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3915A - 복합성분의 적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성분의 적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3915A KR20010013915A KR1019997011937A KR19997011937A KR20010013915A KR 20010013915 A KR20010013915 A KR 20010013915A KR 1019997011937 A KR1019997011937 A KR 1019997011937A KR 19997011937 A KR19997011937 A KR 19997011937A KR 20010013915 A KR20010013915 A KR 200100139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ament
- type
- air stream
- filaments
- polym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 propylene, ethylene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11 α-olef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VGGSQFUCUMXWEO-UHFFFAOYSA-N Ethene Chemical compound C=C VGGSQFUCUMXWE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70 polyeth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QONPFPTGQHPMA-UHFFFAOYSA-N propylene Natural products CC=C QQONPFPTGQHPM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125000004805 propylene group Chemical group [H]C([H])([H])C([H])([*:1])C([H])([H])[*:2] 0.000 claims description 4
- XTFIVUDBNACUBN-UHFFFAOYSA-N 1,3,5-trinitro-1,3,5-triazinane Chemical compound [O-][N+](=O)N1CN([N+]([O-])=O)CN([N+]([O-])=O)C1 XTFIVUDBNACUB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062 Polybutadi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367 Polyisobut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336 alk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400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1993 dien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0959 isobutyl group Chemical group [H]C([H])([H])C([H])(C([H])([H])[H])C([H])([H])*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857 polybutadi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93 wa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51 bipha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54 brai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681 fiber dra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519 hom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1639 Incontine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56145 Thyrsites atu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3 alternating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24 body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39 body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60 car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0 col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48 laminat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47 metal acetyl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959 polymer blen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6 process contro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4 random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8 skin tex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97 ter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5 thermop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8—Cool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웹 내에서 동시에 형성된 상이한 펠라멘트 유형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복합 성분 부직 웹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라멘트 유형은 중합체 조성, 첨가제 배합량, 섬유 크기, 섬유 형태, 및(또는) 크림핑의 정도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이한 층을 구성하는 상이한 필라멘트 유형이 동시에 형성되는 다층 부직 구조물의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직포 및 그의 제조는 광범위한 개발의 주제였으며, 그 결과 다수의 적용 분야를 위한 다양한 재료가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기본 중량이 가볍고 올이 성긴 구조의 부직포는, 건조한 피부 감촉을 제공하면서도, 상이한 조성 및(또는) 구조의 역시 부직포일 수 있는 보다 흡수성이 큰 재료에 체액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1회용 기저귀 및 라이너 (liner) 직물과 같은 개인 위생 용품에 사용된다. 기본 중량이 더 무거운 부직포는 살균되는 용품의 포장지, 의료적, 수의적 또는 산업적 용도를 위한 와이퍼 또는 보호복과 같은 여과, 흡수 및 배리어 (barrier) 용품에 적합한 다공성 구조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더욱 무거운 중량의 부직포는 레크리에이션, 농업 및 건축 용도를 위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부직포의 유형 및 그들의 용도에 대한 실질적으로 무제한의 예의 일부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새로운 부직포 및 용도가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또한 당업계에서는 이러한 용도에 적합한 바람직한 구조 및 조성을 갖는 부직포를 제조하는 여러가지 방법 및 장비가 또한 발전되어 왔다. 그러한 방법의 예들은 스펀본딩, 용융취입, 카딩 및 하기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기타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스펀본드 유형으로 여겨지는 복합 성분 및 적층 재료에 적용할 수 있다.
스펀본드 공정은 일반적으로 용융된 필라멘트를 켄칭시키고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필라멘트를 연신하고 어테뉴에이션 (attenuation) 하는 데에 사용되는 공기와 같은 다량의 유체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유체는 비용이 들 뿐만 아니라, 필라멘트 및 생산되는 부직 웹에 미치는 악영향을 피하기 위해 주의 깊게 제어되어야 한다. 스펀본드 공정 및 장비가 많이 진보되어 왔지만, 개선된 웹 균일도, 강도, 촉감 및 외관 특성이 더 높은 효능과 함께 추구되고 있는 목표이다. 이러한 목표들은 1996년 12월 30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0/034,392호에 개시되고 청구된 2개 또는 분할된 스핀팩 방사 공정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 출원은 장치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신규한 복합 성분및 적층 스펀본드 재료를 제조할 수 있는 가능성은 제시하지 않았다.
<발명 요약>
본 발명은 복합 성분 및 적층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방법은 그의 교시 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미국 가출원 제60/034,392호에 기재되어 있는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다수의 스핀플레이트를 1개 이상의 뱅크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스핀플레이트를 중앙 유체 도관을 갖는 다수의 성분으로 분할한다. 이 방법은 상이한 스핀 플레이트로부터 상이한 유형의 필라멘트를 압출하고 필라멘트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2개 슬롯 섬유 압신 유닛 및 1개 이상의 뱅크를 갖는 2개 또는 분할 스핀팩 방사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이성분 또는 적층 스펀본드 재료를 제조할 수 있다.
단일 슬롯이 있는 2개 또는 분할 스핀플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상이한 중합체 유형, 섬유 크기 범위, 섬유 형태, 첨가제 배합량, 크림핑 정도, 및(또는) 다른 조성 및 물리적 특성을 갖는 필라멘트 혼합물을 혼입한 이성분 스펀본드 재료를 제조한다.
상기 내용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특징 및 잇점은 상이한 조성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섬유 유형 A 및 B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이성분 부직 스펀본드 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잇점은 개개의 층이 상이한 조성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섬유 유형을 포함하는 다층 부직 스펀본드 웹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상이한 층은 상이한 조성 및(또는) 물리적 특성을 갖는 섬유의 유형을 포함하는,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의 부직 스펀본드 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잇점은 첨부된 실시예 및 도면과 관련하여 제시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뚜렷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다수의 스핀플레이트가 배열된 한 실시태양 및 방사 공정으로부터의 배출에 사용되는 중앙 도관 및 왁스 등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수단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수의 스핀플레이트가 배열된 다른 실시태양 및 2개 영역 켄칭 공기 공급에 사용되는 중앙 도관을 나타내는 본 발명 방법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흡입 방식의 작동을 도시하는 도 2에 도시된 다른 유형의 실시태양의 측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태양 유형의 투시도이다.
도 5는 도4의 설비과 유사하되 켄칭 공기 공급 영역이 있고, 켄칭 공기는 중앙 도관의 수직선에서 약간 기울어져 제공됨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섬유가 생성되지 않는 봉쇄된 부분을 갖는 다수의 스핀플레이트 또는 단일 스핀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설비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켄칭 공기는 중앙 도관의 중앙선의 반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도 7은 3층 스펀본드 구조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뱅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정의>
본원에서, 용어 "부직포 또는 웹"은 편물에서와 같이 규칙적이거나 또는 동일한 방식이 아니라 개개의 섬유 또는 사 (thread)가 얽혀진 구조를 갖는 웹을 의미한다. 부직포 또는 웹은 예를 들어, 용융취입 공정, 스펀본딩 공정, 및 본디드 카디드 (bonded carded) 웹 공정과 같은 많은 공정으로부터 제조되어 왔다. 부직포의 기본 중량은 일반적으로 재료의 제곱 야드 당 재료의 온스 (osy) 또는 제곱 미터 당 그램 (gsm)으로 표현되며 섬유 직경은 미크론으로 표현되는 것이 유용하다. (참고: osy를 gsm으로 변환하려면 osy에 33.91을 곱함).
본원에서, 용어 "미세 섬유"는 평균 직경이 약 75 미크론 이하, 예를 들어 평균 직경이 약 5 미크론 내지 약 50 미크론인 소직경의 섬유를 의미하거나,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 섬유는 평균 직경이 약 10 미크론 내지 약 120 미크론일 수 있다. 빈번하게 사용되는 섬유 직경의 다른 표현은 데니어인데, 이는 섬유 9000 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되며, 미크론 단위의 섬유 직경을 제곱하고, 여기에 그램/cc 단위의 밀도를 곱하고, 0.00707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데니어가 작을수록 더 미세한 섬유를 의미하고 데니어가 클수록 더 두껍거나 또는 더 무거운 섬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15 미크론으로 제시된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직경은 제곱하고, 그 결과에 0.89 g/cc를 곱하고, 0.00707을 곱하여 데니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하여 15 미크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는 약 1.42 (152×0.89×0.00707=1.415)의 데니어를 갖는다. 미국 외의 국가에서 보다 통상적인 측정 단위는 "텍스 (tex)"이고, 이는 섬유 1 킬로미터 당 그램으로 정의된다. 텍스는 데니어/9로 계산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스펀본디드 섬유"는 각각 그의 교시 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어팰 등 (Appel et al.)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도르쉬네르 등 (Dorschner et al.) 등에 허여된 동 제3,692,618호, 마쯔키 등 (Matski et al.)에 허여된 동 제3,802,817호, 키니 (Kinney)에게 허여된 동 제3,338,992호 및 동 제3,341,394호, 하트만 (Hartman)에게 허여된 동 제3,502,763호, 피터센 (Petersen)에게 허여된 동 제3,502,538호 및 도보 등 (Dobo et al.)에게 허여된 동 3,542,615호에서와 같이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다수의 미세하고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압출되는 필라멘트의 직경을 갖는 방사 구금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 압출한 후, 직경을 급속히 감소시켜 형성한 소직경 섬유를 의미한다. 스펀본드 섬유는 일반적으로 수집 표면 상에 쌓여질 때, 들러붙지 않는다. 스펀본드 섬유는 켄칭되고 일반적으로 약 7 미크론보다 큰, 보다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20 미크론의 평균 직경을 갖는다.
본원에서, 용어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단일중합체, 공중합체, 예를 들어 블록, 그래프트, 랜덤 및 교호 공중합체, 3원 공중합체 및 이들의 블렌드 및 태종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중합체"는 그의 모든 가능한 구조 배열을 포함할 것이다. 이러한 배열에는 아이소택틱, 신디오택틱 및 랜덤 대칭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용어 "단일 성분" 섬유는 오직 단일 중합체만을 사용하여 1개 이상의 압출기로부터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이는 색체, 정전기 방지 특성, 윤활성, 친수성 등을 위해 소량의 첨가제가 첨가된 단일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섬유를 제외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첨가제, 예를 들어, 착색을 위한 이산화 티타늄은 일반적으로 5 중량% 미만, 보다 전형적으로는 약 2 중량%로 존재한다.
본원에서, 용어 "복합 섬유"는 별도의 압출기로부터 압출되지만 함께 방사되어 단일 섬유를 형성하는 2종 이상의 중합체로 형성되는 섬유를 의미한다. 복합 섬유는 또한 종종 다상 구조 또는 이상 구조 섬유로도 불린다. 복합 섬유가 간상 구조 섬유일지라도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중합체는 복합 섬유의 단면적을 가로지르는 구분되는 영역에 실질적으로 계속 위치해서 배열되고 복합 섬유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복합 섬유의 구조는 예를 들어, 한 중합체가 다른 중합체로 둘러 싸이는 외피/코어 구조일 수 있고, 또는 일렬 배열 또는 "점 분산형 (Islands-in-the-sea)" 구조일 수 있다. 복합 섬유는, 그의 내용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되고 있는 카네코 등 (Kaneko et al.)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08,820호, 스트랙 등 (Strack et al.)에게 허여된 동 제5,336,552호, 및 파이크 등 (Pike et al.)에게 허여된 동 제5,382,400호에 교시되어 있다. 2 성분 섬유의 경우에는, 중합체가 75/25, 50/50, 25/75 또는 요구되는 다른 임의의 비율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이성분 섬유"는 동일한 압출기로부터 블렌드로서 압출되는 2종 이상의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섬유를 의미한다. 용어 "블렌드"는 하기에서 정의된다. 이성분 섬유는 다양한 중합체 성분이 섬유의 단면적을 가로지르는 구분되는 영역에 비교적 계속 위치하여 배열되어 있지 않고, 일반적으로 섬유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속되지도 않으며, 대신 일반적으로 출발 및 종결되는 피브릴 또는 프로토피브릴을 형성한다. 이성분 섬유는 또한 다성분 섬유로도 이해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유형의 섬유는 예를 들어, 게스너 (Gessner)에게 하여된 미국 특허 제5,108,827호에 논의되어 있다. 이성분 및 이상 구조 섬유는 또한 맨슨 및 스펄링 (Manson and Sperling)의 문헌 [Polymer Blends and Composites, 1976, Plenum Press, New York, IBSN 0-306-30831-2, pp 273-277]에 논의되어 있다.
본원에서, 중합체에 적용되는 용어 "블렌드"는 2종 이상의 중합체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얼로이 (alloy)"는 성분들이 불혼화성이지만 상용성인 블렌드 종류를 의미한다. "혼화성" 및 "불혼화성"은 각각 음 및 양의 혼합 자유 에너지를 갖는 블렌드로 정의된다. 또한, "상용성화"는 얼로이를 제조하기 위해 불혼화성 중합체의 계면 성질을 개질하는 공정으로 정의된다.
본원에서, 용어 "복합 성분 부직 웹" (또는 웹 층)은 중합체 함량, 섬유 크기 범위, 섬유 형태, 안료 또는 첨가제 배합량, 크림핑 정도, 및(또는) 다른 조성적 및 물리적 성질 면에서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필라멘트 또는 섬유 유형 A 및 B의 혼합물을 갖는 부직 웹 또는 층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다층 부직 웹"은 2종 이상의 필라멘트 또는 섬유 유형이 2개 이상의 상이한 층으로 배열된 부직 웹을 의미한다. 상이한 층의 필라멘트 또는 섬유는 전체적인 중합체 함량, 섬유 크기 범위, 섬유 형태, 안료 또는 첨가제 배합량, 크림핑 정도, 및(또는) 다른 조성적 및 물리적 성질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다층 부직 웹 중의 개개의 층은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복합 성분 부직 웹 층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본원에서, 용어 "열점 결합 (thermal point bonding)"은 섬유의 직물 또는 웹을 가열된 칼렌더 롤 및 앙빌 (anvil) 롤 사이로 통과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칼렌더 롤은 늘 그런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전체 직물이 그의 전체 표면에 걸쳐 결합되지 않도록 임의의 방식으로 무늬가 새겨져 있다. 결과적으로, 칼렌더 롤을 위한 다양한 무늬가 심미적인 이유뿐만아니라 기능적인 이유로 발전되어 왔다. 무늬의 일례는 본원에서 참고 문헌으로 인용되고 있는 한센 및 페닝슨 (Hansen and Penning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55,046호에 교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00 결합/인치2의 결합 면적이 약 30%인 한센 페닝슨의 "H&P" 무늬이다. H&P 무늬는 각각의 핀이 측면 칫수가 0.965 mm (0.038 인치)이고, 핀 간의 간격이 1.778 mm (0.070 인치)이고, 결합 깊이가 0.584 mm (0.023 인치)인 사각 점 또는 핀 결합 면적을 갖는다. 생성된 무늬는 결합 면적이 약 29.5%이다. 다른 전형적인 점 결합 무늬는 사각 핀의 측면 칫수가 0.94 mm (0.037 인치)이고, 핀 간의 공간이 2.464 mm (0.097 인치)이고, 깊이가 0.991 mm (0.039 인치)인 15%의 결합 면적을 제공하는 확장된 한센 및 페닝슨 또는 "EHP" 결합 무늬이다. 또다른 전형적인 점결합무늬는 각각의 사각 핀의 측면 칫수가 0.584 mm (0.023 인치)이고, 핀 간의 공간이 1.575 mm (0.062 인치)이고, 결합의 깊이가 0.838 mm (0.033 인치)인 결합 면적을 갖는 "714"로 지정되었다. 생성된 무늬는 약 15%의 결합 면적을 갖는다. 또다른 통상적인 무늬는 약 16.9%의 결합 면적을 갖는 C-스타 (C-star) 무늬이다. C-스타 무늬는 횡-방향 바 (bar) 또는 사출 스타에 의해 개재된 "코듀로이" 디자인을 갖는다. 다른 통상적인 무늬는 이름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창문 스크린과 같이 와이어가 짜여진 것처럼 보이는, 반복되면서 약간 치우친 다이아몬드가 있는 다이아몬드 무늬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백분율 결합 면적은 직물이 적층된 웹 면적의 10% 내외 내지 30% 내외로 가변적이다. 당업계에 잘 공지된 바와 같이, 점 결합은 층들이 함께 적층되어 있도록 유지시킬 뿐만아니라 각각의 층 내의 결합 필라멘트 및(또는) 섬유를 결합시켜 각 층의 일체성을 부여한다.
본원에서, 용어 "개인 위생 용품"은 기저귀, 배변 연습용 팬티, 흡수성 속바지, 성인 실금자 용품, 및 여성용 위생 용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복합 성분 및 적층 부직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1개 이상의 뱅크를 갖는 2개의 슬롯 섬유 압신 유닛을 포함하는, 2개 또는 분할 스핀팩 방사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복합 성분 및 적층 스펀본드 재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번째 실시 태양에서는, 복합 성분 부직 웹을 제조하기 위해 2개 또는 분할 스핀팩 방사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 스핀팩 (10A) 및 (10B)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가 덕트 (1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스핀팩 (10A)는 유형 A의 부직 중합체 섬유 또는 필라멘트, 예를 들어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데 사용된다. 스핀팩 (10B)는 두번째 유형 B의 부직 중합체 섬유 또는 필라멘트, 예를 들어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데 사용된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조성 및(또는) 물리적 성질이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어,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중합체 조성 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 유형 A 필라멘트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고, 유형 B 필라멘트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할 수 있다. 유형 A 또는 유형 B 필라멘트에 사용하기 적합한 다른 중합체는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C4-C20알파-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C4-C20알파-올레핀의 3원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폴리(에틸렌-알파-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A-B 블록 공중합체 (여기서, A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폴리(비닐 아렌) 잔기로 형성되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과 같은 엘라스토머 미드블록임),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이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또한 이성분 필라멘트, 또는 단일 성분 및 이성분 필라멘트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유형 A 및 유형 B는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과 상이한 조성 및 상이한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상이한 평균 섬유 크기, 상이한 섬유 형태, 상이한 크림핑 정도, 및(또는) 상이한 첨가제 배합량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이성분 필라멘트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외피-코어" 필라멘트, "일렬" 필라멘트, 및 "점 분산형" 필라멘트로 공지되어 있는 2종 이상의 구별되는 성분을 갖는 중합 필라멘트가 포함된다. 3종 이상의 구별되는 중합체 성분을 포함하는 필라멘트 또한 포함된다. 이러한 필라멘트는 일반적으로 스펀본드 되지만, 다른 공정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단일 성분 필라멘트는 비교해 볼때, 단일한 중합체 만을 포함한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조성이 다른 스펀본드 필라멘트들 일 수 있다.
스펀본드 필라멘트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며 일반적으로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2 내지 55 미크론이고, 종종 15 내지 25 미크론이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그들의 평균 섬유 직경이 상이한 스펀본드 필라멘트들일 수 있다.
용융취입 미세 섬유는 일반적으로 불연속적이고 평균 섬유 직경이 약 10 미크론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6 미크론이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상이한 중합체 조성, 상이한 평균 섬유 직경 및(또는) 상이한 평균 길이를 갖는 용융취입된 미세 섬유일 수 있다.
부직 필라멘트는 크림핑되었거나 크림핑되지 않았을 수 있다. 크림핑된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키니 (Kinn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341,394호에 기재되어 있다. 크림핑된 필라멘트는 예를 들어, 인치당 30 크림프 미만, 또는 인치당 30 내지 100 크림프, 또는 인치당 100 크림프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유형 A 및 유형 B필라멘트는 그들의 크림핑 정도, 또는 크림핑의 존재 여부 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제조 하기 위해 사용되는 중합체에는, 화학적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탄화불소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178,931호에 교시되어 있음), 화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난연제 및(또는) 각각의 층에 동일하거나 또는 구별되는 색을 제공하기 위한 안료와 같은 다른 물질이 블렌딩될 수 있다. 스펀본드 및 용융취입된 열가소성 중합체를 위한 난연제 및 안료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빈번하게 사용되는 내부 첨가제이다. 안료는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층의 5 중량% 미만의 양으로 존재하며, 다른 재료는 누적된 양이 25 중량% 미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는 그들의 첨가제 배합량 면에서, 또는 특이한 첨가제의 존재 여부 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 태양이 기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팩 (10A) 및 (10B)는 동일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덕트 (12)에 의해 분리된다. 스핀팩 (10A) 및 (10B)로, 유형 A 및 B의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가 공급될 것이다. 공정 조건에 따라, 상이한 유형의 필라멘트가 생산물에 혼합될 수 있으며, 또는 각 층의 물성이 사용된 중합체 및(또는) 첨가제에 따라 변하는 적층된 구조물이 얻어질 수 있다. 섬유속 (fiber bundle) (14), (16)은 스핀팩으로부터 켄칭 영역 (18)로 압출된다. 섬유속 (14) 및 (16)이 스핀팩 (10A) 및 (10B)의 저부 표면 (20)으로부터 압출되며, 상기 스핀팩의 저부 표면은 중앙 도관의 중앙선에 대해 수직이거나 섬유속을 통과한 고온 배출 유체 (공기)가 덕트 (12)로 상향 진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중앙 도관의 중앙선에 대해 α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 각은 예를 들어, 약 1°의 얇은 각 내지 약 15°의 범위이내 일 수 있고, 특히 약 1°내지 약 5°이내일 수 있다. 유사하게, 켄칭 영역의 면 (22), (24)는 보다 균일한 켄칭을 위해, 켄칭 공기와 섬유속 간에 비교적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수평선으로부터 약 1°내지 약 10°의 얇은 각으로 공기를 진행시키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켄칭 공기는, 덕트 (26), (28)로부터 양쪽에서 스핀플레이트에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하게 반대 방향으로 섬유속의 방향으로 유입된다 (도면에는 명료하게 하기 위해 한 면에만 흐름 패턴을 도시함). 도시된 바와 같이, 켄칭 공기의 일부는 덕트 (12)를 통해 상향으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섬유속을 따라 섬유 연신 유닛으로 흐른다. 켄칭 공기의 온도는 요구되는 섬유 물성이 수득되도록 조정한다.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웹 형성을 위한 켄칭 공기는 약 5℃ 내지 약 25℃의 범위인 것이 유리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비는 단일 구조 내에서 다중 뱅크를 제조하는 잇점을 제공하고 양쪽 필라멘트속 (filament bundle)에 단일 중앙 유체 흐름 만을 사용해도 된다. 필요하다면, 상부를 통해 쌓여 있는 발연 공기를 제거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팬 (fan) 보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유동 안정성의 증가를 위해 필요에 따라, 스핀플레이트 표면 및 켄칭 덕트 사이에, 예를 들어 약 1 인치 내지 약 3 인치 너비의 평형화 슬롯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방법은 스핀팩 (10A) 및 스핀팩 (10B)로부터 제조되는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생산물에서 단일한 층으로 함께 혼합하거나 또는 생산물 단계까지 분리된 층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필라멘트의 혼합은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서로를 향해 강하게 추진되도록 면 (22) 및 (24)로부터 보다 빠른 켄칭 공기 유량 및 유속 및(또는) 보다 큰 각 α를 사용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수압 꼬기 또는 기계적 니들링 (모두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음)과 같은 후 처리가 필라멘트를 더 혼합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형 A 필라멘트 및 유형 B 필라멘트가 서로를 향해 최소한으로 추진되도록 면 (22) 및 (24)로부터 더 낮은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사용하고(거나) 각 α가 작은 경우에는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는 생산물에서 2개 층으로 나타날 것이다.
도 1은 또한 응축된 오일 또는 왁스와 같은 잔류물이 적당한 공극 밀도의 몇몇 적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스펀본드 시스템으로부터 확실히 흘러나오도록 하는 데 유리한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팩 (10)은 임의의 응축물를 연신하기 위해 하향 각으로 배치된 덕트 (30)에 연결된 덕트 (12)에 의해 분리된다. 덕트 (12) 및 (30) 중 1개 또는 모두는 스핀팩에서의 열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절연될 수 있다. 덕트는 스펀본드 기계의 직사각형 배출구일 수 있고, 칼라 (32)에서 원형 등으로 재성형될 수 있다. 덕트 (30)은 관 (36), (38)을 통해 각수 등에 의해 냉각될 수 있는 응축기 (34)에 연결된다. 그 다음, 왁스가 제거된 공기는 도관 (39)를 통해 팬 등에 의해 제거된다. 필요하다면, 그러한 용도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수단을 사용하여 응축물 (왁스)를 스펀본드 시스템으로부터 회수하여 응축기를 통해 연신해 낼 수 있다. 공극 밀도가 높은 경우에는, 발연 배기용 다른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도 2는 켄칭 공기가 중앙 (섬유속 (120) 및 (122) 사이)으로 모아지고, 배출물은 양쪽 면을 통해 바깥쪽으로 흐르는 제2 실시태양의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핀팩 (100A) 및 (100B)는 도관 또는 덕트 (112)의 양쪽 대향 면상에 배열되어 있다. 켄칭 공기는 단일 스트림 (또는 영역)으로 스핀플레이트 (100) 사이에서 아래로 공급되어 필라멘트속 (120), (122) 사이의 공간을 가압함으로써 겅기가 각각의 필라멘트속을 통해 바깥쪽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 덕트 (112)는 분할기 (114)에 의해 켄칭 유체를 필라멘트속 (120), (122)로 각각 향하게 하는 공급 영역 (116), (118)로 분할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공극 밀도가 높고 중앙 공기 유동이 클 때, 양면으로부터의 유동 간의 임의의 상호 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유체의 유동을 제어되하 그의 균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천공 플레이트 또는 스크린 (124), (126)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되는 경우, 이러한 플레이트들은 유체의 유동을 더욱 제어하기 위해 눈금이 매겨진 개방 영역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는, 발연 배기 덕트 (128), (130)가 필라멘트속 (120), (122)의 대향 면에 배치되어 있어서 켄칭 유체의 일부분을 받아들인다. 나머지 켄칭 유체는 필라멘트속을 향해 진행되어, 도 1에서와 상당히 유사한 방식으로 필라멘트속을 운반하거나 또는 필라멘트속에 의해 섬유 연신 영역 (도시되지 않음)으로 운반된다. 이 설비는 도 1의 장치의 잇점을 제공하며, 또한, 별도의 필라멘트속에 적용되는 켄칭 공기의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다른 잇점은 모든 연기가 오일을 침착시키는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가온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2의 실시태양은 덕트 (116) 및 (118)로부터 유도되는 실질적으로 바깥쪽으로 흐르는 켄칭 공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 실시태양은 단층 혼합 생산물보다 적층 생산물 (유형 A 및 유형 B 필라멘트가 별도의 층에 있음)을 제조하는 데 더욱 적합하다. 물론, 층들을 계속해서 수압 꼬기, 기계적 니들링,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에 의해 혼합할 수 있다.
도 3은 도관 (212)를 통해 유입된 수직 공기 스트림이 스핀팩 (200A) 및 (200B)로 부터 섬유속 (220) (유형A) 및 (222) (유형B)를 통해 주변으로부터 켄칭 공기를 흡입하여 연신 유닛 입구 (230)까지 인도하는 흡입 방식으로 작동하는 실시태양을 도시한다. 이 설비에서, 다이 너비 인치 당 구멍 수가 증가되면, 더 높은 원료 처리량 뿐만아니라 더 양호한 스핀라인 안정성이 제공됨이 증명되었다. 예를 들어, 인치당 320개 이상의 구멍으로 방사되면 켄칭 공기의 요구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요구되는 공정 제어 장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섬유의 적층 구조물에서 커튼을 깔아 분리를 유지하는 분할 연신 유닛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다른 변법도 나타날 수 있다. 도 4는 도 3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켄칭 공기 영역 (440) 내지 (447)을 갖고 수평선에 대해,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중앙 도관의 중심선에 수직으로 그어진 선에 대해 각 "b"로 배향된 스핀팩을 도시한다. 이 각은 예를 들어, 약 1°내지 약 15°의 얇은 각, 특히 약 1°내지 약 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핀플레이트를 피봇팅하거나 스핀플레이트 표면을 조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스핀블록 간의 간격은 가변적이고, 대부분의 작동은 약 1 인치 미만의 좁은 간격 내지 약 20인치 범위, 특히 약 1 인치 내지 약 1.5 인치 미만의 간격으로 고려된다. 설비의 다른 매개 변수들은 전체적인 장비 구조 및 요구되는 작동 조건에 따라 일반적으로 통상적인 범위 이내일 것이다. 예를 들어, 약 100 ft/분 내지 약 1000 ft/분의 수직 켄칭 공기 유량을 제공하면, 바람직한 열전달의 수준의 충분한 흡입을 제공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태양에서, 측면에서 안쪽으로 흐르는 켄칭 공기 스트림의 유량에 대한 중앙에서 아랫쪽으로 흐르는 켄칭 공기 스트림의 유량은 생산물이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의 분리된 층을 갖는지의 여부 또는 필라멘트가 혼합되는 지의 여부에 영향을 미칠것이다. 중앙에서 아랫쪽으로 흐르는 켄칭 공기 스트림이 측면에서 안쪽으로 흐르는 스트림에 의해 가해지는 경쟁하는 힘을 극복하면서, 섬유속 (220)과 (222) 사이에 분리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힘을 갖는다면, 생산물은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나타내는 2개 층을 가질것이다. 측면에서 안쪽으로 흐르는 공기 스트림이 중앙에서 아랫쪽으로 흐르는 스트림을 극복하는 충분한 속도 및 힘을 갖는다면,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는 다양한 정도로 혼합될 것이다.
도 6은 섬유가 형성되지 않는 차단된 부분을 갖는 다중 스핀플레이트 또는 단일 스핀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설비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다. 스핀플레이트 영역 (710), (712)는 중앙 도관 (718)에 의해 분리된 필라멘트속 (714), (716)을 발생시킨다. 켄칭 공기 공급원에 연결된 노즐 (720)은 개구 (722), (724)를 통해 켄칭 공기를 윗쪽 및(또는) 아랫쪽으로 향하게 한다. 켄칭 공기는 표시된 바와 같이 속 (714), (716)을 통해 측면 (726), (728)로부터 흡입되고(거나) 송풍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존재하는 스핀플레이트를 변형시켜 특히 경제적인 시스템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노즐 (720) 및 개구 (722), (724)의 설계 매개 변수를 선택하여 각 방향에서의 상대적 유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3층 부직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해 3개 스핀팩 (200A), (200B) 및 (200C)가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7의 실시태양은 제3 스핀팩 (200C)가 스핀팩 (200A) 및 (200B) 사이에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5의 실시태양과 유사하다. 스핀팩 (200A), (200B) 및 (200C)는 유형 A, B 및 C 필라멘트 또는 임의의 배합물이 될 수 있는 3개의 섬유속 (220), (222) 및 (224)를 제조한다. 예를 들어, 섬유속 220, 222 및 224는 유형 A/유형 B/ 유형 C, 유형 A/유형 B/ 유형 A, 유형 A/유형 A/ 유형 B, 유형 A/유형 B/ 유형 B, 유형 B/유형 C/ 유형 A, 유형 A/유형 C/ 유형 B, 및 다른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태양에서, 2개의 수직 켄칭 공기 스트림이 섬유속 (220)과 (224), 및 섬유속 (222)과 (224)의 켄칭 및 이들 사이의 분리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 방법은 도 5의 2개 스핀팩 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2군의 측면 공기 켄칭 영역 (예를 들어, (440) 내지 (444) 및 (445) 내지 (449))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켄칭 후, 섬유속 (220), (222) 및 (224)는 연신 유닛 (230)을 사용하여 층의 형태로 함께 혼융된다.
도 7의 3개 스핀팩 시스템은 다양한 잇점이 있는 3층 부직 구조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값싼 중합체를 중앙 "충전제" 층으로서 사용하면서, 향상된 유연성을 나타내는 고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중합체를 외층으로서 사용하여, 전체적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외층의 1개 층은 필름 또는 다른 기판에 대한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해 테일러링할 수 있다. 또한, 3개층 용량을 상이한 층 비율, 상이한 필라멘트 형태 및 크기, 상이한 중합체 조성, 상이한 크림핑 정도 및 상이한 안료 또는 첨가제 배합량을 갖는 무수한 구조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원에서 개시된 실시태양이 바람직하게 제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질 및 개선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나타나며, 동등한 범위 및 의미에 포함되는 변형들이 그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다.
Claims (58)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하고, 제1 공기 스트림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필라멘트 및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comprise),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고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시켜서 복합 성분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고, 약 5 내지 25℃로 공급되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 및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성분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이들 사이에 제3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제3 공기 스트림이 약 5 내지 25℃로 공급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5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5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공기 스트림이 수평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0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되는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이들 사이에 제4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중합체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C4-C20알파 올레핀의 공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 및 C4-C20알파 올레핀의 3원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스티렌-폴리(에틸렌-알파-올레핀)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A-B 블록 공중합체 (여기서, A는 폴리스티렌과 같은 폴리(비닐아렌) 잔기로 형성되고, B는 공액 디엔 또는 저급 알켄과 같은 엘라스토머성 미드블록임), 폴리에테르,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알킬 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및 이들의 임의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 및 유형 B 필라멘트 중 하나 이상이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조성을 갖는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형상 (configuration)을 갖는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함량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수준의 크림핑을 갖는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두 유형의 필라멘트 중 하나는 크림핑되지 않고, 나머지 필라멘트 유형은 크림핑된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두 필라멘트 유형이 모두 크림핑된 것인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평균 필라멘트 크기를 갖는 것인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것인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인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하고 제1 공기 스트림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필라멘트 및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층 형태로 합쳐서 다층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 층 및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 층을 포함하는 다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이들 사이에 제3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제1 공기 스트림 및 제2 공기 스트림이 약 5 내지 25℃로 공급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제3 공기 스트림이 약 5 내지 25℃로 공급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5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5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공기 스트림이 수평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0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진행되는 방법.
- 제26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그들 사이에 제4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필라멘트속 (bundle)을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필라멘트속을 압출하는 단계,제1 스핀팩과 제2 스핀팩 사이에 위치한 제3 스핀팩으로부터 제3 필라멘트속을 압출하는 단계,제1 필라멘트속 측면으로 제1 켄칭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고 이에 대향하는 제2 켄칭 공기 스트림을 제2 필라멘트속 측면으로 공급하는 단계,제1 필라멘트속과 제2 필라멘트속 사이에 제3 켄칭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제2 필라멘트속과 제3 필라멘트속 사이에 제4 켄칭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 및제1, 제2 및 제3 필라멘트속을 층의 형태로 합쳐서 다층 부직 재료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개 이상의 부직층을 포함하는 다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33항에 있어서, 제1 필라멘트속이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제2 필라멘트속과 제3 필라멘트속 중 하나 이상이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제2 필라멘트속이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제3 필라멘트속이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제2 필라멘트속이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함유하고, 제3 필라멘트속이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나머지 제2 및 제3 필라멘트속이 제3 유형 C의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 측면에서 공급하고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 필라멘트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및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고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시켜서 복합 성분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고, 상기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는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5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성분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이들 사이에 제3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수직선으로부터 약 1 내지 5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해 압출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공기 스트림이 수평선으로부터 약 1 내지 10 도의 각으로 서로를 향하는 방법.
- 제39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기 전에 이들 사이에 제4 공기 스트림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중합체 조성을 갖는 것인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첨가제 배합량을 갖는 것인 방법.
- 제38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하고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필라멘트 및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고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시켜서 복합 성분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고, 상기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 중 하나 이상이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성분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47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조성을 갖는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47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이성분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47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 측면에서 공급하고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의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고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의 적어도 일부를 혼합시켜서 복합 성분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고, 상기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는 상이한 수준의 크림핑을 갖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성분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51항에 있어서, 두 유형의 필라멘트 중 하나는 크림핑되지 않고, 나머지 유형의 필라멘트는 크림핑된 것인 방법.
- 제51항에 있어서, 두 필라멘트 유형이 모두 크림핑된 것인 방법.
- 제51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 제1 스핀팩으로부터 제1 유형 A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제2 스핀팩으로부터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단계, 및제1 공기 스트림을 제1 유형 A 필라멘트 측면에서 공급하고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을 제2 유형 B의 측면에서 공급함으로써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켄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여기서, 상기 제1 공기 스트림 및 이에 대향하는 제2 공기 스트림은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를 합치고 제1 유형 A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필라멘트 적어도 일부를 혼합시켜서 복합 성분 부직 재료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속도 및 유량을 갖고, 상기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는 상이한 평균 필라멘트 크기를 갖는 것인, 제1 유형 A 중합체 필라멘트와 제2 유형 B 중합체 필라멘트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성분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제5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평균 섬유 직경을 갖는 것인 방법.
- 제5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상이한 평균 섬유 길이를 갖는 것인 방법.
- 제55항에 있어서, 유형 A 필라멘트와 유형 B 필라멘트가 스펀본드 필라멘트를 함유하는 것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878,288 US5853635A (en) | 1997-06-18 | 1997-06-18 | Method of making heteroconstituent and layered nonwoven materials |
US08/878,288 | 1997-06-1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13915A true KR20010013915A (ko) | 2001-02-26 |
Family
ID=25371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11937A KR20010013915A (ko) | 1997-06-18 | 1998-06-15 | 복합성분의 적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5853635A (ko) |
EP (1) | EP0990065B1 (ko) |
KR (1) | KR20010013915A (ko) |
CN (1) | CN1268195A (ko) |
AR (1) | AR013000A1 (ko) |
AU (1) | AU734074B2 (ko) |
BR (1) | BR9810120A (ko) |
CA (1) | CA2291339A1 (ko) |
DE (1) | DE69822827T2 (ko) |
WO (1) | WO1998058110A1 (ko) |
ZA (1) | ZA98508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17379A (en) * | 1998-07-29 | 2000-09-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quenching of nonwoven filaments |
ES2245123T3 (es) | 1998-09-14 | 2005-12-16 | Cerex Advanced Fabrics, Inc. | Telas no tejidas. |
US20060252332A9 (en) * | 1998-09-14 | 2006-11-09 | Ortega Albert E | Nonwoven fabrics with two or more filament cross sections |
US6103181A (en) * | 1999-02-17 | 2000-08-15 | Filtrona International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a web of mixed fibers,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
JP3550052B2 (ja) * | 1999-06-28 | 2004-08-04 |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 伸縮性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6613704B1 (en) * | 1999-10-13 | 2003-09-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Continuous filament composite nonwoven webs |
US6777056B1 (en) | 1999-10-13 | 2004-08-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Regionally distinct nonwoven webs |
WO2001096639A1 (en) * | 2000-06-12 | 2001-12-20 | Ahlstrom Dexter Llc | Spunbonded heat seal material |
WO2002055774A2 (en) * | 2000-11-14 | 2002-07-18 | Weyerhaeuser Co | Crosslinked cellulosic product formed by extrusion process |
US20040216828A1 (en) * | 2001-08-17 | 2004-11-04 | Ortega Albert E. | Nonwoven fabrics with two or more filament cross sections |
US6517648B1 (en) | 2001-11-02 | 2003-02-11 | Appleton Papers Inc. | Process for preparing a non-woven fibrous web |
US7279440B2 (en) | 2002-05-20 | 2007-10-09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Nonwoven amorphous fibrous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
US6916752B2 (en) * | 2002-05-20 | 2005-07-12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Bondable, oriented,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
US6739023B2 (en) | 2002-07-18 | 2004-05-25 |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forming a nonwoven composite fabric and fabric produced thereof |
US6881375B2 (en) * | 2002-08-30 | 2005-04-1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forming a 3-dimensional fiber into a web |
US6896843B2 (en) * | 2002-08-30 | 2005-05-2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making a web which is extensible in at least one direction |
US6677038B1 (en) | 2002-08-30 | 2004-01-1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3-dimensional fiber and a web made therefrom |
US6958103B2 (en) | 2002-12-23 | 2005-10-2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Entangled fabrics containing staple fibers |
US7022201B2 (en) | 2002-12-23 | 2006-04-0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Entangled fabric wipers for oil and grease absorbency |
US7014442B2 (en) * | 2002-12-31 | 2006-03-2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lt spinning extrusion head system |
US7226880B2 (en) | 2002-12-31 | 2007-06-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Breathable, extensible films made with two-component single resins |
DE10338196A1 (de) * | 2003-08-20 | 2005-05-12 | Reifenhaeuser Masc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liesstoffes |
US7270723B2 (en) | 2003-11-07 | 2007-09-1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icroporous breathable elastic film laminates, methods of making same, and limited use or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
US7220478B2 (en) | 2003-08-22 | 2007-05-2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icroporous breathable elastic films, methods of making same, and limited use or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
US7932196B2 (en) | 2003-08-22 | 2011-04-2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icroporous stretch thinned film/nonwoven laminates and limited use or disposable product applications |
US7168932B2 (en) * | 2003-12-22 | 2007-01-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pparatus for nonwoven fibrous web |
US20050133948A1 (en) * | 2003-12-22 | 2005-06-23 | Cook Michael C. |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omponent fibers |
US7645353B2 (en) | 2003-12-23 | 2010-01-1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Ultrasonically laminated multi-ply fabrics |
US7194788B2 (en) | 2003-12-23 | 2007-03-2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Soft and bulky composite fabrics |
US20060141886A1 (en) * | 2004-12-29 | 2006-06-29 | Brock Thomas W | Spunbond-meltblown-spunbond laminates made from biconstituent meltblown materials |
US8052666B2 (en) * | 2004-12-30 | 2011-11-0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Fastening system having elastomeric engaging element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made therewith |
US20060148359A1 (en) * | 2004-12-30 | 2006-07-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Nonwoven loop material |
WO2015154244A1 (zh) * | 2014-04-09 | 2015-10-15 | 耀亿工业股份有限公司 | 多重线材的立体弹性垫工艺 |
CZ307292B6 (cs) * | 2016-09-30 | 2018-05-16 | Pegas Nonwovens S.R.O. | Spunbondová netkaná textilie pro akvizičně distribuční vrstvu a absorpční výrobek |
CN109943980B (zh) * | 2017-12-20 | 2021-02-23 | 财团法人纺织产业综合研究所 | 无纺布结构与其制作方法 |
JP7272195B2 (ja) * | 2019-09-12 | 2023-05-12 |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不織布の製造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338992A (en) * | 1959-12-15 | 1967-08-29 | Du Pont | Process for forming non-woven filamentary structures from fiber-forming synthetic organic polymers |
US3502763A (en) * | 1962-02-03 | 1970-03-24 | Freudenberg Carl Kg | Process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fleece |
US3459627A (en) * | 1964-06-12 | 1969-08-05 | Du Pont | Nonwoven fabric with columnar bonds |
US3502538A (en) * | 1964-08-17 | 1970-03-24 | Du Pont | Bonded nonwoven sheets with a defined distribution of bond strengths |
US3436797A (en) * | 1965-03-08 | 1969-04-08 | Du Pont |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nd combining continuous filaments of different polymeric composition to form a nonwoven web |
US3272898A (en) * | 1965-06-11 | 1966-09-13 | Du Pont | Process for producing a nonwoven web |
US3341394A (en) * | 1966-12-21 | 1967-09-12 | Du Pont | Sheets of randomly distributed continuous filaments |
US3542615A (en) * | 1967-06-16 | 1970-11-24 | Monsanto Co | Process for producing a nylon non-woven fabric |
DE2048006B2 (de) * | 1969-10-01 | 1980-10-30 | Asahi Kasei Kogyo K.K., Osaka (Japan)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breiten Vliesbahn |
DE1950435C3 (de) * | 1969-10-07 | 1975-11-20 | Lutravil Spinnvlies Gmbh & Co, 6750 Kaiserslautern | Fadenabzugskanal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aus mindestens zwei verschiedenen Arten von endlosen Fäden |
DE1950669C3 (de) * | 1969-10-08 | 1982-05-13 | Metallgesellschaft Ag, 6000 Frankfurt | Verfahren zur Vliesherstellung |
CA948388A (en) * | 1970-02-27 | 1974-06-04 | Paul B. Hansen | Pattern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
US3806289A (en) * | 1972-04-05 | 1974-04-23 | Kimberly Clark Co | Apparatus for producing strong and highly opaque random fibrous webs |
GB1453447A (en) * | 1972-09-06 | 1976-10-20 | Kimberly Clark Co | Nonwoven thermoplastic fabric |
US4209563A (en) * | 1975-06-06 | 1980-06-24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Method for making random laid bonded continuous filament cloth |
US4089720A (en) * | 1975-11-28 | 1978-05-16 | Monsanto Company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nonwoven fabric |
US4212692A (en) * | 1977-05-06 | 1980-07-15 | Akzona Incorporated | Matting article with process and apparatus for its production |
DE7926583U1 (de) * | 1979-09-17 | 1980-11-27 | Karl Fischer Industrieanlagen Gmbh, 1000 Berlin | Spinnvorrichtung zum spinnen von endlosen faeden |
US4469499A (en) * | 1979-11-20 | 1984-09-04 | Societe Vetrotex Saint-Gobai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fibers |
US4340563A (en) * | 1980-05-05 | 1982-07-20 | Kimberly-Clark Corporation | Method for forming nonwoven webs |
US4374888A (en) * | 1981-09-25 | 1983-02-22 | Kimberly-Clark Corporation | Nonwoven laminate for recreation fabric |
US4430563A (en) * | 1982-04-30 | 1984-02-07 |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 Data processing form |
DE3401639A1 (de) * | 1984-01-19 | 1985-07-25 | Hoechst Ag, 6230 Frankfurt |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spinnvlieses |
US4818464A (en) * | 1984-08-30 | 1989-04-04 | Kimberly-Clark Corporation | Extrusion process using a central air jet |
US4783231A (en) * | 1985-10-07 | 1988-11-08 | Kimberly-Clark Corporation | Method of making a fibrous web comprising differentially cooled/thermally relaxed fibers |
US4668566A (en) * | 1985-10-07 | 1987-05-26 | Kimberly-Clark Corporation | Multilayer nonwoven fabric made with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
JPS62156306A (ja) * | 1985-12-27 | 1987-07-11 | Chisso Corp | 複合紡糸用口金装置 |
DE3701531A1 (de) * | 1987-01-21 | 1988-08-04 | Reifenhaeuser Masch |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einem spinnvlies |
DE3710946A1 (de) * | 1987-04-01 | 1988-10-13 | Neumuenster Masch App | Duesenpaket zum spinnen von bikomponentenfaeden mit kern-mantel-struktur |
DE3728002A1 (de) * | 1987-08-22 | 1989-03-02 | Freudenberg Carl Fa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pinnvliesen |
US5162074A (en) * | 1987-10-02 | 1992-11-10 | Basf Corporation | Method of making plural component fibers |
JP2682130B2 (ja) * | 1989-04-25 | 1997-11-26 |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 柔軟な長繊維不織布 |
US5108827A (en) * | 1989-04-28 | 1992-04-28 | Fiberweb North America, Inc. | Strong nonwoven fabrics from engineered multiconstituent fibers |
US5169706A (en) * | 1990-01-10 | 1992-12-08 | Kimberly-Clark Corporation | Low stress relaxation composite elastic material |
US5149576A (en) * | 1990-11-26 | 1992-09-22 | Kimberly-Clark Corporation |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
DE4224652C3 (de) * | 1991-08-06 | 1997-07-17 | Barmag Barmer Maschf | Spinnvorrichtung zum Schmelzspinnen insbesondere thermosplastischer Mehrkomponentenfäden |
JP3134959B2 (ja) * | 1992-03-17 | 2001-02-13 | チッソ株式会社 | 複合メルトブロー紡糸口金装置 |
US5382400A (en) * | 1992-08-21 | 1995-01-17 | Kimberly-Clark Corporation | Nonwoven multicomponent polymeric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same |
US5336552A (en) * | 1992-08-26 | 1994-08-09 | Kimberly-Clark Corporation |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thylene alkyl acrylate copolymer |
US5387387A (en) * | 1993-09-30 | 1995-02-07 | Alex James & Associat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 spinning spandex |
US5556589A (en) * | 1994-09-07 | 1996-09-17 | Hercules Incorporated | Process of using a spin pack for multicomponent fibers |
-
1997
- 1997-06-18 US US08/878,288 patent/US5853635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8
- 1998-06-11 ZA ZA985084A patent/ZA985084B/xx unknown
- 1998-06-15 DE DE1998622827 patent/DE69822827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8-06-15 EP EP98930229A patent/EP0990065B1/en not_active Revoked
- 1998-06-15 WO PCT/US1998/012412 patent/WO1998058110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6-15 BR BR9810120-0A patent/BR9810120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06-15 CA CA002291339A patent/CA2291339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8-06-15 CN CN98806447A patent/CN1268195A/zh active Pending
- 1998-06-15 KR KR1019997011937A patent/KR20010013915A/ko active IP Right Grant
- 1998-06-15 AU AU79670/98A patent/AU734074B2/en not_active Ceased
- 1998-06-17 AR ARP980102890A patent/AR013000A1/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68195A (zh) | 2000-09-27 |
DE69822827D1 (de) | 2004-05-06 |
BR9810120A (pt) | 2000-08-08 |
EP0990065A1 (en) | 2000-04-05 |
CA2291339A1 (en) | 1998-12-23 |
AU7967098A (en) | 1999-01-04 |
US5853635A (en) | 1998-12-29 |
WO1998058110A1 (en) | 1998-12-23 |
AR013000A1 (es) | 2000-11-22 |
ZA985084B (en) | 1999-01-12 |
AU734074B2 (en) | 2001-05-31 |
EP0990065B1 (en) | 2004-03-31 |
DE69822827T2 (de) | 2005-01-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0013915A (ko) | 복합성분의 적층 부직 재료의 제조 방법 | |
EP2190658B1 (en) | Multilayer variable stretch nonwoven fabric composites | |
KR100648560B1 (ko) | 권축 다성분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 |
CA2274771C (en) | Nonwoven process and apparatus | |
EP0586937B2 (en) |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 |
US20090068419A1 (en) | Variable stretch nonwoven fabric composites | |
US20020034909A1 (en) | Meltblown web | |
MXPA02006183A (es) | Fibras de multicomponente de denier fino. | |
US20090068422A1 (en) | Multilayer stretch nonwoven fabric composites | |
MXPA99011433A (en) | Method of making heteroconstituent and layered nonwoven materials | |
MXPA99006202A (en) | Nonwoven process and apparatus | |
ZA200103327B (en) | Crimped multicomponent fib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91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3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27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