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43273A - 와이퍼 장치의 구동 축에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장치의 구동 축에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273A
KR20010043273A KR1020007012232A KR20007012232A KR20010043273A KR 20010043273 A KR20010043273 A KR 20010043273A KR 1020007012232 A KR1020007012232 A KR 1020007012232A KR 20007012232 A KR20007012232 A KR 20007012232A KR 20010043273 A KR20010043273 A KR 20010043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
drive shaft
compression piece
compression
dev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645B1 (ko
Inventor
찜머요아힘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4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6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 B60S1/3459Joints between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mounting head and a sh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62Clamped members
    • Y10T403/7064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 Y10T403/7066Clamped members by wedge or cam having actuator
    • Y10T403/7067Threaded actuator
    • Y10T403/7069Axially orien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6Joints and connections having a cam, wedge, or tapered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축(14, 52)이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역(16)을 갖고 있고, 압축 편(18, 10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압축 편은 구동 축(14, 52)과 부재(10) 사이에 삽입되어 있고,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 54))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20)를 이미 장착 전에 갖고 있고 구동 축(14, 52)을 형태 결합적으로 둘러싸고, 또한 외부 원추(22, 100)를 갖고 있고, 그 외부 원추에 의해 압축 편(18)은 구동 축(14, 52) 위에 이완 가능한 고정 요소(24)를 통해 대응적으로 형성된 부재(10)의 내부 원추(26) 내에 압입되어 부재(10)와 공동으로 축 방향(28, 30)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재(10)를 와이퍼 장치(62)의 구동 축(14, 52)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구동 축(14, 52)의 단면 영역(16, 54)은 장착 방향(28)으로 적어도 한 영역에 증가하는 직경을 갖고 압축 편(18, 102)은 단면 영역(16, 54) 위에 마찰 결합적으로 유극 없이 고정될 것이 추천되어 있다.

Description

와이퍼 장치의 구동 축에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fixing a part on a drive shaft of a wiper system}
자동차를 위한 다수 개의 와이퍼를 가진 와이퍼 장치는 그 와이퍼 베어링에 의해 직접으로 또는 연결부를 통해 간접으로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는 와이퍼 모터를 가진 와이퍼 구동장치를 탑재하고 있고, 그 모터의 모터 축은 봉을 통해 크랭크를 구동하고, 그 크랭크는 유리창 와이퍼를 위한 구동축의 단부와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이, 단지 유리창 와이퍼의 구동 축만이 와이퍼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다른 유리창 와이퍼는 4 관절 레버 전동장치를 통해 제 1 유리창 와이퍼와 연결되어 있고 레버 축을 갖고 있다. 구동 축이나 베어링 축은 와이퍼 베어링 내에 수장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 구동 축에 대한 기재는 더 이상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을 베어링 축에도 적절히 적용된다.
베어링 하우징 내에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디얼 베어링 및 베어링 하우징과 구동 축에 고정 연결된 부분 사이의 정면에는 액셜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축은 차체 밖으로 돌출해 있고 축의 자유 단부에 고정된 와이퍼 블레이드 부 와이핑 암을 방풍 유리창을 통해 동작시킨다. 와이핑 암은 구동 축에 회전 고정적으로 연결된 고정 부재를 갖고 있고, 그 고정 부재는, 와이핑 봉이 경질적으로 연결된 관절 부재와 관절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와이핑 암은 직접 구동 축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구동 축에 회전 고정적으로 연결된 구동 레버에 의해 레버 기어를 통해 구동되게 할 수도 있다. 고정 부재의 구동 축과의 연결에 대한 이하의 기재는 더 이상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을 구동 레버에 대해서도 성립한다.
공지의 유리창 와이퍼에 있어서는 축 단부가 외부 원추를 갖고 있고, 그 원추 위로는 거기에 맞는 내부 원추를 가진 고정 부재가 눌려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 클램프되어 있다. 이 종류의 연결에 있어서는, 제작 오차가 불리하게 가세될 수 있고, 그래서 구동 축에 대한 상대적인 고정 부재의 정확한 위치는 보장되기가 매우 어렵다. 그 위에 너트의 초기 토크가 와이핑 암의 위치에 작용한다.
DE 44 28 371 A1으로부터 구동 축이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 및 설치 견부를 가진 와이퍼의 축 허브 연결이 알려져 있다. 구동 축과 고정 부재 사이에는 개구를 가진 압축 편이 삽입되어 있고, 그 압축 편은 이미 장착 전에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고 구동 축을 형태 결합적으로 둘러싼다. 그 위에 압축 편은 외부 원추를 갖고 있고, 그 원추에 의해 압축 편은 구동 축 위에 있는 분리 가능한 고정 요소를 통해 대응적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 내로 눌러진다. 고정 부재는 고정 요소에 의해 고정 편을 통해 설치 견부(숄더) 위로 눌러지고 축 종 방향으로 고정된다.
추천된 해법의 경우 제작 오차는 와이핑 암의 위치 정확성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와이핑 암은 와이핑 암의 위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일 없이 높은 초기 토크로 고정될 수 있다.
미국 특허 30 85 821로부터 고정 부재가 테를 가진 또는 톱니가 있는 표면을 가진 내부 원추를 구비하고 있는 축 허브 연결부가 알려져 있다. 장착 시에 변형 가능한 압력 편은 너트를 통해 외부 원추로 고정 부재와 구동 축 사이에 압입된다. 고정 부재와 압축 편 사이의 원추 결합에 의해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 편과 구동 축 사이의 원추 결합에 의해 고정 부재와 구동 축의 톱니 표면은 압축 편의 대체로 평활한 표면 내로까지 눌려져 그 표면을 지속적으로 변형시킨다. 마찰적 결합 외에 톱니 부의 다수의 작은 측면들에 의해 보조적 형태 결합이 달성된다.
고정 부재는 구동 모멘트를 구동 축으로부터 관절 부재 및 와이핑 봉을 통해 와이핑 블레이드에 전달한다. 그 위에 와이핑 블레이드는 무릎 관절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 관절을 통해 고정 부재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 관절 부재와 팽팽히 죄어지고 자동차 유리창 방향으로 눌려진다. 고정 부재에서는 최대 힘 및 최대 토크가 자동차 유리창에 평행하게 그리고 수직으로 발생한다. 그 위에 변형과 유동이 그 전체 길이에 걸쳐 유리창 와이퍼의 하부 영역에서 특히 강하게 작용하고 스프링 효과에 의해 불균일한 와이핑 속도를 유발한다. 구동 축과 고정 부재는 따라서 지속적으로 유극 없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와이핑 암은 고정 편 및 압축 편과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의 구동 축에 청구항 1의 대개념에 의한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와이퍼 암이 부착되어 있는 와이핑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와이핑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구동 축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방향 Ⅴ로부터의 절취도.
도 6은 도 5의 절편 Ⅵ의 확대도.
도 7은 창의 평면도.
도 8은 도 4에 의한 변형예에 의한 평면도.
도 9는 고정 부재의 절취 단면도.
도 10은 고정 부재의 단면 평면도.
도 11은 압축 편의 단면도.
도 12는 고정 편의 측면도.
도 13은 고정 편의 평면도.
도 14는 도 11의 절편 ⅩⅣ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1에 의한 변형예의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을 가진 구동 축을 갖고 있고, 그 구동 축 위에는 압력 편이, 이미 장착 전에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개구를 가진 채 형태 결합적으로 수장되어 있다.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구동 축의 단면 영역은 장착 방향으로 적어도 한 영역에서는 증가하는 직경을 갖고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럼으로써 압축 편은 구동 토크를 전달하는 형태 결합 외에 마찰 결합적으로 유극 없이 구동 축과 연결된다. 그 위에 압축 편의 삽입 시에는 먼저 압축 편의 보다 큰 내경이 구동 축의 보다 작은 외경에 맞추어지고 그럼으로써 압축 편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압축 편은, 작동 중 그의 형태를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유극 없이 고정될 수 있는 경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형태적 결합을 위해 소성 변형은 방지되고 압축 편은 다면을 가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압축 편의 개구는 일정한 직경을 가진 채 또는 유리하게는 구동 축에 대응하는, 즉 장착 방향으로 증가하는 직경을 가진 채 형성되어 있다.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 압축 편은 원추 개구를 갖고 있어 주형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고, 특히 압축 편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베어링 면(접촉 면)은 재 가공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단지 약간만 가공될 필요가 있고 주형은 탈형 시에도 그다지 마모되지 않는다. 그래서 가용 기간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은 감소한다.
유리하게도 구동 축과 압축 편 사이의 형태적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하나 내지 12 면으로 된 약간 큰 지지면에 의해 이루어진다. 압축 편은 약간의 탄성적 변형과 장력으로 대략 균일한 면 압력을 가지고 적절한 형태를 가진 채 면들 위에 원추 결합에 의해 유극 없이 접해 있다. 압축 편이 유극 없이 구동 축 위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압축 편과 고정 부재는 작은 힘으로 축 방향으로 구동 축으로부터 분리 또는 해체될 수 있다. 그 위에 작은 지지면은 압축 편 내에 또한 구동 축 위로 작은 오차로 저렴하게 제작 조립될 수 있다. 구동 축은 다각형 또는 비 원형의, 임의의 원추형 외부 윤곽을 가진 채 형성되어 있고, 압축 편은 거기에 맞는 내부 윤곽을 가진 채 형성될 수 있다. 2 개, 4 개 또는 6 개의 단면 면은 간단히 선반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 축의 선반 가공 시에 비 원형 또는 타원형 외부 윤곽을 제작하면 보다 비용 저렴해진다. 제작 비용과 장착 시간이 감소된다.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 위에는 또한 고정 부재(압축 편?)가 직접 점증하는 직경에 의해 설치 견부 위에 및/또는 유리하게는 구동 축 위에 압입된 디스크 위에 장착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디스크에 의해 구동 축의 직경은 작아질 수 있고 그래서 구동 축은 저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디스크는 비 원형의 단면 영역의 점증하는 직경에 의해 유리하게도 구동 축과 마찰 결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축 및 와이핑 블레이드 부 와이핑 암을 가진 유리창 와이핑 장치는 보통 자동차 제조자와는 별도로 공급된다. 창과 구동 축 사이의 마찰 결합적 연결에 의해 창은 유리하게도 유실 우려 없이 유리창 와이핑 장치에 결합될 수 있다. 소성 변형을 증가시키고 유리창과 구동 축 사이에 마찰 결합을 상승시키기 위해, 한 양태에 있어서는 원 단면에서 벗어난 단면 영역은 원추 윤곽에 추가하여 유리창이 그 위에 눌려지는 면을 갖고 있다.
마찰 결합적 연결 외에 유리창은 유리하게도 설치 견부(지지 숄더)에 지지된다. 그래서 유리창은 신속히 구동 축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창과 구동 축 사이의 마찰 결합은 수송 중 탈락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아주 충분히 크게 선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압축 편과 고정 부재를 완전히 마찰결합적으로 고정된 창 위에 지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와이핑 암이 일정한 정지 위치로부터 일정한 각도에 걸쳐 방풍 유리 위를 와이핑 하도록 하고, 와이퍼 모터로부터 구동 축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봉의 제작 오차로 인해 구동 축의 출발 위치가 정확하게 결정될 수 없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 부재와 함께 와이핑 암은 구동 축에 연속적으로 회전되게 장착되어야 한다. 이것은 첫째로 서로 상대적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장착된 압축 편과 고정 부재 사이의 마찰 결합적 연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마찰 결합 외에 압축 편과 고정 부재 사이에 보조적 형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 및/또는 압축 편의 외부 원추에는 테두리 부를 구성할 것이 추천된다. 추가의 양태에 있어서는 압축 편을 유연한 재료, 특히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아연,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할 것이 추천된다.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에 있는 테두리는 압축 편의 표면 내에 깊이 결합하여 형태적 결합이 개선된다. 그 위에 알루미늄은 가볍고 미끄러지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고 그래서, 구동 축에 토크가 가해질 때 전달성(투과성) 토크는 저하하여 구동 축은 압축 편에 의해 고정 부재 내에서 완전히 미끄러져 분리되어 해체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압축 편을 전적으로 약한 재료로 제조하는 대신, 압축 편의 외부 원추 또는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에 약한 재료, 예컨대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으로 피복할 수도 있다. 토크는 구동 축으로부터 경질 재료들 사이의 압력 편에 전달될 수 있고, 그로 인해 고정 부재와 압력 편은 구동 축으로부터 용이하게 해체될 수 있다. 그 위에 압축 편의 외부 원추에 또는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에 약한 재료를 사용함에 의해 압축 편과 고정 부재 사이의 마찰 결합은 유리하게도 좋은 형태적 결합에 의해 보충될 수 있다.
약한 재료 외에, 고정부재와 압축 편 사이의 면압은 특정 윤곽에 의해 상승될 수 있고, 형태적 결합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축 종 방향으로 계단이 있는 압축 편의 외부 원추 또는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압축 편의 경사진 외부 원추에 의해, 압축 편은 주형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 위에 테두리 부가 있는 표면, 유약한 압축 편 및/또는 높은 면압에 의해, 제작 오차는 압축 편의 외부 원추 및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에 의해 보다 양호하게 보정될 수 있고, 압축 편과 고정 부재는 유극 없이 확실하게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조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의 내부 원추는 장착 방향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고 있다. 한 양태에 있어 고정 부재를 금속 박판 부재로 형성할 것이 추천된다. 금속 박판 부재는 유리하게도 그 한쪽 면에 대해, 상세하게는 장착방향으로 상부 측면에 대해 한번 또는 여러 번의 디프드로잉 가공과정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더욱이 구동 축의 토크는 작은 직경에서는 형태적 결합을 통해 압축 편에 그리고 큰 직경에서는 마찰 결합 및 형태적 결합을 통해 고정 부재에 전달된다. 직경 증가와 함께 반 작용력의 작용 레버 암이 감소하고 그래서 구성 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횡력은 감소한다. 토크는 큰 직경의 경우에는 작은 면압으로 마찰적 결합에 의해 확실하게 전달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특히 유리하게도 얇은 금속판이 고정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에 의해 중량과 제조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추가의 이점은 다음의 도면을 참고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얻어질 것이다. 도면, 기재 및 청구 범위는 수많은 특징을 조합해 갖고 있다. 전문가는 합목적적으로 특징들을 개별적으로 관찰하여 의미 있는 추가의 조합 양태로 합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자동차용 와이퍼 장치(62)의 단면도인데, 이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64)은 연결부(66)를 통해 자동차의 차체(68)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66)는 와이퍼 모터(70) 부 와이퍼 구동장치를 탑재하고 있고, 그 모터의 모터 축(72)은 크랭크(76) 및 상세히 표시되지 않은 봉을 통해 크랭크(74)를 구동하고, 이들 크랭크(74)는 각각 유리창 와이퍼(106)를 위한 구동 축(14)의 일단과 강고히 연결되어 있다. 구동 축(14)은 와이퍼 베어링(78) 내에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수장되어 있고, 차체(68)로부터 돌출해 있고, 그 자유 단부에 고정된 와이퍼 블레이드(80)를 가진 와이퍼 암(12)을 방풍 창을 통해 동작시킨다(도 2). 와이핑 암(12)은 구동 축(14)과 연결된 관절 부재(82)와 관절적으로 연결된 고정 부재(10)를 갖고 있고, 그 관절 부재에는 와이핑 봉(84)이 경질적으로 이어져 있다. 와이핑 봉(84)에서는 걸이 모양의 단부(86)에 와이핑 블레이드(80)가 걸려 있다.
구동 축(14)은 원 대칭으로부터 약간 편의된 단면 영역(16), 상세하게는 육각형을 갖고 있다(도 3 및 4). 고정 부재(10)와 구동 축(14) 사이에는 압축 편(18)이 삽입되어 있고, 이 압축 편은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에 대응하게 형성된 개구(20)를 이미 장착하기 전부터 갖고 있어(도 13) 구동 축(14)을 형태 결합적으로 둘러싸고 있다. 압축 편(18)은 외부 원추(22)를 갖고 있고, 이 원추면으로 인해 압축 편은 구동 축(14) 위의 너트(24)를 통해 대응적으로 형성된 고정 부재(10)의 내부 원추(26) 내에 압입되어 고정 부재(10)와 공동으로 장착 방향(28)으로 판(56)을 통해 설치 견부(60)에 지지되어 있고(도 4, 5 및 6) 축 종 방향(28, 30)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원 대칭에서 벗어난 구동 축(14)의 단면 영역(16)은 장착 방향(28)으로 증가하는 직경(32)을 갖고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세하게는 약 1 내지 2°의 각도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6). 개구(20)도 단면 영역(16)에 대응하는 직경(34)을 갖고 원추형으로, 사실 역시 약 1 내지 2°의 각도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11 및 14).
토크를 전달하는 구동 축(14)과 압축 편(18) 사이의 형태적 결합은 약간 큰 육각형의 지지면(36, 38, 40, 42, 44, 46)에 의해 이루어진다(도 4). 압축 편(18)은 약간의 탄성적 변형과 장력으로 대략 균일한 면 압력을 가진 채 면들(36, 38, 40, 42, 44, 46) 위에 원추 결합에 의해 유극 없이 접해 있다. 압축 핀(18)은 유극 없이 구동 축(14) 위에 수장되어 있고 고정부재(10)와 함께 가볍게 축 방향(30)으로 구동 축(14)에 의해 끌려 있다. 육각형 대신에 도 8에 표시된 것같이 타원 단면 영역(54)을 가진 구동 축(52)이 형성될 수 있고, 그 단면 영역은 두 개의 지지면(46, 50)으로 대응 형성된 압축 편과 형태 결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판(56)은 육각형에 대응적으로 형성된 개구(90)를 갖고 있다(도 7). 판(56)을 유실 없이 구동 축(14) 위에 고정하기 위해 단면 영역(16)은 사면(58)을 갖고 있어, 판(56)은 마찰 결합적으로 그 사면 위에 눌러져 있다(도 3 및 6). 사면(58)은 유리하게도 약 0.5 mm의 축 길이에 걸쳐 뻗어 있고 약 20°의 각도(92)를 갖고 있다. 또한 창(56)을 오직 원추 단면영역(16) 위에 마찰 결합적으로 유실 없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압축 편(18)과 고정 부재(10) 사이에 마찰 결합 외에 보충적 형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고정 부재(10)의 내부 원추(26)에는 테두리부가 융기 형성되어 있다(도 9 및 10).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있어서는, 고정 부재(10)가 유리하게도 디프 드로잉(深絞)된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 원추(26)는 장착방향(28)을 따라 감소하는 직경을 갖고 있고, 그렇기 때문에 그 한쪽 면에 대해, 상세하게는 장착방향으로 상부 측면에 대해 한번 또는 여러 번 디프드로잉 가공과정을 행함에 의해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부재(10)를 박판 부재로 구성함에 의해, 중량, 재료, 제조비 및 비용이 절약될 수 있다.
압축 편(18)은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다. 고정 부재(10)의 내부 원추(26)에 있는 테두리 부는 압축 편(18)의 표면의 내부로 깊이 눌러질 수 있고, 그럼으로써 양호한 형태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종 방향(28, 30)으로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 압축 부재(18)의 외부 원추(22)와 또한 종 방향(28, 30)으로 주위로 분포된 요홈(98)에 의해 형태 결합은 강화된다(도 11 및 12). 그래서 면압이 상승되고 변두리 부의 결합 및 구조 오차의 보정이 개선된다. 도 15에는, 단지 그의 외부 원추(100)가 유연한 재료(104), 구체적으로는 알루미늄으로 피복되어 있는 압축 편(102)이 표시되어 있다.

Claims (13)

  1. 구동 축(14, 52)이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적어도 하나의 단면 영역(16)을 갖고, 압축 편(18, 102)을 구비하며, 이 압축 편은 구동 축(14, 52)과 부재(10) 사이에 삽입되고,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 54))에 대응하여 형성된 개구(20)를 이미 장착 전에 갖고 있고 구동 축(14, 52)을 형태 결합적으로 둘러싸며, 또한 외부 원추(22, 100)를 갖고, 그 외부 원추에 의해 압축 편(18)은 구동 축(14, 52) 위에 이완 가능한 고정 요소(24)를 통해 대응적으로 형성된 부재(10)의 내부 원추(26) 내에 압입되어 부재(10)와 공동으로 축 방향(28, 30)으로 고정되는, 부재(10)를 와이퍼 장치(62)의 구동 축(14, 52)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구동 축(14, 52)의 단면 영역(16, 54)은 장착 방향(28)으로 적어도 한 영역에 증가하는 직경을 갖고, 압축 편(18, 102)은 단면 영역(16, 54) 위에 마찰 결합적으로 유극 없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압축 편(18, 102)의 개구(20)는 단면 영역(16, 54)에 대응하는 직경(3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압축 편(18, 102)과 구동 축(14, 52)은 1 내지 12 개의 큰 지지 면(36, 38, 40, 42, 44, 46, 48, 50)을 통해 형태 결합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은 2 각형, 4 각형 또는 6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10)는 장착 방향(28)으로 구동 축(14, 52) 위에 눌려 있는 판(56) 위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원 대칭으로부터 벗어난 단면 영역(16, 54)은, 판(56)이 마찰 결합적으로 그 위에 눌려지는, 면(5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판(56)은 장착 방향(28)으로 설치 견부(60)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10)의 내부 원추(26) 및/또는 압축 편(18, 102)의 외부 원추에는 테두리 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압축 편(18)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편(102)의 외부 원추(100) 또는 부재(10)의 내부 원추는 약한 재료(104)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편(18, 102)의 외부 원추(22, 100) 또는 부재(10)의 내부 원추에는 축 종 방향(28, 30)으로 계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재(10)는 금속 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07012232A 1999-03-06 1999-11-06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89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9970.7 1999-03-06
DE19909970A DE19909970A1 (de) 1999-03-06 1999-03-06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Bauteils auf einer Antriebswelle einer Wischer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273A true KR20010043273A (ko) 2001-05-25
KR100689645B1 KR100689645B1 (ko) 2007-03-09

Family

ID=789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2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9645B1 (ko) 1999-03-06 1999-11-06 와이퍼 시스템의 구동 샤프트에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58066B1 (ko)
EP (1) EP1076621B1 (ko)
JP (1) JP2002539014A (ko)
KR (1) KR100689645B1 (ko)
BR (1) BR9911007A (ko)
DE (2) DE19909970A1 (ko)
ES (1) ES2280126T3 (ko)
WO (1) WO2000053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9914B4 (de) * 1999-06-29 2010-09-30 Robert Bosch Gmbh Wischarm
DE19945091A1 (de) * 1999-09-21 2001-04-19 Bosch Gmbh Robert Antriebswelle für einen Scheibenwischer
DE10234613A1 (de) * 2002-07-30 2004-02-19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und Wischerar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261272B2 (en) 2005-05-18 2007-08-28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Conical support arm joint for a vehicle mirror
DE102005042847A1 (de) * 2005-09-09 2007-03-1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8061229B4 (de) * 2008-12-09 2024-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r Lagerung von wenigstens einem Hebel
DE102017129186B4 (de) * 2017-12-07 2021-07-01 Motherson Innovations Company Limited Rückblick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ontageverfahren dafür und Kraftfahrzeug mit einer Rückblickvorrichtung
CN113820001B (zh) * 2021-10-12 2023-07-18 上海工程技术大学 用于测试雨刮和风窗摩擦振动噪声的实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303A (en) 1959-07-03 1961-11-15 Trico Folberth Ltd Improvements in windscreen wipers
US3085821A (en) * 1960-04-22 1963-04-16 Gen Motors Corp Windshield wiper arm attachment
US3429597A (en) * 1960-07-01 1969-02-25 Anderson Co Clutch assembly for windshield wiper arm
US2994900A (en) * 1960-07-01 1961-08-08 Trico Products Corp Windscreen wipers
US4009901A (en) * 1975-08-27 1977-03-01 Caterpillar Tractor Co. Disconnect and storage means for a windshield wiper arm assembly
US4144614A (en) * 1978-01-26 1979-03-20 Caterpillar Tractor Co. Windshield wiper drive system
US4630690A (en) * 1985-07-12 1986-12-23 Dailey Petroleum Services Corp. Spiralling tapered slip-on drill string stabilizer
IT207789Z2 (it) * 1986-04-02 1988-02-15 Fister Spa Braccio tergicristallo di tipo perfezionato
FR2648846B1 (fr) * 1989-06-27 1991-09-20 Chaize Alain Dispositif de blocage pour armature allongee sous tension
FR2716658B1 (fr) * 1994-02-28 1996-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ie-glac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és d'accouplement entre l'arbre moteur et la tête d'entraînement.
FR2716657B1 (fr) * 1994-02-28 1996-04-19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és de liaison en rotation de la tête d'entraînement avec l'arbre moteur.
DE4428371B4 (de) 1994-08-11 2009-04-09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Wischera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80126T3 (es) 2007-09-01
KR100689645B1 (ko) 2007-03-09
BR9911007A (pt) 2001-02-13
EP1076621A1 (de) 2001-02-21
WO2000053469A1 (de) 2000-09-14
US6558066B1 (en) 2003-05-06
DE19909970A1 (de) 2000-09-07
EP1076621B1 (de) 2006-12-27
JP2002539014A (ja) 2002-11-19
DE59914096D1 (de)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6484B1 (ko) 와이퍼 아암 고정 장치
US7673366B2 (en) Motor apparatus
US8156604B2 (en) Windscreen wiping device, particularly for a motor vehicle
KR20040038986A (ko) 공구 홀딩 고정물을 포함하는 시스템
KR20010043273A (ko) 와이퍼 장치의 구동 축에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JPH01106755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アーム
KR100647450B1 (ko) 와이퍼 암
FR2801647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e helice de ventilateur sur un arbre moteur
KR100767979B1 (ko) 4 바아-조인트식 와이퍼 아암 및 그 세팅 방법
KR100692888B1 (ko) 구동축에 와이퍼 아암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장치
JPH0132603Y2 (ko)
EP0788950B1 (fr) Dispositif d'essuie-glace, notamment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muni de moyens d'indexation de l'essuie-glace par rapport à un arbre d'entraínement
KR100401790B1 (ko) 자동차용 와이퍼 블레이드 구조
KR100582434B1 (ko) 와이퍼 시스템 및 와이퍼 시스템의 조립 방법
CZ204198A3 (cs) Hnací zařízení pro stírač okna motorového vozidla
US6026909A (en) Power tool
US6813802B2 (en) Prestressed wiper arm
US6662400B1 (en) Device for driving a wiper arm
US20040255423A1 (en) Wiper system comprising a top plate
EP2722240A2 (en) Joint rod for vehicle wiper system
US20060232092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04503433A (ja) ワイパアーム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
KR100681936B1 (ko) 모터 조립체
KR20010043385A (ko) 세 개의 레버를 연결하기 위한 조인트
KR200210358Y1 (ko) 와이퍼 장치의 구동링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1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