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886A - 노출된 열 방출면을 갖는 촉매 베드 - Google Patents
노출된 열 방출면을 갖는 촉매 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31886A KR20010031886A KR1020007004982A KR20007004982A KR20010031886A KR 20010031886 A KR20010031886 A KR 20010031886A KR 1020007004982 A KR1020007004982 A KR 1020007004982A KR 20007004982 A KR20007004982 A KR 20007004982A KR 20010031886 A KR20010031886 A KR 200100318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alyst bed
- matrix
- region
- circumference
- layer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0000003197 catalytic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5 catalytic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atalys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45—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 B01D53/9454—Simultaneously removing carbon monoxide, hydrocarbons or nitrogen oxides making use of three-way catalysts [TWC] or four-way-catalysts [FWC]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5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configuration
- B01J35/56—Foraminous structures having flow-through passages or channels, e.g. grids or three-dimensional monolith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03—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characterised by structure, by material or by manufacturing of catalyst support
- F01N3/2807—Metal other than sintered metal
- F01N3/281—Metallic honeycomb monoliths made of stacked or rolled sheets, foils or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매 변환기 지지 바디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촉매 변환기 지지 바디는 내연기관의 배기시스템, 특히 모터 차량의 배기 시스템을 제공하며, 물질의 층이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는 매트릭스(1)를 구비한다. 상기 물질들은 적어도 일부가 직물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릭스(1)는 배기 시스템에 유도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촉매 변환기 영역(5)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매트릭스(1)는 유입면(3) 및 유출면(4)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트릭스는 매트릭스의 유출면의 적어도 내부 영역에서 유출면에 위치된 촉매 변환기 영역(9)의 개방형 전방 영역(8)을 구비한다. 상기 전방영역들은 다른 촉매 변환기 영역에 의해서 촉매 변환기 지지 바디의 원주까지 외향이 커버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외향의 개방형 열 방출영역은 주변 또는 배기 시스템으로 열의 방출은 촉매 변환기지지 바디에 의해서 보증된다.
Description
공지된 촉매베드들은 원통형 바디속으로 감겨지거나, 다른 형태인 바디를 형성하기 위해 놓여지거나 적층된다. 실제 벌집 형상(honeycomb-like)의 매트릭스 구조(matrix structure)는 부드러운 시트-금속층 및 파형의 시트-금속층 또는 와이어들(wires) 또는 와이어 메쉬(mesh)들이 서로 번갈이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시트-금속층들이 서로에 대해 감겨(wound)지거나 포장(wrapped)될때 형성되는 거의 원통형상의 바디들은 촉매반응을 인지하는 물질들이 내측면에 적용되도록 다수의 관통-유동 통로를 구비한다. 촉매의 반응은 발열적으로 진행하며, 그러므로서 각각의 통로에서 해제되는 에너지는 인접한 통로로 전달된다. 결론적으로, 매트릭스 바디의 내부에 위치된 통로들은 원주 또는 배출면에 매우 인접하게 위치된 통로보다 더 큰 영역으로 열전달 받게 된다. 상기 열은 주변대기로 방출되거나, 촉매베드가 배치된 배기 시스템으로 방출된다.
유럽 특허 제 0,121,175 B1호에는 원뿔(cone)형상으로 나선형으로 감겨지는 시트-금속 스트립으로 구성된 촉매베드가 기술되어 있다. 촉매베드의 매트릭스 직경 또는 나선 피치에 대한 시트-금속 스트립의 너비 비율은 권선형상을 통한 횡단부가 시트-금속 스트립의 모든 층들을 가로지르지 못하는 방법으로 선택된다. 이것은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중공 원추형 베드의 축선 영역이 시트-금속 스트립의 너비보다 2 배 이상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방법으로 형성된 매트릭스는 가스 유동이 원추형 매트릭스 바디의 외측 포인트를 통해 유동하는 방식으로 촉매 변환기에 고정된다. 상기 방법으로 설계된 매트릭스 바디는 자체의 프리덤(freedom)이 팽창되는 측면에서 볼때 높은 가용성(flexibility)을 갖는다. 결점은 유동으로 부터 먼 측면상에서 층의 각 섹션이 에너지 전부를 인접한 층에 방사하기 때문에, 오랜시간 동안 촉매 베드의 각층들에 남아있는 매트릭스 바디에서 일어나는 발열반응의 결과로서 에너지가 해제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매트릭스 바디는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일부 노출되며, 궁극적으로 베드의 적어도 국부 과열을 야기 할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촉매 베드를 제공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며, 매트릭스의 각층들로 부터 열 분산 행동을 개선시키는 촉매 베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또다른 목적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 1 항에 기술된 특징부를 갖는 촉매 베드에 의해서, 그리고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기술된 특징부를 갖는 촉매 베드를 제조하는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보다 상세한 실시예는 상술된 특허청구범위 제 1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의 종속항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연기관에, 특히 차량의 배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촉매베드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을 갖는 층으로 형성되는 매트릭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층들은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그러므로서 매트릭스 내부는 다수의 촉매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촉매표면 주변으로 배기 가스가 유동할수 있다. 케이싱에 바람직하게 배열된 매트릭스는 유동방향에서 볼때, 유입면 및 유동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유출면의 내부 영역에서 매트릭스는 각 촉매 표면의 단부 영역들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으로 배열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돌출 형상을 구비한다. 결론적으로, 적어도 내부 영역에서, 매트릭스는 촉매 표면들의 출구측 전방영역에 노출되며, 상기 전방영역들은 다른 촉매표면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한 외측면이 커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촉매 표면들의 노출된 전방영역은 촉매베드의 원주와 접촉되며, 즉 외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외향으로 배열”이란 문구는 유동방향이 촉매베드의 가상 축선으로부터 외부 원주를 항해, 또는 필요한 경우 케이싱을 항해 유동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 분산을 개선하기 위해, 가능한 대형의 전방영역이 적어도 유출면의 내부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매트릭스의 주 장점은 촉매 표면의 외부와 접촉하는 노출된 전방영역위로, 촉매 베드의 내부에서의 발열반응의 결과로서 나오는 에너지는 주변을 항해, 예를들어 배기 시스템의 영역을 항해 방사된다. 상기 배기 시스템은 촉매 베드의 일부를 형성하지 못한다. 이것은 발열반응의 결과로서 촉매 표면에 의해 흡수되는 에너지가 전부 인접한 표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인접한 표면으로 전달되지 않는 에너지의 비율, 예를들어 주변으로 바로 분산되는 에너지의 비율이 보다 크면 클수록, 인접한 층의 촉매 표면의 전방영역들은 서로에 대해 보다 많이 오프셋 된다. 즉, 촉매 표면의 노출된 전방영역이 보다 크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매트릭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시트-금속층들로 제조된 벌집형 형상으로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므로, 배기가스가 유동하는 다수의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벽은 촉매표면을 구성한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 1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촉매베드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원통형으로 설계된, 종래 기술의 촉매 베드의 측면도.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촉매 베드를 통해 유동하는 방향과 직각인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베드의 매트릭스의 유동면의 돌출형상에 대한 실시예 a,b,c,d,e를 나타내는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면의 돌출 형상이 매트릭스의 원주로 부터 축선, 즉 내부를 항해 적어도 그 단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므로서, 핑거-형(finger-like)돌출부는 촉매 베드의 축선 영역에서 중심영역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돌출 형상의 장점은 통로벽들의 전방 영역들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는 범위가 촉매 베드의 축선에 대해 더욱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촉매베드에서 진행되는 촉매반응에 의해서 통로벽들이 많은 에너지에 노출되기 때문이며, 결론적으로, 보다 큰 전방영역과 관련하여 열의 분산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 형상은 적어도 일부가 촉매 베드의 축선을 항해 매트릭스의 원주로 부터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록한 곡면이 거의 연속적으로 제공된다면, 촉매 베드의 유출면에서 돔형 형상이 발생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도, 돌출형상은 포물선, 반구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로 설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면의 돌출형상이 볼록 및 오목 곡면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축선의 방향에서 촉매 베드의 원주로부터 내부를 항해 변화하는 유출면의 곡면은 증가된 열의 량이 촉매 베드의 위치에서 일어나게 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설계된다. 상기 촉매 베드의 위치에서 국부 온도의 최고점은 발열반응의 결과로서 일어난다. 왜냐하면, 상기 국부 온도의 최고점에 관련된 영역에서, 통로벽들의 전방영역은 다른 영역에서 보다 서로에 대해 상당히 많이 오프셋된다.
본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출면의 돌출형상은 적어도 일부가 원추형상 또는 절두원추형상으로 설계된다. 그러나, 유출면이 다수의 상이한 원추 형상 및/또는 절두 원추형상부분으로 조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촉매 베드의 벌집형 매트릭스가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되므로, 유입면은 유출면의 돌출형상에 대해 거의 일치되게 설계된다. 이것은 입구측에 통로벽들의 노출된 전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방영역은 다른 통로 벽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커버되지 않으며, 촉매 베드의 내측을 항해, 즉 축선을 항해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도, 신축자재 가능한 연장 범위에 따르면, 적어도 유출면의 일부영역에서 통로벽들의 노출된 전방영역은 통로 길이의 55% 내지 90%의 길이 또는 크기로 구성된다. 이것은 통로들의 길이 반 이상이 노출된 측벽들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결론적으로 매트릭스의 열 방출표면이 충분히 크게 된다. 상기 매트릭스 열 방출 표면은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로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매트릭스의 내부 특정 영역의 신축자재가능한 연장은 가능한 크게 선택된다. 인접한 통로벽들이 서로에 대해 겹쳐지는 범위는 매트릭스 자체가 열 부하를 받을 때 충분한 강도 및 적절한 팽창성을 갖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도, 유출면의 내부 영역은 5% 내지 35%정도를 차지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내부영역(inner region)”이란 매트릭스의 영역이 매트릭스를 통과하는 유동 축선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되며 촉매 베드를 통과하는 유동의 축선 영역에 배열되는 각 통로들의 영역은 높은 열부하에 노출되며,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장 큰 열 분산 영역, 즉 통로 벽들의 가장 크게 노출 전방영역을 필요로 한다.
바람직하게도, 촉매 베드의 벌집형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각 층들은 서로에 대해 연결되지 않는다. 결국, 새로운 촉매 변환기의 설치 조건에 대응하여 신축자재 가능하게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촉매 변환기들은 빌리그(Billig)촉매 변환기 또는 B 촉매 변환기로 공지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된 촉매 베드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제공된다. 배기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는 벌집형상의 매트릭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의 층들로부터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상기 층들은 돌출형상을 갖는 유출면을 구비하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통로들의 벽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통로벽의 노출된 전방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영역은 다른 통로벽들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면이 커버되지 않으며, 그 결과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로 열의 분산이 증가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촉매 베드는 각 층들의 폭이 상이한 것으로 제조될수 있다. 즉, 감김(winding)에 대한 보기로, 벌집형 매트릭스는 출구측을 제외하고 거의 평평한 유입면을 구비하며, 각 통로의 전방영역들은 하기와 같이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통로들의 전방영역은 내부, 즉 가상의 출구면으로부터 가장 먼 벌집형상 매트릭스의 돌출부의 중심영역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촉매 베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배기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는 벌집형상의 매트릭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의 층들로부터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상기 층들은 거의 평행항 유입면 및 유출면을 구비하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통로들의 벽을 형성하며, 이때 매트릭스가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되며, 그러므로서 돌출형상을 갖는 유출면은 적어도 내부 영역이 통로벽의 노출된 전방영역으로 형성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영역은 다른 통로벽들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면이 커버되지 않으며, 그 결과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로 열의 분산이 증가된다. 여기서, “신축자재가능한 연장(telescopic extension)”이란 벌집형 매트릭스가 형성되는 각 층들이 유동 방향에서 서로에 대해 변위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매트릭스의 중심영역에 배열된 통로 벽들은 대응하는 통로벽들이 매트릭스 바디의 원주에 배우 가깝게 배치되는 것보다 매트릭스의 가상의 출구면으로부터 가장 멀게 밀리어지는 것이 바림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층들은 감겨지거나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된 후에 접촉 포인트 또는 접촉면에서 납땜 용접된다. 그러나, 특히 B 촉매 변환기의 경우에 상기 납땜 용접 단계는 필요없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 특징 및 적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거의 원통형상의 촉매 베드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촉매 베드는 유입면(3), 유출면(4) 및 원주(2)로 구성된 벌집형 매트릭스(1)를 구비하며, 상기 유입면(3)에서 배기 가스 유동이 촉매가능하게 세척되며, 화살표 방향을 따라 들어간다. 실제 벌집형 매트릭스(1)를 둘러싸는 케이싱은 원주(2)에 제공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촉매 베드의 A-A라인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를 나타낸다. 부드러운 시트-금속 층(6) 및 파형(undulating)의 시트-금속 층들이 서로 아래 위로 번갈아 감겨진 벌집형 매트릭스를 케이싱(2)이 둘러싸는 형태로 실제 벌집형 구조는 형성된다. 상기 파형의 금속층(7)에 있는 공간은 유동 통로(5)를 형성한다. 결국, 상기 구조와 같은 다수의 유동 통로(5)가 벌집형 매트릭스(1)에 형성된다.
도 3은 촉매 베드에서의 매트릭스(1)의 유출면(4)의 돌출 형상의 다양한 실시예를 니티낸다. 도 3에서 실시예 a의 좌측에 도시된 화살표는 유동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a에 도시된 돌출 형상은 촉매 베드의 종축선을 항해 매트릭스(1)의 원주로 부터 내측을 항해 오목한 곡면을 연속적으로 갖게 된다. 촉매베드의 종축선의 영역에서, 연속적으로 오목한 곡면은 핑거-형 돌출부를 형성한다. 출구측면상에 각각의 통로 벽(9)들이 원주영역에서, 즉 매트릭스(1)의 원주(2)영역에서 보다 촉매 베드의 종축선 주변의 중심영역에서 서로에 대해 보다 광범위하게 오프셋(offset)된다. 결론적으로, 유출면(4)의 곡면은 매트릭스(1)의 인접한 통로벽(9)이 오프셋되는 범위를 나타내는 측정치에 해당한다. 이러한 오프셋이 크면 클수록,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접촉하는 통로 벽(9)의 노출된 전방 영역(8)들이 보다 크게 된다.
도 3의 실시예 2에서, 촉매베드의 매트릭스(1)에서 유출면(4)의 돌출 형상의 외부 윤곽은 연속적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결론적으로, 돔형상으로 설계된 유출면이 생산되게 되고, 이러한 유출면에서 통로벽(9)의 외부와 접촉하는 전방영역(8)들은 크기가 매트릭스(1)의 원주에 놓이는 대응 통로(5)에 가깝게 증가한다.
도 3 에 따른 실시예 c,d,e들은 매트릭스(1)의 유출면(4)의 돌출형상을 나타내며, 상기 유출면의 돌출형상들은 각각 원추형상(실시예 c), 절두 원추형상(실시예 d), 절두 원추형상과 원추형상의 복합구조(실시예 e)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 c,d,e에서, 유출면(4)의 주요부분들은 통로벽(9)들의 외부 접촉 전방영역(8)이 형성되는 돌출형상으로 설계된다.
상기 실시예 c의 유출면(4)의 원추형상의 선단부를 부분적으로 확대한 것을 도 3에 도시하였으며, 여기에서 각각의 시트-금속층들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서로에 대해 감겨지거나 변위된다. 즉, 직선형 시트-금속층(6) 및 파형의 시트-금속층(7)과, 대응하는 통로 벽(9)들을 구비하는 통로(5)에 의해서 형성되는 하나의 완성된 층은 전방영역(8)이 외부와 접촉하게 되며, 즉 매트릭스(1)의 원주면을 항해 접촉하게 된다. 상기 노출되는 전방 영역들은 열이 각각의 통로 벽(9)으로 부터 직접적으로 인접한 통로벽(9)들에 전달되지 않게 하면서 매트릭스(1)로 부터의 열 분산을 개선시킬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상기 실시예 a,b,c,d들은 단순한 보기에 뿔과할 뿐입니다. 돌출형상은 다수의 원추 및/또는 절두원추 섹션으로 구성된다. 또한, 돌출형상이 원추형상, 절두원추형상 및 유선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도, 벌집형 매트릭스(1)가 조립되는 각 층들은 함께 납땜되지 않는다. 결국, 거의 원통형상으로 감겨지는 촉매 베드는 유출면(4)의 소정의 형태로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될수 있다.
그러나, 매트릭스(1)로 감겨지는 시트-금속층(6,7)들이 다양한 너비를 갖는 것도 가능하므로, 유출면(4)의 소정의 돌출형상은 시트-금속층(6,7)들의 너비의 변화에 따라 생산된다. 이러한 적용에 따라, 각 층들의 접촉면들 또는 접촉포인트들은 서로 납땜될수도 있다.
Claims (13)
- 내연기관의 배기 시스템, 특히 차량의 배기 시스템용 촉매 베드로서, 배기 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촉매 표면(5)과, 유입면(3)과, 유출면(4)을 구비하는 매트릭스(1)를 갖는 촉매 베드에 있어서,적어도 내부 영역의 일부가 촉매 표면(9)의 전방 영역(8)에 노출되는 방식으로 유출면의 형상은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영역들이 다른 촉매 표면(9)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면이 커버되지 않으며, 그러므로서 열의 외향으로의 분산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로 이루어진 층(6,7)들로부터 벌집형상으로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상기 층들의 촉매표면들은 통로벽(9)과 함께, 배기 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통로(5)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은 매트릭스(1)의 원주로 부터 내부를 항해 적어도 그 단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며, 핑거-형 돌출부는 매트릭스(1)의 중심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은 적어도 일부가 매트릭스의 원주로 부터 내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은 포물선, 반구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은 볼록하고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형상은 적어도 일부가 원추형 또는 절두 형추형상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2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입면(3)은 유출면(4)의 돌출형상에 대해 거의 일치되게 설계되며, 상기 방식으로 노출된 통로(5)의 입구측 전방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전방영역은 다른 통로 벽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2)를 항해 커버되지 않으며, 촉매 베드의 내측을 항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유출면(4)의 일부영역에서 노출된 전방영역(8)은 통로 길이의 55% 내지 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면(4)의 내부 영역은 5% 내지 35%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매 베드.
- 촉매 베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배기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는 벌집형상의 매트릭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의 층들로부터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상기 층들은 돌출형상을 갖는 유출면을 구비하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통로들의 벽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적어도 일부 영역이 통로벽의 노출된 전방영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영역은 다른 통로벽들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면이 커버되지 않으며, 그러므로서 외부로 열의 분산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촉매 베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배기가스가 유동할수 있는 다수의 통로를 구비하는 벌집형상의 매트릭스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은 물질의 층들로부터 감겨지거나, 포장되거나, 적층되며, 상기 층들은 거의 평행항 유입면 및 유출면을 구비하는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통로들의 벽을 형성하며, 이때 돌출형상을 갖는 유출면을 형성하기 위해 매트릭스가 신축자재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방법으로 적어도 내부 영역에서 통로벽의 노출된 전방영역들은 다른 통로벽들에 의해서 촉매 베드의 원주를 항해 외부면이 커버되지 않으며, 그러므로서 외부로 열의 분산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층들은 접촉 포인트 또는 접촉면에서 납땜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749379.3 | 1997-11-07 | ||
DE19749379A DE19749379A1 (de) | 1997-11-07 | 1997-11-07 | Katalysator-Trägerkörper mit verbesserter Wärmeabstrahlung |
PCT/EP1998/007048 WO1999024700A1 (de) | 1997-11-07 | 1998-11-04 | Katalysator-trägerkörper mit freiliegenden wärmeabstrahlungsfläche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31886A true KR20010031886A (ko) | 2001-04-16 |
Family
ID=784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7004982A Withdrawn KR20010031886A (ko) | 1997-11-07 | 1998-11-04 | 노출된 열 방출면을 갖는 촉매 베드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528454B1 (ko) |
JP (1) | JP4278862B2 (ko) |
KR (1) | KR20010031886A (ko) |
CN (1) | CN1098410C (ko) |
AU (1) | AU1158099A (ko) |
DE (2) | DE19749379A1 (ko) |
RU (1) | RU2188325C2 (ko) |
WO (1) | WO199902470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956A (ko) * | 2014-07-01 | 2016-01-12 | 자동차부품연구원 | 배기가스 저감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20170C1 (de) * | 2000-04-25 | 2001-09-06 | Emitec Emissionstechnologie | Verfahren zum Entfernen von Rußpartikeln aus einem Abgas und zugehöriges Auffangelement |
DE19949568A1 (de) | 1999-10-14 | 2001-04-19 | Basf Ag | Hydrodynamisch optimierter katalytischer Formkörper |
DE10060371A1 (de) * | 2000-12-05 | 2002-06-20 | Emitec Emissionstechnologie | Reaktor zur partiellen Oxidation |
DE102006001831A1 (de) * | 2006-01-13 | 2007-09-20 |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ringerung der Partikelanzahl im Abgas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
KR20100052689A (ko) * | 2008-11-11 | 2010-05-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모노리스 촉매 지지체와 그 제조 방법 및 모노리스 촉매 지지체를 구비한 개질기 |
JP5501632B2 (ja) † | 2009-02-16 | 2014-05-28 | 日本碍子株式会社 | ハニカム構造体 |
RU175170U1 (ru) * | 2016-11-07 | 2017-11-2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Управление региональног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а" | Нейтрализатор автомобиля "шевроле нива" (ваз 2123)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52615A (en) * | 1948-05-29 | 1951-05-15 | Lawrence F Baltzer | Muffler with spiral conical insert |
DE2905241A1 (de) * | 1979-02-12 | 1980-08-14 | Bremshey Ag | Traegermatrix fuer einen katalytischen reaktor zur abgasreinigung bei brennkraftmaschinen |
DE3311724A1 (de) * | 1983-03-30 | 1984-10-04 | Interatom Internationale Atomreaktorbau Gmbh, 5060 Bergisch Gladbach | Katalysator-traegerkoerper fuer verbrennungskraftmaschinen aus konisch wendelfoermig gewickelten blechstreifen |
ATE45410T1 (de) * | 1986-05-12 | 1989-08-15 | Interatom | Metallischer wabenkoerper, insbesondere katalysator-traegerkoerper, mit tragw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DE3638082C2 (de) * | 1986-11-07 | 1995-04-20 | Emitec Emissionstechnologie | Abgasleitung mit hohlkegelförmigen Katalysatorträgerkörpern |
DE59300601D1 (de) * | 1992-04-03 | 1995-10-19 | Emitec Emissionstechnologie | Konischer wabenkörper. |
JP3336035B2 (ja) * | 1992-04-27 | 2002-10-21 |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 金属製ハニカム担体 |
CA2119604C (en) * | 1993-07-29 | 1997-02-18 | Minoru Machida | Ceramic honeycomb structural body and catalyst comprising the same |
US5512250A (en) * | 1994-03-02 | 1996-04-30 | Catalytica, Inc. | Catalyst structure employing integral heat exchange |
-
1997
- 1997-11-07 DE DE19749379A patent/DE19749379A1/de not_active Ceased
-
1998
- 1998-11-04 WO PCT/EP1998/007048 patent/WO1999024700A1/de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11-04 AU AU11580/99A patent/AU1158099A/en not_active Abandoned
- 1998-11-04 DE DE19881673T patent/DE19881673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1-04 KR KR1020007004982A patent/KR20010031886A/ko not_active Withdrawn
- 1998-11-04 RU RU2000114828/06A patent/RU2188325C2/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8-11-04 JP JP2000519678A patent/JP4278862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11-04 CN CN98812463A patent/CN1098410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5-08 US US09/566,932 patent/US65284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3956A (ko) * | 2014-07-01 | 2016-01-12 | 자동차부품연구원 | 배기가스 저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98410C (zh) | 2003-01-08 |
DE19881673D2 (de) | 2002-11-07 |
AU1158099A (en) | 1999-05-31 |
DE19749379A1 (de) | 1999-05-20 |
CN1282400A (zh) | 2001-01-31 |
DE19881673B4 (de) | 2007-08-02 |
RU2188325C2 (ru) | 2002-08-27 |
JP4278862B2 (ja) | 2009-06-17 |
WO1999024700A1 (de) | 1999-05-20 |
JP2001522965A (ja) | 2001-11-20 |
US6528454B1 (en) | 2003-03-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10561A (en) | Exhaust gas cleaning device | |
US5173267A (en) | Catalyst with a double casing system | |
US5278125A (en) | Support structure for an 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 |
US5079210A (en) | Metallic support for exhaust gas purifying catalyst | |
KR100417441B1 (ko) | 자동차배기가스의탄화수소를환원시키기위한촉매변환장치 | |
US5380501A (en) | Exhaust gas cleaning device | |
US5506028A (en) | Conical honeycomb body | |
US5190732A (en) | Catalyst with a double casing system | |
PL169477B1 (pl) | Katalizator do katalitycznej obróbki spalin PL PL PL | |
KR100495790B1 (ko) | 배기가스 촉매 장치용 단열부를 갖춘 하니컴 몸체 | |
US5118477A (en) | Exhaust gas cleaning device | |
KR20010031886A (ko) | 노출된 열 방출면을 갖는 촉매 베드 | |
US8173268B2 (en) | Honeycomb body having radially differently configured connecting points | |
US20030147782A1 (en) | Assembly having a honeycomb body and a shortened, slit, inner casing tube | |
US5403558A (en) | Heat and fatigue resistant metallic carrier for automobile exhaust gas-purifying catalyst | |
KR101283065B1 (ko) | 비접합 구역을 구비한 허니콤 몸체 | |
US6156278A (en) | Catalytic converter configuration and exhaust gas system with a catalytic converter configuration | |
KR101369609B1 (ko) | 가요성 구역을 구비한 허니콤 부재 | |
US7241427B2 (en) | Catalyst carrier body with sleeve and shortened tubular jacket and catalytic converter having the catalyst carrier body | |
KR20100125352A (ko) | 가요성 연결점을 갖는 셀형 구성요소 | |
HU211198B (en) | Catalytic converter for treating of exhaust gas | |
WO1996037691A1 (fr) | Dispositif de regulation de l'emission des gaz d'echappement pour moteurs a combustion interne | |
EP1012454B1 (en) | Improvements in catalytic reactors | |
US20030021740A1 (en) | Catalyst carrier body having a sleeve with microstructures allowing expansions | |
RU2000114828A (ru) | Корпус-носитель катализатора с открытыми теплоизлучающими поверхностям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005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