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7924A - 전화기 겸용 키보드 - Google Patents

전화기 겸용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924A
KR20010017924A KR1019990033674A KR19990033674A KR20010017924A KR 20010017924 A KR20010017924 A KR 20010017924A KR 1019990033674 A KR1019990033674 A KR 1019990033674A KR 19990033674 A KR19990033674 A KR 19990033674A KR 20010017924 A KR20010017924 A KR 20010017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keyboard
key
control modu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3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찬
Original Assignee
박성찬
코리아텔레텍 주식회사
민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찬, 코리아텔레텍 주식회사, 민대훈 filed Critical 박성찬
Priority to KR1019990033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924A/ko
Publication of KR20010017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92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의 키보드에 전화기 기능을 내장하여 키보드에 구비된 숫자 키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기 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겸용 키 보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로 구성되며, 키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와; 다수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키보드 컨트롤 모듈과; 외부의 전화 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다수의 키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전화기 컨트롤 모듈과;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스위칭 전환되며,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키보드 컨트롤 모듈 또는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드 선택부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을 통해 상기 전화 라인으로 전송하는 마이크 및,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로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므로써, 키보드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 겸용 키보드{KEYBOARD HAVING A CAPABILITY OF A TELEPHONE}
본 발명은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키보드에 구비되는 숫자 키(numeric key)를 이용하여 전화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에 구비되는 키보드는 컴퓨터가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명령을 입력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되는 입력장치로서, 사용자가 조작한 키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키 메트릭스로부터 생성하여 컴퓨터에 전달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키보드의 일측(통상적으로 우측)에는 'Num Lock' 키를 이용하여 숫자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수의 숫자 키가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이 숫자 키는 'Num Lock' 키가 온(ON)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상응하는 숫자 키 신호를 발생하고, 'Num Lock' 키가 오프(OFF) 상태일 경우에는 좌우상하 방향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최근 들어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사무 기기나 가전제품 등이 소형화 및 다기능화되어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의 기능까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사무기기 등이 출시되는 추세인데, 만일 상술한 컴퓨터의 키보드에서 전화기 기능을 내장하고, 키보드의 숫자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면, 키보드의 전반적인 기능 향상 및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컴퓨터의 키보드에 전화기 기능을 내장하여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키보드를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겸용 키 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로 구성되며, 키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 상기 다수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키보드 컨트롤 모듈; 외부의 전화 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다수의 키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전화기 컨트롤 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스위칭 전환되며,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키보드 컨트롤 모듈 또는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드 선택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을 통해 상기 전화 라인으로 전송하는 마이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로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보드 컨트롤 모듈 20 : 모드 선택부
30 : 키 입력부 40 : 전화기 컨트롤 모듈
50 : 스피커 60 : 마이크
70 : 외부 연결단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서, 키보드 컨트롤 모듈(10), 모드 선택부(20), 키 입력부(30), 전화기 컨트롤 모듈(40), 스피커(50), 마이크(60), 외부 연결단자(7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키보드 컨트롤 모듈(10)은 사용자가 키보드에 구비된 각종 키 및 키 입력부(30)에 포함된 숫자 키를 조작할 경우에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회로로서, 일반적으로 키보드에 구비되는 컨트롤 모듈을 의미한다.
모드 선택부(20)는 키보드 상에 버튼 또는 키 형태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온/오프(ON/OFF) 제어되고, 그에 따라 키보드 상에 구비된 숫자 키, 즉 후술하는 키 입력부(30)를 통상적인 키보드에서와 같이 숫자 키로 동작시키거나 또는 전화 다이얼링을 위한 숫자 키로 동작시킨다. 즉, 모드 선택부(20)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온 상태로 전환된 경우에는 키 입력부(30)의 동작이 전화 모드로 전환되고, 다시 사용자가 키 입력부(30)에 구비된 숫자 키를 조작하면 키 입력부(30)로부터 발생한 키 신호가 후술하는 전화기 컨트롤 모듈(40)로 전송된다.
이와는 반대로, 모드 선택부(20)의 동작 모드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오프 상태로 선택된 경우에는 키 입력부(30)의 동작이 키보드 모드로 전환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30)에 구비된 숫자 키를 조작하면 키 입력부(30)로부터 발생한 키 신호는 키보드 컨트롤 모듈(10)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모드 선택부(20)에는 필요에 따라 표시 수단(예를 들어, LED)을 구비하여 모드 선택부(20)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키 입력부(30)의 동작이 전화 모드 또는 키보드 모드로 동작하는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키 입력부(30)는 키보드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술한 모드 선택부(20)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한 키 신호를 키보드 컨트롤 모듈(10) 또는 전화기 컨트롤 모듈(4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은 일반적인 전화기에 구비되는 전화기 회로, 즉 링 신호 검출수단, 톤 발생수단, 후크 스위치 회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모드 선택부(2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도시 생략된 내부의 후크 스위치 회로를 통해 전화 라인(L45)을 연결시킨 후 사용자의 키 조작에 의거하여 키 입력부(30)로부터 발생한 키 신호를 톤 신호로 변환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스피커(50) 및 마이크(60)는 사용자가 키보드의 숫자 키를 이용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호가 설정된 후에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단으로서, 키보드 자체에 내장되어 일반적인 전화기에서의 스피커 폰(speaker phone) 기능을 수행하고, 모드 선택부(20)의 동작이 온 상태로 전환되어 전화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만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의 제어에 의해 구동이 가능해진다.
한편, 외부 연결단자(70)는 사용자가 도시 생략된 헤드폰 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즉, 최근 들어 컴퓨터나 소형 전화기에서 많이 사용되는 헤드폰 마이크의 연결 잭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며, 일반적인 헤드폰 마이크의 연결단자와 같이 헤드폰 마이크의 연결 잭(jack)이 삽입되면 전화기 컨트롤 모듈)은 자동으로 외부 출력 수단 및 입력 수단, 즉 스피커(50) 및 마이크(60)의 입/출력을 차단하고 외부 연결단자(70)를 통해 연결된 헤드폰 마이크로부터의 음성 입/출력만 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의 전반적인 동작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화기 겸용 키보드의 동작이 키보드 상에 구비된 다수의 키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키보드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에(단계 201), 모드 선택부(20)의 모드 전환 없이 키 입력부(30)를 통해 임의의 키 신호가 입력되면(단계 205), 키보드 컨트롤 모듈(207)은 그에 상응하는 제어 키 신호를 발생하여 컴퓨터에 전송하므로써, 입력된 키 신호에 상응하는 명령이 수행되도록 한다(단계 207).
만일, 이와는 달리 키보드의 전반적인 동작 모드가 일반적인 컴퓨터의 키보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부(20)를 조작하여 키 입력부(30)의 동작 모드를 전화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신호를 입력하면(단계 203), 모드 선택부(20)의 동작이 온 상태로 전환되고, 키 입력부(보드의 전반적인 동작이 전화 모드로 전환된다(단계 209). 그리고, 이때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은 모드 선택부(20)의 온 신호에 의거하여 도시 생략된 내부 표시 수단을 온 상태로 표시하므로써 키 입력부(30)의 전반적인 동작 모드가 전화 모드로 전화되었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도시 생략된 내부의 후크 스위치 회로를 통해 전화 라인(L45)을 연결시킨 다음(단계 211), 전화 라인(L45)으로부터의 발신 대기음을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므로써 사용자가 다이얼링 대기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키 입력부(30)의 동작 모드가 전화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부(30)에 포함된 숫자 키를 조작하면, 그에 상응하는 키 신호가 모드 선택부(20)를 거쳐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에 입력되고(단계 213),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은 내부에에 구비된 톤 발생수단을 통해 그에 상응하는 톤 신호를 발생하므로써(단계 217), 사용자가 입력한 번호(키 신호)에 대한 다이얼링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219).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서 외부로부터 걸려 오는 전화를 받는 경우에 대해 살펴보면, 전화 라인(L45)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된 링 신호가 전화기 컨트롤 모듈(40)에 제공되면, 전화기 컨트롤 모듈(40)내의 도시 생략된 링 신호 검출수단은 이를 검출하여 도시 생략된 링 신호 출력수단이나 스피커(50)를 통해 출력하므로써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전화기 걸려 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모드 선택부(20)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스피커(50)와 마이크(60) 또는 외부 연결단자(70)를 통해 연결된 헤드폰 마이크를 사용하여 상대방과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의 키보드에 전화기 모듈을 내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컴퓨터의 키보드를 전화기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보드의 전반적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보다 더 다양한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기 겸용 키보드에 있어서,
    키보드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키로 구성되며, 키 조작에 대응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는 키 입력부;
    상기 다수의 키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키보드 컨트롤 모듈;
    외부의 전화 라인과 접속되며, 상기 다수의 키의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전화기 컨트롤 모듈;
    사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스위칭 전환되며, 상기 키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키보드 컨트롤 모듈 또는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모드 선택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을 통해 상기 전화 라인으로 전송하는 마이크;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로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겸용 키보드는, 상기 전화기 컨트롤 모듈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전기적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 라인으로 전송하고 상기 전화 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전기적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헤드폰 마이크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 겸용 키보드는, 상기 외부 연결단자에 상기 헤드폰 마이크가 접속되면, 상기 스피커의 출력신호 및 상기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헤드폰 마이크로/로부터의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부는, 상기 모드 선택부의 스위칭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LED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겸용 키보드.
KR1019990033674A 1999-08-16 1999-08-16 전화기 겸용 키보드 KR20010017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74A KR20010017924A (ko) 1999-08-16 1999-08-16 전화기 겸용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3674A KR20010017924A (ko) 1999-08-16 1999-08-16 전화기 겸용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924A true KR20010017924A (ko) 2001-03-05

Family

ID=196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3674A KR20010017924A (ko) 1999-08-16 1999-08-16 전화기 겸용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9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34A (ko) * 2002-09-06 2004-03-11 단지넷 주식회사 전화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934A (ko) * 2002-09-06 2004-03-11 단지넷 주식회사 전화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35278U (zh) 一种多功能蓝牙音箱
KR100221772B1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KR20010017924A (ko) 전화기 겸용 키보드
KR100463504B1 (ko) 인터넷폰기능을갖는다용도전화기
KR200189400Y1 (ko) 인터넷 전화 및 국선 전화 겸용 전화기
WO2000048382A1 (en) Computer phone
KR100575722B1 (ko) 핸즈프리 장치
KR200210768Y1 (ko) 컴퓨터와 연결되는 전화기
KR20000030396A (ko) 일반전화기로 pc를 통한 인터넷 폰을 하기 위한 교환기
KR100266308B1 (ko) 컴퓨터의 키보드 라인을 이용한 전화서비스장치 및 전화서비스방법
JP2003289365A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KR19990056127A (ko) 컴퓨터 키보드 이용 키폰전화기
KR0125317Y1 (ko) 통화로 자동연결용 전화기
KR100598064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단축키를 이용한 단문메시지 서비스방법
KR0143813B1 (ko) 통화가 가능한 입력장치
KR20000063831A (ko) 컴퓨터와 전화기를 직렬로 연결하여인터넷폰/일반전화기/사운드카드 청취/전자우편알림의기능을 갖게 하는 시스템
KR200244894Y1 (ko) 무선이동통신모듈과 근거리무선통신장치가 장착된휴대용정보기기(피디에이 등)를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을이용한 리모콘 핸드셋(음성통화를 위한 송수화장치)장치
KR200247488Y1 (ko) 경박형 전화기
KR19980052725A (ko) 전화단말기의 긴급 다이얼링 방법
KR20030046736A (ko) 오디오-신호 인터페이싱 장치
KR2003004424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핸즈프리 장치의 훅 버튼을 이용한통화연결방법
JP2002223305A (ja) 通話システム
KR20020074720A (ko) 개인용컴퓨터 내장형 국선전화겸용 인터넷 전화접속장치
KR20020029596A (ko) 통신 기능이 부가된 전화기와 컴퓨터를 이용한 전화발신정보 표시 및 기능 제어 장치
KR20030015505A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이어 마이크 장치를 이용한 다이얼링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8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1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