잡고, 이의 잠금링(115)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잠금볼(113)이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다른 한손으로는 플러그(130)를 잡고 이의 선단부(131)를 소켓(110)의 선단개구부(111)에 삽입한 다음, 소켓(110)의 잠금링(115)을 잡은 손을 놓게 된다. 이때, 잠금링(115)은 스프링(117)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131)로 이동하면서 환형돌출부(116)를 통해 잠금볼(113)을 내측으로 눌러 플러그(130)의 환형홈(132)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러그(130)의 선단부(131)가 소켓(110)의 잠금볼(113)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플러그(130)와 소켓(110)이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130)와 소켓(110)의 분리하는 과정은 상술한 조립과정의 역순과 같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커플링(101)은 소켓(110)과 플러그(130)의 조립/분리작업이 단순히 잠금링(115)의 이동 조작에 의해서만이 이루어지므로 항상 두손을 사용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커플링 조립/분리작업이 번거롭고 이에따른 작업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한손으로도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분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커플링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퀵타입 커플링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커플링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 커플링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타입 커플링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퀵타입 커플링의 분해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커플링 10 : 소켓
11 : 선단개구부 13 : 잠금볼
15 : 잠금링 16 : 환형돌출부
17, 22, 38 : 스프링 21 : 밸브
30 : 플러그 31 : 선단부
32 : 환형홈 37 : 조작링
39 : 고정너트 40 : 렌치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선단개구부에 내외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잠금볼이 외주상에 선단부로 가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링에 의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소켓과,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되어 잠금볼과 결합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된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 후단에 위치되는 외주상에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링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볼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링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플링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플러그의 외주상에는 상기 조작링을 상기 선단부쪽의 반대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게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외주상에는 상기 조작링이 후방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고정너트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 내주상은 렌치홈이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 커플링(1)을 보인 것으로, 이 커플링(1)은 소켓(10)과 플러그(30)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은 종래와 같다.
소켓(10)의 선단개구부(11)에는 내외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잠금볼(13)이 원주상으로 대략 동일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선단개구부(11) 외주면에는 잠금링(15)이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잠금링(15)의 후단 내주면에 형성된 환형 돌출부(16)는 코일 스프링(17)에 의해 선단개구부(11)쪽으로 가압되어 잠금볼(13)은 내측으로 밀어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소켓(10)의 내측에는 호스연결부(19)의 일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그 호스연결부(19)의 타단부 외주면에는 호스의 단부와 결합되기 위한 나선부(20)가 형성되며, 소켓(10)의 중앙에는 밸브(21)가 호스연결부(19)의 일단부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22)에 의해서 선단부(31)쪽으로 가압 지지된다.
그리고, 플러그(30)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부(31)는 소켓(10)의 선단개구부(11)내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31)의 외주면에는 잠금볼(13)을 수용하는 환형홈(32)이 형성되며, 선단부(31)의 반대측 외면에는 호스 연결부(33)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플러그(30)의 선단부(31) 후단에 위치되는 외주상에는 선단부(31)가 소켓(10)의 선단개구부(11)에 삽입될 때 잠금링(15)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잠금볼(13)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링(37)이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플러그(30)의 외주상에는 조작링(37)을 선단부(31)쪽의 반대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게 위한 스프링(38)이 설치되며, 플러그(30)의 외주상에는 조작링(37)이 후방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39)가 설치되며, 플러그(30)의 나사조립에 용이하도록 선단부(31) 내주상은 육각 렌치홈(4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퀵타입 커플링(1)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소켓(10)과 플러그(30)를 연결하고자 할 경우 한손으로는 플러그(30)를 잡고 이의 선단부(31)를 소켓(10)의 선단개구부(11)에 삽입한 다음, 조작링(37)을 잠금링(15)쪽으로 밀게 된다. 이때, 조작링(37)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잠금링(15)은 잠금볼(13)이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플러그(30)의 선단부(31)가 소켓(10)에 완전히 삽입되어 잠금볼(13)과 환형홈(32)이 동일선상에 위치되고, 밸브(21)가 개방될 경우 조작링(37)을 놓게 된다. 이때, 조작링(37)은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잠금링(15)으로부터 분리되고, 잠금링(15)은 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31)로 이동하면서 환형돌출부(16)를 통해 잠금볼(13)을 내측으로 눌러 플러그(30)의 환형홈(32)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러그(30)의 선단부(31)가 소켓(10)의 잠금볼(13)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므로 플러그(30)와 소켓(10)이 내부 압력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30)와 소켓(10)의 분리하는 과정은 상술한 조립과정의 역순과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의 외주상에 소켓의 잠금링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링을 설치함으로써 한손으로도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분리가 가능하게 되어 커플링의 조작이 편리하게 되고 또한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선단개구부에 내외측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삽입된 잠금볼이 외주상에 선단부로 가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링에 의해 단속되도록 이루어진 소켓과, 선단부에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되어 잠금볼과 결합되기 위한 환형홈이 형성된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플링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선단부 후단에 위치되는 외주상에는 상기 선단부가 상기 소켓의 선단개구부에 삽입될 때 상기 잠금링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잠금볼의 구속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링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주상에는 상기 조작링을 상기 선단부쪽의 반대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키게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3. 제1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외주상에는 상기 조작링이 후방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선단부 내주상은 렌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링.
KR1019990067335A 1999-12-30 1999-12-30 퀵타입 커플링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35A KR100324547B1 (ko) 1999-12-30 1999-12-30 퀵타입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7335A KR100324547B1 (ko) 1999-12-30 1999-12-30 퀵타입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9805A true KR20010059805A (ko) 2001-07-06
KR100324547B1 KR100324547B1 (ko) 2002-02-16

Family

ID=1963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73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324547B1 (ko) 1999-12-30 1999-12-30 퀵타입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5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83B1 (ko) * 2015-05-18 2016-10-21 (주)태성공업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KR20170008453A (ko) * 2015-07-14 2017-01-24 주식회사 우진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퀵 커플러 장치
CN107378863A (zh) * 2017-07-07 2017-11-24 西安北方光电科技防务有限公司 一种转换装置及其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58U (ko) 2018-11-05 2020-05-14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퀵 커넥터 어셈블리
KR102187676B1 (ko) 2019-06-28 2020-12-08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퀵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354U (ko) * 1994-06-10 1996-01-19 김정식 유압호스 연결용 커플링
KR960027438A (ko) * 1994-12-26 1996-07-22 정장호 데이타 저장 및 보호 기능을 갖는 페이저
JPH09126375A (ja) * 1995-11-01 1997-05-13 Kubota Corp 低圧用ワンタッチ・ジョイント
KR100223121B1 (ko) * 1996-12-10 1999-10-15 이경일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983B1 (ko) * 2015-05-18 2016-10-21 (주)태성공업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KR20170008453A (ko) * 2015-07-14 2017-01-24 주식회사 우진 자동으로 체결 및 분리가능한 퀵 커플러 장치
CN107378863A (zh) * 2017-07-07 2017-11-24 西安北方光电科技防务有限公司 一种转换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378863B (zh) * 2017-07-07 2023-10-31 西安北方光电科技防务有限公司 一种转换装置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4547B1 (ko) 200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KR200232262Y1 (ko) 튜브 커플러
US5653480A (en) Pipe coupling
US7380836B2 (en) Connection device for fluid lines
US10247319B1 (en) Pump head
US10030799B2 (en) Pipe joint
EP0616165A1 (en) Pipe coupling
US5110157A (en) Structure of a water faucet joint
KR100324547B1 (ko) 퀵타입 커플링
US6688655B1 (en) Quick connection-release coupling
KR100245776B1 (ko) 세경 파이프 접속용 연결구
JP2007520670A (ja) 解放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
JP4775631B2 (ja) マルチコネクタ
KR200269735Y1 (ko) 배관 연결구
KR200242197Y1 (ko) 파이프 연결구
JP4542364B2 (ja) 管接続構造及び挿口管部への管内作業機の取付け方法
JP4740219B2 (ja) パイプの連結構造
JP2002357295A (ja) 管継手
JP3702671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ー
JPH0726636Y2 (ja) 流体配管用ソケット
JP2009545715A (ja) 雌のねじ付カップリングとの接続用の雄のカップリング
JP3157923U (ja) 安全クイック継ぎ手
KR100736878B1 (ko) 호스 연결 구조물
CN213018257U (zh) 快插结构及具有该快插结构的管路结构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