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3051A - 페달값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페달값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051A
KR20010053051A KR1020007014503A KR20007014503A KR20010053051A KR 20010053051 A KR20010053051 A KR 20010053051A KR 1020007014503 A KR1020007014503 A KR 1020007014503A KR 20007014503 A KR20007014503 A KR 20007014503A KR 20010053051 A KR20010053051 A KR 20010053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leaf spring
contact
region
actuat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크바르트베르너-칼를
벨테우베
맨르에릭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53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05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4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다운 장치를 갖춘 페달값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셀러레이터 페달이 작동할 때, 그리고 명확히 인지할 수 있는 급격한 동력 증가가 발생할 때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페달값 발생 장치에는 판스프링(50)이 제공되며, 이 판스프링(50)에 의해서 전기적 접촉이 구현되며, 이로 인해 급격한 동력 증가가 발생할 때 지체없이 전기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페달값 발생 장치는 차량 구동 유닛의 출력을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Description

페달값 발생 장치{Arrangement of a pedal value generator}
독일공개공보 제 34 11 455 A1 호에는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페달값 발생용 샤프트가 제시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값 발생용 샤프트는 차량의 주행 페달에 의해서 복원 스프링 장치에 대하여 휘어질 수 있다. 페달 위치의 검출을 위해 상기 페달값 발생용 샤프트가 전기적 페달값 신호를 공급하는 회전각 센서와 함께 작용하고, 상기 페달값 신호는 주행 페달의 위치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주행 출력에 상응한다.
특히 자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경우, 주행 페달을 세게 밟게 되면 전기 스위칭 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그로 인해 그 다음 주행 단계로 가속화될 때 전기적으로 스위칭 오버된다. 이를 위해 상응하는 스위칭 신호가 요구된다. 상기 스위칭 신호는 페달이 규정 회전각 이상으로 과압될 때 전기 스위칭의 접촉에 의해 발생된다. 의도하지 않은 재스위칭을 피하기 위해 전기 스위칭 지점에 기계적 저항, 즉 확실히 감지할 수 있는 주행 페달에서의 반응력 상승이 전제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스위칭 지점은 종종 킥다운 스위칭으로도 명명된다. 전술한 공개공보의 경우 하우징 내에서 주행면과 함께 작용하는 롤 바디가 가이드 케이스 내에 제공되고, 상기 주행면상에 상기 롤 바디의 레일이 고정되며, 규정 회전각 이하에 설치된 램프(ramp)를 포함한다. 상기 주행면에 대해 초기 응력을 받는 롤 바디가 상기 초기 응력에 대해 램프를 통해 제 1 레벨에서 제 2 레벨로 이동되면, 이를 위해 필요한 동력 상승이 스위칭 지점에 상응하는, 페달에서 감지할 수 있는 기계적 저항을 야기시킨다.
독일공개공보 제 43 41 902 A1 호와 영국특허 제 2 281 957 호에도 마찬가지로, 소위 킥다운 트리거링 장치를 갖춘 페달값 발생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독일공개공보 제 44 22 232 A1 호에도 중간 위치에서 페달 동력이 갑자기 상승하고, 동력이 상승되는 위치에서 스위치에 의해 스위칭 신호가 발생되는 페달값 발생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개공보에 제시된 페달값 발생 장치는 그 제조 비용이 매우 높고, 스위칭 지점의 설정 비용 및 동력이 상승되는 동작 위치로 스위치를 할당하는 비용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큰 허용오차가 존재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독일공개공보 제 135 36 699 A1 호에는 킥다운 장치와 스위치를 갖춘 페달값 발생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킥다운 장치와 스위치는 페달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에 매우 쉽게 설치될 수 있는 하우징 내에 존재한다. 킥다운 장치와 스위치가 존재하는 상기 하우징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킥다운 작용점에 스위치를 할당하는 것도 상기 실시예에서는 높은 비용과 현저한 스위칭 오차가 발생한다.
또한 하우징 내에서 스프링에 의해 바깥쪽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눌려지는 볼이 위치 조정 바디에 제공된다는 해결책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추가로 상기 위치 조정 바디에는 2개의 접촉 스트립에 대해 스프링에 의해 눌려지는 섀클이 설치된다. 위치 조정 바디의 위치에 따라 상기 섀클이 접촉 스트립에 접하게 되거나 접촉 스트립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물론 제안된 상기 해결책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부품을 필요로 하고, 특히 상기 섀클이 위치 조정 바디에 제공된 가이드 안까지 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섀클의 가이드는 상기 섀클과 가이드 사이의 고정을 피하기 위해 서로간에 강제적으로 항상 유격을 두어야 한다는 중대한 단점을 갖는다. 상기 유격은 전기 스위칭 지점의 설정시 매우 바람직하지 않은 허용 오차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많은 고객들이 거부하는 요소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8 항에 따른 페달값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페달값 발생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페달값 발생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페달값 발생 장치의 동력 변속 장치를 도시한 제 1 종단면도.
도 4는 동력 변속 장치의 제 1 단부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동력 변속 장치의 제 2 단부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동력 변속 장치를 도시한 제 2 종단면도.
도 7은 동력 변속 장치의 홀딩 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동력 변속 장치를 도시한 제 3 종단면도.
도 9는 동력 변속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0은 동력 변속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1은 동력 변속 장치를 도시한 제 4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를 도시한 제 5 종단면도.
도 13은 동력 변속 장치의 제 3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4는 동력 변속 장치의 제 4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동력 변속 장치의 제조 비용, 특히 중간 위치에서 동력이 상승할 때 스위칭 지점을 할당하는 비용이 매우 적게 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지점의 매우 정확한 할당이 달성될 수 있는 페달값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장치는 마모에 민감하지 않기 때문에 수명이 매우 길다.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과 지지 장치 사이 또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과 작동 부재 사이, 특히 가이드 내에서는 어떠한 마찰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스위칭을 부정확하게 만드는 마찰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상기 판스프링은 전체가 움직일 필요가 없고 단부와 함께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스위칭 지점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는 특별한 장점이 있다.
종속항들에 제시된 특징들에 의해 독립항에 제시된 페달값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예가 가능하다.
전류 접촉부가 총 2개의 판스프링을 통과함으로써 상기 전류 접촉부가 바람직하게는 매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전류 접촉부가 2개의 판스프링 중 하나만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형성되면, 단 한 개의 판스프링만 그 전체 길이와 세팅 위치에 있어서 정확하게 설계되면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즉, 나머지 판스프링에 있어서 확실한 허용 오차는 전기 스위칭 지점에 아무 영향도 주지 않는다.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접촉면의 단부 모서리를 넘어서게 되는 접촉면의 단부에 상기 판스프링 방향으로 계속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단부 모서리를 향하는, 판스프링의 단부 영역이 접촉면의 단부 모서리와 직접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연질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판스프링이 매우 잦은 스위칭시 보호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이는 페달값 발생 장치의 수명에 전체적으로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접촉 방지 장치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이 접촉면으로부터 재료 안정적으로 떨어지게 되거나, 상기 접촉면상에 재료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접촉면을 향하는 판스프링의 단부 영역에 전류 접촉부가 폐쇄되는 단 한 번의 마찰에 접한다는 것이다. 전류 접촉부가 개방되면 판스프링에 어떠한 마찰도 일어나지 않게 되며, 이로써 판스프링의 마모율이 낮아짐에 따라 페달값 발생 장치의 수명이 훨씬 연장된다.
판스프링 및 각각의 할당된 단자가 하나의 재료로, 특히 하나의 얇은 스트립으로 제조되면, 전체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부품이 요구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지지 장치에 접촉면이 제공되는 실시예에서도 전기 단자 및 상기 전기 단자에 설치된 접촉면이 하나의 부품으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스트립으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경우, 특히 함께 천공되는 경우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매우 적은 수의 부품이 요구된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작동 부재에 작동 부재 정지면이, 그리고 지지 장치에 지지 장치 정지면이 제공되면, 상기 지지 장치 정지면과 작동 부재 정지면 사이에 홀딩 부재를 간단하게 삽입함으로써 동력 변속 장치가 매우 간단하게, 그리고 쉽게 제조될 수 있는 적은 수의 부품으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홀딩 부재가 클램프 형태로 제조됨으로써 동력 변속 장치가 매우 간단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지지 장치와 작동 부재 사이에 대칭을 이루는 균등한 힘의 분배가 구현될 수 있다.
브레이싱 스프링(bracing spring) 및 적어도 하나의 롤 바디, 특히 구형 롤 바디가 존재하고, 이때 상기 롤 바디는 브레이싱 스프링에 의해 홀딩 부재에 대해 가압되는 가로 홀이 작동 부재 내에 제공되면, 상기 홀딩 부재는 단을 형성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작동 부재가 움직일 때 상기 롤 바디가 상기 단을 넘어 밀리게 됨으로써 정확하게 감지된 바람직한 동력 상승을 쉽게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는 페달값 발생 장치는 다양한 구동 유닛의 조정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구동 유닛으로는, 예를 들어 서보모터에 의해 그 스로틀 밸브가 조절되는 오토 엔진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페달값 발생 장치는, 예를 들어 스로틀 밸브를 조절하는 서보 모터에 전송되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데 사용된다. 그러나 스로틀 밸브의 조절은, 예를 들어 페달값 발생 장치를 스로틀 밸브 샤프트에 연결하는 보덴 케이블(Bowden cable) 또는 피복 케이블이 제공됨으로써 기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유닛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이나 전기 모터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페달값 발생 장치로부터 전기적 또는 기계적 신호가 전송되며, 상기 신호는 적절하게 변환되어 구동 유닛의 출력을 조절한다.
상기 페달값 발생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차량 운전자의 동작 범위 내에 설치된다. 페달값 발생 장치의 페달은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발에 의해 직접 작동되는 페달이다. 그러나 특별한 경우에는 간단한 기계적 수단을 사용하여 페달값 발생 장치의 페달에 별도의 액셀러레이터 또는 그 밖의 조작 레버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페달값 발생 장치의 경우, 페달의 정해진 중간 위치 내에서, 소위 킥다운 트리거링이 발생한다. 킥다운 트리거링시, 예를 들어 자동 변속기의 제어를 위해 전기 스위칭 신호가 트리거링되어야 하며, 동시에 페달을 작동시키는 운전자는 중간 위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명확한 동력 증가를, 그리고 중간 위치 내에서는 추가로 순간적인 동력 과잉 증가를 감지하여야 한다. 동력 증가 및 동력 과잉 증가는 전기 스위칭 신호의 트리거링과 정확히 동시에 발생하여야 한다.
도 1은 매우 바람직하게 선택된 제 1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페달값 발생 장치(2)를 나타낸다. 상기 페달값 발생 장치(2)는 고정 구조물(4), 페달(6), 복원 스프링 장치(8), 동력 변속 장치(10) 및 센서(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페달값 발생 장치(2)는 고정 구조물(4)에 의해 차량의 섀시(14)에 고정된다. 페달(6)이 고정 구조물(4) 및 상기 고정 구조물(4)에 제공된 피봇 베어링(16)에 의해 섀시(14)에서 선회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복원 스프링(8)은 고정 구조물(4)의 내부와 페달(6)의 내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복원 스프링(8)은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파선으로 도시되어있다.
페달(6)이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복원 스프링(8)에 의해 페달(6)이 움직이지 않게 되는 끝 위치(이하에서 초기 위치(a)로 표시함)에 있게 된다. 상기 페달(6)은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초기 위치(a)로부터 최종 위치(c)로 변위될 수 있다.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사이에는, 이하에서 중간 위치(b)로 표시하는 위치가 존재한다.
도면에는 페달(6)이 초기 위치(a)에 있을 때의 페달값 발생 장치(2) 또는 동력 변속 장치(10)가 나타나있다. 추가로 도 1에서는 파선으로 도시한 페달(6) 부분은 중간 위치(b)에, 그리고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페달(6) 부분은 최종 위치(c)에 도시되어있다.
동력 변속 장치(10)는 고정 구조물(4)에 의해 섀시(4)에 고정된다.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는 지지 장치(20), 작동 부재(22), 제 1 전기 단자(24) 및 제 2 전기 단자(26)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단자(24, 26)에는, 예를 들어 전자 제어 장치로 통하는 두 줄의 전기 라인이 접속된다. 상기 전기 라인 및 전자 제어 장치는 더 개괄적인 표현을 위해 도면에는 도시되어있지 않다.
상기 작동 부재(22)는 지지 장치(20)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장착된다. 동력 변속 장치(10)의 내부에 인장 스프링(28)이 제공된다. 상기 인장 스프링(28)의 힘에 의해 작동 부재(22)가 하기에 정지 위치(d)로 명명되는 최종 위치에 이르게 된다. 정지 위치(d)에 있는 작동 부재(22)가 도면에 도시되어있다.
페달(6)이 초기 위치(a)와 중간 위치(b) 사이에 있게 되면 상기 작동 부재(22)는 동작하지 않은 채 도시된 정지 위치(d)에 있게 된다.
페달(6)이 중간 위치(b)를 벗어나 최종 위치(c)의 방향으로 움직이면, 페달(6)에 제공된 스토퍼(32)가 작동 부재(22)를 누르고, 상기 스토퍼(32)는 인장 스프링(28)의 힘에 대해 상기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로부터 변위시킨다.
도 2는 매우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또는 동일한 작용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주어진다. 이것은 반대의 경우가 설명되지 않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 한, 도면들 중 하나에 따라 설명된 및 도시된 대상이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전술한 대상으로부터 다른 어떤 대상도 추론되지 않으면, 여러 실시예의 세부 도면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동력 변속 장치(10)의 지지 장치(20)가 페달(6)에 고정되며, 스토퍼(32)는 지지 구조물(4) 내지 섀시(14)에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페달(6)이 중간 위치(b)와 최종 위치(c) 사이의 영역에 놓일 때, 스토퍼(32)가 인장 스프링(28)력에 대해 정지 위치(d)에 있는 작동 부재(22)에 압력을 가한다.
도 3 내지 도 14는, 예를 들어 동력 변속 장치(10)의 상이한 실시예 및 상이한 세부도를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8은, 예를 들어 동력 변속 장치(10)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동력 변속 장치(10)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절단면은 도 4에서 도면부호 III-III로 표시된다. 도 4는 동력 변속 장치(10)의 한 쪽 단부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주시 방향은 도 3에 도면부호 IV로 표시되어있다. 도 5는 동력 변속 장치(10)의 반대쪽 단부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의 주시 방향은 도 3에 도면부호 V로 표시되어있다. 도 6은 동력 변속 장치(10)의 또 다른 종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절단면은 도 4에 도면부호 VI-VI로 표시되어있다.
모든 도면에서 작동 부재(22)는 전술한 정지 위치(d)에 있다.
특히 도 3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2)는 지지 장치(20)의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인장 스프링(22)이 상기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에 이르게 한다. 정지 위치(d)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도달될 수 있다. 지지 장치(20)에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이 존재한다(도 6). 작동 부재(22)에는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이 존재한다(도 6). 상기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과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 사이에는 홀딩 부재(38)가 존재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부재(38)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홀딩 부재(38)는 제 1 아암(38a), 제 2 아암(38b) 및 연결 섀클(38c)을 갖는다. 완전 장착된 상태에서 홀딩 부재(38)의 제 1 아암(38a)은 지지 장치 정지면(34a)과 작동 부재 정지면(36a) 사이에 위치하고, 홀딩 부재(38)의 제 2 아암(38b)은 지지 장치 정지면(34b)과 작동 부재 정지면(36b) 사이에 위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 부재(38)의 아암(38a, 38b)은 샤프트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확실한 반경방향의 스프링 작용이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아암(38a, 38b)이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 및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과 충분히 접촉될 수 있다. 홀딩 부재(38)가 동력 변속 장치(10)로 삽입되기 전에 작동 부재(22)가 지지 장치(20)로 매우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인장 스프링(28)력에 대해 작동 부재(22)에 약간의 축방향 압력이 가해짐으로써 상기 작동 부재(22)는 홀딩 부재(38)가 측면으로부터 동력 변속 장치(10)로, 즉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과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 사이로 매우 쉽게 삽입될 수 있을 정도까지 지지 장치(20)내로 밀려들어간다. 홀딩 부재(38)가 상기 정지면(34a, 34b, 36a, 36b)들 사이에 삽입된 후, 상기 홀딩 부재(38)는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에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작동 부재(22)에 충분히 큰 힘이 가해지면 상기 작동 부재(22)는 정지 위치(d)로부터 이동된다. 상기 작동 부재(22)는 지지 장치(20)내 공간으로 축방향으로 눌려진다. 이 때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이 홀딩 부재(38)로부터 탈착된다.
작동 부재(22)의 작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는 상기 작동 부재(22)를 관통하는 가로 홀(40)이 연장된다. 상기 가로 홀(40) 내에는 브레이싱 스프링(42)이 있다. 상기 브레이싱 스프링(42)은, 예를 들어 나사 형태로 감겨있는 스프링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U자형으로 구부러진 판스프링일 수도 있다. 상기 가로 홀(40)의 단부에는 제 1 롤 바디(44a) 및 제 2 롤 바디(44b)가 설치된다. 상기 롤 바디(44a, 44b)는 바람직하게는 구형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원통형 롤일 수도 있다. 상기 롤 바디(44a, 44b)는 가로 홀(40)을 통해 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가로 홀(40)이 팩 홀로서 형성되고 가로 홀의 개방된 단부에만 롤 바디가 제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롤 바디가 전체적으로 한 개만 있으면 된다.
브레이싱 스프링(42)이 상기 두 롤 바디(44a, 44b)를 작동 부재(22)의 작동 방향에 대해 횡으로, 즉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조인다. 홀딩 부재(38)의 아암(38a)에는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로부터 이동될 때 롤 바디(44a)가 넘어서야 하는 단(46a)이 형성되어있는 모서리가 있다. 또한 홀딩 부재(38)의 아암(38b)에도 마찬가지로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로부터 이동될 때 롤 바디(44b)가 넘어서야 하는 단(46b)이 형성되어 있는 모서리가 있다.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로부터 이동하게 되면 상기 롤 바디(44a, 44b)는 브레이싱 스프링(42)력에 대해 단(46a, 46b)을 넘어서 밀려져야 한다. 그로 인해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로부터 이동될 때 인장 스프링(28)력에 부가로, 작동 부재(22)가 동작하는 동안 순간적으로 나타나지만 비교적 높은 힘이 발생한다. 이는 페달(6)이 중간 위치(b)를 지나 최종 위치(c)쪽으로 이동하면 추가의 인장 스프링(28)력에 의해, 및 롤 바디(44a, 44b)가 브레이싱 스프링(42)력에 대해 단(46a, 46b)을 넘어서야 하기 때문에, 페달(6)을 작동시키기 위한 힘이 중간 위치(b)를 벗어난 직후에 급격히 증가되도록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럼으로써 페달을 조작하는 운전자가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는 예상 작용점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작용점은 킥다운 작용점으로서 명명될 수 있으며, 동력 변속 장치(10)에 의해 야기된다. 롤 바디(44a, 44b)가 단(46a, 46b)을 넘어서자마자 홀딩 부재(38)의 아암(38a, 38b)을 따라 슬라이딩함으로써, 단(46a, 46b)을 넘어선 후에는 동력 변속 장치(10)가 인장 스프링(28)력 및 롤 바디(44a, 44b)와 홀딩 부재(38) 사이의 마찰에 의해서만 작용한다. 중간 위치(b)와 최종 위치(c) 사이에서는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가 복원 스프링 장치의 힘에 추가로 작용한다.
작동 부재(22) 및 지지 장치(20)는 쉽게 형성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상기 부품의 제조 비용이 매우 적게 든다. 롤 바디(44a, 44b) 및 홀딩 부재(38)는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라 변동 사항을 고려할 필요없이, 설정된 힘은 동력 변속 장치(10)의 전체 사용 기간에 걸쳐서 보증된다.
동력 변속 장치(10)의 전기 단자(24, 26)는 지지 장치(20)내로 단단하게 삽입되며, 상기 단자(24. 26)의 두 단부가 지지 장치(2)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와의 전기적 연결부의 전기 접속을 위해 플러그 핀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내부에 포함된 전기 단자(24)의 단부는 판스프링(50)의 형태를 갖는다. 판스프링(50)은 단자(24)로 이르는 제 1 단부 영역(52)을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 영역(52)은 전기 단자(24)와 함께 지지 장치(20)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단단한 결합은 합목적적으로는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2)이 지지 장치(20)의 플라스틱 내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판스프링(50)과 상기 지지 장치(20)로부터 돌출된 전기 단자(24)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얇은 박판 조각으로 천공 가공되었다. 지지 장치(20)로부터 돌출된 단자(24)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박판 조각의 상기 부분이 돌출되는 단부에서 구부러짐으로써 돌출된 단자(24)는 박판 조각의 두 배의 두께를 갖게 된다. 그로 인해 안정성이 확실히 증가될 수 있다. 지지 장치(20)의 내부에는 얇은 박판 조각 한 겹의 벽 두께로도 충분하다. 판스프링(50)은 작동 부재(20)에 대해 안쪽을 향하여 약간 반경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 2 단부 영역(54)을 갖는다. 상기 박판 스프링(50)을 위한 삽입 조건은 상기 단부 영역(54)이 작동 부재(22)에 대해 탄성적인 초기 응력이 가해지도록, 박판 스프링(50)이 약간 탄력있게 휘어지는 것이다.
도 8은 도 3에 도면부호 VIII-VIII로 표시된 절단면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다.
판스프링(50)의 옆으로 평행하게 제 2 판스프링(60)이 위치한다. 제 2 판스프링(60)은 제 1 판스프링(5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판스프링(60)은 제 1 전기 단자(26)에 연결되는, 하우징이 단단한 제 1 단부 영역(62) 및 작동 부재(22)의 표면에 대해 탄성을 받는 제 2 단부 영역(64)을 갖는다. 상기 판스프링(60)은 제 2 전기 단자(26)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50, 60)을 향하는 작동 부재(22)의 표면에는 전기적으로 잘 도전되는 접촉면(70)이 설치된다. 상기 접촉면(70)은 작동 부재(22)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접촉면(70)은 작동 부재(22)가 동작하지 않는 정지 위치(d)에 있을 때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 및 판스프링(60)의 단부 영역(64)이 접촉면(70)의 외부에서 작동 부재(22)에 접할 정도의 길이로 설계된다. 상기 접촉면(70)은 작동 부재(22)의 동작시 판스프링(50, 60)의 단부 영역(54, 64)을 벗어나게 되는 단부 모서리(70a)를 갖는다. 상기 접촉면(70)은 작동 부재(22)의 표면 내로 약간 들어가 있으며, 상기 접촉면(70)의 두께는 단부 모서리(70a)에 작동 부재(22)쪽으로 돌출부(72)가 형성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22)의 동작시 판스프링(50, 60)의 단부 영역이 접촉면(70)의 상대적으로 단단한 단부 모서리(70a)에 부딪치는 것이 아니라, 작동 부재(22)처럼,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이 상대적으로 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돌출부(72)에만 부딪치도록 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판스프링(50, 60)의 단부 영역(54, 64)이 확실히 안전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
도 3,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22)가 동작하지 않는 정지 위치(d)에 있게 되면, 동력 변속 장치(10)에 있어서 전기 단자(24)와 전기 단자(26)사이의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먼저 단부 영역(54, 64)이 접촉면(70)에 접촉될 정도로 작동 부재(22)가 인장 스프링(28)력에 대해 변위된 다음, 그로 인해 형성된 전기 전류 접촉부(73)(도 8)가 폐쇄된다. 상기 전기 전류 접촉부(73)는 판스프링(50, 60) 및 접촉면(70)을 통해 상기 두 단자(24, 26)를 서로 연결시킨다. 만일 작동 부재(50, 60)가 판스프링(50, 60)이 접촉면(70)에 전기 접촉되지 않도록 위치하면,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개방되고, 작동 부재(22)는 하기에 작동 부재(22)의 개방-위치 영역으로서 명명되는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원칙적으로 개방-위치 영역을 위해서는 두 개의 판스프링(50, 60) 중 하나만 접촉면으로부터 떨어져도 충분하다. 작동 부재(22)가 상기 두 판스프링(50, 60)이 접촉면(70)에 전기 접촉되는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면, 상기 작동 부재(22)는 전기 전류 접촉부(73)가 폐쇄되는 영역 내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영역은 하기에서 작동 부재(22)의 폐쇄 위치 영역으로 명명된다.
도 9는 마찬가지로 도 3에 도면부호 VIII-VIII로 표시된 절단면을 바라본 것을 나타낸다. 도 8과는 달리 도 9에서는 하기에 설명되는 몇몇의 변형예를 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접촉면(70)은, 작동 부재(22)가 개방 위치 영역으로부터 폐쇄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두 판스프링(50, 60)이 동시에 접촉면(70)과 전기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상기 접촉면(70)(도 8)은 접촉면(70')(도 9)으로 대체되었다. 상기 접촉면(70')은 거의 L 자형으로 천공된 표면을 갖는다. 상기 접촉면(70')은 판스프링(60)이 작동 부재의 모든 위치에서 항상 접촉면(70')에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변위될 때에는 단지 판스프링(50)만 접촉면(70')에 의한 전기 접촉의 외부에 이르게 된다. 개방위치 영역에서는 판스프링(50)과 접촉면(70') 사이에서만 전기 접촉이 차단된다. 이것은 한 개의 판스프링(50)만 정확히 설계되면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머지 판스프링(60)의 길이는 이 이상의 허용오차 내에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따라서 동력 변속 장치(10)의 제조 비용이 훨씬 줄어든다.
도 10은 매우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작동 부재(22)가 인장 스프링(28)에 대해 정지 위치(d)로부터 움직이게 되면, 상기 작동 부재(22)는 폐쇄 위치 영역에 이른다. 이와는 달리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에 있을 때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폐쇄된다. 인장 스프링(28)력에 대해 작동 부재가 변위됨에 따라 판스프링(50)이 돌출부(72)를 넘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개방되고 작동 부재(22)가 개방 위치 영역에 이르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예를 들어 동력 변속 장치(10)의 매우 바람직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절단면이 도 12에 도면부호 XI-XI로 표시되어있다. 도 12에 도시된 절단면은 도 11에 도면부호 XII-XII로 표시되어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 개의 판스프링(50, 60)의 단부 영역(52, 62)이 작동 부재(22)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두 판스프링(50, 60)의 두 고정 단부 영역(52, 62)은 항상 전기적으로 서로 고정 연결된다. 제 1 단자(24)에는 접촉면(74)(도 12)이 형성되고, 제 2 전기 단자(26)에는 제 2 전기 접촉면(76)이 형성된다(도 12).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 내에 있게 되면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4)은 접촉면(74)에 대해 전기 접촉을 갖게 되고,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64)은 접촉면(76)에 대해 전기 접촉을 갖게 된다. 폐쇄 위치 영역 내에서는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폐쇄되고, 단자(24)는 접촉면(74), 판스프링(50)의 탄력이 있는 단부 영역(54), 판스프링(50), 고정된 단부 영역(52, 62), 판스프링(60), 탄력이 있는 단부 영역(64), 접촉면(76)에 걸쳐서 제 2 단자(26)에 대해 전기 접촉을 갖는다.
도 13은 매우 바람직한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전반적으로 일치하나,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추가로 접촉 방지 장치(80)가 제공된다.
상기 접촉 방지 장치(80)는 작동 부재(22)에 제공된 돌출부(82)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82)는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으로부터 개방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접촉면(70)과 전기 접촉 상태에 있는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0)의 단부에 도달되기 전에, 접촉면(70)으로부터 상기 판스프링(50)이 떨어질 수 있도록 제공 및 설계된다. 즉, 상기 접촉 방지 장치(80)는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4)이 단부 모서리(70a)뿐만 아니라 돌출부(72)에도 접촉하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로 인해 판스프링(50, 60)이 매우 안전하게 다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그 수명이 훨씬 연장된다.
상기 접촉 방지 장치(80)는 선택적으로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으로부터 개방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제 2 판스프링(60)의 탄력있는 단부 영역(64)도 상기 접촉 방지 장치(80)에 의해 접촉면(7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72)가 없어도 된다.
도 14는 매우 바람직한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1과 거의 동일하나,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추가로 접촉 방지 장치(90)가 제공된다는 차이가 있다. 상기 접촉 방지 장치(90)는 지지 장치(20)에 제공된 돌출부(9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92)는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으로부터 개방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판스프링(50)이 접촉면(74)의 단부 모서리에 도달되기 전에, 상기 접촉면(74)으로부터 상기 판스프링(50)이 떨어질 수 있도록 설계 및 설치된다. 작동 부재(22)가 개방 위치 영역으로부터 폐쇄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상기 접촉 방지 장치(90)는 판스프링(50)이 접촉면(74)의 단부 모서리뿐만 아니라 그 밖의 돌출부에도 부딪칠 수 없도록,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4)이 이미 접촉면(74)에 걸쳐있게 될 때 비로소 상기 판스프링(50)의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4)상으로 내려가게 한다. 그로 인해 판스프링(50)과 접촉면(74) 사이의 전기 접촉의 수명이 훨씬 연장된다. 상기 접촉 방지 장치(90)는 선택적으로 작동 부재(22)가 폐쇄-위치 영역으로부터 개방 위치 영역으로 변위될 때 제 2 판스프링(60)의 단부 영역(64)도 상기 접촉 방지 장치(80)에 의해 접촉면(76)으로부터 안전하게 떨어지게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동력 변속 장치의 제조 비용, 특히 중간 위치에서 동력이 상승할 때 스위칭 지점을 할당하는 비용이 매우 적게 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위칭 지점의 매우 정확한 할당이 달성될 수 있는 페달값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보증된다.

Claims (24)

  1. 차량의 섀시에 장착되며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및 이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사이에 놓인 페달(6)의 중간 위치(b)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페달(6)과, 상기 페달을 초기 위치(a)쪽으로 누르는 복원 스프링 장치(8)와, 동력 변속 장치(10)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는 지지 장치(20)와, 상기 지지 장치(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부재(22)와, 상기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로 밀어내는 인장 스프링(28)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22)는, 페달이 초기 위치(a)와 중간 위치(b)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인장 스프링(28)에 의해 정지 위치(d)에 정지하며, 페달이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페달(6)에 의해 인장 스프링(28)에 대해 정지 위치(d)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에는 작동 부재(22)에 걸쳐서 뻗는 전류 접촉부(73)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 부재(22)는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폐쇄되는 폐쇄 위치 영역과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개방 위치 영역을 가지며, 또한, 상기 작동 부재(22)에는 전기 도전 접촉면(70)이 설치되고 지지 장치(20)에는 제 1 전기 단자(24)와 제 2 전기 단자(26)가 제공되며,
    상기 지지 장치(20)에는 판스프링(50)이 제공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제 1 전기 단자(24)와 전기 접속되며 지지 장치(20)에 고정된 제 1 단부 영역(52)과 작동 부재(22)에 대해 상기 판스프링(50)의 탄성 휨에 의해 눌려지는 제 2 단부 영역(54)을 갖는 페달값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 영역 내에서 제 1 전기 단자(24)를 제 2 전기 단자(26)에 접속시키는 전류 접촉부(73)는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작동 부재(22)에 제공된 접촉면(70)에 접촉됨으로 인해 폐쇄되고, 상기 개방 위치 영역에서는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0, 7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접촉부(73)는 제 2 전기 단자(26)에 전기 접속되는 제 2 판스프링(60)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은 제 1 단부 영역(62) 및 제 2 단부 영역(64)을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 영역(62)은 지지 장치에 고정되고 제 2 단부 영역(64)은 작동 부재(22)에 대해 제 2 판스프링(60)의 탄성 휨에 의해 눌려지며, 상기 제 2 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적어도 폐쇄 위치 영역 내에서 작동 부재(22)에 제공된 접촉면(70, 7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접촉면(70)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접촉면(70')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70, 70')은 단부 모서리(70a)를 가지며, 작동 부재(22)는 개방 위치 영역에서 폐쇄 위치 영역으로 움직일 때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0, 70')의 단부 모서리(70a)에 접하지 않도록, 상기 작동 부재(22)에 접촉면(70, 70')을 지나 판스프링(50) 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부(7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2)에는 상기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에서 개방 위치 영역으로 움직일 때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0, 70')의 어떤 단부 모서리에도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접촉면(70, 70')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접촉 방지 장치(80, 8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50)은 제 1 전기 단자(2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8. 차량의 섀시에 장착되며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및 이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사이에 놓인 페달(6)의 중간 위치(b)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페달(6)과, 상기 페달을 초기 위치(a)쪽으로 누르는 복원 스프링 장치(8)와, 동력 변속 장치(10)를 구비하며,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는 지지 장치(20)와, 상기 지지 장치(2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작동 부재(22)와, 상기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로 밀어내는 인장 스프링(28)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22)는, 페달이 초기 위치(a)와 중간 위치(b)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인장 스프링(28)에 의해 정지 위치(d)에 정지하며, 페달이 초기 위치(a)와 최종 위치(c)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페달(6)이 인장 스프링(28)에 대해 작동 부재(22)를 정지 위치(d)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에는 작동 부재(22)에 걸쳐서 뻗는 전류 접촉부(73)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 부재(22)는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폐쇄되는 폐쇄 위치 영역과 상기 전류 접촉부(73)가 전기적으로 차단되는 개방 위치 영역을 가지며, 또한, 상기 작동 부재(22)에는 전기 도전 접촉면(74)이 설치되고 지지 장치(20)에는 상기 접촉면(74)과 전기 접속되는 제 1 전기 단자(24)와 제 2 전기 단자(26)가 제공되며,
    상기 작동 부재(22)에는 판스프링(50)이 제공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작동 부재(22)에 고정되는 제 1 단부 영역(52)과 지지 장치(20)에 대해 상기 판스프링(50)의 탄성 휨에 의해 눌려지는 제 2 단부 영역(54)을 갖는 페달값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 위치 영역 내에서 제 1 전기 단자(24)를 제 2 전기 단자(26)에 접속시키는 전류 접촉부(73)는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지지 장치(20)에 제공된 접촉면(70)에 접촉됨으로 인해 폐쇄되고, 상기 개방 위치 영역에서는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4)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20)에는 제 2 전기 단자(26)와 전기 접속되는 제 2 접촉면(76)이, 그리고 작동 부재(22)에는 판스프링(50)과 전기 접속되는 제 2 판스프링(6)이 제공되고,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은 제 1 단부 영역(62)과 제 2 단부 영역(64)을 가지며, 상기 제 1 단부 영역(62)은 작동 부재(22)에 고정되고 제 2 단부 영역(64)은 지지 장치(22)에 대해 제 2 판스프링(60)의 탄성 휨에 의해 눌려지며, 상기 제 2 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적어도 폐쇄 위치 영역 내에서 작동 부재(22)에 제공된 제 2 접촉면(76)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제 2 접촉면(76)으로부터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위치 영역 내에서 상기 제 2 판스프링(60)의 제 2 단부 영역(64)은 제 2 접촉면(76)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74)은 단부 모서리(70a)를 가지며, 작동 부재(22)가 개방 위치 영역에서 폐쇄 위치 영역으로 움직일 때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은 접촉면(70, 70')의 단부 모서리(70a)에 접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 장치(20)에 접촉면(74)을 지나 판스프링(50) 방향으로 튀어나온 돌출부(7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20)에는 상기 작동 부재(22)가 폐쇄 위치 영역에서 개방 위치 영역으로 움직일 때 판스프링(50)의 제 2 단부 영역(54)이 접촉면(74)의 어떤 단부 모서리에도 접하지 않도록, 상기 접촉면(74)으로부터 떨어지게 하는 접촉 방지 장치(90, 92)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면(74)은 제 1 전기 단자(2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28)은 작동 부재(22)를 인장 방향으로 정지 위치(d)로 움직이게 하고, 지지 장치(20)에는 인장 방향의 반대쪽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이 제공되고, 작동 부재(22)에는 인장 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 및 홀딩 부재(38)가 제공되며, 상기 홀딩 부재(38)는 상기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과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스프링(28)은 홀딩 부재(38)에 대해 작동 부재(22)의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을 지나 지지 장치(20)의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에 대해 상기 홀딩 부재(38)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2)에는 브레이싱 스프링(42) 및 롤 바디(44a)가 존재하는 가로 홀(40)이 제공되고, 상기 브레이싱 스프링(42)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브레이싱 스프링(42)의 제 1 단부가 홀딩 부재(38, 46a)에 대해 상기 롤 바디(44a)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홀(40)내에는 제 2 롤 바디(44b)가 존재하며, 상기 브레이싱 스프링(42)의 제 2 단부가 홀딩 부재(38, 46b)에 대해 상기 제 2 롤 바디(44b)에 압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19. 제 15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38)는 단(46a, 46b)을 형성하며, 상기 작동 부재가 움직일 때 하나 이상의 롤 바디(44a, 46)가 브레이싱 스프링(42)력의 반대쪽으로 상기 단(46a, 46b) 너머로 밀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38)는 클램프 형태로 형성되고 제 1 아암(38a) 및 제 2 아암(38b)을 가지며, 상기 두 아암(38a, 38b)은 각각 하나의 작동 부재 정지면(36a, 36b)과 각각 하나의 지지 장치 정지면(34a, 34b)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는 섀시(14)에 설치되고, 페달(6)이 중간 위치(b)와 최종 위치(c)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페달(6)은 작동 부재(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변속 장치(10)는 페달(6)에 설치되고, 페달(6)이 중간 위치(b)와 최종 위치(c) 사이를 움직일 때 상기 페달(6)은 상기 섀시(14)에 대해 작동 부재(22)에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에 있을 때 전류 접촉부(73)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22)가 정지 위치(d)에 있을 때 전류 접촉부(73)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값 발생 장치.
KR1020007014503A 1999-04-22 1999-12-04 페달값 발생 장치 Ceased KR200100530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8119.5 1999-04-22
DE19918119A DE19918119A1 (de) 1999-04-22 1999-04-22 Pedalwertgeberanordnung
PCT/DE1999/003890 WO2000064696A1 (de) 1999-04-22 1999-12-04 Pedalwertgeberanordn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051A true KR20010053051A (ko) 2001-06-25

Family

ID=790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503A Ceased KR20010053051A (ko) 1999-04-22 1999-12-04 페달값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46500B1 (ko)
EP (1) EP1089893B1 (ko)
JP (1) JP2002542109A (ko)
KR (1) KR20010053051A (ko)
DE (2) DE19918119A1 (ko)
ES (1) ES2219099T3 (ko)
WO (1) WO20000646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20B1 (ko) * 2004-11-15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KR101032409B1 (ko) * 2010-11-24 2011-05-04 나정민 악보디스플레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0432A1 (de) 2000-03-03 2001-09-06 Bosch Gmbh Robert Kick-down-Element für ein Fahrpedalmodul eines Kraftfahrzeugs
DE10031097C1 (de) * 2000-06-30 2002-02-21 A B Elektro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Erzeugung von Kick-Down-Signalen
DE10106709A1 (de) * 2001-02-14 2002-08-22 Siemens Ag Pedal
WO2003022616A1 (de) * 2001-08-31 2003-03-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schleissfreier fahrpedal-kick-down-schalter
JP3651793B2 (ja) * 2002-04-03 2005-05-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クセルペダル装置
DE10235697B4 (de) * 2002-08-03 2014-02-06 Hella Kgaa Hueck & Co.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Fahrgeschwindigkeit eines Kraftfahrzeuges
JP2006520286A (ja) * 2003-01-24 2006-09-07 クラブ カ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車両用モジュラ・ペダル組立体
DE10324811A1 (de) 2003-06-02 2004-12-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auf ein Fahrpedal eines Kraftfahrzeugs wirkenden Rückstellkraft
JP2005132216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踏力センサとそれを用いたペダル踏力検出装置
US20050097980A1 (en) * 2003-11-07 2005-05-12 Brad Menzies Kickdown mechanism
DE102004051888A1 (de) * 2004-10-26 2006-05-24 Daimlerchrysler Ag Betätigungseinrichtung zur Leistungssteuerung eines Fahrzeugantriebs mit einem Fußpedal
DE102004060482A1 (de) * 2004-12-16 2006-06-29 Hella Kgaa Hueck & Co. Kick-Down Element für Fahrpedalgeber
EP1860518A3 (en) 2005-01-18 2010-09-08 Teleflex Incorporated Pedal assembly and method
US20060230875A1 (en) * 2005-04-15 2006-10-19 Jiyuan Ouyang Pedal assembly having a hysteresis generating structure
DE102005038750A1 (de) * 2005-08-17 2007-02-22 Robert Bosch Gmbh Kick-Down-Einrichtung eines Fahrpedalmoduls
JP4711126B2 (ja) * 2005-09-28 2011-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JP4710614B2 (ja) * 2006-01-06 2011-06-29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装置のキックダウンスイッチ
JP4595927B2 (ja) * 2006-11-15 2010-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ペダル操作量検出装置
US7971506B2 (en) * 2007-09-06 2011-07-05 Honda Motor Co., Ltd. Automotive accelerator pedal with adaptive position kick-down detent
KR100931145B1 (ko) * 2008-07-04 2009-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정식 킥 다운 스위치의 조작기구
CN101750203B (zh) * 2009-12-20 2011-11-02 安徽省华茂汽车附件制造有限公司 汽车踏板疲劳试验台
DE102011080297A1 (de) 2010-08-25 2012-03-01 Robert Bosch Gmbh Pedalwertgeberanordnung
DE102013212585A1 (de) * 2013-06-28 2014-12-31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Nulllagendetektor
DE102014100613B4 (de) * 2014-01-21 2025-01-30 HELLA GmbH & Co. KGaA Kick- Down- Elemen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5200670B3 (de) * 2015-01-16 2016-02-11 Robert Bosch Gmbh Federanordnung mit Hysteres und Übergas-Eigenschaft
US10670141B1 (en) 2017-01-16 2020-06-02 John Jason Conley Multi-function vehicle control device
CN110027521B (zh) * 2018-01-12 2021-09-21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的踏板感模拟器和具有其的车辆
KR102288890B1 (ko) * 2019-10-07 2021-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지능형 가속페달장치 및 이의 작동제어방법
EP4277814A1 (en) 2021-01-13 2023-11-22 CTS Corporation A vehicle pedal resistance and dampener assembly
CN112816105A (zh) * 2021-02-10 2021-05-18 和域医疗(深圳)有限公司 一种高鲁棒性压力传感器装置
CN118076521A (zh) * 2021-10-11 2024-05-24 Cts公司 带位置传感器的车辆踏板弹簧阻尼模拟器组件
US20240069585A1 (en) * 2022-08-31 2024-02-29 KSR IP Holdings, LLC Passive pedal force emulator assembly having tension member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1455A1 (de) * 1984-03-28 1985-10-1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r drehwinkelgeber
DE3411456C3 (de) * 1984-03-28 1997-04-03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r Drehwinkelgeber
US4915075A (en) * 1989-03-20 1990-04-10 Caterpillar Inc. Accelerator pedal position sensor
DE4035622C2 (de) * 1990-11-09 1998-01-29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Leistungsstellglied einer Brennkraftmaschine in einem Kraftfahrzeug
DE4203367C2 (de) * 1992-02-06 2000-10-05 Hella Kg Hueck & Co Sollwertgeber einer Einrichtung zum Einstellen der Fahrgeschwindigkeit eines Fahrzeuges
DE4331902A1 (de) 1993-09-20 1995-03-23 Bosch Gmbh Robert Pedalwertgeber
DE4422232A1 (de) 1994-06-24 1996-01-04 Bosch Gmbh Robert Stellwertgeber
ES2112741B1 (es) * 1994-11-11 1998-12-01 Fico Cables Sa Dispositivo detector de sobreaceleracion.
DE19521821C1 (de) * 1995-06-16 1996-12-12 Hella Kg Hueck & Co Fahrpedaleinrichtung
DE19536699A1 (de) * 1995-09-30 1997-04-03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DE19536606A1 (de) * 1995-09-30 1997-04-03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DE19630156B4 (de) * 1996-07-26 2006-07-27 Zf Friedrichshafen Ag Steuerung eines selbsttätig schaltenden Getriebes oder eines stufenlosen Getriebes
DE19737288A1 (de) * 1997-08-27 1999-03-04 Mannesmann Vdo Ag Fahrpedal für ein Kraftfahrzeug
DE19751520C1 (de) * 1997-11-21 1999-10-28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US6263859B1 (en) * 1998-10-09 2001-07-24 Teleflex Incorporated Multiple sensor electronic assembly
DE10008345B4 (de) * 1999-06-24 2009-08-27 Honda Giken Kogyo K.K. Beschleunigeröffnungsgradsen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20B1 (ko) * 2004-11-15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킥 다운 스위치
KR101032409B1 (ko) * 2010-11-24 2011-05-04 나정민 악보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19099T3 (es) 2004-11-16
EP1089893B1 (de) 2004-03-17
EP1089893A1 (de) 2001-04-11
DE59908895D1 (de) 2004-04-22
US6446500B1 (en) 2002-09-10
JP2002542109A (ja) 2002-12-10
DE19918119A1 (de) 2000-10-26
WO2000064696A1 (de) 200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53051A (ko) 페달값 발생 장치
US6745642B2 (en) Accelerator pedal assembly
US3766342A (en) Switch responsive to brake pedal movement
US6109130A (en) Control lever
WO2006091347A1 (en) Pedal for motorized vehicle
WO2007092175A1 (en) Accelerator pedal for a vehicle
US3435165A (en) Electric contact units of cable control devices
US6167778B1 (en) Gas pedal for a motor vehicle
US11511665B2 (en) Vehicle steering wheel comprising a horn control device, vehicle with such a steering wheel,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steering wheel
EP1777095A2 (de) Fahrpedal für ein Kraftfahrzeug
US5534672A (en) Multiple plunger pedal switch assembly
CA2056462C (en) In field settable differential pressure switch assembly for low fluid pressure applications
US5512722A (en) Key switch
US4387282A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US20050097980A1 (en) Kickdown mechanism
WO2001023793A3 (de) Aufbau zum elektrischen kontaktieren eines ventils
EP0576388B1 (en) Self-adjusting multicircuit brake switch
EP0988468B1 (en) Electrically actuated brake with automatic play adjustment
EP1538322A2 (en) Pedal mechanism
EP0731480A2 (en) CAM follower assembly for use in a latching switch
US5190150A (en) Ball bearing plunger actuator for a switch
GB2112210A (en) Electrical snap-action switch
JP4724382B2 (ja) アクセルペダル装置
WO2002006651A2 (de) Kraftfahrzeug-steuergerät mit integriertem druckschalter
JP2009301801A (ja) 自動変速機用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30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2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