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3378A -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폴리올 아미노산 화합물 - Google Patents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폴리올 아미노산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3378A
KR20010013378A KR19997011377A KR19997011377A KR20010013378A KR 20010013378 A KR20010013378 A KR 20010013378A KR 19997011377 A KR19997011377 A KR 19997011377A KR 19997011377 A KR19997011377 A KR 19997011377A KR 20010013378 A KR20010013378 A KR 20010013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compound
group
acid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999701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미야가와겐-이찌로
쓰보따니시게또시
나까오마사후미
나까노요시따까
가미야마게이지
이자와모또오
아끼야마요꼬
니시끼미유지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1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337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7/1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5/00Peptides containing up to four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2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nitrogen atoms of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further acyl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2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carbon atoms of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1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olyamide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상기 화합물 Ⅰ 은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가지며, 각종 헬리코박터 세균 관련 질병, 예컨대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만성 위염 및 위암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폴리올 아미노산 화합물 {POLYOL-AMINO ACID COMPOUNDS HAV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위장관에 해로운 세균 군의 하나인 헬리코박터 필로리는 헬리코박터 속에 속하는 그람 음성 호기성균이며, 위염, 십이지장궤양 및 위궤양 재발의 주요 요인일 수 있다.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각종 질병의 처리로서, 비스무트 약물과 항생제를 사용한 2-약물계 조합 요법, 또는 비스무트 약물, 메트로니다졸 (USP 2,944,061), 및 테트라시클린 (예, USP 2,712,517) 또는 아목시실린 (USP 3,192,198) 을 사용한 3-약물계 조합 요법과 같은 화학요법이 오늘날 실용되고 있다. 위 프로톤 펌프 억제제, 아목시실린 및 클라리트로마이신으로 이루어진 3중 요법 또한 효과적인 것으로 발견되었다 (Gut, 1995, 37 (증보 1): A365) (Gastroenterology, 1996, 110: A171). 비스무트 약물, 항생제, 및 메트로니다졸과 같은 약물은 모두 경구 투여된다.
폴리올에 대해, PCT 국제특허출원공보 제 WO93/06838 호 및 [Acta Chemical Scandinavica B36, 515-518 (1982)] 는 각각
합성 중간체로서 개시하고 있으며, [Carbohyd. Res., 28 (2), 263-280 (1973)] 은
이 그람-음성 세균에 대해 활성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향상된 활성 성분 효능 표현, 및 감소된 부작용 위험을 위해, 예를 들면, 아목시실린을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에 배합하여, 그 위장 내 체류 시간을 연장시키고, 제어된 속도로 아목시실린을 방출하여, 개선된 활성 성분 이용가능성을 수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WO 94/00112).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제거율이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물질로 인해 향상되어, 위에서 더 오랫동안 머물러서 세균이 활성 성분에 더 오랫동안 확실히 노출될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Scand. J. Gastroenterol., 29, 16-42 (1994)].
그러나, 충분한 성장-억제 농도가 헬리코박터 필로리의 서식지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비스무트 약물, 항생제 또는 메트로니다졸은 광범위한 양으로 매일 투여되어야 하며, 이러한 치료는 다양한 문제, 예컨대 구토 및 설사와 같은 역반응의 징후를 일으킨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은 높은 항균 활성, 특히 헬리코박터 필로리 및 헬리코박터속의 기타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고, 역반응의 위험이 감소된 예방 및 치료 반응을 임상적으로 생성하는 신규 약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상황 하에서, 본 발명은 높은 항균 활성, 특히 헬리코박터 필로리 및 헬리코박터속의 기타 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고, 역반응의 위험이 감소된 예방 및 치료 반응을 임상적으로 생성하는 신규 약제를 제공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기타 위 점막 부착성 제제에 비해 보강된 점막 부착 활성을 가지며, 따라서, 활성 성분, 특히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조성물의 효율이 매우 향상된 약학 조성물, 및 위십이지장궤양의 예방, 치료 또는 재발방지를 위한 만족스럽고 바람직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효과, 낮은 부작용 위험, 서방성 효과 및 안전성을 갖는 약학 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집중적인 연구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하기 정의된 기가 탄소원자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점에 구조적인 특징이 있는:
[Q 및 R2는 하기 정의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하기 화학식의 신규 다가 알콜 (폴리올) 을 합성하였으며: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또한 그 독특한 화학 구조 때문에, 상기 화합물이 위장관에 해로운 세균에 대한 뚜렷한 억제 활성, 특히 높은 항-헬리코박터 활성을, 낮은 부작용 위험성과 같은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약학적 특성과 함께 가짐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을 기초로 발전되었다.
당 분야의 상태에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 성분의 효과 (예,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효과) 가 활성 성분 (예,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물질) 을 함유하는 목적 위점막 부착성 조성물에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제제 (예,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를 혼입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이 바람직한 안전성 및 점막에 대한 강화된 부착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고;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2) (1) 에 있어서, R1이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인 화합물,
(3) (2) 에 있어서, 아실아미노기가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아미노기인 화합물,
(4) (3) 에 있어서, 아미노산 잔기가 α-아미노산 잔기인 화합물,
(5) (1) 에 있어서, R1이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기 또는 아미노기인 화합물:
(식 중, R7은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이며, R8은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카르복시기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Q 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6) (5) 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Ⅴ 로 나타내는 화합물:
(식 중, R7및 R8은 상기 (5) 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7) (5) 에 있어서, R8이 각각 치환될 수 있는 C1-10알킬기, C6-14아릴-C1-6알킬기, C2-10알케닐기 또는 C2-10알키닐기인 화합물,
(8) (7) 에 있어서, R8이 C1-6알킬기 또는 C2-6알케닐기인 화합물,
(9) (7) 에 있어서, R7이 발릴기, 발릴발릴기, 발릴이소루이실기 또는 발릴루이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인 화합물,
(10) (8) 에 있어서, R8이 이소부틸기 또는 알릴기인 화합물,
(11) (1) 에 있어서, R1이 아미노기인 화합물,
(12)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3)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4)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5)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6)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7) (1) 에 있어서, (S)-3-[(2S,3R,4R,5S)-5-((S)-2-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8) (1) 에 있어서, (S)-3-[(2S,3R,4R,5S)-5-((S)-2-아미노부티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9)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0)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메티오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1) (1) 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2-(L-노르발릴)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2) (1) 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23) (22) 에 있어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제제인 조성물,
(24) (23) 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인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5) (24) 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이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암 또는 악성 위 림프종인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6) (1) 에 따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기타 항균제 및/또는 항궤양제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7) (22) 에 있어서, 위 점막 부착성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28) (27) 에 있어서, (a) (1) 에 따른 화합물, (b) 지질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물로써 점성이 될 수 있는 점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29) (28) 에 있어서, (c) 점성제가 아크릴 중합체 또는 그의 염인 조성물,
(30) (28) 에 있어서, (d)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31) (30) 에 있어서,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이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조성물,
(32) 하기 화학식 Ⅱ 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화학식 Ⅲ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1) 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식 중,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33) 하기 화학식 Ⅳ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화학식 R9-X (식 중, R9는 아실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X 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1) 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식 중,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34) 배양 배지 내에서 (5) 에 따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바실루스 (Bacillus) 속의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여, 균주가 발효 브로스(broth) 내에 상기 화합물을 생성 및 축적하도록 하고, 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5) 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35) (34) 에 있어서, 미생물 균주가 바실루스 HC-70 종 또는 바실루스 인솔리투스(insolitus) HC-72 종인 방법,
(36) (5) 에 따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바실루스 HC-70 종 또는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종,
(37)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 방법: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및
(38)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의 제조를 위한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올, 그것의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과 같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이하 때때로 H. Pylori 또는 HP 로 약함) 제제와 같은 제약으로서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생물활성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2 에서 수득한 HC-70Ⅰ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HC-70Ⅱ 의13C-NMR 스펙트럼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에서 수득한 HC-70Ⅲ 의13C-NMR 스펙트럼이다.
R1의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 는 아미노, 아실아미노, 및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아미노를 포함한다.
R1의 "아실아미노" 의 "아실" 은 이하에, Ra, Rb또는 Rc에 대한 "아미노산 잔기" 로서 언급될 "아미노산 잔기" 의 임의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서열 뿐만 아니라, 기타 아실기 중 치환될 수 있는 알카노일, 치환될 수 있는 아로일,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치환될 수 있는 카르바모일, 치환될 수 있는 티오카르바모일, 치환될 수 있는 알킬술포닐, 치환될 수 있는 아릴술포닐, 치환될 수 있는 술파모일, 치환될 수 있는 알콕시카르보닐, 및 치환될 수 있는 아릴옥시카르보닐을 포함한다.
이 중, "아미노산 잔기" 의 둘 이상의 서열이 특히 바람직하다.
"치환될 수 있는 알카노일" 의 "알카노일" 은 C1-20알카노일 (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부티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헵타노일, 옥타노일, 노나노일, 라우로일, 운데카노일, 미리스토일, 팔미토일, 스테아로일 등) 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C1-6알카노일 (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부티릴, 펜타노일 및 헥사노일) 이 특히 바람직하다.
"치환될 수 있는 아로일" 의 "아로일" 은 C7-16아로일 (예, 벤조일, 1-나프톨릴, 2-나프톨릴 등) 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될 수 있는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의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은 고리원으로서 탄소 외에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 (예, 질소, 산소 및 황) 를 각각 함유하는 5- 또는 6- 원 헤테로사이클 카르보닐기 또는 축합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기 (예, 3-피롤릴카르보닐, 1-이미다졸릴카르보닐, 1-피라졸릴카르보닐, 3-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3-이속사졸릴카르보닐, 피라지닐카르보닐, 2-피리미디닐카르보닐, 3-피라지닐카르보닐, 2-인돌리지닐카르보닐, 2-이소인돌릴카르보닐, 1-인돌릴카르보닐, 2-푸로일, 2-테노일,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페라지노카르보닐 등) 를 포함한다.
"치환될 수 있는 알킬술포닐" 의 "알킬술포닐" 은 C1-20알킬술포닐 (예,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프로필술포닐, 이소프로필술포닐 등) 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될 수 있는 카르바모일" 은 카르바모일 뿐만 아니라, 단일치환된 카르바모일 및 이치환된 카르바모일을 포함하며, 여기서 치환체(들)은 예컨대, C1-6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등), C6-14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C7-16아르알킬 (예, 벤질 등), C1-6알카노일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부티릴 등), C7-16아로일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예, 3-피롤릴카르보닐, 2-이미다졸릴카르보닐, 1-피라졸릴카르보닐, 3-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3-이속사졸릴카르보닐, 피라지닐카르보닐, 2-피리미디닐카르보닐, 3-피라지닐카르보닐, 2-인돌리지닐카르보닐, 2-이소인돌릴카르보닐, 1-인돌릴카르보닐, 2-푸로일, 2-테노일,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페라지노카르보닐 등)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치환될 수 있는 티오카르바모일" 은 티오카르바모일 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이치환된 티오카르바모일을 포함하며, 여기서 치환체(들)은 예를 들면, C1-6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등), C6-14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C7-16아르알킬 (예, 페닐-C1-5알킬, 예컨대 벤질 등), C1-6알카노일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부티릴 등), C7-16아로일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예, 고리원으로서 탄소 외에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 (예, 질소, 산소 및 황) 를 각각 함유하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기 또는 축합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기, 예컨대, 3-피롤릴카르보닐, 2-이미다졸릴카르보닐, 1-피라졸릴카르보닐, 3-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3-이속사졸릴카르보닐, 피라지닐카르보닐, 2-피리미디닐카르보닐, 3-피라지닐카르보닐, 2-인돌리지닐카르보닐, 2-이소인돌릴카르보닐, 1-인돌릴카르보닐, 2-푸로일, 2-테노일, 니코티노일, 이소니코티노일, 모르폴리노카르보닐, 피페리디노카르보닐, 피페라지노카르보닐 등)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치환될 수 있는 아릴술포닐" 의 "아릴술포닐" 은 C6-14아릴술포닐 (예, 벤젠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등) 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될 수 있는 술파모일" 은 술파모일 뿐만 아니라, 단일 또는 이치환된 술파모일을 포함하며, 여기서, 치환체(들)은 예를 들면, C1-6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등), C6-14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및 C7-16아르알킬 (예, 페닐-C1-5알킬, 예컨대 벤질 등)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치환될 수 있는 알콕시카르보닐" 의 "알콕시카르보닐" 은 C1-20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될 수 있는 아릴옥시카르보닐" 의 "아릴옥시카르보닐" 은 C6-14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1-나프틸옥시카르보닐, 2-나프틸옥시카르보닐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 는 예를 들면,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시클릭 탄화수소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 는 C1-20지방족 탄화수소기 (예, 알킬, 알케닐 및 알키닐)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클릭 탄화수소기" 는 C3-20시클릭 탄화수소기 (예,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아릴 등)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킬" 은 C1-10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2-프로필, 1-에틸프로필, 부틸, 1-메틸프로필, 2-메틸프로필,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펜틸, 3-메틸부틸, 2,2-디메틸프로필, 헥실 등이다.
"알케닐" 은 C2-10알케닐기, 예컨대 에테닐, 2-프로페닐, 1-메틸에테닐, 부테닐, 2-메틸-1-프로페닐, 2-메틸-2-프로페닐, 1-메틸-2-프로페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2-헥세닐, 3-헥세닐, 5-헥세닐 등이다.
"알키닐" 은 C2-10알키닐기, 예컨대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틴-1-일, 3-부틴-2-일, 1-펜틴-3-일, 3-펜틴-1-일, 4-펜틴-2-일, 3-헥신-1-일 등이다.
"시클로알킬" 은 C3-10시클로알킬기, 예컨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이다.
"시클로알케닐" 은 C3-10시클로알케닐기, 예컨대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헥사디에닐 등이다.
"아릴" 은 C6-14아릴기, 예컨대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이다.
R1의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 및 "아실아미노" 의 "아실" 에 있어서, 상기 "알카노일, 아로일,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알킬술포닐, 아릴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아릴옥시카르보닐" 상에 임의 존재할 수 있는 치환기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 모노- 또는 디-C6-10아릴아미노 (예, 페닐아미노, 디페닐아미노 등), 모노- 또는 디-C7-11아르알킬아미노 (예, 페닐-C1-5알킬아미노, 예컨대 벤질아미노, 디(페닐-C1-5알킬)아미노, 예컨대 디벤질아미노 등), 아지도, 니트로, 할로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히드록시, C1-6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등), C6-10아릴옥시 (페녹시, 1-나프틸옥시, 2-나프틸옥시 등), C7-11아르알킬옥시 (예, 페닐-C1-5알콕시, 예컨대 벤질옥시 등), 포르밀옥시, C1-6알킬-카르보닐옥시 (예,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등), C6-10아릴-카르보닐옥시 (예, 벤질옥시 등), C7-11아르알킬-카르보닐옥시 (예, 페닐-C1-5알킬카르보닐옥시, 예컨대 벤질카르보닐옥시 등), 술포닐옥시, C1-6알킬술포닐옥시 (예, 메틸술포닐옥시 등), 메르캅토, C1-6알킬티오 (예,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등), C6-10아릴티오 (예, 페닐티오, 1-나프틸티오, 2-나프틸티오 등), C7-11아르알킬티오 (예, 페닐-C1-5알킬티오, 예컨대 벤질티오 등), 포스폰옥시, 시아노, 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1-6알킬-카르바모일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등), 모노- 또는 디-C6-10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디페닐카르바모일 등), 모노- 또는 디-C7-11아르알킬-카르바모일 (예, (페닐-C1-5알킬)카르바모일, 예컨대 벤질카르바모일, 디(페닐-C1-5알킬)카르바모일, 예컨대 디벤질카르바모일 등), 카르복시, C1-6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등), C6-10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1-나프틸옥시카르보닐, 2-나프틸옥시카르보닐 등), C7-11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예, 페닐-C1-5알킬옥시카르보닐, 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 등), 포르밀, C1-6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이소프로피오닐, 부티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등), C6-10아릴-카르보닐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C7-11아르알킬-카르보닐 (예, 페닐-C1-5알킬카르보닐, 예컨대 벤질카르보닐 등), 술포, C1-6알킬술피닐 (예, 메틸술피닐, 에틸술피닐 등), C6-10아릴술피닐 (예, 벤젠술피닐, 1-나프틸술피닐, 2-나프틸술피닐 등), C1-6알킬술포닐 (예,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등), C6-10아릴술포닐 (예, 벤젠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등), C1-6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등), C2-6알케닐 (예, 비닐, 알릴, 2-부테닐 등), C2-6알키닐 (예, 에티닐, 프로파르길 등), C3-6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 C3-6시클로알케닐 (예,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헥사디에닐 등), C6-10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모노-, 디-, 트리시클릭 헤테로시클릭기 (예,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또는 6 원 고리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1 내지 3 개의 고리로 이루어진 헤테로시클릭기: 피리딜, 피라질, 피리미딜, 퀴놀릴, 이소퀴놀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인다졸릴, 피리다지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롤릴, 푸릴, 벤조푸라닐, 티에닐, 벤조티에닐, 벤즈이미다졸릴, 퀴나졸릴, 피롤리디닐, 피롤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이미다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페리딜, 피페라지닐, 인돌리지닐, 이소인돌리지닐, 모르폴리닐 등), 및 모노-, 디-, 트리시클릭 헤테로사이클-티오 (예, 상기 헤테로시클릭기에 연결된 티오로서 형성된 기, 예컨대 4-피리딜티오, 2-피리미딜티오, 1,3,4-티아디아졸-2-일티오, 5-테트라졸릴티오, 2-벤조티아졸릴티오, 8-퀴놀릴티오 등) 를 포함한다. 이들 치환기는 화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범위에서 "알카노일, 아로일, 헤테로사이클-카르보닐, 알킬술포닐, 아릴술포닐, 알콕시카르보닐 및 아릴옥시카르보닐" 상에 존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 치환체의 수는 1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의 범위일 수 있다. 치환체의 수가 2 이상인 경우, 치환기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화학적으로 허용되는 한, 이들 치환체는 아미노, 모노- 또는 디-C1-6알킬아미노, 니트로, 할로겐, 히드록시, C1-6알콕시, C1-6알킬-카르보닐옥시, 술포닐옥시, C1-6알킬술포닐옥시, 메르캅토, C1-6알킬티오, 포스폰옥시, 시아노, 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1-6알킬-카르바모일, 카르복시, C1-6알콕시-카르보닐, 포르밀, C1-6알킬-카르보닐, 술포 및 C1-6알킬술피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3 개의 치환기로 각각 치환될 수 있다.
R1은 또한 화학식 Ra-Rb-Rc-NH- 의 기 [Ra는 수소 또는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를 나타내며; Rb및 Rc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결합,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Y-Rd- (Rd는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이미노 제거시 수득가능한 기를 나타내며; Y 는 -O-, -S-, 또는 -NRe- (Re는 수소 또는 저급 알킬을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를 포함한다.
단, Ra, Rb및/또는 Rc가 아미노산 잔기이면, 아미드 결합에 의해 함께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a, Rb및 Rc의 "아미노산 잔기", 및 Rd의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이미노 제거시 수득가능한 기", 및 R1의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에서의 "아미노산" 은 일반적으로 카르복실산의 핵 구조의 하나 이상의 수소원자를 아미노 치환시 수득가능한 기를 의미하며, 탄소수 2 내지 20 의 핵 구조를 갖는, α-, β-, γ- 및 δ-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산 중, α-아미노산 (특히, α-L-아미노산), 예컨대 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시스테인, 글루탐산, 글루타민, 글리신, 히스티딘, 루이신, 이소루이신, 리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 등, 및 기타 아미노산, 예컨대 노르발린, 노르루이신, 2-아미노아디프산, 2-아미노부티르산, 2-아미노이소부티르산, 2-아미노-4-펜텐산, 1-아미노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1-아미노시클로펜탄카르복실산, 1-아미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 티로닌, 오르니틴, 히드록시프롤린, 히드록시리신, (2-나프틸)알라닌, 아자글리신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산은 시클릭 이미노산을 포함한다. "시클릭 이미노산" 은 시클로알칸카르복실산 또는 시클로알켄카르복실산의 하나 이상의 메틸렌기의 이미노 치환시 수득가능한 화합물을 의미하며,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3,4-데히드로프롤린, 피페콜산, 아지리딘카르복실산 및 2-아제티딘카르복실산등을 포함한다.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및 피페콜산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아미노산 잔기는 일반적으로 펩티드 화학에서 사용된 임의의 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아미노산의 임의의 잔기일 수 있다.
Rd의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이미노(-NH-) 제거시 수득가능한 기" 는 상기 정의한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이미노 제거시 수득가능한 기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핵 구조로서 하기 기를 갖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기를 포함한다: 직쇄 또는 분지쇄 C1-10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1-에틸프로필, 헥실, 이소헥실, 헵틸, 옥틸, 데실 등), C2-10알케닐 (예,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 2- 또는 3-부테닐, 2-에틸-1-부테닐, 3-메틸-2-부테닐, 1-, 2-, 3- 또는 4-펜테닐, 4-메틸-3-펜테닐, 1-, 2-, 3-, 4- 또는 5-헥세닐, 및 각각 임의 위치에 이중결합을 가질 수 있는 헵테닐, 옥테닐, 및 데세닐), C7-20아르알킬 (예, 페닐-C1-5알킬, 예컨대 벤질, 페네틸, 3-페닐프로필, 나프틸-C1-5알킬, 예컨대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9-플루오레닐메틸 등), C3-7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등), C3-7시클로알케닐 (예, 2-시클로펜텐-1-일, 3-시클로펜텐-1-일, 2-시클로헥센-1-일, 3-시클로헥센-1-일 등), C6-15아릴 (예,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릴, 아세나프틸레닐, 플루오레닐 등), 및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폴리시클릭 C3-20헤테로시클릭 알킬기 (예, 4-이미다졸릴메틸, 3-피리딜메틸, 4-티아졸릴메틸, 3-인돌릴메틸, 3-퀴놀릴메틸 등) 을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산 잔기, 및 아미노산 잔기로부터 이미노 제거시 수득가능한 기는 각각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체를 적당한 위치에 가지며, 존재할 수 있는 구체적인 치환기의 예는 아미노, 아실-치환된 아미노, 구아니디노, 아실구아니디노, 아실아미디노, 아미디노, 아실, 카르바모일, N-모노-또는 디-저급 알킬-카르바모일, 카르복시,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옥시, 히드록시, 아실히드록시, 저급 알콕시, 페녹시, 메르캅토, 아실메르캅토, 저급 알킬-티오, 페닐티오, 술포, 시아노, 아지도, 니트로, 니트로소 및 할로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아실-치환된 아미노, 아실구아니디노, 아실아미디노, 아실히드록시 또는 아실메르캅토" 의 "아실" 은 상기 R1의 "아실아미노" 의 "아실" 에서와 동일한 아실기, 특히 C1-20알카노일 (바람직하게는 C1-6알카노일) 을 포함한다.
"저급 알킬-카르바모일" 의 "저급 알킬" 은 C1-6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및 이소부틸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급 알콕시-카르보닐옥시" 는 C1-6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이소부톡시카르보닐옥시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급 알콕시" 는 C1-6알콕시기,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급 알킬-티오" 는 C1-6알킬티오기, 예컨대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e의 저급 알킬은 C1-6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7의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 에서 "α-L-아미노산" 은 상기 Ra, Rb및 Rc의 아미노산 잔기의 "α-L-아미노기" 에 대한 것과 동일한 "α-L-아미노기" 를 포함한다.
R8의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 는 R1의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 의 치환체에 대해 상기 예시한 바와 동일한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 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R8은 각각 치환될 수 있는 C1-10알킬기, C6-14아릴-C1-6알킬기, C2-10알케닐기, C2-10알키닐기 등을 포함한다. R8의 바람직한 예는 C1-6알킬기, C2-6알케닐기 및 시클로프로필-C1-3알킬기, 특히 이소부틸기 및 알릴기를 포함한다.
R2의 에스테르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는 카르복시, (저급(C1-6)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이소펜틸옥시카르보닐, 네오펜틸옥시카르보닐, tert-펜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 (C6-10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1-나프톡시카르보닐 등), 및 (C7-10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예, (페닐-C1-4알킬옥시)카르보닐, 예컨대 벤질옥시카르보닐), 디페닐메틸옥시카르보닐, 피발로일옥시메톡시카르보닐, 1-(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옥시)에톡시카르보닐을 포함한다. 이 중, 카르복시, 메톡시카르보닐, 및 에톡시카르보닐이 바람직하다.
R2의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는 카르바모일 및 치환 카르바모일을 포함한다. 상기 치환 카르바모일의 치환기는 비치환 또는 치환 저급 (C1-6)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헥실, 이소헥실 등), 비치환 또는 치환 C3-6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등), 비치환 또는 치환 C6-10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등), 비치환 또는 치환 C7-12아르알킬 (예, 페닐-C1-4알킬, 예컨대 벤질 및 페네틸, 나프틸 C1-2알킬 등), 및 비치환 또는 치환 C6-10아릴술포닐 (예, 벤젠술포닐, 1-나프탈렌술포닐, 2-나프탈렌술포닐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치환기로부터 선택된 1 개, 또는 유사 또는 상이한 2 개의 원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임의 치환된 저급 (C1-6)알킬, 임의 치환된 C3-6시클로알킬, 임의 치환된 C6-10아릴, 임의 치환된 C7-12아르알킬 및 임의 치환된 C6-10아릴술포닐의 치환기는 할로겐 (예, 불소, 염소, 브롬 등),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콕시 (예, C1-4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등),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예, C1-4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등), 아미노, 카르복시 및 니트로를 포함하며, 이들 치환기 중, 1 내지 5 개의 원이 존재할 수 있다.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는 질소원자 상의 2 개의 치환기가 함께 질소원자와 공액으로 시클로아미노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클로아미노기는 1-아제티디닐, 1-피롤리디닐,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및 1-피페라지닐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이다.
Q 의 "치환될 수 있는 아릴" 의 "아릴" 은 모노시클릭 또는 융합된 폴리시클릭 C6-14방향족 탄화수소기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페닐, 1- 또는 2-나프틸, 1-, 2- 또는 9-안트릴, 1-, 2-, 3-, 4- 또는 9-페난트릴, 및 1-, 2-, 4-, 5- 또는 6-아줄레닐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릴" 은 치환가능한 위치에 1 내지 5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적절한 치환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치환기는 알콕시 (예, C1-3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및 프로폭시), 할로겐 (예컨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알킬 (예, C1-3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및 프로필), 아미노, 니트로 및 시아노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Q 는 바람직하게는 페닐기이다.
R3, R4, R5및 R6의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 의 보호기는 에테르-형성 보호기, 예컨대 메톡시메틸, 벤질옥시메틸, tert-부톡시메틸, 2-메톡시에톡시메틸,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메틸티오메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 4-메톡시-4-테트라히드로피라닐, 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o-니트로벤질, 2,6-디클로로벤질, 트리틸 등; 실릴 에테르-형성 보호기, 예컨대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 디에틸이소프로필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 tert-부틸디페닐실릴, 트리벤질실릴, 트리페닐실릴, 메틸디페닐실릴 등; 및 에스테르-형성 보호기,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디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피발로일, 벤조일, 벤질옥시카르보닐, 2-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외에, 보호기는 추가로 R3, R4, R5및 R6중 2 개의 히드록실기를 갖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시클릭 아세탈, 예컨대 메틸렌 아세탈, 에틸리덴 아세탈, 4-메톡시페닐에틸리덴 아세탈, 벤질리덴 아세탈, 2,2,2-트리클로로에틸리덴 아세탈 등, 시클릭 케탈, 예컨대 이소프로필리덴 케탈, 시클로펜틸리덴 케탈, 시클로헥실리덴 케탈, 시클로헵틸리덴 케탈, 1-페닐에틸리덴 케탈, 2,4-디메톡시벤질리덴 케탈 등, 및 시클릭 오르토에스테르, 예컨대 메톡시메틸렌 아세탈, 에톡시메틸렌 아세탈 등을 포함한다.
R3, R4, R5및 R6의 바람직한 예는 각각 히드록실기이다.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조는 화학식 Ⅴ 로 나타내는 입체 구조로 예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합물의 제조 기법이 하기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또는 그의 염은 하기 화학식 Ⅱ 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화학식 Ⅲ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킴으로써 전형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Ⅱ]
(Ⅱ)
(식 중, 각 부호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화학식 Ⅲ]
(Ⅲ)
(식 중, 각 부호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반응에 사용될 수 있는 카르복실산의 반응성 유도체는 예를 들면, 산 할라이드법, 아지드법, 혼합 산 무수물법 (사용될 수 있는 "짝산" 은 이소부틸옥시카르보닐 클로라이드, 피발로일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대칭산 무수물법, 축합화제, 예컨대 N,N'-카르보디이미다졸,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N,N'-디이소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N-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로퀴놀린, 디에틸 포스포로시아니데이트,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1H-벤조트리아졸-1-일)-1,1,3,3-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디메틸아미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브로모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스이미도)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방법,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3-히드록시-3,4-디히드로-4-옥소-1,2,3-벤조트리아졸,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스이미드,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등의 존재 하에 상기 축합화제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이들을 사용하는 활성 에스테르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일반적으로 용매 중 화합물 (Ⅱ) 에 대해 0.5 내지 10 몰 당량의 화합물 (Ⅲ) 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사용가능한 용매는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 포화 탄화수소, 예컨대 헥산, 헵탄, 시클로헥산 등; 에테르, 예컨대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옥산 등; 니트릴, 예컨대 아세토니트릴 등; 술폭시드, 예컨대 디메틸 술폭시드 등; 아미드, 예컨대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등, 및 물을 포함한다. 이들 용매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예를 들면 1:1 내지 1:10 의 비로 사용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통상적으로 약 - 8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약 - 50 내지 50 ℃ 이다. 반응 시간은 약 1 내지 96 시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72 시간이다.
화학식 Ⅱ 의 화합물 또는 염은 문헌 [Acta Chemica Scandinavica B36, 515-518 (1982)]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전형적으로 합성될 수 있다.
화학식 Ⅲ 의 화합물은 공지된 방법 자체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시판제품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또는 염은 예를 들면, R1이 NH2인 화합물 (Ⅰ) 의 아미노기에 치환기를 도입함으로써 합성될 수 있다. 치환기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또는 그의 염은 예를 들면, 화학식 Ⅳ [식 중, 각 부호는 상기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를 화학식 R9-X [식 중, R9는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 및 아실기를 나타내며, X 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R9의 "아실" 기는 R1의 아실아미노기의 "아실" 기에 대한 것과 동일한 "아실" 기를 포함한다. R9의 아실기의 바람직한 예는 상기와 같이 보호될 수 있는 α-L-아미노산 잔기의 임의의 하나 또는 2 이상의 서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호될 수 있는 L-발릴-L-루이실기 및 보호될 수 있는 (S)-2-아미노-4-펜테노일기이다.
R9의 "탄화수소" 기는 상기 R1의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아미노의 "탄화수소" 기와 동일한 "탄화수소기" 를 포함한다.
X 의 이탈기는 예를 들면, 히드록실기,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특히 염소), 아지도기, C1-20아실옥시기, C1-6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등), C6-10아릴옥시기 (예, 페녹시, 1-나프틸옥시, 2-나프틸옥시 등), C7-11아르알킬옥시기 (예, 벤질옥시 등) 등을 포함한다.
X 의 이탈기로서 C1-20아실옥시기는 예를 들면, C1-20알카노일옥시기, 바람직하게는 C1-6알카노일옥시기 (예, 포르밀옥시,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이소프로피오닐옥시, 부티릴옥시, 펜타노일옥시, 헥사노일옥시, 헵타노일옥시, 옥타노일옥시, 노나노일옥시 등), C7-16아로일옥시기 (예, 벤조일옥시, 1-나프토일옥시, 2-나프토일옥시 등),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릭기-카르보닐옥시 또는 축합 헤테로시클릭기-카르보닐옥시 (예, 3-피롤릴카르보닐옥시, 1-이미다졸릴카르보닐옥시, 1-피라졸릴카르보닐옥시, 3-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옥시, 3-이속사졸릴카르보닐옥시, 피라지닐카르보닐옥시, 2-피리미디닐카르보닐옥시, 3-피라지닐카르보닐옥시, 2-인돌리지닐카르보닐옥시, 2-이소인돌릴카르보닐옥시, 1-인돌릴카르보닐옥시, 2-푸로일옥시, 2-테노일옥시, 니코티노일옥시, 이소니코티노일옥시, 모르폴리노카르보닐옥시, 피페리디노카르보닐옥시, 피페라지노카르보닐옥시 등), 카르바모일옥시기, 단일-치환된 카르바모일옥시기 또는 이-치환된 카르바모일옥시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R1의 아실아미노기의 아실기로서 "치환될 수 있는 카르바모일" 에 대한 치환체와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티오카르바모일옥시기, 단일-치환된 티오카르바모일옥시기 또는 이-치환된 티오카르바모일옥시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R1의 아실아미노기의 아실기로서 "치환될 수 있는 티오카르바모일" 에 대한 치환체와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C1-20알킬술포닐옥시기, 특히 C1-6알킬술포닐옥시기 (예, 메틸술포닐옥시, 에틸술포닐옥시, 프로필술포닐옥시 등), 하나 이상의 C1-3알킬기로 치환될 수 있는 C6-14아릴술포닐옥시기 (예, 벤젠술포닐옥시, 1-나프틸술포닐옥시, 2-나프틸술포닐옥시, 톨루엔술포닐옥시 등), 술파모일옥시기, 단일-치환된 술파모일옥시기 또는 이-치환된 술파모일옥시기 (여기서, 치환체는 상기 R1의 아실아미노기의 아실기로서 "치환될 수 있는 술마모일" 에 대한 치환체와 동일한 것을 포함한다), C1-20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특히 C1-6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등), C6-14아릴옥시-카르보닐옥시기 (예, 페녹시카르보닐옥시, 1-나프틸옥시카르보닐옥시, 2-나프틸옥시카르보닐옥시 등) 등을 포함한다.
이탈기 X 의 바람직한 예는 히드록실기, 할로겐원자, 아지도기, C1-20아실옥시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실기 및 할로겐원자이다.
카르복실산 유도체의 합성 방법 및 반응 조건은 화합물 (Ⅱ) 와 화합물 (Ⅲ) 의 반응과 관련하여 기재된 바와 동일한 예를 들 수 있다.
화학식 Ra-Rb-Rc에서 Ra, Rb및 Rc의 각 단위간의 결합이 아미드 결합이든 또는 에스테르 결합이든, 기타 작용기(들)이 미리 적절하게 보호될 수 있는 Rd의 카르복실 작용기는 활성화되어, 미리 적절하게 보호될 수 있는 상응하는 아민 또는 알콜 화합물과 축합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 축합 생성물은 부분적으로 정제되고, 부분적으로 탈보호된다. 이어서, 생성물은 유사한 축합 반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축합 생성물이 보호된 최종 생성물인 경우, 모든 보호기는 제거되고, 필요에 따라 생성물이 정제되어, 순수한 목적 생성물을 제공한다.
하기 보호기는 상기 일련의 합성 반응에서 사용된 아미노, 카르복시, 히드록시 및 카르보닐기의 보호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가능한 아미노 보호기는 아미드 형성 보호기,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디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아세토아세틸, o-니트로페닐아세틸 등; 카르바메이트 형성 보호기, 예컨대 tert-부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2-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2,4-디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2-트리메틸실릴에톡시카르보닐, 1-메틸-1-(4-비페닐)에톡시카르보닐,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9-안트릴메톡시카르보닐, 이소니코티닐옥시카르보닐, 1-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등; 트리틸 및 프탈로일을 포함한다.
사용가능한 히드록시 보호기는 에테르 형성 보호기, 예컨대 메톡시메틸, 벤질옥시메틸, tert-부톡시메틸, 2-메톡시에톡시메틸, 2-(트리메틸실릴)에톡시메틸, 메틸티오메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 4-메톡시-4-테트라히드로피라닐, 2-테트라히드로피라닐,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o-니트로벤질, 2,6-디클로로벤질, 트리틸 등; 실릴 에테르 형성 보호기, 예컨대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트리이소프로필실릴,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 디에틸이소프로필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 tert-부틸디페닐실릴, 트리벤질실릴, 트리페닐실릴, 메틸디페닐실릴 등; 및 에스테르 형성 보호기, 예컨대 포르밀, 아세틸, 클로로아세틸, 디클로로아세틸, 트리클로로아세틸, 피발로일, 벤조일, 벤질옥시카르보닐, 2-브로모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을 포함한다.
사용가능한 카르복시 보호기는 에스테르 형성 보호기, 예컨대 메틸, 에틸, 메톡시메틸, 메톡시에톡시메틸, 벤질옥시메틸, tert-부틸, 벤질, p-메톡시벤질, p-니트로벤질, o-니트로벤질, 벤즈히드릴, 트리틸, 2,2,2-트리클로로에틸, 2-트리메틸실릴에틸, 알릴, 시클로헥실, 시클로펜틸, 펜아실 등; 실릴 에스테르 형성 보호기, 예컨대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tert-부틸디메틸실릴, 이소프로필디메틸실릴, 디메틸페닐실릴 등을 포함한다.
카르보닐 보호기는 아세탈-, 케탈-, 디티오아세탈- 또는 디티오케탈 형성 보호기, 예컨대 디메틸, 디에틸, 디벤질, 디아세틸 등; 임의 치환된 1,3-디옥산 또는 1,3-디옥솔란 형성 보호기, 1,3-디티안 또는 1,3-디티올란 형성 보호기, 및 N,N-디메틸, 2,4-디니트로페닐 및 기타 치환된 히드라존 형성 보호기를 포함한다.
상기 아미노 보호기, 히드록시 보호기, 카르보닐 보호기 및 카르복시 보호기의 제거 기법은 산을 사용하는 방법, 염기를 사용하는 방법, 환원법, 자외선법, 히드라진 법, 페닐히드라진법, 소듐 N-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법,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리드법, 팔라듐 아세테이트 법, 염화수은법, 및 루이스산법을 포함한다. 이들 통상적인 방법 및/또는 기타 공지된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산을 사용하는 방법은 아미드, 에스테르, 실릴 에스테르 또는 실릴 에테르의 통상적인 가수분해법의 하나이며, 상응하는 종류의 보호기 제거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이 방법은 tert-부톡시카르보닐, p-메톡시벤질옥시카르보닐, 벤즈히드릴옥시카르보닐, 9-안트릴메톡시카르보닐, 1-메틸-1-(4-비페닐)에톡시카르보닐, 아다만틸옥시카르보닐 또는 트리틸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탈보호, 및 메톡시메틸, tert-부톡시메틸, 2-테트라히드로피라닐, 4-메톡시-4-테트라히드로피라닐, 2-테트라히드로푸라닐 또는 트리틸로 보호된 히드록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사용된다. 바람직한 산은 유기산, 예컨대 포름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 및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등을 포함한다.
염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산을 사용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아미드, 에스테르 등의 결합의 통상적인 가수분해 방법이며, 상응하는 종류의 보호기 제거에 적용된다. 예를 들면, 유기 염기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탈보호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염기는 무기 염기, 예컨대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리튬 히드록시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칼슘 등; 알칼리 금속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 알칼리 토금속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등; 알칼리 금속 히드로젠카르보네이트,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 알칼리 금속 아세테이트, 예컨대 소듐 아세테이트, 포타슘 아세테이트 등; 알칼리 토금속 포스페이트, 예컨대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등; 알칼리 금속 히드로젠포스페이트, 예컨대 디소듐 히드로젠포스페이트, 디포타슘 히드로텐포스페이트 등; 및 수성 암모니아; 및 유기 염기, 예컨대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N-메틸피롤리딘, 피페리딘, N-메틸피페리딘, N-메틸모르폴린,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등을 포함한다.
환원법은 트리클로로아세틸, 트리플루오로아세틸, o-니트로페닐아세틸, 2,2,2-트리클로로에톡시카르보닐, 벤질옥시카르보닐, p-니트로벤질옥시카르보닐, 2,4-디클로로벤질옥시카르보닐, 이소니코티닐옥시카르보닐, 트리틸 등으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탈보호; 벤질, p-니트로벤질 등으로 보호된 히드록실기의 탈보호; 벤질옥시메틸, 벤질, p-니트로벤질, 펜아실, 2,2,2-트리클로로에틸, 벤즈히드릴 등으로 보호된 카르복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사용된다. 환원법의 바람직한 형태는 소듐 보로히드리드를 사용한 환원, 아연/아세트산을 사용한 환원, 및 촉매적 환원을 포함한다.
자외선법은 o-니트로벤질로 보호된 히드록실 또는 카르복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적용된다.
히드라진법은 프탈로일 (예, 프탈이미드기) 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탈보호에 통상 적용된다.
페닐히드라진법은 아세토아세틸로 보호된 아미노기의 탈호보에 통상 적용된다.
소듐 N-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법은 클로로아세틸 보호된 아미노 또는 히드록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적용된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리드법은 2-트리메틸실릴에틸카르바메이트, 실릴 에테르 또는 실릴 에스테르를 탈보호하여, 경우에 따라,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재생성하는데 통상 사용된다.
팔라듐 아세테이트법은 알릴 에스테르를 탈보호하여 카르복실기를 재생성하는데 통상 사용된다.
염화수은법은 메틸티오메틸로 보호된 히드록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적용된다.
루이스산법은 2-메톡시에톡시메틸로 보호된 히드록실기의 탈보호에 통상 적용된다. 바람직한 루이스산은 아연 브로마이드 및 티타늄 테트라클로라이드, 기타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일련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중간체, 반응생성물 및 목적생성물은 공지된 정제 방법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 예컨대 농축, 감압 하 농축, 용매 추출, 결정화, 재결정화, 재분배 및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필요에 따라 분리 및 정제될 수 있다.
제조를 위한 대안적인 방법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면, 상기 (12), (13), (14), (15) 및 (16) 의 화합물] 은 미생물학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가능한 미생물은, 일본 나라현의 토양으로부터 동정한 바실루스 HC-70 (이하, 때때로 HC-70 균주라 함), 및 일본 아이치현의 토양으로부터 동정한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이하 때때로 HC-72 균주라 함) 를 포함한다.
통상의 방법에 따른 HC-70 균주의 분류계급 조사는 상기 미생물이 그람-양성 운동성 통성혐기성 간균이고, 그 세포 크기는 1.3 내지 1.4 ㎛ ×3.0 내지 4.2 ㎛ 임을 나타냈다. 내생포자 형성 또한 관찰되었다. 포자는 타원체이며, 포자 위치는 세포의 중심이며; 팽윤된 유포자세포는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의 화학분류계급 특성으로서, 그 세포벽 디아미노피멜산은 메조-디아미노피멜산 (메조-DAP) 이며, 주요 메나퀴논은 메나퀴논-7 (MK-7) 이고, DNA 의 G + C 함량은 35.0 몰% 이다. 주요 세포성 지방산은 이소-C15:0, C16:0, 안테이소-C17:0이다.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 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바실루스 속 (Bacillus sp.) 의 미생물이다. 상기 균주는 부이용(bouillon) 아가 상에서 풍부한 성장을 나타내며, 카제인, 젤라틴 및 전분을 가수분해한다.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된 HC-72 균주의 분류계급 조사는 이 미생물이 그람 양성 운동성 호기성 간균이며, 그 세포 크기는 1.3 ×3.0 내지 4.2 ㎛ 임을 나타냈다. 내생포자는 구형이며, 포자의 위치는 세포의 중앙이고; 팽창된 유포자세포는 관찰되지 않는다. 이 균주의 화학분류계급 특성으로서, 메조-디아미노피멜산 (메조-DAP) 이 세포벽 성분으로서 검출되지 않으며, 이소프레노이드 퀴논은 메나퀴논-7 (MK-7) 이고, DNA 의 G + C 함량은 36.8 몰% 이다. 주요 세포성 지방산은 이소-C15:0, 안테이소 C16:1, 안테이소-C17:1이다.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 2] 의 분류 기준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바실루스 속 (Bacillus sp.) 의 미생물이다. 또한, 당으로부터의 산 생성, 젤라틴 가수분해 및 염화나트륨 요구 중 어떠한 것도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기 미생물은 바실루스 인솔리투스(Bacillus insolitus)임이 확인되었다.
상기 바실루스 HC-70 은 1997년 6월 20일, 오사까 발효 기구 (Institute for Fermentation, Osaka, IFO) 에 IFO 16098 이라는 수납번호 하에 기탁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은 1997년 7월 2일 National Institute of Bioscience and Human Technology (NIBH, 일본 이바라끼껭 쓰꾸바시 야따베쵸 히가시 1-쵸메 1-3) 에 수납번호 FERM BP-6001 하에 기탁되었다.
상기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는 1998년 6월 1일, IFO 에 IFO 16179 라는 수납번호 하에 기탁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은 1998년 7월 8일 NIBH 에 수납번호 FERM BP-6385 하에 기탁되었다.
미생물이 갖는 일반적인 특징으로서, 바실루스 종은 자발적으로 또는 변이유발 처리에 의해 돌연변이를 수행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X-선, 감마선 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수득되거나, 또는 각종 돌연변이원 함유 배지 상에서 배양된 배양액으로부터 수득하거나, 또는 다른 많은 수단 및 자발적인 돌연변이에 의해 수득된 많은 돌연변이주는 HC-70 관련 물질 (예, HC-70Ⅰ, HC-70Ⅱ, HC-70Ⅲ, HC-70Ⅰ-A, HC-70Ⅰ-B 등) 생성 능력이 감소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목적에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배양 배지는 특정 균주가 이용할 수 있는 영양분을 함유하기만 한다면 액체 또는 고체일 수 있으며, 액체 배지가 고생산성을 가지므로 바람직하다. 흡수성 탄소원, 식이성 질소원, 무기질 및 미량의 영양분이 배지에 혼합된다. 탄소원은 글루코오스,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말토오스, 덱스트린, 전분, 글리세롤, 만니톨, 소르비톨, 미요-이노시톨, 오일 및 지방 (예, 대두유, 올리브 오일, 쌀겨유, 참기름, 라드유, 닭기름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질소원은 고기 추출물, 이스트 익스트랙트, 건조 이스트, 대두분, 옥수수 침지액, 펩톤, 면실분, 수수 당밀, 요소, 및 암모늄 염 (예, 암모늄 술페이트, 암모늄 클로라이드, 암모늄 니트레이트, 암모늄 아세테이트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염, 철, 망간, 아연, 코발트, 니켈 등과 같은 기타 금속의 염, 인산, 붕산 등의 염, 및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 적절량이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아미노산 (예,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 알라닌, 리신, 발린, 메티오닌, 프롤린 등), 비타민 (예, 비타민 B1및 B2, 니코틴산, 비타민 B12및 C 등) 및 핵산 (예, 푸린 뉴클레오티드, 피리미딘 뉴클레오티드 및 그의 유도체) 가 또한 혼입될 수 있다. 물론, 배지의 pH 를 조정하기 위해, 무기 또는 유기산, 알칼리 및/또는 완충액이 첨가될 수 있다. 소포제로서, 오일 또는 계면활성제가 적절양 첨가될 수 있다.
정상 배양, 진탕 배양, 및 통기 심부 배양 중 적절한 배양 기법이 선택될 수 있다. 대량 공정을 위해, 소위 통기 심부 배양이 바람직하다.
배양 조건은 사용된 배지의 종류 및 조성, 특정 균주 및 선택된 배양 방법에 의존하나, 배양 온도는 통상 15 내지 37 ℃ 이며, 초기 pH 는 약 5 내지 9 이다. 특히 배양 중간기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 이며, 초기 pH 는 약 6 내지 8 이 바람직하다. 배양 시간은 또한 상기 언급한 조건에 의존하나, 배양은 목적 화합물의 축적이 최고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 필요한 배양 시간은 일반적으로 액체 배지 내에서 진탕 또는 통기 배양에 대해 약 1 내지 10 일이다.
상기 배양 조건 하에서, 이하에 기술할 화합물 HC-70Ⅰ, Ⅱ 및 Ⅲ 이 제조 및 축적된 다음, 각 화합물은 특정 화학 특성에 따라 추출 및 정제될 수 있다. 목적 HC-70Ⅰ, Ⅱ 및 Ⅲ 은 배양 브로스로부터 미생물 대사물을 수확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으로부터 선택된 적절한 기법에 의해 배양 브로스로부터 수확된다. 예를 들면, HC-70Ⅰ, Ⅱ 및 Ⅲ 이 수용성 양성친화성 화합물이고, 대부분이 배양 상청액에서 발생하므로, 세포는 우선, 여과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 브로스로부터 제거된다.
이렇게 분리된 배양 상청액은 또한 공지된 크로마토그래피 법에 의해 부가 정제되어 순수한 HC-70Ⅰ, Ⅱ 및 Ⅲ 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에 사용가능한 크로마토그래피 고정상은 기질 화합물에 대한 상이한 흡착 친화도를 이용하는 고정상, 예컨대 활성탄 [예, 크로마토그래피용 활성 목탄, 과립 탄소 "시라사기"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등], 흡착 수지 [예, DIAION HP-20, HP-20S, 또는 HP-20SS, SEPABEADS SP-207 또는 SP-850 (미쓰비시 케미칼사), Amberlite XAD-Ⅰ 또는 XAD-Ⅱ (롬 앤드 하스 사, 미국) 등],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예, Avicel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Funacel (후나꼬시사) 등], 및 실리카겔 [예, Kieselguhr 60 (머크사, 독일) 등]; 특정 작용기를 이용하는 고정상, 예컨대 양이온 교환 수지 [예, Amberlite IR-120, IRC-50 또는 CG-50 (롬 앤드 하스사, 미국), Dowex 50W (다우 케미칼사, 미국), DIAION PK-216 또는 UBK-510L (미쓰비시 케미칼사) 및 CNP-80 (바이에르, 독일) 등], 음이온 교환 수지 [예, Amberlite IRA-402, IRA-67 또는 IRA-68 (롬 앤드 하스사, 미국), Dowex 1 (다우 케미칼사, 미국), DIAION SA-21A, PA-406, PA-412 또는 WA-30 (미쓰비시 케미칼) 등], 이온교환 셀룰로오스 [CM-셀룰로오스 (파르마시아, 스웨덴) 등], 이온교환 세파덱스 [예, QAE-Sephadex 또는 CM-Sephadex (파르마시아, 스웨덴) 등]; 및 분자량 차이를 이용하는 것, 예컨대 분자체 [예, Sephadex G10 또는 LH-20 (파르마시아, 스웨덴) 등] 를 포함한다.
크로마토그래피 이동상으로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고체상의 특성 및 종류에 의존하며, 물, 알칼리 (예,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암모니아 등) 의 수용액, 산 (예, 염산, 황산, 아세트산, 포름산, 인산 등) 의 수용액, 염 함유 수용액 (예, 염화나트륨 용액, 아세테이트 완충액, 포스페이트 완충액 등) 및 수-혼화성 유기용매 (예,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 과 같은 용매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적절한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목적 화합물의 정제를 위해, 예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또한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 방법이 사용되는 경우, 고정상은 바람직하게는 옥타데실실란 (ODS) 계, 폴리머계, 또는 실리카겔 계가 바람직하다. ODS 계 고정상으로서, YMC 겔 (YMC) 또는 TSK 겔 (도소) 을 대표적으로 예로 들 수 있다. 폴리머계 고정상으로서, 예를 들면, 폴리아민 개질 폴리머인 NH2P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또는 옥타데실화 폴리머인 ODP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가 선택될 수 있다. 이동상으로서, 물, 산성 수용액, 염 함유 수용액,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등이 단독으로 또는 적절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화합물의 정제를 위해, 결정화가 또한 유용한 기법이다. 결정화 용매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등이 단독으로 또는 적절한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HC-70Ⅰ-A 및 HC-70Ⅰ-B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배양 (발효) 브로스로부터 수득 및 정제될 수 있다.
이하에 나타난 실시예 1 및 2 에서 수득된 바와 같이 HC-70Ⅰ, Ⅱ 및 Ⅲ 의 물성을 하기 기술한다. 이들 화합물은 때때로, 각각 화합물 1, 화합물 2 및 화합물 3 으로 지정된다.
HC-70Ⅰ (화합물 1)
1) 외관: 무색 결정
2) 광학 회전: - 89。 (c=0.53, 0.1N HCl, 24 ℃)
3) 분자량: FAB-MS m/z 654 (M+H)+
4) 원소분석: (%) (H2O 1 mol 함유로서 계산)
실측치: C, 55.23; H, 8.03; N, 10.47
이론치; C, 55.43; H, 7.95; N, 10.42
5) 분자식: C31H51N5O10
6) UV 스펙트럼: λmax (ε)
수 중, 258 ㎚ (310)
7) IR 스펙트럼: KBr; 주흡수 (파장수, ㎝-1):
3300, 2960, 1640, 1540, 1400, 1050, 700
8)13C-NMR 스펙트럼: DMSO-d6, 화학전이 (75 MHz, δppm; 도 1)
172.8, 172.6, 172.4, 172.3, 170.7, 142.6, 128.0, 126.5, 126.5, 71.0, 70.9, 67.2, 60.5, 59.1, 57.2, 51.1, 50.9, 49.0, 41.1, 40.5, 30.9, 30.7, 24.0, 23.0, 21.3, 19.3, 19.1, 18.1, 16.8
9) 아미노산 분석: 110 ℃ 에서 6N HCl 중에서 가수분해 72 시간 후 분석
루이신 (1 mol), 발린 (2 mol)
10) 색반응:
양성: 닌히드린, 그릭-리에백(Greig-Lieback)
음성: 에를리히(Ehrlich), 사까구치(Sakaguchi)
11)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칼럼: YMC-Pack ODS-A, A-312, 150 ×6.0 ㎜ (YMC)
이동상: 1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0 ㎖/분
검출: UV 흡착계, 214 ㎚
체류 시간: 16.8 분
12)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상: 실리카겔 60F254, 0.25 ㎜ (머크, 독일)
전개 용매: n-부탄올/아세트산/물 (12 : 3 : 5)
Rf:0.45
HC-70Ⅱ (화합물 2)
1) 외관: 무색 결정
2) 광학 회전: - 69。 (c=0.50, 0.1N HCl, 24 ℃)
3) 분자량: FAB-MS m/z 555 (M+H)+
4) 원소분석 (%) (H2O 3 mol 함유로서 계산)
실측치: C, 51.44; H, 7.84; N, 9.32
이론치; C, 51.30; H, 7.95; N, 9.20
5) 분자식: C26H42N4O9
6) UV 스펙트럼: λmax (ε)
수 중, 257 ㎚ (270)
7) IR 스펙트럼: KBr, 주흡수 (파장수, ㎝-1):
3370, 2970, 2940, 1680, 1630, 1520, 1400, 1050, 690
8)13C-NMR 스펙트럼: DMSO-d6/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9:1)
화학전이 (75 MHz, δppm; 도 2):
173.3, 173.0, 172.7, 168.3, 142.6, 128.7, 127.4, 127.1, 71.9, 71.5, 68.1, 61.2, 58.0, 52.0, 49.5, 41.5, 40.8, 30.5, 24.6, 23.4, 21.9, 18.8, 17.9
9) 아미노산 분석: 110 ℃ 에서 6N HCl 중에서 가수분해 24 시간 후 분석
루이신 (1 mol), 발린 (1 mol)
10) 색반응:
양성: 닌히드린, 그릭-리에백
음성: 에를리히, 사까구치
11)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칼럼: YMC-Pack ODS-A, A-312, 150 ×6.0 ㎜ (YMC)
이동상: 1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0 ㎖/분
검출: UV 흡착계, 214 ㎚
체류 시간: 8.1 분
12)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상: 실리카겔 60F254, 0.25 ㎜ (머크, 독일)
전개 용매: n-부탄올/아세트산/물 (12 : 3 : 5)
Rf:0.41
HC-70Ⅲ (화합물 3)
1) 외관: 무색 결정
2) 광학 회전: - 67。 (c=0.55, 0.1N HCl, 24 ℃)
3) 분자량: FAB-MS m/z 456 (M+H)+
4) 원소분석: (%) (H2O 1 mol 함유로서 계산)
실측치: C, 53.14; H, 7.14; N, 8.98
이론치; C, 53.27; H, 7.45; N, 8.87
5) 분자식: C21H33N3O8
6) UV 스펙트럼: λmax (ε)
수 중, 257 ㎚ (350)
7) IR 스펙트럼: KBr, 주흡수 (파장수, ㎝-1):
3390, 2970, 2930, 1660, 1540, 1400, 1070, 1050, 700
8)13C-NMR 스펙트럼: DMSO-d6, 화학전이 (75 MHz, δppm; 도 3)
174.3, 172.9, 172.4, 142.7, 127.9, 126.5, 71.2, 70.8, 67.6, 60.9, 52.3, 51.2, 49.0, 42.8, 41.3, 23.9, 23.0, 21.7
9) 아미노산 분석: 110 ℃ 에서 6N HCl 중에서 가수분해 24 시간 후 분석
루이신 (1 mol)
10) 색반응:
양성: 닌히드린, 그릭-리에백
음성: 에를리히, 사까구치
11)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칼럼: YMC-Pack ODS-A, A-312, 150 ×6.0 ㎜ (YMC)
이동상: 1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0 ㎖/분
검출: UV 흡착계, 214 ㎚
체류 시간: 6.0 분
12)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상: 실리카겔 60F254, 0.25 ㎜ (머크, 독일)
전개 용매: n-부탄올/아세트산/물 (12 : 3 : 5)
Rf:0.35
HC-70Ⅰ, Ⅱ 및 Ⅲ 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1 은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Ⅰ, 실시예 2 의 화합물) 이다.
화합물 2 는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Ⅱ, 실시예 1 의 화합물) 이다. 화합물 3 은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Ⅲ, 실시예 1 의 화합물) 이다.
R1=NH2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화합물 1, 2 또는 3 또는 그의 염에 효소적작용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사용가능한 효소는 엑소펩티다아제 (예, 루이신 아미노펩티다아제) 및 프로테이나제 [예, Actinase E (가껜 제약사)]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수 중에서 수행되며, pH 조절을 위해, 무기 또는 유기산, 알칼리 또는 완충액이 첨가될 수 있다. 반응 온도는 효소 반응이 장해되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5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 이다. 반응 시간은 효소량, 반응온도, 및 용액의 pH 에 의존하나, 일반적으로 수 분 내지 수 시간이다.
R1=NH2인 생성 화합물 (화합물 5) 의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화합물 5 는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실시예 4 의 화합물) 이다.
화합물 5 가 바실루스 HC-70 및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의 발효 브로스 내에서 생성되고 축적되는 경우, 이는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발효 브로스로부터 정제 및 수득될 수 있다.
화학식 Ⅰ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이하에 때때로 화합물 (Ⅰ) 로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Ⅰ) 의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 부가염 및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염기 부가염은 알칼리 금속 (예, 나트륨, 칼륨 등)과의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예, 칼슘, 마그네슘 등)과의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산 부가염은 무기산 (예,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 및 유기산 (예,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락트산, 숙신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글루콘산, 아스코르브산, 벤조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신남산, 푸마르산, 말산, 옥살산 등) 과의 염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의 무수물 뿐만 아니라 수화물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수화물의 예는 0.5 수화물, 1 수화물, 1.5 수화물, 2 수화물, 2.5 수화물, 3 수화물, 3.5 수화물, 4 수화물 등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은 용매 추출, pH 변화, 상 전이 또는 재분배, 결정화, 재결정화 및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될 수 있다. 화합물 (Ⅰ) 의 개시 화합물 또는 염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분리 정제될 수 있으나, 이를 함유하는 반응 혼합물은 목적하는 반응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이 광학 이성질체, 입체 이성질체, 위치 이성질체 또는 회전 이성질체로서 존재하는 경우, 이들 이성질체 또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며, 상기 이성질체 각각은 공지된 합성 기법 또는 분별 기법에 의해 단일 물질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이 광학 이성질체로서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합물의 광학해상시 이용가능한 각 이성질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광학 이성질체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적하는 광학 이성질체는 광학 활성 합성 중간체를 사용하거나, 생산 라세미 혼합물의 광학해상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상기 광학해상은 이하의 분별 재결정화법, 키랄 칼럼법,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법과 같은 공지된 기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1) 분별 재결정화법
이 방법은 라세미 화합물을 광학 활성 화합물과 함께 염을 형성시키고, 분별 결정화에 의해 분리하고, 임의로 이를 중화시켜 유리 광학 이성질체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2) 키랄 칼럼법
이 방법은 라세미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키랄 칼럼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액체 크로마토크래피의 경우, 대표적인 방법은 광학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키랄 칼럼, 예를 들면 ENANTIO-OVM (도소 코포레이션) 상에 적용하고, 물, 완충액 (예, 포스페이트 완충액) 또는 유기용매 (예, 에탄올,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등) 또는 상기 용매들의 혼합물로 용출시켜 목적 광학 이성질체를 회수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필요한 분별은 CP-Chirasil DeXCB (G.L.Science) 와 같은 키랄 칼럼을 사용하여 수득될 수 있다.
(3) 부분입체 이성질체법
이 방법은 라세미 혼합물과 광학 활성 시약을 반응시켜서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을 통상의 분별화 (예, 분별 재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 하여 단일 물질을 제공하고, 부가로 가수분해와 같은 화학적 처리를 수행하여 광학 활성 시약 부분을 절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히드록실기, 또는 1차 또는 2차 아미노기를 가지며, 상응하는 에스테르 또는 아미드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기질 화합물을 광확 활성 유기산 (예, MTPA [α-메톡시-α-(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아세트산], (-)-멘톡시아세트산 등) 과 축합반응시켜 수득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합물이 카르복실기를 갖는 경우, 아미드 또는 에스테르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기질 화합물과 광학 활성 아민 또는 알콜 시약을 축합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분리된 부분입체 이성질체는 산 가수분해 또는 염기 가수분해에 의해 초기 화합물의 광학 이성질체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Ⅰ) 은 덜 독성이며, 탁월한 약학적 활성, 예를 들면, 헬리코박터 필로리로 대표되는 헬리코박터균에 대한 높은 항균 활성을 가지므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및/또는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의해 생성된 암모늄 관련 질병 (예,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위염 (만성 위염 포함), 위암, 악성 위 림프종, 간성뇌병증, 당뇨병, 두드러기) 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Ⅰ) 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은 안전한 항균제로서, 또는 안전한 항궤양제로서, 인간 및 기타 포유류 (예, 개, 고양이, 원숭이, 래트, 쥐, 말, 소 등) 에게 단독으로 또는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경구 투여 경로가 바람직하다.
경구 투여에 사용가능한 제형은 정제 (당의정 및 필름 코팅 정제 포함), 환제, 미세 과립제, 과립제, 분말제, 캡슐제 (연질 캡슐 포함), 시럽, 에멀션, 현탁제 등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주사제, 침제, 점적주입 및 좌제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은 예를 들면, (a)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활성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Ⅰ), (b) 지질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점성제 (물로써 충분히 점성이 되어 그 자체로 위 점막에 부착성인 물질) 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조성물은 적어도 그 자체로 위 점막에 부착되고/되거나 위 내에 머물러, 그 안에 함유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물질과 같은 활성성분을 적절한 속도로 방출함으로써 강화된 약리 효과 (예,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 를 나타낸다.
상기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의 예는 (a)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물질, (b) 지질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물로써 점성이 될 수 있는 점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d)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 (예, 팽윤제로서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그 투여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조성물이며, 특히 매트릭스를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매트릭스는 예를 들면, (a), (b)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 또는 (a), (b) 지질 및 (c) 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일 수 있다. 바람직한 매트릭스는 (b)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의 예는 (d)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상기 네 가지 성분 (a), (b), (c) 및/또는 (d) 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는 바람직하게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지질을 포함하는 매트릭스 내에 점성제가 분산되어 있는 매트릭스, 또는 점성제로 덮여있는 매트릭스이다. 위 점막 부착성 메트릭스의 용융점은 예를 들면, 약 30 내지 약 120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120 ℃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글리세롤과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며, 모노- 내지 폴리에스테르 (디에스테르, 트리에스테르 등) 일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다형성 전이 또는 활성성분과 임의의 물질 상호교환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활성성분과 공존하여 비실활성화된 채로 남아있고, 광범위한 기간 동안에도 안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글리세롤의 정의는 "분자 당 n (시클릭 형태) 내지 (n+2)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히드록실기 및 (n-1)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내지 n (시클릭) 에테르 결합을 함유하는 다가알콜" [Polyglycerin Esters,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1994년 10월 4일 편집] 이며, 임의의 직쇄 에스테르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Ⅰ]
(식 중, n 은 2 이상의 정수로서 중합화도를 나타낸다). n 값은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0 이다.
폴리글리세롤은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세롤, 테트라글리세롤, 펜타글리세롤, 헥사글리세롤, 헵타글리세롤, 옥타글리세롤, 노나글리세롤, 데카글리세롤, 펜타데카글리세롤, 에이코사글리세롤 및 트리아콘타글리세롤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폴리글리세롤 중, 테트라글리세롤, 헥사글리세롤 또는 데카글리세롤이 많은 경우에 사용된다.
지방산은 탄소수 약 8 내지 약 40,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2 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지방산은 스테아르산, 올레산, 라우르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리시놀레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또는 베헨산이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카프릴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카프릴산 디(트리)글리세리드, 카프르산 디(트리)글리세리드, 라우르산 모노(테트라)글리세리드, 라우르산 모노(헥사)글리세리드, 라우르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올레산 모노(테트라)글리세리드, 올레산 모노(헥사)글리세리드, 올레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올레산 디(트리)글리세리드, 올레산 디(테트라)글리세리드, 올레산 세스퀴(데카)글리세리드, 올레산 펜타(테트라)글리세리드, 올레산 펜타(헥사)글리세리드, 올레산 데카(데카)글리세리드, 리놀레산 모노(헵타)글리세리드, 리놀레산 디(트리)글리세리드, 리놀레산 디(테트라)글리세리드, 리놀레산 디(헥사)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모노(디)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모노(테트라)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펜타(테트라)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트리(테트라)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펜타(헥사)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트리(헥사)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데카(데카)글리세리드, 팔미트산 모노(테트라)글리세리드, 팔미트산 모노(헥사)글리세리드, 팔미트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팔미트산 트리(테트라)글리세리드, 팔미트산 트리(헥사)글리세리드, 팔미트산 세스퀴(헥사)글리세리드, 팔미트산 펜타(테트라)글리세리드, 팔미트산 펜타(헥사)글리세리드, 팔미트산 데카(데카)글리세리드, 및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예, 테트라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등)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예, HB-310(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Poem J46B (상표명), 리켄 비타민사), 스테아르산 펜타(테트라)글리세리드 (예, PS-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스테아르산 모노(테트라)글리세리드 (예, MS-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스테아르산 펜타(헥사)글리세리드 (예, PS-50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스테아르산 모노(데카)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예, 테트라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등) (예, CRS-75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사) 및 이들 글리세리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 또는 약 3 종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200 내지 약 5000,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약 3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3000 이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친수-친지 균형 (HLB) 수는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22,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9,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4 이다. 서로 다른 HLB 수를 갖는 2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가 조합으로 사용되어 목적하는 HLB 수를 수득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HLB 를 조정함으로써 활성 약물 성분의 방출 또는 용해 역학이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적당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특정 활성 성분 (예, 항-헬리코박터 필로리제 등), 점성제, 팽윤 물질 (예, 커르들란 및/또는 비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이들의 특정 조합, 및 조성물의 목적 형태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온 (약 15 ℃) 에서 고체인 화합물이 사용된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용융점은 예를 들면, 약 15 내지 약 80 ℃,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75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약 75 ℃ 일 수 있다.
적당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는 사용된 활성 성분의 종류 및 목적하는 투여 형태에 따라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약 2 내지 약 16 의 중합화도 범위를 갖는 폴리글리세롤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약 2 내지 약 10 이다. 지방산이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 (중합화도 +2) 와 함께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지방산(들)이 약 6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0 %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내의 히드록실기 총 수와 결합하는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지방산(들)은 바람직하게는 약 6 내지 약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25,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22 의 탄소수를 갖는 포화 산이다. 에스테르 결합 형성에 관여하는 지방산은 동일 또는 상이한 종류일 수 있다.
혼합물로서 2 이상의 상이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조성물 제조시, 최종 조성물이 상온에서 고체인 한, 액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가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가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로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95 중량% 일 수 있으며, 조성물 내의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약 1500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0 중량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 중량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지질은 약 40 내지 약 120 ℃,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90 ℃ 의 용융점을 갖는 것이다.
지질은 탄소수 약 14 내지 약 22 의 포화 지방산 (예,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베헨산 등) 또는 그의 염 (나트륨 염, 칼륨 염 등); 탄소수 약 16 내지 약 22 의 고급 알콜 (예,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콜 등); 상기 지방산의 지방산 글리세롤 에스테르, 예컨대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트리글리세리드 등 (예, 1-모노스테아린, 1-모노팔미틴 등); 오일 (예, 카스터 오일, 면실유, 비프 탈로우 등, 상응하는 수소첨가 오일 포함); 왁스 (예, 밀납, 카르나우바 왁스, 스펌 왁스 등); 탄화수소 (예, 파라핀, 미소결정성 왁스 등); 및 인지질 (예, 수소첨가 레시틴 등)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지질, 오일, 왁스, C14-22포화 지방산, C16-22고급 알콜 및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수소첨가 면실유,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수소첨가 대두유, 카르나우바 왁스, 스테아르산, 스테아릴 알콜 및 미소결정성 왁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또는 카르나우바 왁스이다.
지질이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로서 사용되는 경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지질의 양은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95 중량% 이며, 조성물의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약 0.01 내지 15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 중량부이다.
상기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질은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와 왁스의 조합물 또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와 수소첨가 오일의 조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펜타(테트라)글리세리드, 스테아르산 펜타(헥사)글리세리드, 폴리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예, 테트라글리세롤 폴리리시놀레이트 등), 카르나우바 왁스,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및 미소결정성 왁스로부터 선택된 2, 3 또는 그 이상의 원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 외에 점성제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경우,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질의 총 양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5 내지 약 98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약 95 중량% 이며, 조성물의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약 0.01 내지 약 1500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0 중량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 중량배이다.
지질이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매트릭스에 혼입될 수 있다. 지질은 활성 성분의 용해 역학을 조절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불용성 물질이다. 지질은 상기한 종류를 포함한다.
지질 및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가 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 지질 및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의 양은 위장 점막에 대한 부착이 떨어지지 않는 범위 내이며, 상기 총 양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에 대한 지질의 양은 약 0.01 내지 약 1000 중량배,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0 중량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100 중량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팽윤 물질은 점성제를 팽윤시키거나 또는 물로 인한 점성제의 팽윤을 돕는 물질이다.
상기 기재한 특성을 가지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한 임의의 종류의 팽윤 물질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 내의 팽윤 물질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커르들란은 미생물 (예컨대, 알칼리게네스 파에칼리스 변성 믹소제네스 (Alcaligenes faecalis var. myxogenes) 등) 로부터 제조된 선형 수-불용성 폴리사카라이드 (β-1,3-글루칸) 이며, 예컨대 커르들란 10C3K, 13140, 12607, 12665, 13127, 13256, 13259 및 13660 [New Food Industry, 20, No.10, p.49 (1978)] 과 같은 종을 포함한다. 이들 및 기타 커르들란 중 약학적 베이스 또는 부형제로서 허용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커르들란 N (식품첨가제) 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 내의 커르들란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양은 약 0.5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는 셀룰로오스의 일부 히드록시기에 대한 히드록시프로폭시의 치환시 이용가능한 셀룰로오스 유도체이며, 히드록시프로폭시 함량이 5.0 내지 16.0 % (일본 약전 제12판) 이다. 상기 언급한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가 유용하며, 특히 히드록시프로폭시 함량이 7.0 내지 13.0 % 인 것 (예, L-HPC(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치환도가 상기 범위 이내이며, 입자 직경이 다양한 것, 예컨대 LH-11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히드록시프로폭시 함량 10.0 내지 12.9 %, 입도 분포 150 ㎛ 미만 98 % 이상, 180 ㎛ 초과 0.5 % 이하), LH-20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히드록시프로폭실 함량 13.0 내지 16.0 %, 입도 분포 75 ㎛ 미만 90 % 이상, 106 ㎛ 초과 1.0 % 이하), LH-21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히드록시프로폭실 함량 10.0 내지 12.9 %, 입도 분포 75 ㎛ 미만 90 % 이상, 106 ㎛ 초과 1.0 % 이하), LH-22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히드록시프로폭실 함량 7.0 내지 9.9 %, 입도 분포 75 ㎛ 미만 90 % 이상, 106 ㎛ 초과 1.0 % 이하), 및 LH-31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히드록시프로폭실 함량 10.0 내지 12.9 %, 평균 입자 직경 30 ㎛ 이하, 입도 분포 45 ㎛ 미만 50 % 이상, 75 ㎛ 초과 5.0 % 이하) 등이 이용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LH-22 또는 LH-31 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 내의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약 0.5 내지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4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 이다.
물로써 충분히 점성이 되어 그 자체로 위장 점막에 부착되며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한, 임의의 점성제가 본 발명에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물로써 현저하게 팽윤되고, 높은 점도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성제는 합성 중합체 및 천연 점성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합성 중합체는 20 ℃ 에서 그의 2 % 수용액의 점도가 약 3 내지 약 50000 cps,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30000 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 내지 약 30000 cps 이다. 그러나, 중화시 점도를 수득하는 염기성 또는 산성 중합체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중합체는 약 20 ℃ 에서 중화 후 그의 0.2 % 용액의 점도가 약 100 내지 약 500000 cps,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000 cps,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500 내지 약 100000 cps 이다.
점도가는 약 20 ℃ 에서 브룩필드 점도계로 측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언급한 중합체는 카르복실 또는 술포 함유 중합체 및 상응하는 염 함유 중합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르복실 함유 중합체 및 카르복실레이트 염 함유 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카르복실 (그 염 포함) 함유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단량체 단위로서 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아크릴 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이들 염은 1가 금속염, 예컨대 나트륨 염, 칼륨 염 등, 및 2가 금속 염, 예컨대 마그네슘 염, 칼슘 염, 암모늄 염 등을 포함한다.
아크릴 중합체 (그 염 포함) 는 카르복실기 함유 중합체를 약 58 내지 약 63 중량% 의 비율로 포함하며, 분자량은 약 20 ×104내지 약 600 ×104, 바람직하게는 약 100 ×104내지 약 600 ×104,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104내지 500 ×104이다. 바람직한 아크릴 중합체 (그 염 포함) 는 아크릴산 호모중합체 및 그의 염을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일본 표준 약학 성분 (1986년 10월) 에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라는 제목 하에 나열된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특정 예로서, 카르보머 [Carbopol(상표명, 이하 카르보폴 이라 함), 비.에프. 굿리치사] 940, 934, 934P, 941, 1342, 974P, 971P (NF ⅩⅧ), EX214 등, HIVISWAKO(상표명) 103, 104, 105 및 204 (와꼬 퓨어 케미칼사), NOVEON AA1(상표명, 비.에프. 굿리치사), 및 칼슘 폴리카르보필 (USP ⅩⅩⅢ) 을 들 수 있다.
천연 점성제는 뮤신, 아가, 젤라틴, 펙틴, 카라기닌, 소듐 알기네이트, 로커스트콩 검, 잔탄검, 트라가칸트 검, 키토산, 풀루란, 왁스 전분, 수크랄페이트, 커르들란 및 셀룰로오스 및 이의 유도체 (셀룰로오스 술페이트,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한 점성제는 아크릴 중합체 또는 그의 염이다.
점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점성제의 양에 대해, 위 점막 부착성 매트릭스 내에서 그 양은 예를 들면, 약 0.005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4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성제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을 함유하는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는 경우, 점성제의 양은 총 중량 기준으로 약 0.00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 일 수 있다. 매트릭스가 점성제로 코팅되는 경우, 점성제의 비율은 또한 총 중량 기준으로, 약 0.00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5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팽윤 물질로서 커르들란을 함유하는 경우, 커르들란이 그 자체로 점성제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조성물은 점성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그 자체로 위 점막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르들란은 필요한 접착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상기 정의된 범위 초과의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을 함유하는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점성제를 함유하는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 점성제,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활성 성분의 임의의 분산액일 수 있다. 분산은 공지된 기법 자체 또는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내의 화합물 (Ⅰ) 의 양은 일반적으로 2 내지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제조 기법은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조성물은 약학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감미제, 계면활성제, 현탁화제, 유화제 등을 적절량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 (Ⅰ) 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에서,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윤활제가 사용된다. 환제 또는 과립제의 제조에서는 부형제, 결합제 및 붕해제가 배합된다. 부형제는 또한 분말제 또는 캡슐제의 제조에 사용되는 한편, 감미제는 시럽제 제조시 첨가된다. 에멀션 또는 현탁제 제조시, 현탁화제, 계면활성제 및/또는 유화제가 첨가된다. 부형제는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글루코오스, 전분, 사탕수수,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감초 분말, 만니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칼슘 및 황산칼슘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제는 전분 용액 5 내지 10 중량%, 아라비아 검 용액 또는 젤라틴 용액 10 내지 20 중량%, 검 트라가칸트 용액,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용액, 소듐 알기네이트 용액 및 글리세린 1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붕해제는 전분 및 탄산칼슘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정제 탈크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감미제는 글루코오스, 프럭토오스, 전화당, 소르비톨, 자일리톨, 글리세린 및 단순 시럽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계면활성제는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소르비탄 지방산 모노에스테르 및 폴리옥실 스테아레이트 40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탁화제는 검 아라비아, 소듐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메틸셀룰로오스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화제는 검 아라비아, 검 트라가칸트, 젤라틴 및 폴리소르베이트 80 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외에, 착색제, 보존제, 향료, 교질제, 안정화제, 증점제 및 기타 통상의 약학 첨가제가 화합물 (Ⅰ) 을 함유하는 투여 형태의 제조시 적절한 양으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의 제조 기법의 예를 하기에 기술한다.
1) 상온에서 고체인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은 공지된 기법 그 자체 또는 그와 유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을 그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점성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및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물 내에 이들을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가열 온도는 예를 들면, 약 40 내지 약 150 ℃,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00 ℃ 일 수 있다. 상기 공정은 통상의 과립화기로 수행될 수 있으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무 냉각, 예컨대 분무 칠링(chilling)에 의해 고체 비드 (예, 과립, 미세 과립 등) 로 성형될 수 있다.
분무 칠링법은 전형적으로, 점성제,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활성 성분의 용융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 내 혼합 분산액을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6000 rpm, 바람직하게는 약 900 내지 약 6000 rp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0 내지 약 5000 rpm 의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 디스크 상에 일정한 유속으로 적하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회전 디스크는 평평하거나, 평탄한 디스크일 수 있으며,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직경이 약 5 내지 약 100 ㎝,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 ㎝ 이다. 상기 용융 분산액의 적하 속도는 고안된 입자 직경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약 1000 g/분,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0 g/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00 g/분이다. 이와 같이 수득된 과립은 이어지는 코팅 단계에서 우수한 효율로 그 표면상에 균일한 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원형에 가깝다.
대안적인 제조 방법은 점성제,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활성 성분을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에 반죽하고, 생성 분산액을 과립화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용매는 통상적인 종류 (예,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클로로포름 등) 의 용매일 수 있다.
고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또다른 대안법은 용융 과립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용융 과립법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을 그 용융점 근처의 온도, 예를 들면 그 용융점 내지 용융점의 약 5 ℃ 미만의 온도에서 가열하고, 생성 용융물을 과립화, 예컨대 상기 언급한 분무 칠링을 수행하고, 생성 미세 입자를 점성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및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와 함께 적절한 온도로 가열하면서 현탁시켜 부착성 매트릭스 약물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경우, 활성 성분의 가열에 의한 영향이 피해질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로 이루어진 매트릭스를 함유하며, 점성제로 코팅된 고체 조성물은 점성제 단독 또는 점성제와 팽윤 물질 (예,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의 혼합물로, 바람직하게는 점성제 단독 또는 점성제와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를 함유하는 코팅 물질로 코팅된 제제일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상기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상기 지질 및 상기 수-불용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원을 함유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고체 조성물의 성분과 거의 양립되지 않거나, 양립불가능한 점성제가 코팅에 사용되는 경우, 고체 조성물은 점성제가 분산되어 있는 필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코팅 물질은 추가로 상기 언급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수-불용성 (소수성) 중합체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프탈레이트 (일본 약전 제 12 판),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신-에쓰 케미칼사),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프레운드 인더스트리, CMEC, 일본 표준 약학 성분, 1986),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테이트 (이스트만),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일본 약전 제 12 판), 에틸셀룰로오스 (아사히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아미노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롬-파르마, Eudragit(상표명) RS-100, RL-100, RL-PO, RS-PO, RS-30D, RL-30D), 메트아크릴산-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롬-파르마, Eudragit(상표명) L100-55), 메트아크릴산-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롬-파르마, Eudragit(상표명), L-100, S-100), Eudragit(상표명) L30D-55, Eudragit(상표명) NE-30D (롬-파르마)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콜로르콘) 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소수성 중합체는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의 상이한 중합체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코팅 물질 내의 점성제의 비율은 코팅 물질의 전체 고체 분획을 기준으로 약 0.005 내지 약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3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0 중량% 이다.
하나 이상의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지질 및 소수성 중합체가 코팅 물질의 점성제와 조합으로 사용되는 경우, 코팅 물질의 고체 분획 총 중량 기준으로 점성제의 비율은 약 0.0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3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30 중량%,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 중량% 이다.
코팅 물질에 대해 추가로,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지질 및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체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의 각 중량부 기준으로 남아있는 성분은 약 0.0001 내지 약 10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된다.
코팅양은 고체 조성물 및 점막에 대한 목적하는 부착성 강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체 조성물의 코팅양은 정제에 대해 약 0.1 내지 약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0 중량% 이며, 미세 과립제에 대해 약 0.1 내지 약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 중량% 이다.
필요하다면, 코팅 물질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로 보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 물질과 첨가제는 함께 또는 별도로 첨가되어 적용될 수 있다. 코팅 물질의 고체 분획에 대한 첨가제의 비율은 약 0.1 내지 약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50 중량% 이다.
사용가능한 코팅 기법은 공지된 방법, 예컨대 팬 코팅, 유동층 코팅, 롤 코팅 등을 포함한다. 코팅 물질이 물 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분산액인 경우, 분무 코팅법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 또는 유기 용매의 종류에 대해 특별한 제한은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알콜,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등; 케톤, 예컨대 아세톤 등;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예컨대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이 코팅에 사용되는 경우, 목적하는 코팅된 조성물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지질을 임의로 기타 첨가제와 함께 가열 하 용융시키고, 용융물을 물로써 유화시키고, 수득한 에멀션으로 고체 조성물 표면을 분무 코팅하고, 코팅물을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인 방법은 코팅 물질을 코팅 팬 등 내에서 예열된 고체 조성물에 첨가하고, 코팅물을 용융 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고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약 25 내지 약 60 ℃,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약 40 ℃ 에서 코팅된다.
코팅 시간은 코팅 방법, 코팅 물질의 특성 및 양, 및 기재 고체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위장 점막에 대해 충분한 부착성을 제공하는 한, 위 점막 부착성 고체 조성물은, 필요하다면, 통상의 위 코팅제 또는 수용성 코팅제로 부가 코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 또는 적절한 제제로 경구투여될 수 있다. 고체 경구 투여 형태는 미세 과립제, 과립제, 환제, 상기 미세 과립제 또는 과립제를 타정기로 압축하여 제조한 정제, 및 상기 미세 과립제 또는 과립제를 적절한 캡슐 셸에 충전하여 제조한 캡슐제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제제 중, 미세 과립제 및 과립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미세 과립제의 입도 분포는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500 ㎛ 의 직경 약 75 중량% 이상, 약 500 ㎛ 초과의 입자 약 5 중량 % 이하, 및 약 10 ㎛ 미만의 입자 약 10 중량% 이하이다. 바람직한 분포는 약 105 내지 약 500 ㎛ 약 75 중량% 이상, 약 500 ㎛ 이상 약 5 중량% 이하, 및 약 74 ㎛ 이하 약 10 중량% 이하이다. 과립제의 입도 분포는 예를 들면 약 500 내지 약 1410 ㎛ 약 90 중량% 이상, 약 177 ㎛ 이하 약 5 중량% 이하이다.
2)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이 액체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액체 조성물은 공지된 기법 그 자체와 유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또는 상온에서 액체인 지질, 점성제, 활성성분 및 팽윤 물질 (예,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 을 한번에 또는 연속적으로 혼합하여 분산액 또는 용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액체 부착성 점막 의약 시스템을 포함하는 투여 형태는 시럽, 에멀션, 현탁제 및 이의 캡슐화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내에서 활성 성분 (예, 항-HP 제) 의 비율은 약 0.005 내지 약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9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95 중량%, 및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50 중량% 이다.
화합물 (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 (특히, 위점막 부착성 조성물) 은 안정하며, 독성이 덜하여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1 일 경구 투여량은 환자의 임상 상태 및 체중, 화합물의 종류 및 투여 경로에 의존하며, 예를 들면,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위궤양에 있어서, 성인 환자 (체중 약 60 ㎏) 에 대해, 활성 성분 (화합물 (Ⅰ) 또는 그의 염) 으로서 1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200 ㎎ 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서, 화합물 (Ⅰ) 은 하나 이상의 기타 항균제 및/또는 항궤양제와 조합될 수 있다.
부분적으로 함유될 수 있는 기타 항균제는 니트로이미다졸 (예, 티니다졸 및 메트로니다졸), 테트라시클린 (예, 테트라시클린, 독시시클린 및 미노시클린), 페니실린 (예,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및 메즐로실린), 세팔로스포린 (예, 세파클로르, 세파드록실, 세파졸린, 세푸록심, 세푸록심 악세틸, 세팔렉신, 세프포독심 프록세틸, 세프타지딤 및 세프트리악손), 카르바페넴 (예, 이미페넴 및 메로페넴), 아미노글리코시드 (예, 파로모마이신), 마크롤리드 (예, 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및 아지트로마이신), 린코사미드 (예, 클린다마이신), 리파마이신 (예, 리팜피실린), 및 니트로푸란토인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Ⅰ) 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항궤양제로서, 위 프로톤 펌프 억제제 (예, 란소프라졸 및 오메프라졸, 판토프라졸, 라베프라졸, 레미프라졸) 및 H2수용체 안타고니스트 (예, 라니티딘, 시메티딘 및 파모티딘) 를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항균제 및/또는 항궤양제는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합된 약물 요법에서, 상기 항균제는 성인에 대해, 1 일 당 1 내지 500 ㎎,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 ㎎ 으로 경구투여하고, 항궤양제는 성인에 대해, 1 일 당 0.5 내지 1000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 투여한다.
하기 실시예, 실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을 부가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의미는 아니다. 이들 실시예에서, % 는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중량/부피 % 를 나타낸다. 용매의 혼합비는 특별히 지시하지 않는 한, 부피비를 의미한다. NMR 스펙트럼은 Bruker AC-300 분광계 또는 Varian gemini 200 분광계를 사용하여 기록된 것이다.
실시예 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Ⅱ, 화합물 2) 및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Ⅲ, 화합물 3)
글루코오스 0.1 %, 트립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yeast extract) 0.25 % 및 아가(agar) 1.5 % 로 이루어진 슬랜트 배지 상에서 충분히 자란 바실루스 HC-70 백금이량(白金耳量)을 글루코오스 2.0 %, 가용성 전분 3.0 %, 옥수수 침지액 0.3 %, 대두분 1.0 %, 폴리펩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1 %, 오트밀 아가 0.2 %, 염화나트륨 0.3 % 및 침전 탄산칼륨 0.5 % 로 이루어진 시드(seed) 배양 배지 (pH 7.0) 500 ㎖ 함유 2 ℓ-사까구찌(Sakaguchi)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왕복운동하는 셰이커 상에서 24 ℃ 에서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500 ㎖ 을 글루코오스 0.5 %, 덱스트린 5.0 %, 대두분 3.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5 %, 침전 탄산칼슘 0.7 %, ACTOCOL(상표명)31-56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0.05 % 및 실리콘오일 0.05 % 로 이루어진 생산 배지 (pH 6.5) 120 ℓ함유 200 ℓ-발효조에 이식하고, 22 ℃ 의 온도 및 내부 압력 1.0 ㎏/㎠ 에서, 120 ℓ/분 통기 하에, 42 시간 동안 120 rpm 으로 교반하면서 발효를 수행하였다.
수득한 배양 브로스(broth) (120 ℓ) 를 pH 7 로 조정하고, 여과보조제 (Radiolite 600, 쇼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 (130 ℓ) 을 pH 7 로 조정하고, HP-20 (7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21 ℓ) 로 세척한 후,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8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잔여물을 물로 희석하여 30 ℓ부피가 되게 하고, CNP-80 (H-형, 15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45 ℓ) 로 세척한 후, 2N-수성 암모니아 (53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PA-412 (OH-형, 2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6 ℓ) 및 1M 염화나트륨/H2O (2 ℓ) 의 순으로 세척하여, 1M 염화나트륨/H2O (10 ℓ) 및 1N-염산 (4 ℓ) 로 연속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pH 7 로 조정하고, HP-20 (1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3 ℓ) 로 세척하고,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3.4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pH 7 로 조정하고, HP-20S (40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1.2 ℓ) 로 세척한 후,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1.2 ℓ) 및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1.2 ℓ) 로 연속 용출을 수행하였다.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용출액을 농축하고, HP-20SS (10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상기 칼럼을 물 (200 ㎖) 로 세척하고, 물 (100 ㎖), 2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300 ㎖), 및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300 ㎖) 를 사용하여 연속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결정을 수집하여 HC-70Ⅲ (화합물 3; 1.3 g) 을 수득하였다. HP-20S (400 ㎖) 칼럼으로부터의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용출액을 농축한 다음, 메탄올을 첨가한 후, 농축액을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 (1.7 g) 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상기 결정을 물로부터 2 회 재결정화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HC-70Ⅱ 로 주로 이루어진 결정 (1.3 g) 을 수득하였다. 이 결정 중 719 ㎎ 을 HP-20S (7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210 ㎖), 2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10 ㎖) 및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10 ㎖) 로 세척하고,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420 ㎖)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Ⅱ 분획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HC-70Ⅱ (화합물 2; 479 ㎎)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Ⅰ, 화합물 1)
글루코오스 0.1 %, 트립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25 % 및 아가 1.5 % 로 이루어진 슬랜트 배지 상에서 충분히 자란 바실루스 HC-70 백금이량을 글루코오스 2.0 %, 가용성 전분 3.0 %, 옥수수 침지액 0.3 %, 대두분 1.0 %, 폴리펩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1 %, 오트밀 아가 0.2 %, 염화나트륨 0.3 % 및 침전 탄산칼륨 0.5 % 로 이루어진 시드 배양 배지 (pH 7.0) 500 ㎖ 를 함유하는 살균된 2 ℓ-사까구찌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왕복운동하는 셰이커 상에서 24 ℃ 에서 2 일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 500 ㎖ 을 글루코오스 0.5 %, 덱스트린 5.0 %, 대두분 3.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5 %, 침전 탄산칼슘 0.7 %, ACTOCOL(상표명)31-56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0.05 % 및 실리콘오일 0.05 % 로 이루어진 생산 배지 (pH 6.5) 120 ℓ함유 200 ℓ-발효조에 이식하고, 22 ℃ 의 온도 및 내부 압력 1.0 ㎏/㎠ 에서, 120 ℓ/분 통기 하에, 24 시간 동안 120 rpm 으로 교반하면서 배양하였다.
생성된 발효 브로스 (120 ℓ) 2 뱃치 당량을 여과보조제 (Radiolite 600)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 (245 ℓ) 을 pH 6 으로 조정하고, HP-20 (15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45 ℓ)로 세척한 후,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0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CNP-80 (H-형, 20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후, 칼럼을 물 (60 ℓ) 로 세척하고, 2N-수성 암모니아 (80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pH 6 으로 조정하고, HP-20 (2.4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7.2 ℓ) 및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7.2 ℓ) 로 연속 세척하고,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7.2 ℓ) 및 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11.5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IR-120 (Na-형, 1.5 ℓ), IRA-67 (OH-형, 1.5 ℓ) 및 SP-850 (2 ℓ) 칼럼에 연속적으로 통과시켰다. 물 (8 ℓ) 로 세척한 후, SP-850 (2 ℓ) 칼럼을 0.2 N 수성 암모니아 (2 ℓ), 물 (6 ℓ) 및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 ℓ) 의 순서로 부가 세척하였다. 이어서,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4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한 후, 생성 결정 (1.4 g) 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이 결정 중 1.2 g 을 HP-20 (15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450 ㎖), 2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450 ㎖) 의 순서로 세척하고,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900 ㎖),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900 ㎖) 및 1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450 ㎖)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Ⅰ 분획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을 회수하여, HC-70Ⅰ (화합물 1; 199 ㎎)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HC-70Ⅱ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
HC-70Ⅱ (화합물 2; 200 ㎎) 에 0.1N 염산 (3.4 ㎖) 및 물 (6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온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을 DISMIC-25CS (0.45 ㎛, 도요 로시) 를 통과시켜 여과하고, 여액을 동결 건조하여 HC-70Ⅱ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4; 199 ㎎) 를 수득하였다.
원소 분석 (C26H42N4O9·HCl·2.5H2O)
실측치: C, 48.93; H, 7.18; N; 8.86; Cl, 5.64
이론치: C, 49.09; H, 7.61; N; 8.81; Cl, 5.57
실시예 4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포스페이트 완충액 (40 mM, pH 8; 47.5 ㎖) 에 HC-70Ⅲ (화합물 3; 190 ㎎) 을 용해시킨 다음, 코발트 클로라이드 수용액 (1 M, 0.19 ㎖) 및 악티나아제 E (19 ㎎, 카켄 제약사) 을 첨가하고, 37 ℃ 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여과지 (제 2 호, 도요 로시) 를 통해 여과시키고, 여액을 HP-20 (5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50 ㎖) 로 세척하고, 물 (100 ㎖) 및 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00 ㎖) 로 연속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시켜서 조분말 (149 ㎎) 을 수득하였다.
상기 조분말을 예비 HPLC [칼럼: YMC-Pack SH-363-15, ODS (YMC), 이동상: 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2 ㎖/분] 를 수행하였다. 400 내지 600 ㎖ 분획을 회수하여 pH 7 로 조정하고, 감압 하 120 ㎖ 로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HP-20 (60 ㎖)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고, 칼럼을 물 (180 ㎖) 로 세척한 후, 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40 ㎖)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백색 분말로서 화합물 5 (103 ㎎) 을 수득하였다.
13C-NMR (DMSO-d6, δppm): 174.9, 172.3, 143.4, 127.9, 126.3, 126.2, 71.4, 70.8, 66.6, 60.9, 53.3, 49.7, 43.1
원소분석 (C15H22N2O7·1.5H2O)
실측치: C, 49.11; H, 6.78; N, 7.89
이론치: C, 48.78; H, 6.82; N, 7.58
실시예 5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를 이용한 HC-70Ⅲ 의 수득)
글루코오스 0.1 %, 트립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스 0.25 % 및 아가 1.5 % 로 이루어진 슬랜트 배지 상에서 충분히 자란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백금이량을, 글루코오스 2.0 %, 가용성 전분 3.0 %, 옥수수 침지액 0.3 %, 대두분 1.0 %, 폴리펩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1 %, 염화나트륨 0.3 % 및 침전 탄산칼슘 0.5 % 로 이루어진 시드 배양 배지 (pH 7.0) 500 ㎖ 함유 2 ℓ-사까구찌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28 ℃ 에서 1 일 동안 왕복운동하는 셰이커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 500 ㎖ 를 글루코오스 2.0 %, 가용성 전분 3.0 %, 옥수수 침지액 0.3 %, 대두분 1.0 %, 폴리펩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1 %, 염화나트륨 0.3 %, 침전 탄산칼슘 0.5 %, ACTOCOL (상표명) 31-56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0.05 % 및 실리콘 오일 0.05 % 로 이루어진 생산 배지 (pH 7.0) 120 ℓ함유 200 ℓ-발효조에 옮기고, 120 ℓ/분의 공기주입 하에 1.0 ㎏/㎠ 의 내부압력 및 24 ℃ 온도에서 120 rpm 으로 교반하면서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 10 ℓ을 글루코오스 0.5 %, 미요-이노시톨 1.0 %, 대두분 5.0 %, 옥수수 침지액 1.0 %, ACTOCOL (상표명) 31-56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0.05 % 및 실리콘 오일 0.05 % 로 이루어진 생산 배지 (pH 7.0) 1200 ℓ함유 2000 ℓ-발효조에 이식하고, 28 ℃ 의 온도 및 1.0 ㎏/㎠ 의 내부압력에서 840 ℓ/분의 공기 주입 하에 30 rpm 으로 교반하면서 11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발효 브로스 (1200 ℓ) 를 pH 5 로 조정하고, 응집제 [0.5 (w/v) Sanfloc C-109P, 산요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를 넣어 응집시켰다. 이어서, 브로스를 여과보조제 (Radiolite 600)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 (1200 ℓ) 을 pH 5 로 조정하고 목탄 (과립 시라사기, 25 ℓ) 및 SP-850 (100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물 (300 ℓ) 로 세척하였다. SP-850 칼럼만을 0.1N 수산화나트륨/H2O (300 ℓ), 물 (300 ℓ), 0.1N 황산 (300 ℓ) 및 물 (300 ℓ) 로 연속해서 세척하고, 2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400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Ⅲ 분획을 pH 4.5 로 조정하고, UBK-510L (Na-형, 150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150 ℓ) 로 세척한 후, 0.01N 수성 암모니아 (600 ℓ) 로 분획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Ⅲ 분획을 pH 8 로 조정하고, PK-216 (Na-형, 25 ℓ) 및 IRA-67 (CH3COO-형, 25 ℓ) 의 순서로 칼럼을 통과시키고, 물 (100 ℓ) 로 세척하였다. 용출액 및 세척액을 합하고, pH 5로 조정하고,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였다. 생성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여 HC-70Ⅲ (화합물 3; 380 g) 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Ⅰ-A, 화합물 1A) 및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HC-70Ⅰ-B, 화합물 1B)
글루코오스 0.1 %, 트립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스 0.25 % 및 아가 1.5 % 로 이루어진 슬랜트 배지 상에서 충분히 자란 바실루스 HC-70 백금이량을, 글루코오스 2.0 %, 가용성 전분 3.0 %, 옥수수 침지액 0.3 %, 대두분 1.0 %, 폴리펩톤 0.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1 %, 염화나트륨 0.3 % 및 침전 탄산칼슘 0.5 % 로 이루어진 시드 배양 배지 500 ㎖ 함유 2 ℓ-사까구찌 플라스크에 접종하고, 24 ℃ 에서 2 일 동안 왕복운동하는 셰이커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 500 ㎖ 를 덱스트린 5.0 %, 글루코오스 0.5 %, 대두분 3.5 %, 이스트 익스트랙트 0.5 %, 침전 탄산칼슘 0.5 %, ACTOCOL (상표명) 31-56 (다께다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0.05 % 및 실리콘 오일 0.05 % 로 이루어진 생산 배지 (pH 6.5) 120 ℓ함유 200 ℓ-발효조에 이식하고, 120 ℓ/분의 공기주입 하에 1.0 ㎏/㎠ 의 내부압력 및 22 ℃ 의 온도에서 120 rpm 으로 교반하면서 4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발효 브로스 (120 ℓ) 2 뱃치 당량을 여과보조제 (Radiolite 600) 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여액 (250 ℓ) 을 pH 6 으로 조정하고, HP-20 (15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45 ℓ) 로 세척한 후,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0 ℓ) 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CNP-80 (H-형, 20 ℓ)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칼럼을 물 (60 ℓ) 로 세척한 후, 2N 수성 암모니아 (80 ℓ)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pH 6 으로 조정하고, IR-120 (NH4-형, 1.5 ℓ), IRA-67 (OH-형, 1.5 ℓ) 및 SP-850 (2 ℓ) 의 순으로 칼럼을 통과시키고 물 (8 ℓ) 로 세척하였다. SP-850 (2 ℓ) 칼럼만을 0.2N 수성 암모니아 (2 ℓ), 물 (6 ℓ), 0.1N 염산 (2 ℓ), 물 (6 ℓ) 및 5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 ℓ) 로 연속 세척하고, 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8 ℓ) 및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 ℓ) 로 분획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Ⅰ-A 및 HC-70Ⅰ-B (11.5 ℓ) 을 함유하는 분획을 IR-120 (NH4-형, 0.5 ℓ) 및 IRA-67 (CH3COO-형, 5 ℓ) 의 순서로 칼럼을 통과시켰다. 용출액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 (9.6 g) 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였다. 이 결정 중 4.0 g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키고, 예비 HPLC [장치: LC-300G, 칼럼 100 φ×1,000 ℓ(㎜) (구리따 워터 인더스트리사), 고정상: YMC·GEL KE-ODS-10S (YMC), 이동상: 17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30 ㎖/분] 을 수행하여, HC-70Ⅰ-A 분획 (60 내지 85 분) 및 HC-70Ⅰ-B 분획 (87 내지 100 분) 을 수득하였다. HC-70Ⅰ-A 분획을 농축하여 HP-20 (10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300 ㎖) 로 세척한 후, 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00 ㎖) 및 0.1N 암모니아/2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600 ㎖) 을 사용하여 분획 용출을 수행하였다. HC-70Ⅰ-A 분획 (600 ㎖) 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여 HC-70Ⅰ-A (화합물 1A; 249 ㎎) 을 수득하였다. 예비 HPLC 칼럼으로부터 용출된 HC-70Ⅰ-B 분획 (0.4 ℓ) 을 농축하여 7 ℃ 에서 방치하고, 생성 결정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여 HC-70Ⅰ-B (화합물 1B; 400 ㎎) 을 수득하였다.
HC-70Ⅰ-A (화합물 1A)
광학 회전: - 67。 (c=0.50, 0.1N HCl, 21 ℃)
FAB-MS: m/z 668 (M+H)+
원소분석 (%) (물 2 mol 함유로서 계산)
실측치: C, 54.54; H, 8.16; N, 10.12
이론치; C, 54.61; H, 8.16; N, 9.95
분자식: C32H53N5O10
13C-NMR 스펙트럼 (DMSO-d6중, δppm): 172.7, 172.4, 172.3, 172.2, 170.8, 142.6, 127.9, 126.5, 71.0, 70.8, 67.2, 60.5, 58.8, 56.5, 51.1, 50.8, 49.0, 41.2, 40.5, 36.7, 30.8, 24.3, 24.0, 23.1, 21.3, 19.0, 16.9, 15.3, 10.8
아미노산 분석: 110 ℃ 에서 6N 염산 중에서 가수분해 72 시간 후 분석
루이신 (1 mol), 이소루이신 (1 mol), 발린 (1 mol)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칼럼: YMC-Pack ODS-A, A312, 150 ×6.0 ㎜ (YMC)
이동상: 1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0 ㎖/분
검출: UV 흡착계, 214 ㎚
체류 시간: 27 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상: 실리카겔 60F254, 0.25 ㎜ (Merck, 독일)
전개 용매: n-부탄올/아세트산/물 (12 : 3 : 5)
Rf: 0.51
HC-70Ⅰ-B (화합물 1B)
광학 회전: - 75。 (c=0.50, 0.1N HCl, 21 ℃)
FAB-MS: m/z 668 (M+H)+
원소분석 (%) (물 3.5 mol 함유로서 계산)
실측치: C, 52.59; H, 8.03; N, 9.78
이론치; C, 52.59; H, 8.27; N, 9.58
분자식: C32H53N5O10
13C-NMR 스펙트럼 (DMSO-d6중, δppm): 172.8, 172.5, 172.3, 171.9, 142.6, 128.0, 126.4, 71.0, 70.8, 67.2, 60.5, 59.0, 51.0, 50.7, 49.1, 41.2, 40.9, 40.4, 30.8, 24.1, 23.1, 22.9, 21.6, 21.3, 19.0, 16.9
아미노산 분석: 110 ℃ 에서 6N 염산 중에서 가수분해 72 시간 후 분석
루이신 (2 mol), 발린 (1 mol)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칼럼: YMC-Pack ODS-A, A312, 150 ×6.0 ㎜ (YMC)
이동상: 15 % (v/v) 아세토니트릴/0.02 M 포스페이트 완충액 (pH 4.5)
유속: 1.0 ㎖/분
검출: UV 흡착계, 214 ㎚
체류 시간: 39 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TLC):
고정상: 실리카겔 60F254, 0.25 ㎜ (Merck, 독일)
전개 용매: n-부탄올/아세트산/물 (12 : 3 : 5)
Rf: 0.54
실시예 7
(S)-3-[(2S,3R,4R,5S)-5-(N-아세틸-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모노소듐 염 (화합물 6)
탄산수소칼륨 수용액 (50 mM, 20 ㎖) 에 HC-70Ⅲ (화합물 3; 50 ㎎) 을 용해시키고, 아세트산 무수물 (22 ㎕) 을 첨가한 다음,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pH 6.5 로 조정하고, HP-20 (5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5 ㎖) 로 세척한 후, 물 (10 ㎖) 및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30 ㎖) 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화합물 6; 49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ppm): 0.84 (3H, d, J=6.4Hz), 0.87 (3H, d, J=6.5Hz), 1.44 (2H, t, J=7.2Hz), 1.57 (1H, m), 1.83 (3H, s), 2.53 (2H, d, J=6.8Hz), 3.45 (2H, m), 3.48 (1H, d, J=9.8Hz), 3.76 (1H, d, J=9.8Hz), 3.95 (1H, q like), 4.12 (1H, s), 4.30 (1H, q like), 5.11 (1H, q like), 7.16 (1H, m), 7.23 (2H, t like), 7.32 (1H, d, J=7.0Hz), 7.33 (2H, t like), 8.05 (1H, d, J=8.3Hz), 8.75 (1H, d, J=7.7Hz).
FAB-MS: m/z 536 (M+H)+
실시예 8
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화합물 7)
HC-70Ⅲ (화합물 3; 50 ㎎) 을 메탄올 (10 ㎖) 에 용해시키고, HCl-메탄올 시약 10 (10 ㎖, 도꾜 가세이 고교)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혼합물을 질소 기체 내에서 농축 건조시키고, 물 (10 ㎖) 로 희석하고, pH 6.5 로 조정하고, 물 (40 ㎖) 로 부가 희석하여 HP-20 (1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30 ㎖) 및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10 ㎖) 로 세척한 다음, 3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0 ㎖) 및 5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0 ㎖) 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을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 (화합물 7; 34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ppm): 0.86 (3H, d, J=6.6Hz), 0.89 (3H, d, J=6.7Hz), 1.24 (1H, ddd, J=4.8, 9.2, 13.5Hz), 1.46 (1H, ddd, J=4.4, 9.0, 13.5Hz), 1.75 (1H, m), 2.84 (1H, dd, J=7.4, 15.8Hz), 2.91 (1H, dd, J=6.8, 15.8Hz), 3.40-3.48 (3H, m), 3.51 (3H, s), 3.76 (1H, m), 3.97 (1H, q like), 4.11 (1H, br d, J=4.3Hz), 4.56 (1H, d, J=6.3Hz), 4.63 (1H, br s), 4.90 (1H, br d, J=6.0Hz), 5.24 (1H, br d, J=7.0Hz), 5.27 (1H, q like), 7.20-7.37 (5H, m), 7.45 (1H, br d, J=7.8Hz), 8.12 (1H, br d, J=8.9Hz).
FAB-MS: m/z 470 (M+H)+
참고예 1
(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 헥산산 (De-β-Phe-HC-70Ⅲ)
HC-70Ⅲ (화합물 3; 910 ㎎) 을 0.5N 수산화나트륨/H2O (200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37 ℃ 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반응혼합물을 pH 5 로 조정하고, SP-207 (10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300 ㎖) 로 세척하고, 유출액 및 세척액을 합하여 목탄 (과립 시라사기, 70 ㎖)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였다. 칼럼을 물 (210 ㎖) 로 세척한 후, 10 % (v/v) 이소프로필 알콜/H2O (210 ㎖) 로 용출하였다. 용출액을 농축하고, Sephadex G-10 (600 ㎖) 칼럼을 통과시키고, 물 (600 ㎖) 로 분획 용출을 수행하였다. De-β-Phe-HC-70Ⅲ 를 함유하는 분획을 농축 건조시키고, 잔여물을 물 (2 ㎖) 및 에탄올 (4 ㎖) 로 희석하고, 7 ℃ 에서 방치하였다. 생성 결정을 여과에 의해 회수하여 표제 화합물 (De-β-Phe-HC-70Ⅲ; 300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ppm): 0.86 (3H, d, J=7.1Hz), 0.89 (3H, d, J=7.3Hz), 1.36 (1H, m), 1.49 (1H, m), 1.67 (1H, m), 3.30 (1H, dd, J=3.9, 9.3Hz), 3.38 (1H, dd, J=6.3, 9.8Hz), 3.43 (1H, dd, J=9.3, 9.8Hz), 3.58 (1H, t like), 3.70 (1H, d, J=9.3Hz), 3.85 (1H, d, J=3.9Hz), 4.05 (1H, d like), 7.90 (1H, d, J=8.6Hz).
FAB-MS: m/z 309 (M+H)+
참고예 2
디페닐메틸 (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물 (20 ㎖)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5 ㎖) 내의 (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산산 (300 ㎎) 용액에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0.167 ㎖) 및 탄산수소나트륨 (245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 수성층을 1N 염산 (3 ㎖) 으로 산성화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100 ㎖ ×2) 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감압 하 농축한 후, 잔여물을 메탄올 (10 ㎖) 에 용해시킨 다음, 디페닐디아조메탄 (400 ㎎) 을 첨가하였다. 전체를 실온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0: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495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86-0.90 (6H, m), 1.49-1.76 (3H, m), 3.62-3.69 (2H, m), 3.83 (1H, m), 3.99 (1H, m), 4.16-4.27 (2H, m), 4.35 (1H, m), 4.56 (1H, d, J=1.8Hz), 5.05-5.08 (2H, m), 6.91 (1H, s), 7.24-7.38 (15H, m).
참고예 3
디페닐메틸 (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에이트
피리딘 (5 ㎖) 내의 (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에이트 (200 ㎎)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 (3 ㎖) 및 디메틸아미노피리딘 (4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에 1N 염산 (1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100 ㎖ ×2) 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2) 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256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1-0.95 (6H, m), 1.46-1.69 (3H, m), 1.81 (3H, s), 1.98 (3H, s), 2.07 (3H, s), 2.17 (3H, s), 3.86 (1H, dd, J=11.4Hz, 6.6Hz), 3.99-4.17 (2H, m), 4.47 (1H, m), 5.01-5.09 (2H, m), 5.22 (1H, d, J=1.8Hz), 5.40 (1H, d, J=9.6Hz), 5.52 (1H, d, J=9.6Hz), 6.37 (1H, d, J=8.8Hz), 6.76 (1H, s), 7.26-7.34 (16H, m).
참고예 4
(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 헥산산
디페닐메틸 (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에이트 (270 ㎎) 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 ㎖) 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0:1) 에 의해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214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2-0.96 (6H, m), 1.50-1.67 (3H, m), 1.96 (3H, s), 2.04 (3H, s), 2.06 (3H, s), 2.11 (3H, s), 3.83 (1H, m), 4.11-4.23 (3H, m), 4.52 (1H, m), 4.95 (1H, m), 5.07 (1H, m), 5.36 (1H, d, J=10.0Hz), 5.46 (1H, d, J=10.0Hz), 7.28-7.32 (5H, m).
실시예 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물 (5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2.00 g) 용액에 1N 염산 (4.83 ㎖) 을 첨가하였다. 막 필터를 사용하여 혼합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84 g)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1.02 (3H, d, J=6.4Hz), 1.03 (3H, d, J=6.4Hz), 1.60-1.80 (3H, m), 2.85 (1H, dd, J=16.0Hz, 7.0Hz), 3.65-4.40 (7H, m), 5.30-5.50 (1H, m), 7.20-7.45 (5H, m), 8.42 (1H, d, J=8.6Hz).
실시예 10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올 (4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1.84 g) 용액에 메탄올 (20 ㎖) 내의 디페닐디아조메탄 (1.45 g)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트산 (0.1 ㎖) 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에틸아세테이트 용액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2:1) 로 용출하여 표제 화합물 (2.05 g)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3 (3H, d, J=5.0Hz), 0.96 (3H, d, J=4.8Hz), 1.10-1.90 (3H, m), 3.02 (1H, dd, J=15.8Hz, 7.6Hz), 3.13 (1H, dd, J=15.8Hz, 5.8Hz), 3.35-4.35 (7H, m), 5.35-5.50 (1H, m), 6.73 (1H, s), 7.10-7.40 (15H, m).
실시예 11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메탄올 (1 ㎖) 내의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46 ㎎) 의 용액에 1N 염산 (0.396 ㎖) 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8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1.00 (3H, d, J=5.6Hz), 1.02 (3H, d, J=5.6Hz), 1.60-1.80 (3H, m), 3.04 (1H, dd, J=16.0Hz, 7.0Hz), 3.15 (1H, dd, J=16.0Hz, 5.4Hz), 3.55-4.40 (7H, m), 5.43 (1H, dd, J=7.6Hz, 5.4Hz), 6.73 (1H, s), 7.10-7.40 (15H, m).
실시예 12
에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500 ㎎) 의 용액에 에탄올 (200 ㎖) 내의 염화수소 28 %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아세토니트릴-물 (5: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물 (10 ㎖) 에 용해시키고,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중화하였다. 용액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을 통과시켜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클로로포름-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2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5-1.00 (6H, m), 1.07 (3H, t, J=6.8Hz), 1.40-1.80 (3H, m), 2.70-3.00 (2H, m), 3.00-5.50 (8H, m), 3.96 (2H, q, J=6.8Hz), 7.10-7.45 (5H, m), 8.00-8.30 (2H, m).
실시예 13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2.28 g) 및 0.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5 ㎖) 의 혼합물에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0.714 ㎖) 및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0 ℃ 에서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1N 염산 (20 ㎖) 으로 산성화하였다. 수용액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디에틸에테르-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51 g)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6 (3H, d, J=6.0Hz), 0.87 (3H, d, J=6.0Hz), 1.30-1.80 (3H, m), 2.60-3.00 (2H, m), 3.20-5.40 (8H, m), 5.04 (2H, s), 7.10-7.60 (11H, m), 8.16 (1H, d, J=8.8Hz).
실시예 14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올 (10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4.35 g) 용액에 메탄올 (100 ㎖) 내의 디페닐디아조메탄 (3.40 g) 용액을 빙냉 하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물 (200 ㎖) 에 현탁하였다. 현탁액에 탄산수소나트륨 (2.20 g) 및 벤질 클로로포르메이트 (18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95 g)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1-0.97 (6H, m), 1.55-1.78 (3H, m), 3.03-3.10 (2H, m), 3.63-3.73 (3H, m), 3.91 (1H, dd, J=9.6Hz, 1.4Hz), 4.16-4.23 (1H, d,J=1.4Hz), 5.10 (2H, s), 5.44 (1H, t, J=6.2Hz), 7.13-7.36 (20H, m).
실시예 15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0 ㎖) 내의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1.5 g) 의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0.86 g) 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실시예 13 과 동일한1H-NMR 을 나타냈다.
실시예 16
피발로일옥시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2 ㎖) 내의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 -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295 ㎎) 및 1,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스-7-엔 (0.082 ㎖) 용액에 디메틸포름아미드 (1 ㎖) 내의 요오도메틸 피발레이트 (139 ㎎)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에, 반응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10 % 시트르산 수용액,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10: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클로로포름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60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5 (3H, d, J=6.2Hz), 0.86 (3H, d, J=6.2Hz), 1.06 (9H, s), 1.30-1.80 (3H, m), 2.90-3.05 (2H, m), 3.20-5.40 (8H, m), 5.04 (2H, s), 5.61 (2H, s), 7.10-7.60 (7H, m).
실시예 17
피발로일옥시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탄올 (5 ㎖) 내의 피발로일옥시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150 ㎎) 용액에 10 % 팔라듐/활성탄 (3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01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6 (3H, d, J=5.8Hz), 0.89 (3H, d, J=5.8Hz), 1.07 (9H, s), 1.10-1.90 (3H, m), 2.97 (2H, d, J=6.2Hz), 3.20-5.40 (8H, m), 5.64 (2H, s), 7.15-7.45 (5H, m), 7.84 (1H, d, J=8.8Hz), 8.14 (1H, d, J=9.2Hz).
실시예 18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아미드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295 ㎎),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58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103 ㎎) 용액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에 용해시키고, 25 % 암모니아 수용액 (1 ㎖)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1N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였다.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킨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97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75-0.90 (6H, m), 0.95-1.80 (3H, m), 2.45-2.75 (2H, m), 3.25-5.65 (8H, m), 7.15-7.60 (10H, m).
실시예 1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아미드
메탄올 (10 ㎖) 내의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아미드 (200 ㎎) 용액에 10 % 팔라듐/활성탄 (5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에 의해 촉매를 제거한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40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7 (3H, d, J=6.0Hz), 0.89 (3H, d, J=6.0Hz), 1.10-2.20 (3H, m), 2.40-2.80 (2H, m), 3.10-5.40 (8H, m), 7.15-7.50 (5H, m), 7.79 (1H, d, J=7.8Hz), 8.34 (1H, d, J=8.4Hz).
실시예 20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1N 염산 (11 ㎖) 내의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3.40 g) 용액에 메탄올 (1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100 ㎖) 에 용해시키고, 디페닐디아조메탄 (3.88 g)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 (5.36 g)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3.07 (1H, d, J=7.0Hz), 3.50-5.80 (6H, m), 6.68 (1H, s), 7.10-7.20 (15H, m), 8.24 (1H, d, J=8.8Hz).
실시예 2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오르니틸)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히드로클로라이드
디메톡시에탄 (7.5 ㎖) 내의 Nα-벤질옥시카르보닐-Nδ-tert-부톡시카르보닐-L-오르니틴 (55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73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309 ㎎) 을 0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0 ℃ 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 (0.209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818 ㎎) 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7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1:20)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수소 대기 하에 4 시간 동안 10 % 팔라듐/활성탄 (200 ㎎) 과 함께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감압 하 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메탄올-아세토니트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376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50-2.30 (4H, m), 2.76-6.00 (12H, m), 7.10-7.50 (5H, m), 8.10-8.50 (2H, m).
실시예 22
(S)-3-[(2S,3R,4R,5S)-5-(α-L-글루타밀)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Nα-벤질옥시카르보닐-Nδ-tert-부톡시카르보닐-L-오르니틴 대신에 Nα-벤조일옥시카르보닐-L-글루탐산 γ-tert-부틸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실시예 21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1.80-2.30 (4H, m), 2.76-3.00 (2H, m), 3.50-6.00 (8H, m), 7.10-7.50 (5H, m).
실시예 23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O-메틸-L-세릴)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메톡시에탄 (7.5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O-메틸-L-세린 (38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73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309 ㎎) 을 0 ℃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0 ℃ 에서 24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 (0.209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818 ㎎) 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7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1:20 - 1:3) 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10 % 팔라듐/활성탄 (200 ㎎) 과 함께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에 물을 첨가하고, 전체를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감압 하 농축하여 잔여물을 수득하였다.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6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60-2.90 (2H, m), 3.26 (3H, s), 3.20-5.40 (8H, m), 7.10-7.50 (5H, m), 7.50-8.40 (2H, m).
실시예 24
(S)-3-[(2S,3R,4R,5S)-5-(O-벤질-L-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5 ㎖) 내의 O-벤질-N-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린 (329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15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06 ㎎)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에 용해시킨 다음, 트리에틸아민 (0.139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545 ㎎) 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1:20)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수소 대기 (3 - 4 atm) 하에 팔라듐 히드록시드/탄소 (100 ㎎) 와 함께 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CHP-20P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을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97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55 (2H, m), 3.20-5.40 (10H, m), 4.50 (2H, s), 7.10-7.50 (10H, m), 7.84 (1H, d, J=8.8Hz), 8.29 (1H, d, J=11.4Hz).
실시예 25
디페닐메틸 (S)-3-[(2S,3R,4R,5S)-5-(O-tert-부틸-N-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L-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아세토니트릴 (7.5 ㎖) 내의 O-tert-부틸-N-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L-세린 (575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73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309 ㎎) 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 ㎖) 에 용해시킨 다음,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139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로클로라이드 (545 ㎎) 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에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디에틸에테르-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156 g)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9 (9H, s), 2.86-6.00 (15H, m), 6.80 (1H, s), 7.05-8.20 (23H, m).
실시예 26
디페닐메틸 (S)-3-[(2S,3R,4R,5S)-5-(O-tert-부틸-L-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S)-3-[(2S,3R,4R,5S)-5-(O-tert-부틸-N-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L-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874 ㎎) 에 피페리딘 (5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 (1:2)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에틸에테르-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39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12 (9H, s), 3.05 (3H, d, J=7.0Hz), 3.20-5.40 (8H, m), 6.67 (1H, s), 7.10-7.40 (15H, m), 7.74 (1H, d, J=8.0Hz), 8.15 (1H, d, J=9.0Hz).
실시예 27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세릴)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O-tert-부틸-L-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300 ㎎) 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물로 추출하였다. 수성층을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08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2.65-3.00 (2H, m), 3.20-5.60 (10H, m), 7.15-7.50 (5H, m).
실시예 28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이소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20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이소루이신 (1114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506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867 ㎎)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1369 ㎎) 및 트리에틸아민 (0.558 ㎖) 의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 내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96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1.0 g) 과 함께 수소 대기하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N 염산을 첨가한 후, 전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99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70-0.95 (6H, m), 1.20-1.90 (3H, m), 2.50-3.00 (2H, m), 3.10-4.20 (7H, m), 5.10-5.30 (1H, m), 7.10-7.40 (5H, m), 7.90 (1H, d, J=8.0Hz), 8.30 (1H, d, J=8.0Hz).
실시예 29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리딘 (5 ㎖) 내의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00 ㎎) 용액에 무수 아세트산 (3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일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 에 용해시키고, 1N 염산,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킨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1:1) 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85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Cl3) δ: 0.93-0.95 (6H, m), 1.51-1.78 (3H, m), 1.87 (3H, s), 1.99 (3H, s), 2.07 (3H, s), 2.16 (3H, s), 2.81 (1H, dd, J=16.1Hz, 5.6Hz), 3.12 (1H, dd, J=16.1Hz, 4.4Hz), 3.85 (1H, dd, J=11.4Hz, 6.6Hz), 4.05 (1H, dd, J=11.4Hz, 6.6Hz), 4.49 (1H, m), 5.02 (1H, m), 5.10 (2H, s), 5.23 (1H, d, J=1.8Hz), 5.33 (1H, dd, J=10.0Hz, 1.8Hz), 5.41 (1H, m), 5.51 (1H, m), 6.36 (1H, m), 6.76 (1H, s), 7.01-7.34 (21H, m).
실시예 30
(S)-3-[(2S,3R,4R,5S)-5-(L-알라닐)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30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알라닌 (234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23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17 ㎎)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 내의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342 ㎎) 및 트리에틸아민 (0.139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200 ㎎) 과 함께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에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312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20 (3H, d, J=7.0Hz), 2.60-2.80 (2H, m), 3.30-4.20 (6H, m), 5.10-5.30 (1H, m), 7.70-7.90 (1H, m), 8.30-8.50 (1H, m).
실시예 3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메틸포름아미드 (50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린 (460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500 ㎎) 용액에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298 ㎎) 및 트리에틸아민 (0.191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에 0.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100 ㎖) 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 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수소 대기 하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150 ㎎) 과 함께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66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2O) δ: 0.85-1.10 (6H, m), 2.10 (1H, m), 2.65 (2H, d, J=6.9Hz), 3.54-3.81 (5H, m), 4.19-4.26 (2H, m), 5.07 (1H, t, J=6.9Hz), 7.24 (5H, br s).
실시예 32
(S)-3-[(2S,3R,4R,5S)-5-((S)-2-아미노펜타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펜탄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1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0.79 (3H, t, J=6.8Hz), 1.23 (2H, m), 1.73 (2H, m), 2.61 (2H, d, J=7.0Hz), 3.53-3.92 (5H, m), 4.17-4.24 (2H, m), 5.06 (1H, t, J=7.0Hz), 7.17-7.23 (5H, m).
실시예 33
(S)-3-[(2S,3R,4R,5S)-5-((S)-2-아미노부티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500 ㎎) 용액에 실온에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9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561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50 ㎖) 내의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722 ㎎) 및 트리에틸아민 (0.558 ㎖)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테트라히드로푸란 (1:1, 50 ㎖ ×3) 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5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수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10 % 팔라듐/활성탄 (200 ㎎) 과 함께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0.1N 염산 (0.1 ㎖) 에 용해시키고,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을 통과시켜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0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1.05 (3H, t, J=7.6Hz), 1.85-1.96 (2H, m), 2.74 (2H, d, J=6.4Hz), 3.68-3.91 (5H, m), 4.30-4.33 (2H, m), 5.32 (1H, t, J=6.4Hz), 7.24-7.42 (5H, m).
실시예 34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페닐알라닐)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페닐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2.59 (2H, d, J=6.4Hz), 2.94 (1H, dd, J=14.0Hz, 9.0Hz), 3.18 (1H, dd, J=14.0Hz, 5.4Hz), 3.44-3.76 (4H, m), 4.09-4.21 (3H, m), 5.08 (1H, t, J=6.4Hz), 7.17-7.25 (10H, m).
실시예 35
(S)-3-[(2S,3R,4R,5S)-5-((S)-3-아세틸아미노-2-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3-아세틸아미노-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1.87 (3H, s), 2.58 (2H, d, J=7.0Hz), 3.36-3.79 (6H, m), 4.04 (1H, m), 4.16-4.24 (2H, m), 5.08 (1H, t, J=7.0Hz), 7.23 (5H, br s).
실시예 36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프롤릴)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프롤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1.85-1.98 (3H, m), 2.34 (1H, m), 2.58 (2H, d, J=7.0Hz), 3.16-3.32 (2H, m), 3.48-3.77 (4H, m), 4.18-4.30 (3H, m), 5.06 (1H, t, J=7.0Hz), 7.21-7.26 (5H, m).
실시예 37
(S)-3-[(2S,3R,4R,5S)-5-((S)-2-아미노-5,5,5-트리플루오로펜타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5,5,5-트리플루오로펜탄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1.95-2.30 (4H, m), 2.58 (2H, d, J=6.8Hz), 3.49-3.78 (4H, m), 3.98 (1H, t, J=8.4Hz), 4.18-4.24 (2H, m), 5.06 (1H, t, J=6.8Hz), 7.21-7.24 (5H, m).
실시예 38
(S)-3-[(2S,3R,4R,5S)-5-((S)-2-아미노-4,4,4-트리플루오로부티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4,4,4-트리플루오로부티르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2.74 (2H, d, J=6.8Hz), 2.87-2.99 (2H, m), 3.64-3.98 (4H, m), 4.34-4.41 (3H, m), 5.21 (1H, t, J=6.8Hz), 7.30-7.60 (5H, m).
실시예 39
(S)-3-[(2S,3R,4R,5S)-5-((S)-2-아미노-3-(메탄술포닐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메탄술포닐아미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2.70 (2H, d, J=7.0Hz), 3.06 (3H, s), 3.54-3.89 (6H, m), 4.17 (1H, t, J=6.6Hz), 4.28-4.35 (2H, m), 5.18 (1H, t, J=7.0Hz), 7.20-7.36 (5H, m).
실시예 40
(S)-3-[(2S,3R,4R,5S)-5-((S)-2-아미노-5-플루오로펜타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5-플루오로펜탄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1.80-2.15 (3H, m), 2.30-2.55 (1H, m), 2.69 (2H, d, J=6.6Hz), 3.33-3.42 (2H, m), 3.60-3.87 (4H, m), 4.28-4.40 (3H, m), 5.17 (1H, t, J=6.6Hz), 7.32-7.34 (5H, m).
실시예 41
(S)-3-[(2S,3R,4R,5S)-5-((S)-2-아미노-3-(포르밀아미노)프로피오닐)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포르밀아미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3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2.70 (2H, d, J=7.0Hz), 3.59-3.98 (7H, m), 4.17-4.33 (2H, m), 5.19 (1H, t, J=7.0Hz), 7.33-7.35 (5H, m), 8.11 (1H, s).
실시예 42
디페닐메틸 (S)-3-[(2S,3R,4R,5S)-5-(N-tert-부톡시카르보닐-O-(4-메톡시벤질)-L-호모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O-tert-부틸-N-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르보닐-L-세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O-(4-메톡시벤질)-L-호모세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25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1.37 (9H, s), 1.60-2.10 (2H, m), 3.05 (2H, d, J=6.6Hz), 3.20-5.40 (12H, m), 3.73 (3H, s), 6.67 (1H, s), 6.80-7.40 (19H, m).
실시예 43
(S)-3-[(2S,3R,4R,5S)-5-(L-호모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실온에서 디페닐메틸 (S)-3-[(2S,3R,4R,5S)-5-(N-tert-부톡시카르보닐-O-(4-메톡시벤질)-L-호모세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00 ㎎) 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의 4N 염화수소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디에틸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수성층을 DIAION CHP-20P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1.40-2.00 (2H, m), 2.55-2.80 (2H, m), 3.00-5.30 (9H, m), 7.10-7.40 (5H, m).
실시예 44
(S)-3-[(2S,3R,4R,5S)-5-((S)-2-아미노-3-시아노프로피오닐)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시아노프로피온산 (30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77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303 ㎎)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503 ㎎) 및 트리에틸아민 (0.410 ㎖) 용액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 (100 ㎖ ×2) 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에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75 ㎎) 을 수득하였다.
1H-NMR (D2O) δ: 2.60 (2H, d, J=6.4Hz), 3.48-3.79 (4H, m), 4.13-4.26 (3H, m), 5.18 (1H, t, J=6.4Hz), 7.15-7.35 (5H, m).
실시예 45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메티오닐)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 (15 ㎖) 내의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 (26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32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27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실온에서 여액에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356 ㎎), 트리에틸아민 (0.217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50 ㎖)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3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310 ㎎) 을 수득하였다.
1H-NMR (D2O) δ: 2.12 (3H, s), 2.20 (2H, m), 2.62 (2H, t, J=7.3Hz), 2.74 (1H, d, J=6.9Hz), 3.60-3.94 (4H, m), 4.16 (1H, t, J=6.7Hz), 4.33-4.40 (2H, m), 5.20 (1H, t, J=6.9Hz), 7.30-7.48 (5H, m).
실시예 46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메틸-L-시스테이닐)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S-메틸-L-시스테인을 사용하여 실시예 45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2.05 (3H, s), 2.56-2.86 (4H, m), 3.40-3.80 (11H, m), 4.05 (1H, m), 4.13 (1H, s), 5.22 (1H, m), 7.19-7.37 (5H, m), 7.84 (1H, d, J=8.8Hz), 8.24 (1H, d, J=8.8Hz).
실시예 47
(S)-3-[(2S,3R,4R,5S)-5-((S)-2-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7.5 ㎖) 내의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펜텐산 (22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18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10 ㎎)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에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342 ㎎), 트리에틸아민 (0.28 ㎖)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40 ㎖) 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한 다음, 동결 건조하였다. 잔여물을 Sephadex LH-20 (파르마시아, 스웨덴)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7 ㎎) 을 수득하였다.
1H-NMR (D2O) δ: 2.64-2.76 (4H, m), 3.62-3.82 (2H, m), 3.89 (1H, d, J=9.8Hz), 4.12 (1H, m), 4.35 (2H, m), 5.20 (1H, t, J=6.8Hz), 5.25-5.35 (2H, m), 5.77 (1H, m), 7.30-7.46 (5H, m).
실시예 48
(S)-3-[(2S,3R,4R,5S)-5-(L-알라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2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알라닌 (50 ㎎) 용액에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47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51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00 ㎎) 및 트리에틸아민 (0.031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0.956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1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에서 1 시간 동안 10 % 팔라듐/활성탄 (50 ㎎) 과 함께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을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75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3-1.00 (6H, m), 1.55 (3H, d, J=7.4Hz), 1.60-1.80 (3H, m), 2.68 (2H, d, J=6.6Hz), 3.65-3.72 (3H, m), 3.86-3.93 (2H, m), 4.15-4.36 (3H, m), 5.31 (1H, t, J=6.6Hz), 7.22-7.41 (5H, m).
실시예 4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메틸글리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벤질옥시카르보닐-L-알라닌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N-메틸글리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48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4 (3H, d, J=5.8Hz), 0.98 (3H, d, J=3.2Hz), 1.60-1.80 (3H, m), 2.63 (2H, d, J=6.2Hz), 2.72 (3H, s), 3.66-3.76 (3H, m), 3.83-3.85 (3H, m), 4.14 (1H, t, J=6.2Hz), 4.27-4.35 (2H, m), 5.32 (1H, t, J=6.2Hz), 7.20-7.40 (5H, m).
실시예 50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페닐알라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벤질옥시카르보닐-L-알라닌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페닐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48 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4 (3H, d, J=6.4Hz), 0.97 (3H, d, J=7.8Hz), 1.60-1.80 (3H, m), 2.72 (2H, d, J=6.6Hz), 3.05 (1H, dd, J=14.4Hz, 8.0Hz), 3.30 (1H, dd, J=14.4Hz, 4.2Hz), 3.66-3.78 (3H, m), 3.91 (1H, m), 4.02 (1H, m), 4.22 (1H, t, J=6.6Hz), 4.30-4.36 (2H, m), 5.33 (1H, t, J=6.6Hz), 7.20-7.39 (10H, m).
실시예 5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리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3 ㎖) 내의 Nα-벤질옥시카르보닐-Nε-tert-부톡시카르보닐-L-리신 (126 ㎎) 용액에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64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69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14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042 ㎖) 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1.3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100 ㎎) 과 함께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칼럼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8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7 (3H, d, J=6.0Hz), 1.00 (3H, d, J=6.0Hz), 1.40-2.00 (10H, m), 2.74 (1H, m), 2.93-2.99 (2H, m), 3.61-3.73 (3H, m), 3.84-4.00 (2H, m), 4.22-4.46 (3H, m), 5.37 (1H, m), 7.23-7.41 (5H, m).
실시예 52
(S)-3-[(2S,3R,4R,5S)-5-(α-L-글루타밀-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3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글루탐산 γ-tert-부틸 에스테르 (101 ㎎) 용액에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64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69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14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042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1.3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 10 % 팔라듐/활성탄 (100 ㎎) 과 함께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24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70 (3H, d, J=6.2Hz), 0.74 (3H, d, J=8.0Hz), 1.38-1.60 (3H, m), 1.70-2.05 (2H, m), 2.21-2.35 (2H, m), 2.40-2.64 (2H, m), 3.44-3.47 (3H, m), 3.63-3.68 (2H, m), 3.97 (1H, t, J=7.6Hz), 4.09-4.15 (2H, m), 5.12 (1H, m), 6.98-7.17 (5H, m).
실시예 53
(S)-3-[(2S,3R,4R,5S)-5-(N-(4-아미노부티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78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4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71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115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한 잔여물을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10 % 팔라듐/활성탄 (70 ㎎) 과 함께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을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3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2 (3H, d, J=5.8Hz), 0.96 (3H, d, J=6.0Hz), 1.61-1.80 (3H, m), 1.91-2.01 (2H, m), 2.32 (1H, m), 2.46 (1H, q, J=5.8Hz), 2.65 (2H, d, J=7.0Hz), 2.92-3.04 (2H, m), 3.66-3.78 (3H, m), 3.89 (2H, d, J=9.6Hz), 4.15 (1H, t, J=6.2Hz), 4.29 (2H, m), 5.32 (1H, t, J=7.0Hz), 7.20-7.40 (5H, m).
실시예 54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오르니틸-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α,Nβ-비스벤질옥시카르보닐-L-오르니틴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2-0.98 (6H, m), 1.63-1.72 (7H, m), 2.65 (2H, d, J=6.6Hz), 2.90-2.92 (2H, m), 3.44 (1H, m), 3.65-3.75 (3H, m), 3.88 (1H, dd, J=9.8Hz, 1.8Hz), 4.19 (1H, dt, J=6.2Hz, 1.8Hz), 4.31 (1H, d, J=1.2Hz), 4.45 (1H, t, J=7.4Hz), 5.32 (1H, t, J=6.6Hz), 7.20-7.41 (5H, m).
실시예 55
(S)-3-[(2S,3R,4R,5S)-5-(L-아스파라기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아스파라긴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2-0.99 (6H, m), 1.60-1.80 (3H, m), 2.69 (2H, d, J=7.0Hz), 2.80 (1H, dd, J=16.8Hz, 7.4Hz), 2.95 (1H, dd, J=16.8Hz, 5.2Hz), 3.67-3.75 (3H, m), 3.88 (1H, m), 4.07-4.22 (2H, m), 4.30-4.40 (2H, m), 5.53 (1H, t, J=7.0Hz), 7.20-7.41 (5H, m).
실시예 56
(S)-3-[(2S,3R,4R,5S)-5-(L-글루타미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글루타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3-1.02 (6H, m), 1.60-1.80 (3H, m), 2.10-2.20 (2H, m), 2.48-2.60 (2H, m), 2.91-2.98 (2H, m), 3.68-4.55 (8H, m), 5.42 (1H, m), 7.29-7.37 (5H, m).
실시예 57
(S)-3-[(2S,3R,4R,5S)-5-(N-((S)-3-아세틸아미노-2-아미노프로피오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3-아세틸아미노-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3-1.00 (6H, m), 1.64-1.70 (3H, m), 1.98 (3H, s), 2.70 (2H, d, J=6.8Hz), 3.51-3.98 (7H, m), 4.21-4.41 (3H, m), 5.33 (1H, t, J=6.8Hz), 7.20-7.43 (5H, m).
실시예 58
(S)-3-[(2S,3R,4R,5S)-5-(N-((S)-2,3-디아미노프로피오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3-(비스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0.74-0.81 (6H, m), 1.40-1.65 (3H, m), 2.59 (2H, d, J=7.0Hz), 2.98 (1H, dd, J=15.2Hz, 7.6Hz), 3.15 (1H, dd, J=15.2Hz, 5.8Hz), 3.46-3.78 (5H, m), 4.09-4.30 (3H, m), 5.06 (1H, t, J=7.0Hz), 7.18-7.27 (5H, m).
실시예 5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O-메틸-L-트레오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O-메틸-L-트레오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4-1.01 (6H, m), 1.15 (3H, d, J=6.6Hz), 1.62-1.73 (3H, m), 2.75-3.00 (2H, m), 3.43 (3H, s), 3.60-3.74 (4H, m), 3.88-3.94 (2H, m), 4.12-4.22 (2H, m), 4.33 (1H, s), 5.37 (1H, t, J=6.2Hz), 7.32-7.38 (5H, m).
실시예 60
(S)-3-[(2S,3R,4R,5S)-5-(N-((S)-2-아미노-3-시클로헥실프로피오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3-시클로헥실프로피온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0.77-1.13 (11H, m), 1.50 (11H, m), 2.58 (2H, d, J=5.8Hz), 3.54-4.22 (8H, m), 5.05 (1H, t, J=5.8Hz), 7.23 (5H, br s).
실시예 61
(S)-3-[(2S,3R,4R,5S)-5-(N-((S)-2-아미노-5,5,5-트리플루오로펜타노일)-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S)-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5,5,5-트리플루오로펜탄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2O) δ: 0.75-0.81 (6H, m), 1.42-1.60 (3H, m), 1.98-2.22 (4H, m), 2.59 (2H, d, J=6.6Hz), 3.43-3.59 (3H, m), 3.73-3.95 (2H, m), 4.08-4.36 (3H, m), 5.06 (1H, t, J=6.6Hz), 7.15-7.35 (5H, m).
실시예 62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80-1.00 (12H, m), 1.00-1.90 (6H, m), 2.60-2.80 (2H, m), 3.20-5.30 (9H, m), 7.10-7.60 (5H, m).
실시예 63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이소루이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70-1.80 (18H, m), 2.60-2.90 (2H, m), 3.00-5.30 (9H, m), 7.10-7.50 (5H, m).
실시예 64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O-메틸-L-세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O-메틸-L-세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5 (3H, d, J=6.0Hz), 0.88 (3H, d, J=6.0Hz), 1.40-1.70 (3H, m), 2.70-2.80 (2H, m), 3.25 (3H, s), 3.10-5.30 (10H, m), 7.10-7.60 (5H, m), 8.00-8.40 (2H, m).
실시예 65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2-페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2-페닐글리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70-1.00 (6H, m), 1.50-1.70 (3H, m), 2.60-2.80 (2H, m), 3.40-5.50 (9H, m), 7.10-7.60 (10H, m).
실시예 66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메틸-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4-(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N-메틸-L-발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53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70-1.00 (12H, m), 1.40-1.90 (4H, m), 2.19 (3H, s), 2.50-5.30 (11H, m), 7.10-7.50 (6H, m), 8.03 (1H, d, J=9.2Hz), 8.20 (1H, d, J=8.8Hz).
실시예 67
(S)-3-[(2S,3R,4R,5S)-5-(N-((S)-2-아미노부티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7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4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71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실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115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일 동안 교반한 다음,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 4N 염화수소 용액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08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4-1.09 (9H, m), 1.62-1.72 (3H, m), 1.84-1.98 (2H, m), 2.69 (2H, d, J=6.4Hz), 3.68-3.83 (3H, m), 4.19-4.43 (5H, m), 5.32 (1H, t, J=6.4Hz), 7.22-7.43 (5H, m).
실시예 68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노르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노르발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67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3-1.02 (9H, m), 1.44-1.52 (2H, m), 1.62-1.74 (3H, m), 1.81-1.90 (2H, m), 2.69 (2H, d, J=6.2Hz), 3.68-3.83 (3H, m), 4.18-4.47 (5H, m), 5.32 (1H, t, J=6.2Hz), 7.19-7.43 (5H, m).
실시예 6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노르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노르루이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67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1-1.00 (9H, m), 1.37-1.50 (6H, m), 1.63-1.77 (3H, m), 1.87-1.94 (2H, m), 2.82-2.86 (2H, m), 3.64-3.72 (2H, m), 3.85-3.95 (2H, m), 4.09-4.23 (2H, m), 4.30-4.41 (2H, m), 5.37 (1H, t, J=6.6Hz), 7.23-7.42 (5H, m).
실시예 70
(S)-3-[(2S,3R,4R,5S)-5-(D-알라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히드로클로라이드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D-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67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2-1.01 (6H, m), 1.51 (3H, d, J=7.0Hz), 1.58-1.73 (3H, m), 2.66-2.71 (2H, m), 3.60-3.74 (2H, m), 3.91-4.02 (2H, m), 4.09-4.36 (4H, m), 5.33 (1H, m), 7.25-7.40 (5H, m).
실시예 71
(S)-3-[(2S,3R,4R,5S)-5-((β-시아노-L-알라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부티르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β-시아노-L-알라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67 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3-0.99 (6H, m), 1.61-1.82 (3H, m), 2.74-2.95 (4H, m), 3.62-3.92 (5H, m), 4.17-4.46 (3H, m), 5.37 (1H, t, J=6.6Hz), 7.26-7.38 (5H, m).
실시예 72
N-[(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닐]-L-알리닌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200 ㎎), L-알라닌 벤질 에스테르 p-톨루엔술포네이트 (238 ㎎) 및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183 ㎎) 용액에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140 ㎎) 및 트리에틸아민 (0.094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수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10 ㎖) 에 용해시키고, 10 % 팔라듐/활성탄 (60 ㎎) 과 함께 3 시간 동안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8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9-1.01 (6H, m), 1.26 (3H, d, J=7.4Hz), 1.70-1.73 (3H, m), 2.74-2.79 (2H, m), 3.67-3.82 (3H, m), 3.87-3.95 (2H, m), 4.12-4.32 (2H, m), 4.35 (1H, d, J=1.2Hz), 5.39 (1H, dd, J=7.0Hz, 5.4Hz), 7.20-7.39 (5H, m).
실시예 73
N-[(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닐]-L-루이신
L-알라닌 벤질 에스테르 p-톨루엔술포네이트 대신에 L-루이신 벤질 에스테르 p-톨루엔술포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2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79-1.00 (12H, m), 1.30-1.96 (6H, m), 2.78-2.81 (2H, m), 3.66-3.81 (3H, m), 3.85-3.92 (2H, m), 4.20-4.39 (3H, m), 5.38 (1H, t, J=6.0Hz), 7.20-7.34 (5H, m).
실시예 74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Oβ-메틸-α-L-아스파르틸)-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5 ㎖) 내의 N-tert-부톡시카르보닐-L-아스파르트산 β-메틸 에스테르 (194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56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95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200 ㎎) 및 트리에틸아민 (0.10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7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 (50 ㎖) 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에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92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3-1.00 (6H, m), 1.63-1.76 (3H, m), 2.74 (2H, d, J=6.3Hz), 2.87 (1H, dd, J=17.4Hz, 7.8Hz), 3.04 (1H, dd, J=17.4Hz, 5.4Hz), 3.65-3.69 (3H, m), 3.73 (3H, s), 3.86 (1H, dd, J=9.6Hz, 1.4Hz), 4.07 (1H, m), 4.21 (1H, m), 4.33-4.39 (2H, m), 5.34 (1H, t, J=6.3Hz), 7.20-7.43 (5H, m).
실시예 75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메톡시에탄 (50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2.09 g) 용액에 0 ℃ 에서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15 g)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06 g)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4 ℃ 에서 62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디클로로메탄-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3.00 g) 을 수득하였다.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에스테르 (148 ㎎) 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 ㎖) 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이 용액에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300 ㎎) 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0 % 시트르산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각각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75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2 (3H, d, J=5.8Hz), 0.95 (3H, d, J=5.8Hz), 1.20-1.80 (3H, m), 2.99 (1H, dd, J=15.8Hz, 7.4Hz), 3.10 (1H, dd, J=15.8Hz, 6.2Hz), 3.50-4.60 (9H, m), 5.08 (2H, s), 5.43 (1H, dd, J=7.4Hz, 6.2Hz), 6.95 (1H, s), 7.10-7.40 (20H, m).
실시예 76
(S)-3-[(2S,3R,4R,5S)-5-(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73 ㎖) 를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50 ㎎) 과 함께 1.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로 희석한 후,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54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4 (3H, d, J=6.2Hz), 0.99 (3H, d, J=6.2Hz), 1.10-1.85 (3H, m), 2.66 (1H, d, J=7.6Hz), 3.50-4.40 (9H, m), 5.33 (1H, t, J=7.6Hz), 7.10-7.45 (5H, m).
실시예 77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프롤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프롤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75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60-2.30 (13H, m), 3.00-5.40 (14H, m), 6.68 (1H, s), 7.05-7.45 (20H, m).
실시예 78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프롤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대신에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프롤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6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0-1.00 (6H, m), 1.40-2.20 (7H, m), 2.60-5.30 (13H, m), 7.15-7.45 (5H, m), 7.59 (1H, d, J=8.8Hz), 8.15-8.30 (2H, m).
실시예 79
디페닐메틸 (S)-3-[(2S,3R,4R,5S)-5-((O-벤질-N-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대신에 O-벤질-N-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75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5-0.95 (6H, m), 1.50-1.70 (3H, m), 2.97 (1H, dd, J=14.6Hz, 7.0Hz), 3.09 (1H, dd, J=14.6Hz, 6.6Hz), 3.60-4.50 (10H, m), 4.47 (1H, d, J=11.6Hz), 4.56 (1H, d, J=11.6Hz), 5.05 (1H, d, J=12.0Hz), 5.13 (1H, d, J=12.0Hz), 5.43 (1H, dd, J=7.0Hz, 6.6Hz), 6.72 (1H, s), 7.10-7.40 (20H, m).
실시예 80
(S)-3-[(2S,3R,4R,5S)-5-((O-벤질-L-세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대신에 디페닐메틸 (S)-3-[(2S,3R,4R,5S)-5-((O-벤질-N-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6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3 (3H, d, J=6.6Hz), 0.96 (3H, d, J=6.6Hz), 1.05-1.80 (3H, m), 2.76 (2H, d, J=6.6Hz), 3.50-4.50 (10H, m), 4.62 (2H, s), 5.30-5.50 (1H, m), 7.15-7.50 (10H, m).
실시예 8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세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20 ㎖) 내의 O-벤질-N-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린 (228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83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143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6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300 ㎎) 및 트리에틸아민 (0.092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1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2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3 atm) 하 실온에서 수산화팔라듐/탄소 (200 ㎎) 와 함께 1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을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시켰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6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4 (3H, d, J=5.8Hz), 0.98 (3H, d, J=5.8Hz), 1.60-1.85 (3H, m), 2.67 (2H, d, J=6.6Hz), 3.50-4.50 (10H, m), 5.33 (1H, t, J=6.6Hz), 7.15-7.50 (5H, m).
실시예 82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신 대신에 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75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75-0.95 (12H, m), 1.40-2.10 (4H, m), 3.04 (1H, d, J=6.8Hz), 3.40-5.40 (9H, m), 5.04 (2H, s), 6.68 (1H, s), 7.10-7.50 (20H, m), 7.98 (1H, d, J=7.6Hz), 8.16 (1H, d, J=9.2Hz).
실시예 83
디페닐메틸 (S)-3-[(2S,3R,4R,5S)-6-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4-트리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리딘 (1 ㎖) 내의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00 ㎎) 용액에 아세트산 무수물 (0.0243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20: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03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80-1.05 (12H, m), 1.45-2.20 (4H, m), 2.02 (3H, s), 3.03 (1H, dd, J=13.4Hz, 8.4Hz), 3.21 (1H, dd, J=13.4Hz, 9.6Hz), 3.60-4.60 (8H, m), 5.08 (2H, s), 5.40-5.50 (1H, m), 6.73 (1H, s), 7.10-7.40 (20H, m).
실시예 84
(S)-3-[(2S,3R,4R,5S)-6-아세톡시-2,3,4-트리히드록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대신에 디페닐메틸 (S)-3-[(2S,3R,4R,5S)-6-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4-트리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6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90-1.15 (12H, m), 1.50-2.30 (4H, m), 2.03 (3H, s), 2.80 (2H, d, J=6.6Hz), 5.32 (1H, t, J=6.6Hz), 7.10-7.50 (5H, m).
실시예 85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디히드록시-4,6-(O-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테트라히드로푸란 (5 ㎖) 내의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00 ㎎) 용액에 2,2-디메톡시프로판 (0.288 ㎖) 및 p-톨루엔술폰산 모노히드레이트 (4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첨가 후,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83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80-1.10 (12H, m), 1.10-2.10 (4H, m), 1.34 (3H, s), 1.44 (3H, s), 2.80-3.10 (2H, m), 3.30-4.40 (8H, m), 5.05 (1H, d, J=12.4Hz), 5.13 (1H, d, J=12.4Hz), 6.81 (1H, s), 7.10-7.40 (20H, m).
실시예 86
(S)-3-[(2S,3R,4R,5S)-2,3-디히드록시-4,6-(O-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5-(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글리실)-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대신에 디페닐메틸 (S)-3-[(2S,3R,4R,5S)-5-((N-벤질옥시카르보닐-L-발릴)-L-루이실)아미노-2,3-디히드록시-4,6-(O-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를 사용하여 실시예 76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CD3OD) δ: 0.79 (3H, d, J=6.8Hz), 0.80-0.95 (9H, m), 1.33 (3H, s), 1.40 (3H, s), 1.30-2.10 (4H, m), 2.55-2.90 (3H, m), 3.00-5.50 (11H, m), 7.10-7.40 (5H, m), 8.00-8.45 (3H, m).
실시예 87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트립토파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30 ㎖) 내의 N-벤질옥시카르보닐-L-트립토판 (355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127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217 ㎎) 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10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456 ㎎) 및 트리에틸아민 (0.139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9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전체를 에틸아세테이트-아세토니트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에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200 ㎎) 과 함께 2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키고 아세토니트릴-물 (4: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32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91 (3H, d, J=6.2Hz), 0.95 (3H, d, J=6.2Hz), 1.50-1.80 (3H, m), 2.69 (2H, d, J=6.2Hz), 3.20-4.50 (10H, m), 5.33 (1H, t, J=6.2Hz), 6.95-7.50 (9H, m), 7.73 (1H, d, J=7.4Hz).
실시예 88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2-아미노이소부티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이소부티르산 (81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4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71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061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30 ㎖) 에 용해시키고, 수소 대기 하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70 ㎎) 과 함께 1 일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14 ㎎) 을 수득하였다.
1H-NMR (D2O) δ: 0.89 (3H, d, J=5.4Hz), 0.94 (3H, d, J=5.8Hz), 1.62 (3H, s), 1.64 (3H, s), 1.60-1.85 (3H, m), 2.74 (2H, d, J=7.0Hz), 3.60-3.80 (3H, m), 3.90 (1H, d, J=9.9Hz), 4.22-4.48 (3H, m), 5.21 (1H, t, J=7.0Hz), 7.32-7.48 (5H, m).
실시예 89
(S)-3-[(2S,3R,4R,5S)-5-(N-(1-아미노시클로헥실)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2-(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이소부티르산 대신에 1-(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노)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을 사용하여 실시예 88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4-0.90 (6H, m), 1.10-1.84 (13H, m), 2.69-2.75 (2H, m), 3.15-4.09 (10H, m), 4.13 (1H, s), 4.38 (1H, m), 5.20-5.28 (2H, m), 5.76 (1H, m), 7.21-7.40 (5H, m), 7.49 (1H, m), 8.10-8.28 (2H, m).
실시예 90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메티오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 (86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4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71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061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5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5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60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4-0.91 (6H, m), 1.45-1.99 (5H, m), 2.03 (3H, s), 2.47-2.56 (2H, m), 2.69-2.75 (2H, m), 3.40-4.00 (6H, m), 4.13 (1H, s), 4.37 (1H, m), 5.21 (1H, m), 7.21-7.38 (5H, m), 7.49 (1H, br d, J=8.8Hz), 8.18 (1H, m), 8.29 (1H, br d, J=7.0Hz).
실시예 9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메틸-L-시스테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S-메틸-L-시스테인으로 실시예 90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4-0.91 (6H, m), 1.46-1.73 (3H, m), 1.91 (2H, m), 2.05 (3H, s), 2.55-2.88 (4H, m), 3.40-4.09 (6H, m), 4.13 (1H, s), 4.38 (1H, m), 5.22 (1H, m), 7.21-7.38 (5H, m), 7.50 (1H, br d, J=8.4Hz), 8.14-8.25 (2H, m).
실시예 92
(S)-3-[(2S,3R,4R,5S)-5-(N-((S)-2-아미노-4-펜테노일)-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 대신에 (S)-2-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4-펜텐산으로 실시예 90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84-0.90 (6H, m), 1.43-1.64 (3H, m), 2.12-2.48 (2H, m), 2.69-2.75 (2H, m), 3.40-4.09 (6H, m), 4.13 (1H, s), 4.38 (1H, m), 5.00-5.28 (3H, m), 5.76 (1H, m), 7.21-7.40 (5H, m), 7.49 (1H, br d, J=8.6Hz), 8.13 (1H, br d, J=7.6Hz), 8.28 (1H, br d, J=10.8Hz).
실시예 93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S)-2-피롤리돈-5-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L-피로글루탐산 (44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41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71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30 ㎖) 내의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3)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061 ㎖)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2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Sephadex LH-20 (파르마시아, 스웨덴) 칼럼에 통과시켜 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4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4 (3H, d, J=6.2Hz), 0.97 (3H, d, J=6.6Hz), 1.62-1.78 (3H, m), 2.11-2.48 (4H, m), 2.89 (2H, t, J=6.4Hz), 3.65-3.72 (3H, m), 3.91 (1H, d, J=9.8Hz), 4.19-4.26 (2H, m), 4.32 (1H, d, J=1.4Hz), 4.50 (1H, m), 5.38 (1H, t, J=6.4Hz), 7.23-7.42 (5H, m).
실시예 94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N,N-디메틸-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 (4 ㎖) 내의 N,N-디메틸-L-발린 (58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50 ㎎) 용액에 디에틸 시아노포스포네이트 (82 ㎎) 및 트리에틸아민 (0.14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전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82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70-0.95 (12H, m), 1.00-2.00 (4H, m), 2.17 (6H, s), 3.04 (2H, d, J=7.0Hz), 3.30-5.40 (12H, m), 6.67 (1H, s), 7.10-7.40 (16H, m), 8.01 (1H, d, J=8.8Hz), 8.15 (1H, d, J=8.8Hz).
실시예 95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N-메틸-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아세토니트릴 (20 ㎖) 내의 (N-tert-부톡시카르보닐-L-발릴)-N-메틸-L-루이신 (240 ㎎)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88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151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디메틸포름아미드 (70 ㎖) 내의 (S)-3-[(2S,3R,4R,5S)-5-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화합물 5) (239 ㎎) 및 트리에틸아민 (0.097 ㎖) 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20 ㎖) 중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의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123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70-1.00 (12H, m), 1.00-2.20 (4H, m), 2.50-2.80 (2H, m), 2.86 (3/2H, s), 2.89 (3/2H, s), 3.00-5.30 (9H, m), 7.10-7.40 (5H, m).
실시예 96
(S)-3-[(2S,3R,4R,5S)-5-(N-((S)-2-아미노-3-메틸부틸)-L-루이실)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발리날 (240 ㎎) 및 디페닐메틸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오네이트 (278 ㎎) 의 메탄올 (10 ㎖) 내 용액에 0 ℃ 에서 소듐 시아노보로히드리드 (63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 에서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플러쉬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한 다음,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20:1) 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의 4N 염화수소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25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3 % TFA) δ: 0.85-1.10 (6H, m), 1.40-2.60 (4H, m), 2.70-2.90 (2H, m), 2.90-5.40 (9H, m), 7.20-7.45 (5H, m), 8.00-8.40 (2H, m).
실시예 97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2-(L-노르발릴)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노르발린 (54 ㎎) 의 아세토니트릴 (1 ㎖) 내 용액에 N-히드록시숙신이미드 (29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52 ㎎) 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디메틸포름아미드 (8 ㎖) 에 용해시키고, 용액에 (S)-3-[(2S,3R,4R,5S)-5-((S)-2-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110 ㎎) 및 트리에틸아민 (0.035 ㎖)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0 시간 동안 교반하고,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에 4N 염화수소의 에틸 아세테이트 (10 ㎖) 내 용액을 첨가하고, 전체를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의 칼럼에 통과시킨 다음,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디에틸에테르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6 ㎎) 을 수득하였다.
1H-NMR (DMSO-d6) δ: 0.86 (3H, t, J=7.0Hz), 1.20-1.80 (4H, m), 2.20-2.90 (4H, m), 3.30-5.90 (12H, m), 7.10-7.45 (5H, m), 7.54 (1H, d, J=7.8Hz), 8.28 (1H, d, J=12.8Hz).
실시예 98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2-(L-이소루이실)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노르발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이소루이신을 사용하여 실시예 97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0.75-0.95 (6H, m), 0.95-1.80 (3H, m), 2.10-2.90 (4H, m), 3.10-4.50 (8H, m), 4.95-5.90 (4H, m), 7.15-7.20 (5H, m).
실시예 99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2-(L-메티오닐)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
N-tert-부톡시카르보닐-L-노르발린 대신에 N-tert-부톡시카르보닐-L-메티오닌을 사용하여 실시예 97 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1H-NMR (DMSO-d6) δ: 1.50-2.10 (2H, m), 2.10-3.00 (6H, m), 2.03 (3H, s), 3.20-5.90 (9H, m), 7.15-7.40 (5H, m).
실시예 100
에틸 (S)-3-[(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4-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산산 (250 ㎎) 용액에 N-히드록시-5-노르보르넨-2,3-디카르복시이미드 (110 ㎎) 및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미드 (110 ㎎)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아세토니트릴 (10 ㎖) 내의 에틸 (S)-3-아미노-3-(4-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150 ㎎) 및 트리에틸아민 (0.13 ㎖) 용액을 첨가한 후, 전체를 실온에서 18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불용성 고형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에틸 아세테이트 (100 ㎖) 에 용해시키고, 포화 염수 (50 ㎖ ×2) 로 세척한 다음,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켰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통과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헥산 (2:1) 으로 용출하였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 (184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89-0.96 (6H, m), 1.15 (3H, q, J=7.2Hz), 1.45-1.73 (3H, m), 1.96 (3H, s), 2.01 (3H, s), 2.04 (3H, s), 2.08 (3H, s), 2.28 (3H, s), 2.76 (1H, dd, J=15.8Hz, 7.4Hz), 2.88 (1H, dd, J=15.8Hz, 7.4Hz), 3.80 (1H, dd, J=11.0Hz, 7.2Hz), 3.99-4.21 (7H, m), 4.51 (1H, t, J=7.4Hz), 5.07 (2H, s), 5.22 (1H, t, J=7.4Hz), 5.37 (2H, s), 7.10 (2H, d, J=8.0Hz), 7.18 (2H, d, J=8.0Hz), 7.30-7.36 (5H, m).
실시예 101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4-메틸페닐)프로피온산
메탄올 (10 ㎖) 내의 에틸 (S)-3-[(2S,3R,4R,5S)-2,3,4,6-테트라아세톡시-5-(N-벤질옥시카르보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4-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184 ㎎) 용액을 실온에서 10 % 팔라듐/활성탄 (100 ㎎) 과 함께 수소 대기 하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과 후, 여액을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 (10 ㎖) 에 용해시키고, 빙냉 하에, 용액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2 ㎖) 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빙냉 하 1 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1N 염산 (2.2 ㎖) 을 첨가하였다. 감압 하 농축 후, 잔여물을 DIAION HP-20SS (미쓰비시 가세이 코오포레이션) 칼럼에 통과시키고, 물-아세토니트릴로 용출시켰다. 유효 분획을 합하여 감압 하 농축하였다. 잔여물을 메탄올-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50 ㎎) 을 수득하였다.
1H-NMR (CD3OD) δ: 0.98-1.02 (6H, m), 1.60-1.85 (3H, m), 2.27 (3H, s), 2.67 (2H, d, J=6.4Hz), 3.65-3.74 (3H, m), 3.85-3.90 (2H, m), 4.24-4.31 (2H, m), 5.27 (1H, t, J=6.4Hz), 7.09 (2H, d, J=8.0Hz), 7.26 (2H, d, J=8.0Hz).
참고예 및 실시예에서 수득한 화합물의 구조식을 하기에 나타낸다. 약어 "Ac" 은 아세틸을 의미한다.
참고예 2 의 화합물
참고예 3 의 화합물
참고예 4 의 화합물
실시예 9 의 화합물
실시예 10 의 화합물
실시예 11 의 화합물
실시예 12 의 화합물
실시예 13 의 화합물
실시예 14 의 화합물
실시예 15 의 화합물
실시예 16 의 화합물
실시예 17 의 화합물
실시예 18 의 화합물
실시예 19 의 화합물
실시예 20 의 화합물
실시예 21 의 화합물
실시예 22 의 화합물
실시예 23 의 화합물
실시예 24 의 화합물
실시예 25 의 화합물
실시예 26 의 화합물
실시예 27 의 화합물
실시예 28 의 화합물
실시예 29 의 화합물
실시예 30 의 화합물
실시예 31 의 화합물
실시예 32 의 화합물
실시예 33 의 화합물
실시예 34 의 화합물
실시예 35 의 화합물
실시예 36 의 화합물
실시예 37 의 화합물
실시예 38 의 화합물
실시예 39 의 화합물
실시예 40 의 화합물
실시예 41 의 화합물
실시예 42 의 화합물
실시예 43 의 화합물
실시예 44 의 화합물
실시예 45 의 화합물
실시예 46 의 화합물
실시예 47 의 화합물
실시예 48 의 화합물
실시예 49 의 화합물
실시예 50 의 화합물
실시예 51 의 화합물
실시예 52 의 화합물
실시예 53 의 화합물
실시예 54 의 화합물
실시예 55 의 화합물
실시예 56 의 화합물
실시예 57 의 화합물
실시예 58 의 화합물
실시예 59 의 화합물
실시예 60 의 화합물
실시예 61 의 화합물
실시예 62 의 화합물
실시예 63 의 화합물
실시예 64 의 화합물
실시예 65 의 화합물
실시예 66 의 화합물
실시예 67 의 화합물
실시예 68 의 화합물
실시예 69 의 화합물
실시예 70 의 화합물
실시예 71 의 화합물
실시예 72 의 화합물
실시예 73 의 화합물
실시예 74 의 화합물
실시예 75 의 화합물
실시예 76 의 화합물
실시예 77 의 화합물
실시예 78 의 화합물
실시예 79 의 화합물
실시예 80 의 화합물
실시예 81 의 화합물
실시예 82 의 화합물
실시예 83 의 화합물
실시예 84 의 화합물
실시예 85 의 화합물
실시예 86 의 화합물
실시예 87 의 화합물
실시예 88 의 화합물
실시예 89 의 화합물
실시예 90 의 화합물
실시예 91 의 화합물
실시예 92 의 화합물
실시예 93 의 화합물
실시예 94 의 화합물
실시예 95 의 화합물
실시예 96 의 화합물
실시예 97 의 화합물
실시예 98 의 화합물
실시예 99 의 화합물
실시예 100 의 화합물
실시예 101 의 화합물
시험예 1
생체 외 항균 시험: 헬리코박터 필로리에 대한 생체 외 항균 활성 시험
시험 균주로서 헬로코박터 필로리 (NCTC 11637) 을 사용하여 HC-70Ⅰ (화합물 1) 및 HC-70Ⅱ (화합물 2) 를 하기와 같은 아가 희석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HC-70Ⅰ 및 HC-70Ⅱ 를 각각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키고,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샘플로 사용하기 위한 2중 희석 시리즈를 제조하였다. 7 % 말 혈액-보충 브루셀라 (Brucella) 아가를 배지로서 사용하여, 7 % 말 혈액-브루셀라 아가 18 ㎖ 와 각 샘플 2 ㎖ 를 혼합하여, 플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접종원을 제조하기 위해, 헬리코박터 필로리를 2.5 % 태아 송아지 혈청-브루셀라 브로스 내에서 37 ℃ 에서 20 시간 동안 CampyPak(상표명) [BBL Beckton Dickinson Microbiology Systems] 함유 가스 팩 용기를 사용하여 진탕 배양하였다. 2.5 % 태아 송아지 혈청-브루셀라 브로스로 약 106CFU/㎖ 로 조정된 각 세포 현탁액 5 ㎕ 를 분석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CampyPak(상표명) 및 수함침된 위생면 함유 가스 팩 용기 내에서 37 ℃ 에서 4 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균 성장율을 총체적으로 평가하고, 성장이 관찰되지 않은 최소 농도를 MIC (최소 억제 농도) 로서 기록하였다. MIC 값은 HC-70Ⅰ 및 HC-70Ⅱ 모두에 대해 0.025 (㎍/㎖) 였다.
시험예 2
생체 내 항균 시험:
마우스 (Crj:ICR, 수컷, 5주령) 를 20 시간 동안 금식시키고, 헬리코박터 필로리 TN2F4 107.79CFU/마우스를 위에 접종하였다. 감염 11 일 후, 0.5 % 메틸셀룰로오스/물에 현탁된 시험 화합물 50 ㎎/㎏ 을 조석으로 1 일 2 회, 2 일 연속 경구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다음 날, 위를 감염된 마우스로부터 분리하고, 호모게나이제이션하고, 호모게나이제이션액의 10 배 희석 시리즈를 활성 목탄-개질 스키로우(Skirrow) 배지 상에 접종하였다. 37 ℃ 에서 4 일 동안 호기적으로 배양하고, 세균 성장에 따라 근절률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세균 수는 평균 ±표준편차로 나타내며, 듀넷(Dunnett) 법에 의해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샘플 투여량 (㎎/㎏) 제거율 (%) 회수된 세균(Log CFU/위벽)
대조구(0.5 % 메틸셀룰로오스) 0 0/4 (0) 4.67 ±0.06
HC-70Ⅱ·HCl 50 4/4 (100) ND
HC-70Ⅲ 50 4/4 (100) ND
ND: 검출되지않음.
표 1 로부터, 50 ㎎/㎏ 의 투여량에서 HC-70-Ⅱ HCl (화합물 4) 및 HC-70-Ⅲ (화합물 3) 모두 100 % 제거율을 수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헬리코박터 필로리 관련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및 위암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임이 분명하다.
시험예 3
5 주령 MON/Jms/Gbs 몽고 게르빌에 107.58CFU 의 헬리코박터 필로리 TN2GF4 를 접종하였다. 감염 4 주 후, 0.5 % 메틸 셀룰로오스에 현탁된 실시예 47 의 화합물을 30 ㎎/㎏ 의 투여량으로 2 일 동안 1 일 2 회 경구 투여하였다. 동물들을 최종 처리 다음날에 치사시켰다. 위를 제거하여 3 ㎖ 브루셀라 브로스로 호모게나이제이션하고, 호모게나이제이션액 내의 세균 수를 연속 희석법 및 개량 스키로우 플레이트 상 적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플레이트를 계수 전에 호기적 조건 하에서, 37 ℃ 에서 4 일 동안 배양하였다. 최종 처리 다음 날, 위에서 어떠한 헬리코박터 필로리도 검출되지 않는 것을 제거로서 정의하였다.
실시예 47 의 화합물의 30 ㎎/㎏ 투여량으로 1 일 2 회, 2 일간 투여가 감염된 유기체 수를 감소시켰으며; 제거율은 2/4 게르빌로 수득되었다.
H. pylori TN2GF4 에 의한 MON/Jms/Gbs 몽고 게르빌의 위 감염에 대한 실시예 47 의 화합물의 반복 투여 효과
화합물 투여량 (㎎/㎏) 제거율제거/총 (%) 회수된 세균Log CFU/위벽평균 ±표준편차
담체 대조구 0 0/3 (0) 6.05 ±0.08
실시예 47 의 화합물 30 2/4 (50) 2.23 ±0.44**
** Dunnett 시험에 의한 p < 0.01 대 담체 대조구
시험예 4
위 점막 부착성 제제의 생체 내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효과
헬리코박터 필로리로 감염된 몽고 게르빌 (MON/Jms/Gbs) 를 제형예 3 에서 수득한 HC-70Ⅱ 함유 위 점막 부착성 제제 (표 3 에서 HC-70Ⅱ AdMMS-1) 및 HC-70-Ⅱ 함유 0.5 % 메틸셀룰로오스 현탁액 (표 3 에서 HC-70Ⅱ 현탁액) 를 각각 HC-70Ⅱ 로서 3 ㎎/㎏ 및 10 ㎎/㎏ 의 투여량으로 1 일 2 회, 연속 7 일간 투여하였다. 최종 투여 16 시간 후, 위를 절개하고, 위벽을 호모게나이제이션하여, 연속 희석액을 헬리코박터 필로리 선택 배지 상에 도말하였다. 접종 배지를 호기 조건 하 37 ℃ 에서 4 일 동안 배양하고, 생존 셀 수를 세었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제형 투여량 (㎎/㎏) 회수된 세균
HC-70Ⅱ Log CFU/위벽
평균 ±표준편차
대조구 0 6.69 ±0.19
HC-70Ⅱ AdMMs-1 3 4.11 ±1.08
HC-70Ⅱ 현탁액 10 4.09 ±0.80
HC-70Ⅱ 현탁액과 비교시, HC-70Ⅱ 함유 위 점막 부착성 제제는 HC-70Ⅱ 현탁액 투여량의 1/3 으로 HC-70Ⅱ 현탁액과 동일한 수준의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나타냈다.
제형예 1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치료용 제제로서 사용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염을 하기 투여 형태로 투여할 수 있다.
1. 캡슐제
(1) HC-70Ⅰ 100 ㎎
(2) 락토오스 90 ㎎
(3)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70 ㎎
(4)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10 ㎎
캡슐제 당 270 ㎎
(1), (2) 및 (3) 의 전량 및 (4) 의 1/2 을 혼합하고 과립화하였다. 과립에 (4) 의 나머지를 첨가하고, 전체 조성물을 젤라틴 캡슐 셸에 충전하였다.
2. 정제
(1) HC-70Ⅰ 100 ㎎
(2) 락토오스 35 ㎎
(3) 옥수수 전분 150 ㎎
(4)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30 ㎎
(5)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 ㎎
정제 당 320 ㎎
(1), (2) 및 (3) 전량, (4) 의 2/3, 및 (5) 의 1/2 을 혼합하고 과립화하였다. 과립에 (4) 및 (5) 의 나머지를 첨가하고, 전체 조성물을 압축하였다.
제형예 2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4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39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1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10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10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270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3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2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59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1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10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10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270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4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69 g) 의 혼합물을 80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1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10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20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240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5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3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49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1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10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10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270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6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2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59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1 g, 아크릴 중합체 (FX-214 (상표명), 비에프 굿리치 인더스트리사) 10.0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10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270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7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60 g) 의 혼합물을 80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30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6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4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396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8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1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50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30 g, 아크릴 중합체 (HIVISWAKO 104 (상표명), 와꼬 퓨어 케미칼 인더스트리사) 6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4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396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9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60 g) 의 혼합물을 80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30 g, 아크릴 중합체 (EX-214 (상표명), 비에프 굿리치 인더스트리사) 6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4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0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396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제형예 10
수소첨가 카스터 오일 (루브리왁스 101(상표명), 프레운드 인더스트리사) (10 g) 및 베헨산 헥사(테트라)글리세리드 (HB-310 (상표명), 사까모또 야꾸힝 고교사) (50 g) 의 혼합물을 85 ℃ 에서 용융시켰다. 이 용융물에, 화합물 2 (HC-70-Ⅱ) 30 g, 아크릴 중합체 (EX-214 (상표명), 비에프 굿리치 인더스트리사) 6 g, 및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L-HPC (상표명), 신-에쓰 케미칼사) 4 g 을 연속해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85 ℃ 일정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이 용융 혼합물을 50 g/분의 유속으로 3960 rpm 으로 회전하는 15 ㎝ 직경 알루미늄 디스크 상에 적하함으로써 42/119 메쉬 통과 구형 미세 과립을 수득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 은 헬리코박터 필로리로 대표되는 헬리코박터균에 특이적이며 높은 항균 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 (Ⅰ) 로써, 헬리코박터균 (특히 헬리코박터 필로리) 조절에 이용되는 기존 항균제와 비교시 현저히 감소된 투여량으로 목적하는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효율이 수득될 수 있다.
화합물 (Ⅰ) 은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 만성 위염 및 위암과 같은 헬리코박터균 관련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다. 또한, 헬리코박터 필로리가 궤양 재발의 주원인이기 때문에, 화합물 (Ⅰ) 은 궤양의 재발 방지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화합물 (Ⅰ) 은 스태필로코커스 및 바실루스와 같은 그람 양성균, 또는 에스케리키아, 슈도모나스, 프로테우스, 클레브시엘라, 세라티아, 살모넬라, 시트로박터, 알칼리제네스 등에 속하는 그람 음성균에 대해서는 어떠한 활성도 나타내지 않는다. 따라서, 화합물 (Ⅰ) 은 헬리코박터 균과 관련된 질병의 예방 및 치료에 선택적으로 효과적이며, 기타 세균 및 곰팡이류에는 최소 효과를 나타내므로, 안전한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 점막 부착성 조성물은 그 현탁액 투여량의 1/2 내지 1/12 의 투여량으로 활성 성분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8)

  1.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고,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고;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아미노기 또는 아실아미노기인 화합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아실아미노기가 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된 아미노기인 화합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아미노산 잔기가 α-아미노산 잔기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하기 화학식으로 나타내는 기 또는 아미노기인 화합물:
    (식 중, R7은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α-L-아미노산 잔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이며, R8은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이며; R2는 카르복시기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Q 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6. 제 5 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Ⅴ 로 나타내는 화합물:
    [화학식 Ⅴ]
    (식 중, R7및 R8은 제 5 항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7. 제 5 항에 있어서, R8이 각각 치환될 수 있는 C1-10알킬기, C6-14아릴-C1-6알킬기, C2-10알케닐기 또는 C2-10알키닐기인 화합물.
  8. 제 7 항에 있어서, R8이 C1-6알킬기 또는 C2-6알케닐기인 화합물.
  9. 제 7 항에 있어서, R7이 발릴기, 발릴발릴기, 발릴이소루이실기 또는 발릴루이실기로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기인 화합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R8이 이소부틸기 또는 알릴기인 화합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아미노기인 화합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 -L-발릴-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 -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 -L-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발릴 -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5-((S)-2-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8.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5-((S)-2-아미노부티릴)아미노-2,3,4,6-테트라히드록시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19.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이소루이실-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0.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L-메티오닐-L-루이실)아미노헥사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1. 제 1 항에 있어서, (S)-3-[(2S,3R,4R,5S)-2,3,4,6-테트라히드록시-5-((S)-2-(L-노르발릴)아미노-4-펜테노일]아미노-3-페닐프로피온산인 화합물.
  22.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23. 제 22 항에 있어서, 항-헬리코박터 필로리(Helicobacter pylori) 제제인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인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5. 제 24 항에 있어서,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이 위궤양 또는 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암 또는 악성 위 림프종인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6.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및 하나 이상의 기타 항균제 및/또는 항궤양제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
  27. 제 22 항에 있어서, 위 점막 부착성 약학 조성물인 조성물.
  28. 제 27 항에 있어서, (a)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 (b) 지질 및/또는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및 (c) 물로써 점성이 될 수 있는 점성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29. 제 28 항에 있어서, (c) 점성제가 아크릴 중합체 또는 그의 염인 조성물.
  30. 제 28 항에 있어서, (d)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점성제를 팽윤시키는 물질이 커르들란 및/또는 저치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인 조성물.
  32. 하기 화학식 Ⅱ 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화학식 Ⅲ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Ⅱ]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Ⅲ]
    (식 중,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기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33. 하기 화학식 Ⅳ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와, 화학식 R9-X (식 중, R9는 아실기 또는 치환될 수 있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X 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 또는 반응성 유도체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화학식 Ⅳ]
    (식 중,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실기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기를 나타낸다).
  34. 배양 배지 내에서 제 5 항에 따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바실루스 (Bacillus) 속의 미생물 균주를 배양하여, 균주가 발효 브로스 내에 상기 화합물을 생성 및 축적하도록 하고, 이를 수집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5 항에 따른 화합물의 제조 방법.
  35. 제 34 항에 있어서, 미생물 균주가 바실루스 HC-70 종 또는 바실루스 인솔리투스(insolitus) HC-72 종인 방법.
  36. 제 5 항에 따른 화합물을 생성할 수 있는 바실루스 HC-70 종 또는 바실루스 인솔리투스 HC-72 종.
  37.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유효량을,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헬리코박터 필로리 감염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 방법: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38.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제제의 제조를 위한 하기 화학식 Ⅰ 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의 용도:
    [화학식 Ⅰ]
    (식 중, R1은 치환될 수 있는 아미노를 나타내며; R2는 에스테르화 또는 아미드화될 수 있는 카르복시를 나타내며; R3, R4, R5및 R6은 각각 보호될 수 있는 히드록시를 나타내며; Q 는 치환될 수 있는 아릴을 나타낸다).
KR19997011377A 1997-07-09 1998-07-08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폴리올 아미노산 화합물 KR20010013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408697 1997-07-09
JP97-184086 1997-07-09
PCT/JP1998/003066 WO1999002549A1 (en) 1997-07-09 1998-07-08 Polyol-amino acid compounds hav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3378A true KR20010013378A (ko) 2001-02-26

Family

ID=1614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9997011377A KR20010013378A (ko) 1997-07-09 1998-07-08 항-헬리코박터 필로리 활성을 갖는 폴리올 아미노산 화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23869B1 (ko)
EP (1) EP0998488B1 (ko)
KR (1) KR20010013378A (ko)
AT (1) ATE261986T1 (ko)
AU (1) AU8127398A (ko)
CA (1) CA2289981A1 (ko)
DE (1) DE69822469T2 (ko)
ID (1) ID20812A (ko)
TW (1) TW479054B (ko)
WO (1) WO1999002549A1 (ko)
ZA (1) ZA9860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890900A (en) * 1999-01-07 2000-07-24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Polyol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EE200100660A (et) * 1999-06-07 2003-04-15 Byk Gulden Lomberg Chemische Fabrik Gmbh Ravimvorm happe suhtes labiilsete toimeainete jaoks, toimeaine üksus, selle valmistamismeetod ja mikrokerake
CA2547591C (en) 2003-10-24 2010-08-17 Aventis Pharmaceuticals Inc. Novel compounds and compositions as cathepsin inhibitors
MX375722B (es) 2016-02-23 2025-03-06 Unilever Ip Holdings B V Una composición acuosa desinfectante y método para tratar substratos.
US20230020342A1 (en) * 2019-06-12 2023-01-19 Ioi Oleo Gmbh Method for producing polyol-based esters, in particular polyglycerol esters,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20610B (en) 1994-04-07 2001-02-01 Pfize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a H. pylori infection or gastric or duodenal ul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23869B1 (en) 2002-07-23
TW479054B (en) 2002-03-11
AU8127398A (en) 1999-02-08
ZA986079B (en) 2000-01-10
DE69822469D1 (de) 2004-04-22
ATE261986T1 (de) 2004-04-15
EP0998488A1 (en) 2000-05-10
DE69822469T2 (de) 2005-02-24
EP0998488B1 (en) 2004-03-17
ID20812A (id) 1999-03-11
CA2289981A1 (en) 1999-01-21
WO1999002549A1 (en) 1999-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224072B1 (hu) GE 2270 antibiotikumok amid származékai, eljárás ezek előállítására, valamint hatóanyagként ezeket tartalmazó gyógyszerkészítmények
US6169102B1 (en) Oxazol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Helicobacter pylori agent
JP5204779B2 (ja) アクチノマデュラ・ナミビエンシス由来の抗菌性・抗ウイルス性ペプチド
US7098186B2 (en) Depsipeptide compound
JPH02204499A (ja) ペプチド誘導体
US6423869B1 (en) Polyol-amino acid compounds having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KR0165684B1 (ko) 항생물질 ge 2270 인자 b1, b2, c1, c2, d1, d2, e 및 t
EP1142905B1 (en) Novel depsipeptide compound
EP1095947B1 (en) Novel antibacterial compounds
JPH1180109A (ja) ポリオール類、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EP1140979A1 (en) Polyol compounds, their production and use
JP4960548B2 (ja) 新規抗細菌化合物の用途
JPH11124368A (ja) 生理活性物質、その製造法及び剤
JP2000256395A (ja) ポリオール類、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4531167B2 (ja) 新規抗細菌化合物
JP2000169495A (ja) 糖脂質、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JPH11222473A (ja) ポリアルコール類、その製造法及び用途
AU764109B2 (en) Novel antibacterial compounds
JPH11147892A (ja) 生理活性物質、その製造法及び剤
CN1261894A (zh) 具有抗幽门螺杆菌活性的多羟基-氨基酸化合物
JPH09221494A (ja) Ws72545物質
JPH10509187A (ja) 微生物を用いた免疫抑制剤の生産
JPH0662613B2 (ja) 新規抗生物質rk―441s、その製造法、抗腫瘍剤並びに免疫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902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