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53011A -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Google Patents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3011A
KR20010053011A KR1020007014415A KR20007014415A KR20010053011A KR 20010053011 A KR20010053011 A KR 20010053011A KR 1020007014415 A KR1020007014415 A KR 1020007014415A KR 20007014415 A KR20007014415 A KR 20007014415A KR 20010053011 A KR20010053011 A KR 20010053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igit
telephone
prescribed
m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달비마이클
펜톤안드류마크
Original Assignee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Publication of KR2001005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011A/en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전화, 특히 사용자로 하여금 2가지 동작 모드 중 하나를 설정시키게 하는 이동 전화가 설명된다. 하나의 모드에서, 특정 디지트 같은 하나의 특정 문자가 전화 걸리면, 다이얼 넘버는 구내 번호 계획 넘버로 취급되고, 또 다른 모드에서, 다른 특정 문자가 전화 걸리면, 넘버는 외부 넘버로 취급된다.Phones, in particular mobile phones, which allow a user to set one of two modes of operation are described. In one mode, when one particular character, such as a specific digit, is dialed, the dial number is treated as an extension number plan number, and in another mode, when another specific character is called, the number is treated as an external number.

Description

이동 전화 장치에서 호출 발신{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현재 이동 전화 표준에서는, 가입자 그룹이 단축 번호로 전화함으로서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소위 구내 번호 계획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상에 필요한 상호 작용은 GSM 04. 08 섹션 10.5.4.7 같은, GSM 표준에서 정의된다. 이러한 표준은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송신되는 넘버에 필요한 포맷(format)을 정의하여, 구내 번호 계획 넘버에 엑세스하게 한다.The current mobile phone standard considers the use of so-called premises numbering schemes, in which a group of subscriber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dialing a speed dial number. The required interaction on the air interface is defined in the GSM standard, such as GSM 04.08 section 10.5.4.7. This standard defines the format required for the number transmitted on the air interface, giving access to the premises number plan number.

사용자가 전화하는 넘버를 무선 인터페이스에 적절하게 엑세스하는 넘버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문제가 남아있다. 물론, 전화는 동일한 번호 계획의 일부가 아닌 넘버로 호출하는 것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There remains a problem regarding how to convert the number the user calls to a number that properly accesses the air interface. Of course, the phone must also be able to handle calls with numbers that are not part of the same number plan.

본 발명은 전화 장치, 특히 구내 번호 계획(private numbering plan)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곳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동 전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lephone apparatus, in particular a mobile telephone, which can be used where there is the possibility of using a private numbering pla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이동 전화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mobile telephon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서, 전화는 2가지 동작 모드를 갖게된다. 제 1 모드에서,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가 규정 접두 디지트(digit)를 포함하지 않으면, 상기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1 유형 넘버로서 해석된다. 제 2 동작 모드에서,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가 규정 접두 문자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2 유형 넘버로서 해석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telephone has two modes of operation. In the first mode, if the dialed digit sequence does not include a prescribed prefix digit, the dialed digit sequence is interpreted as a first type number. In the second mode of operation, if the dialed digit sequence does not include a prescribed prefix character, the dialed digit sequence is interpreted as a second type number.

그러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주로 구내 번호 계획 내의 넘버로 호출하기를 기대할 때, 사용자는 전화를 다이얼된 넘버가 전화에 의해 구내 번호 계획의 넘버로서 해석되는 동작 모드로 설정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처리되고, 접두 디지트는 구내 번호 계획의 일부가 아닌 외부 넘버로 엑세스하도록 다이얼 될 필요가 있다.Thus, for example, when the user primarily expects to call with a number in the extension plan, the user can set the phone to an operating mode in which the dialed number is interpreted by the phone as the number of the extension number plan, thus processing The prefix digit needs to be dialed to access an external number that is not part of the extension number plan.

사용자가 주로 구내 번호 계획의 외부 넘버로 호출하기를 기대할 때, 사용자는 전화를 다이얼된 넘버가 전화에 의해 외부 넘버로서 일반적으로 해석되는 동작 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처리되며, 접두 문자는 구내 번호 계획의 부분을 형성하는 넘버에 엑세스하게 다이얼 될 필요가 있다.When the user primarily expects to make a call to an outside number of the extension number plan, the user can set the phone to an operating mode in which the dialed number is generally interpreted by the phone as an outside number, and is processed accordingly, with the prefix characters The numbers that form part of the numbering plan need to be dialed to access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전화의 개략적인 블록 다이아그램이다. 통상적으로, 전화(2)는 인간-컴퓨터간 인터페이스(MMI)(4)를 포함하는데, 상기 인간-컴퓨터간 인터페이스(MMI)(4)는 사용자에 의한 디지트 입력 요소(entry)를 위한 키패드 및 LCD와 같은 형태로 된 디스플레이(display)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화(2)는 신호를 무선 인터페이스상 에서 수신하기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고, 무선 인터페이스상 에서 수신된 신호를 전화내에서 처리하기에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송수신기(TX)(6)를 포함한다. 게다가, 전화(2)는 정보 사양을 특정 사용자에게 저장하는 공지된 SIM-카드를 위한 인터페이스(8)를 포함한다. 전화(2)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부품도 통상적인 것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telephone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ypically, telephone 2 includes a human-computer interface (MMI) 4, which is a keypad and LCD for digit input entry by a user. It includes a display in the form of: The telephone 2 also has a transceiver (TX) 6 for converting the signal into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on the air interface and converting the signal received on the air interface into a form suitable for processing in the telephone. Include. In addition, the telephone 2 comprises an interface 8 for a known SIM-card which stores information specifications to a specific user. Other parts, not shown, of the telephone 2 are also conventional.

본 발명에 따라서, 전화는 MMI(4)를 경유하여 사용자에 의해 공급된 입력을 근거로, 전화의 프로세스 유니트에 의해 공동으로 제어되는 2개의 스위치(12, 14)를 포함하는 넘버 변환 모듈(10)을 소프트웨어-제어 프로세서 같은 것 내에 포함시킨다. 상기 스위치는 물리적 스위치가 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입력 데이터가 소프트웨어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는 방식을 설명하는, 어쩌면 더욱 통상적일지도 모르는 "가상 스위치"가 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elephone comprises a number conversion module 10 comprising two switches 12, 14 jointly controlled by the telephone's process unit, based on the input supplied by the user via the MMI 4. ) Into a software-controlled processor. The switch can be a physical switch, and perhaps a more conventional "virtual switch," describing how different input data can be processed in different ways in software as user input changes.

스위치(12)의 상태(posotion)에 따라, MMI(4)로 부터의 입력은 2개의 넘버 프로세싱 유니트(16, 18) 중 하나에 공급될 수 있고,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블록(10)의 입력되는 넘버는 2개의 디코딩 유니트(20, 22) 중 하나에서 디코드화 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switch 12, the input from the MMI 4 may be supplied to one of the two number processing units 16, 18, and,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witch 14, the block ( The input number of 10) may be decoded in one of the two decoding units 20 and 22.

도 2는, 2개의 넘버 프로세싱 유니트(16, 18)의 서로 다른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이런 것은 서로 다른 하드웨어 블록 또는 도 2에 제시된 것 처럼, 소프트웨어 프로세싱 유니트의 대체 프로세싱 경로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화 사용자가 MMI(4)를 사용하여 전화를 걸 때, 단계(40)에서, 프로세스는 시작한다. 단계(42)에서, 전화가 PNP(구내 번호 계획)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이런 실시예에서, 전화는, 사용자가 대부분의 발신 호출이 공통 구내 번호 계획내의 다른 넘버가 되기를 기대할 때 가장 유용한 PNP 모드로 설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대부분의 발신 호출이 외부 넘버가 되기를 기대할 때(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내 번호 계획의 멤버가 될 수 없을 수 있다) 가장 유용한 외부 모드로 설정 될 수 있다. 전화의 동작 모드는, 예를 들어 MMI(4)에 나타난 메뉴로부터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 대안 방법으로, 전화의 키패드로부터 규정 코드를 입력시킴으로서 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different operations of two number processing units 16 and 18.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reciated that this can be realized in different hardware blocks or alternative processing paths of the software processing unit, as shown in FIG. 2. When the telephone user makes a call using MMI 4, in step 40, the process begins. In step 4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elephone is in PNP (Plan Number Planning) mode. In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lephone can be set to the most useful PNP mode when the user expects most outgoing calls to be different numbers in the common premises plan, or the user wants most outgoing calls to be external numbers. When expected (for example, the user may not be able to be a member of an extension number plan), it can be set to the most useful external mode. The operating mode of the telephon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from a menu displayed in the MMI 4. Alternatively, the mode can be set by entering a regulation code from the keypad of the telephone.

도 2에 도시된 프로세스 중 단계(42)에서, 전화가 PNP 모드에 있다고 판정되면, 단계(48)에서, 넘버 프로세싱 블록(18)이 상기 넘버를 처리한다. 이런 동작 모드에서, 다음 단계인 도 2의 단계(50)는 다이얼된 넘버를 검사하여, 규정 이스케이프(escape) 디지트가 제 1 디지트로 입력되는지를 판정한다. 특정 이스케이프 디지트가 제 1 디지트로서 입력되지 않는다면, 단계(52)에서, 넘버 프로세싱 블록(18)은 상기 넘버를 마치 PNP 넘버처럼, 상기 넘버를 송수신기(6)로 송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GSM 04.08에 따라 포맷된 정정 형태로 변환시킨다. 반면, 사용자가 다이얼된 넘버의 제 1 디지트로서 규정 이스케이프 디지트로 전화한다면, 도 2의 단계(54)에서, 이것은 다이얼된 넘버의 리마인더(reminder)가 마치 외부 넘버인 것처럼 변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넘버 프로세싱 블록(18)에 의해 사용된다.If in step 42 of the process shown in Fig. 2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ne is in PNP mode, then in step 48, the number processing block 18 processes the number. In this mode of operation, step 50 of FIG. 2, which is the next step, examines the dialed number to determine if a prescribed escape digit is entered as the first digit. If a particular escape digit is not entered as the first digit, then at step 52, the number processing block 18 sends the number to the transceiver 6, for example GSM 04.08, to transmit the number as if it were a PNP number. Convert to a formatted corrected format according to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calls the prescribed escape digit as the first digit of the dialed number, in step 54 of FIG. 2, this is a number indicating that the reminder of the dialed number should be converted as if it were an external number. Used by processing block 18.

바람직하게, 사용자는 사용자 자신이 사용을 위하여, 전화의 MMI(4)를 통해서 다시 규정 이스케이프 디지트를 정의할 수 있다. (대안 방법으로, 이스케이프 디지트는 디지트 시퀀스가 될 수 있거나, 다수의 키프레스(multiple keypress) 또는 장시간 키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하려는 넘버가 자신의 구내 번호 계획내의 넘버 중 디지트 "9"로 시작하는 넘버가 없다는 것을 알면, 사용자는 상기 넘버를 적절한 이스케이프 디지트로 정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외부(또는 네트워크 다이얼링 계획) 넘버로 전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반드시 9xxxx로 전화하여야 한다. 반면, 구내 번호 계획 넘버로 전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예비 이스케이프 디지트없이, 간단히 상기 넘버 yyyy로 전화한다.Preferably, the user can again define the regulatory escape digits via the phone's MMI 4 for his own use. (Alternatively, the escape digit can be a digit sequence, or can include multiple keypresses or long keypresses.) For example, the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call is in his extension number plan. Knowing that none of the numbers begin with digit "9", the user can choose to define the number as an appropriate escape digit. Then, to dial an external (or network dialing plan) number, the user must dial 9xxxx.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all the extension number plan number, the user simply calls the number yyyy without a preliminary escape digit.

전화가 외부 모드라면, 즉, 단계(42)에서 질문에 대한 답이 NO라면, 순서는, 예를 들어 도 1의 넘버 프로세싱 블록(16)에 의해 상기 넘버가 수신되는 단계(44)로 간다.If the phone is in external mode, ie if the answer to the question is NO in step 42, the sequence goes to step 44 where the number is received, for example by the number processing block 16 of FIG.

이러한 동작 모드에서, 다음 단계인 도 2의 단계(70)는 다이얼된 넘버를 검사하여, 규정 접두 문자가 제 1 디지트로서 입력되는지를 판정한다. 규정 접두 문자가 제 1 디지트로서 입력되었다면, 단계(72)에서, 넘버 프로세싱 블록(18)은 상기 넘버를 마치 PNP 넘버처럼, 송수신기(6)로 송신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로 변환시킨다. 반면, 사용자가 다이얼된 넘버의 제 1 디지트로서 규정 이스케이프 디지트로 전화하지 않는다면, 도 2의 단계(74)에서, 이것은 다이얼된 넘버가 마치 외부 넘버처럼 변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넘버 프로세싱 블록(18)에 의해 사용된다.In this mode of operation, the next step, step 70 of FIG. 2, checks the dialed number to determine whether a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entered as the first digit. If a prescribed prefix character was entered as the first digit, then at step 72, the number processing block 18 converts the number into a suitable form for transmission to the transceiver 6, as if it were a PNP number.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does not call the prescribed escape digit as the first digit of the dialed number, in step 74 of FIG. 2, this indicates that the number processing block 18 indicates that the dialed number should be converted like an external number. Used by.

이런 경우, 접두 문자가 디지트로 선택될 수 있더라도, 결코 외부 넘버의 제 1 디지트가 될 수 없어, 이하에 "p"라고 언급되는 접두 문자로서 사용될 수 있는 어떤 특정 디지트를 판정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 전화는 규정 키프레스 작동을 필요한 접두 문자 p로서 인지한다. 예를 들어, 이런 규정 키프레스 작동은 다수의 키를 동시에 누르는 것, 또는 특정 시퀀스내에 포함될 수 있거나, 규정 키 또는 키의 장시간 키프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such a case, even if the prefix character may be selected as a digit, it may never be the first digit of the outer number, and thus may not be able to determine any particular digit that can be used as the prefix character referred to below as "p". Therefore, the telephone preferably recognizes the prescribed key press operation as the necessary prefix p. For example, such prescribed key press operations may be to press multiple keys simultaneously, or may be included in a particular sequence, or may include a long press of a prescribed key or key.

그 후, PNP(또는 구내 번호 계획) 넘버로 전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반드시 pxxxx로 전화하여야 한다. 반면, 외부(또는 네트워크 다이얼링 계획) 넘버로 전화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접두 문자를 누르지 않고, 간단히 넘버 yyyy로 전화한다.After that, the user must call pxxxx to call the PNP (or extension number plan) number. On the other hand, to call an external (or network dialing plan) number, the user simply dials the number yyyy, without pressing a prefix character.

본 발명은 다시 서로 다른 모드로 설정될 수 있는 디코딩 블록(20, 22)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이동 전화에서, 사용자는, 사용자가 자주 전화하는 번호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SIM 카드를 가질 수 있다. 대안 방법으로, 상기 넘버는 전화기 내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ecoding blocks 20, 22 which can be set back to different modes. In a typical mobile phone, a user may have a smart card, a SIM card, which can be used to store numbers that the user frequently calls. Alternatively, the number can be stored in non-volatile memory in the telephone.

SIM 카드에 저장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화하기 위해, SIM 카드의 하나의 동작 모드는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넘버에 엑세스하게 하는 단축형 코드(short code)를 입력하게 하는데, 상기 적절한 넘버는 후에 MMI(4)에 표시된다. 통상적으로, 이런 넘버는 전술된, 송수신기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맷과 동일한 포맷에서 저장된다.When stored on the SIM card, for the user to make a call, one mode of operation of the SIM card allows the user to enter a short code that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appropriate number, which is later assigned to the MMI 4. Is displayed. Typically, this number is stored in the same format used to transmit to the transceiver,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른 전화에서, 사용자가 전화하고자 하는 넘버는 전화가 동작하는 모드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러므로, 도 1은, 스위치(12)를 참조로 전술된 것 처럼 스위치(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스위치(14)는 하드웨어에 있을 수 있거나, 단순히 프로세싱 단계에서 포함되어야 하고 SIM 카드로 부터 검색된 넘버가 디코딩 블록(20) 또는 디코딩 블록(22)으로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소프트웨어에서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넘버는 넘버 유형 및 번호 계획 식별과 함께 SIM 카드(8)에 저장된다. 디코딩 블록(20, 22)은 동일한 방식으로 저장된 넘버를 디코드하지만, 디코드화된 넘버는 MMI(4)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르게 표시되어, 표시된 것처럼 상기 넘버는 전화 동작 모드와 관련되어 다이얼되어야 하는 넘버이다. 그러므로, 전화가 PNP 모드인지, 외부 모드인지에 따라서, MMI(4)에 표시되는 넘버는 사용자가 전화하여 상기 넘버로 엑세스해야 하는 이스케이프 디지트 또는 접두 문자를 포함할 수 있거나, 이러한 어떤 디지트 또는 문자를 생략할 수 있다.In the tele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that the user wants to call varies depending on the mode in which the telephone is operated. Therefore, FIG. 1 includes a switch 14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switch 12, which may be in hardware or simply must be included in the processing step and retrieved from the SIM card. Means for determining in software that determines whether the data has been transmitted to decoding block 20 or decoding block 22. Therefore, the number is stored in the SIM card 8 together with the number type and number plan identification. The decoding blocks 20, 22 decode the stored numbers in the same way, but the decoded numbers are displayed differently on the display of the MMI 4, so that the numbers as indicated are the numbers that should be dialed in relation to the telephone operating mode. . Therefore, depending on whether the phone is in PNP mode or external mode, the number displayed on the MMI 4 may include escape digits or prefix characters that the user must call to access the number, or any such digit or character may be included. Can be omitted.

그러므로, 예를 들어 구내 번호 계획이 작동할 때, 용이하게 단축 다이얼링을 하게 되는 이동 전화가 기술되어 있다.Thus, for example, a mobile phone is described which facilitates speed dialing when an extension number plan is in operation.

Claims (13)

이동 전화에 있어서,For mobile phones, 제 1 규정 접두 문자를 포함하는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1 유형의 넘버로서 해석되고, 제 1 규정 접두 디지트를 포함하지 않는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2 유형의 넘버로서 해석되는 제 1 동작 모드, 및A dialed digit sequence that includes a first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interpreted as a number of the first type, and a dialed digit sequence that does not include the first prescribed prefix digit is interpreted as a number of the second type, and 제 2 규정 접두 문자를 포함하는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2 유형의 넘버로서 해석되고, 제 2 규정 접두 디지트를 포함하지 않는 다이얼된 디지트 시퀀스는 제 1 유형의 넘버로서 해석되는 제 2 동작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 dialed digit sequence that includes a second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interpreted as a number of the second type, and a dialed digit sequence that does not include the second prescribed prefix digit includes a second mode of operation that is interpreted as a number of the first type.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유형의 넘버는 구내 번호 계획 넘버이고, 상기 제 2 유형의 넘버는 외부 넘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Wherein the number of the first type is an extension number plan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type is an external numb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규정 접두 문자는 전화의 키패드로부터의 디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first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a digit from a keypad of the telepho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규정 접두 문자는 다수의 키프레스 동작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wherein said first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defined by a number of key press operatio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1 규정 접두 문자는 장시간 키프레스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first prescribed prefix is defined by a long time key press. 제 3 항,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4 or 5, 상기 제 1 규정 접두 문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first prescribed prefix character can be selected by a us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규정 접두 문자는 전화의 키패드로부터의 디지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second prescribed prefix character is a digit from the keypad of the telephon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규정 접두 문자는 다수의 키프레스 작동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second prescribed prefix is defined by a number of keypress operation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2 규정 접두 문자는 장시간 키프레스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second prescriptive prefix is defined by a long keypress.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8 or 9, 상기 제 2 규정 접두 문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said second prescribed prefix character can be selected by a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모드는 전화의 디스플레이상의 메뉴로 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the operating mod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from a menu on the display of the phon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모드는 전화의 키패드상에서 코드를 입력함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And the operating mod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by entering a code on the keypad of the telephone. 전술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저장된 넘버를 디코딩하기 위한 수단, 상기 디코드화된 저장된 넘버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 및 전화의 제 1동작 모드 또는 제 2 동작 모드에 따라서 동작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표시된 넘버가 상기 동작 모드에서 다이얼되는 넘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Means for decoding a stored number, means for indicating the decoded stored number, and means for indicating operating according to a first mode of operation or a second mode of operation of the telephone, wherein the displayed number A mobile telephone characterized by being a number dialed in mode.
KR1020007014415A 1998-06-19 1999-06-17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Withdrawn KR20010053011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813349.9 1998-06-19
GB9813349A GB2338623A (en) 1998-06-19 1998-06-19 Mobile phone operable in private numbering plan mode
PCT/EP1999/004218 WO1999067937A1 (en) 1998-06-19 1999-06-17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011A true KR20010053011A (en) 2001-06-25

Family

ID=1083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415A Withdrawn KR20010053011A (en) 1998-06-19 1999-06-17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088435A1 (en)
JP (1) JP2002519893A (en)
KR (1) KR20010053011A (en)
CN (1) CN1306719A (en)
AU (1) AU758726B2 (en)
BR (1) BR9911380A (en)
CA (1) CA2335358A1 (en)
EE (1) EE200000750A (en)
GB (1) GB2338623A (en)
ID (1) ID29828A (en)
NO (1) NO20006274D0 (en)
PL (1) PL344986A1 (en)
RU (1) RU2001101893A (en)
TR (1) TR200003745T2 (en)
WO (1) WO199906793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92B1 (en) * 2005-08-31 2007-02-22 주식회사 신코 Spectrophotometric System for Online Monitoring with Multichannel Senso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8907B (en) * 1999-04-16 2002-04-15 Ericsson Telefon Ab L M Procedure and arrangements for establishing a call
FI20001523A7 (en) * 2000-06-27 2001-12-28 Nokia Corp Call routing
KR100387065B1 (en) * 2001-06-09 2003-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cessing dialing and transmitting digit code in telephon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480378A (en) * 1978-01-04 1979-07-05 Soundic Electronics Ltd TELEPHONE
JPH0738744B2 (en) * 1987-03-23 1995-04-26 株式会社東芝 Wireless telephone
US5491745A (en) * 1991-02-20 1996-02-13 Uniden Americ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keypad permitting one-touch telephone number dialing
WO1994005126A1 (en) * 1992-08-26 1994-03-03 Telecom Finland Oy Mobile telephone system
AU686742B2 (en) * 1994-02-24 1998-02-12 Gte Wireless Service Corporation Cellular radiotelephone with dialed number analysis
JPH07321893A (en) * 1994-05-19 1995-12-08 Canon Inc Call originating device
DE19632354C1 (en) * 1996-08-10 1998-02-19 Plus Mobilfunk Gmbh E Short code dial number selection in private telephone network
US5768362A (en) * 1996-08-30 1998-06-16 Ericsson, Inc. Multiple field entry telephone directory for a cellular tele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692B1 (en) * 2005-08-31 2007-02-22 주식회사 신코 Spectrophotometric System for Online Monitoring with Multichannel Sen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5358A1 (en) 1999-12-29
NO20006274L (en) 2000-12-11
BR9911380A (en) 2001-03-13
EE200000750A (en) 2002-04-15
TR200003745T2 (en) 2001-05-21
GB2338623A (en) 1999-12-22
GB9813349D0 (en) 1998-08-19
EP1088435A1 (en) 2001-04-04
CN1306719A (en) 2001-08-01
AU758726B2 (en) 2003-03-27
ID29828A (en) 2001-10-11
RU2001101893A (en) 2002-12-20
JP2002519893A (en) 2002-07-02
WO1999067937A1 (en) 1999-12-29
AU4612999A (en) 2000-01-10
PL344986A1 (en) 2001-11-19
NO20006274D0 (en) 200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8962B2 (en) Method of enhacning key function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58433A (en) System and method for rapid text entry in telephone
AU758726B2 (en)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GB2308522A (en) Redialling method
KR100369654B1 (en) How to dial a mobile cordless phone
KR100387065B1 (en) Method for processing dialing and transmitting digit code in telephone
KR0164371B1 (en) Caller identification service
KR100238705B1 (en) How to dial international numbers from your phone
MXPA00012663A (en) Call origination in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KR200223327Y1 (en) keep-phone having a credit-card inquirying function
KR100241898B1 (en) Password exposure prevention device and method of the phone
KR100227331B1 (en) How to make a call from your mobile phone
WO2000070845A1 (en) Telephone book number conversion
KR100260620B1 (en) Method for setting up radio data call i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2749890B2 (en) Key telephone equipment
KR100272010B1 (en) How to automatically delete and add area code when speed dialing on a digital cordless phone
JPH10243079A (en) Cordless phone system mobile terminal
KR100594154B1 (en) How to remotely set the function of the exchange system using the display function of ISD
KR100664559B1 (en) Multiple Number Selection Method Using Pose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295754B1 (en) Call forwarding method of telecommunication system
KR20070016510A (en) Method for adding call identification code to phone numb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GB2303276A (en) Office line incomming call service method
KR19980086570A (en) Dial shortening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KR19980083095A (en) Specific hand calling method of multi-hand wireless telephone in telephone exchange
JPH10257153A (en) Telephone set with abbreviated dial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