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12885A - 난연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2885A
KR20010012885A KR1019997010851A KR19997010851A KR20010012885A KR 20010012885 A KR20010012885 A KR 20010012885A KR 1019997010851 A KR1019997010851 A KR 1019997010851A KR 19997010851 A KR19997010851 A KR 19997010851A KR 20010012885 A KR20010012885 A KR 20010012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weight
parts
mol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1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카와가즈히코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나카무라 하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12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288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08F293/005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using free radical "living" or "controlled" polymerisation, e.g. using a complex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2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C=C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1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gnesium
    • C08K2003/2224Magnesium hydr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 50 내지 300중량부, 및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50 내지 100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 하나 이상과 카복실 그룹, 에폭시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화학식 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 0.1 내지 100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 0.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및 R3은 각각 할로겐 원자, 비닐 그룹, 알킬 그룹 또는 알콕실 그룹이다.
당해 조성물은 용융 성형성,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이 모두 우수하다. 당해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수득된 난연성 재료는 전선 피복재, 전기 절연재, 건축용 가스킷, 건축용 칸막이벽재, 바닥재, 벽재 및 자동차 부품과 같은 난연성이 요구되는 각종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난연성 수지 조성물{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 및 특정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제조된 난연성 재료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불로부터의 안전성면에서, 화재시 연기를 많이 발생시키지 않고 유독 가스(예: 할로겐화수소 가스 등)를 발생시키지 않는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가 오늘날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비할로겐 난연제를 함유하는 난연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가하여 난연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당해 방법에서, 다량의 난연제가 당해 수지에 첨가되지 않는 한 수지는 만족스러운 난연성을 나타낼 수 없었다. 더구나, 다량의 난연제를 함유하는 당해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은 매우 저하된다. 따라서, 말레산 무수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틸렌계 중합체를 당해 수지 조성물에 가하여 수지 조성물의 내마모성, 내스크래치성, 굴곡시 내백화성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또 다른 방법이 제안되었다[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93-117452호].
다량의 수산화알루미늄 또는 수산화마그네슘을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은 이의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지 못하고, 더구나 이의 용융 성형성이 극히 불량하다는 문제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말레산 무수물을 구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에틸렌계 중합체를 본 수지 조성물에 가한다 하더라도, 이후에 언급될 비교 실시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용융 성형성은 여전히 불량하고 수지 성형물의 인장 신도는 낮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 성형성과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고 난연성이 충분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제조되는 난연성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수지(I) 10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 50 내지 300중량부, 및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50 내지 100mol%와 당해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 0 내지 50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A)와 카복실 그룹, 에폭시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화학식 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 0.1 내지 100mol%와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 0 내지 99.9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B)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III) 0.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및 R3은 각각 할로겐 원자, 비닐 그룹, 알킬 그룹 또는 알콕실 그룹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제조되는 난연성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리핀계 수지(I)는, 예를 들면,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여기서, α-올레핀은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을 포함한다),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여기서, α-올레핀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등을 포함한다),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공중합체(여기서, 디엔 화합물은 1,4-헥사디엔, 1,6-옥타디엔, 2-메틸-1,5-헥사디엔, 6-메틸-1,6-헵타디엔, 7-메틸-1,6-옥타디엔과 같은 선상 비공액 디엔; 사이클로헥사디엔,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메틸테트라하이드로인덴, 5-비닐노르보르넨, 5-에틸리덴-2-노르보르넨, 5-메틸렌-2-노르보르넨, 5-이소프로필리덴-2-노르보르넨, 6-클로로메틸-5-이소프로페닐-2-노르보르넨과 같은 환상 비공액 디엔; 및 2,3-디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2-에틸리덴-3-이소프로필리덴-5-노르보르넨, 2-프로페닐-2,2-노르보르나디엔, 1,3,7-옥타트리엔, 1,4,9-데카트리엔과 같은 트리엔을 포함한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들 수지 중에서 하나 이상이 폴리올레핀계 수지(I)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수산화알루미늄과 수산화마그네슘은, 예를 들면, 분말상, 판상 또는 침상 입자의 각종 형상일 수 있지만, 분말상 입자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05 내지 200μ,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III)는 이후에 기술되는 중합체 블록(A)와 중합체 블록(B)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이는 AB형 디블록 공중합체, ABA형 트리블록 공중합체, BAB형 트리블록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III)를 구성하는 중합체 블록(A)는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를, 중합체 블록(A)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100mol%,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mol% 포함한다.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2-메틸-1-부텐, 3-메틸-1-부텐, 2-부텐, 이소부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옥타데센, 비닐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타디엔, β-피넨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A)를 구성하는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는 위의 올레핀계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및 이소프렌으로부터 유도된 단위가 바람직하다. 공액 디엔으로부터 유도된 단위에 있어서, 이들 속에 존재하는 불포화 결합은 수소화될 수 있다.
중합체 블록(A)는 위에서 언급한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0 내지 50mol%,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mol%의 비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스티렌, p-스티렌설폰산 및 이의 나트륨염 및 칼륨염 등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등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등으로부터 유도된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A)를 구성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단위는 위의 공중합성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메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단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블록 공중합체(III)를 구성하는 중합체 블록(B)는 카복실 그룹, 에폭시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화학식 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중합체 블록(B)을 구성하는 모든 구성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0mol%,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mol% 포함한다.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및 R3은 각각 할로겐 원자, 비닐 그룹, 알킬 그룹 또는 알콕실 그룹이다.
화학식 1에서의 R1내지 R3의 할로겐 원자는, 예를 들면,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서의 R1내지 R3의 알킬 그룹은, 예를 들면, 메틸 그룹, 에틸 그룹, 프로필 그룹, 이소프로필 그룹, n-부틸 그룹, 이소부틸 그룹, t-부틸 그룹, s-부틸 그룹, 1-메틸부틸 그룹, n-펜틸 그룹, 이소펜틸 그룹, 네오펜틸 그룹, t-펜틸 그룹, 헥실 그룹, 헵틸 그룹, 1-메틸헵틸 그룹, 옥틸 그룹, 노닐 그룹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 그룹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 그룹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에서의 R1내지 R3의 알콕실 그룹은, 예를 들면, 메톡시 그룹, 에톡시 그룹, 프로폭시 그룹, 이소프로폭시 그룹, 부톡시 그룹, 이소부톡시 그룹, s-부톡시 그룹, t-부톡시 그룹, 펜틸옥시 그룹, 페녹시 그룹, 벤질옥시 그룹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실 그룹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콕실 그룹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복실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신남산, 이타콘산, 말레산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카복실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위의 산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말레산으로부터 유도된 단위가 바람직하다.
에폭시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2-메틸알릴글리시딜 에테르, 스티렌-p-글리시딜 에테르, 3,4-에폭시부텐, 3,4-에폭시-3-메틸-1-부텐, 3,4-에폭시-3-메틸-1-펜텐, 5,6-에폭시-1-헥센, 비닐사이클로헥센 모노옥사이드, p-글리시딜 스티렌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에폭시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위의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도된 단위가 바람직하다.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에틸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는 위의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CO-O-CO-)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말레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시트라콘산 무수물, 부테닐석신산 무수물, 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무수물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위의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말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의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페닐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비스(트리메틸실록시)메틸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클로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디메틸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펜타메틸디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스(비닐디메틸실록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디메틸메톡시실란,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비닐에틸디클로로실란, 비닐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란, 비닐메틸디클로로실란,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 비닐옥시트리메틸실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에틸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틸실란, 비닐트리페녹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트리메톡시실록시)실란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화학식 1의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위의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중합체 블록(B)는 위에서 언급한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를 0 내지 99.9mol%,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9mol%,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9mol%의 비로 임의로 함유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는, 예를 들면, 스티렌, p-스티렌설폰산 및 이의 나트륨염 및 칼륨염 등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등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 등으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한다. 중합체 블록(B)를 구성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단위는 위의 공중합성 단량체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유도된 단위가 바람직하다.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50,000이다.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50,0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의 전체 수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2,000 내지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100,0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를 구성하는 중합체 블록(A)와 중합체 블록(B) 및 전체 블록 공중합체(III)가 수 평균 분자량에 대한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폴리올레핀계 수지(I)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의 분산성이 향상됨으로써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기계적 특성 및 용융 성형성이 보다 우수해질 수 있다. 본원에서 언급되는 수 평균 분자량은 표준 폴리스티렌 검량 곡선을 기준으로 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통해 수득된다.
블록 공중합체(III)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중합체 블록(B)를 위한 단량체 성분을 블록 공중합체(III)를 제조하기 위한 머캅토 그룹으로 반말단화된 중합체 블록(A)의 존재하에 라디칼 중합 방식으로 중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서, 목적하는 수 평균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를 단순화된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머캅토 말단화된 올레핀계 중합체 블록(A)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티오-S-아세트산, 티오-S-벤조산, 티오-S-프로피온산, 티오-S-부티르산 및 티오-S-발레르산 중의 어느 하나를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올레핀계 중합체에 가하고, 생성된 중합체 부가물을 산 또는 알칼리로 처리하거나, 폴리올레핀을 에틸렌 설파이드 등이 종결제로서 사용되는 음이온성 중합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 (II)과 블록 공중합체(III)를 폴리올레핀계 수지(I)에 가함으로써 수득된다. 수지 조성물에서,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의 양은, 난연성 수지 조성물 속의 폴리올레핀계 수지(I)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3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50중량부이다. 수지 조성물 속의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의 양이 50중량부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난연성이 양호하지 않다. 한편,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의 양이 300중량부 이상인 경우, 조성물의 용융 성형성과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지 않다. 수지 조성물 속의 블록 공중합체(III)의 양은, 수지 조성물 속의 폴리올레핀계 수지(I)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중량부이다. 블록 공중합체(III)의 양이 100중량부 이상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특성과 내열성이 양호하지 않다. 한편, 블록 공중합체(III)의 양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수지 조성물의 용융 성형성과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지 않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경우에 따라, 할로겐 함유 난연제 및 인 함유 난연제 중의 어느 하나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할로겐 함유 난연제는, 예를 들면, 데카브로모디페닐 에테르,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옥타브로모디페닐 에테르, 클로로파라핀, 퍼클로로사이클로펜타데칸 등을 포함한다. 할로겐 함유 난연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촉진제로서, 삼산화안티몬, 오산화안티몬 등을 수지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인 함유 난연제는, 예를 들면, 적색 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포스페이트;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트리크실릴 포스페이트, 트리메틸 포스페이트, 트리에틸 포스페이트, 디메틸에틸 포스페이트, 디에틸메틸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지방족 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스(디클로로프로필) 포스페이트, 트리스(디브로모페닐) 포스페이트, 트리스(트리브로모페닐) 포스페이트 등과 같은 할로게노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위에서 언급한 화합물 이외에 무기 충전제, 안료, 산화방지제, 열 열화 억제제, UV 흡수제, 가공 조제, 윤활제, 발포제 등과 같은 각종 첨가제와 MBS 수지, 고무 강화 스티렌 수지(HIPS),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각종 유형의 고무 등과 같은 올레핀계 수지(I)의 내충격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타 수지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은 위에서 언급한 화합물 이외에 폴리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 등과 같은 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등과 같은 염소 함유 비닐계 수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과 같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지방족 디아민 단위와 방향족 디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는 반방향족 폴리아미드 등과 같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이들이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한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수지(I),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 및 블록 공중합체(III)를 위에서 언급한 임의의 기타 성분과 함께 통상적인 방식으로 용융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들을 용융 혼련기(예: 일축 압출기, 이축 압출기, 브라벤더 믹서(Brabender mixer),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캘린더 롤 등)에서 용융 혼련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II)은 블록 공중합체(III) 용액과 혼합한 후, 건조시키고 폴리올레핀계 수지(I)와 용융 혼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분산성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각종 형태의 난연성 재료로 용이하게 용융 성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는 압출성형, 캘린더링 성형, 사출성형 등의 바람직한 성형 방법으로 필름, 쉬트, 성형물 등의 각종 난연성 재료로 원활하게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성 재료는, 예를 들면, 전선 피복재, 전기 절연재, 건축용 가스킷, 건축용 칸막이벽재, 바닥재, 벽재, 자동차 부품 등과 같은 난연성을 요구하는 다수의 용도로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를 참고하여 이하 상세하게 기술하며, 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서, 샘플의 인장 강도, 인장 신도, 산소 지수 및 용융 성형성은 다음에 언급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고 평가한다.
[인장 강도, 인장 신도]
JIS K 6301에 따라서 측정한다.
[산소 지수]
JIS K 7210에 따라서 측정한다. 샘플은 산소 지수가 높을수록 난연성이 양호하다.
[용융 성형성]
시험될 샘플을 이축 압출기를 통해서 크기 10cm x 10cm x 1mm의 쉬트로 용융 압출시키고, 이의 표면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줄(streak)이나 반점(spot)이 없는 평활한 표면의 쉬트를 "○"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고, 줄이나 반점의 수가 다섯 개 미만인 쉬트는 "△"으로 보통인 것으로 평가하고, 줄이나 반점의 수가 다섯 개 이상인 쉬트는 "×"로 불량한 것으로 평가한다.
<참조 실시예 1>
[블록 공중합체(III-1)(폴리에틸렌 블록-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1) 폴리에틸렌[상품명: 히젝스(Hizex) HD700F; 제조원: 미쓰이 페트롤륨 폴리에틸렌 캄파니(Mitsui Petroleum Polyethylene Co.)]을 이축 압출기로 공급하고 420℃의 이축 압출기 속에서 용융시키고 열분해시켜 폴리에틸렌이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갖도록 한다.
(2) (1)에서 제조한 말단에 이중 결합을 갖는 폴리에틸렌 100중량부, 톨루엔 1000중량부 및 티오-S-아세트산 30중량부를 반응기에 부어 넣고, 반응기를 질소로 완전히 퍼징시킨 다음,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10중량부를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폴리에틸렌을 티오-S-아세트산과 반응시켜 폴리에틸렌이 말단에 티오아세틸 그룹을 갖도록 한다.
(3) (2)에서 제조한 말단에 티오아세틸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60중량부를 톨루엔 100중량부와 n-부탄올 20부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7% 수산화칼륨의 n-부탄올 용액 1중량부를 가하고 질소 중에서 톨루엔의 환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폴리에틸렌이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도록 한다.
(4) (3)에서 제조한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톨루엔 184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22.5중량부와 말레산 무수물 2.5중량부를 가한다. 이어서, 시스템 속에서의 중합 속도가 약 10%/hr로 되도록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질소 중에서 90℃에서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률이 95%에 도달한 후에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틸렌 블록(A)와 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블록(B)[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90:10(mol 기준)]로 구성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이를 이후에는 "블록 공중합체(III-1)"이라고 한다.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III-1)에서,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8,200이고,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4,1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1)의 수 평균 분자량은 12,300이다.
<참조 실시예 2>
[블록 공중합체(III-2)(폴리에틸렌 블록-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참조 실시예 1의 (3)에서 제조한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톨루엔 184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23중량부와 아크릴산 2중량부를 가한다. 이어서, 시스템에서의 중합 속도가 약 10%/hr로 되도록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질소 중에서 90℃에서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률이 95%에 도달한 후에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틸렌 블록(A)와 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블록(B)[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90:10(mol 기준)]로 구성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이를 이후에는 "블록 공중합체(III-2)"라고 한다.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III-2)에서,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3,900이고,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12,1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2)의 수 평균 분자량은 16,000이다.
<참조 실시예 3>
[블록 공중합체(III-3)(폴리에틸렌 블록-에틸 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참조 실시예 1의 (3)에서 제조한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톨루엔 184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21.9중량부와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1중량부를 가한다. 이어서, 시스템에서의 중합 속도가 약 10%/hr로 되도록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질소 중에서 90℃에서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률이 95%에 도달한 후에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틸렌 블록(A)와 에틸 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블록(B)[에틸 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90:10(mol 기준)]로 구성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이를 이후에는 "블록 공중합체(III-3)"이라고 한다.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III-3)에서,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0이고,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3)의 수 평균 분자량은 8,000이다.
<참조 실시예 4>
[블록 공중합체(III-4)(폴리에틸렌 블록-에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참조 실시예 1의 (3)에서 제조한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톨루엔 184중량부에 용해시키고, 에틸 아크릴레이트 22중량부와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3.0중량부를 가한다. 이어서, 시스템에서의 중합 속도가 약 10%/hr로 되도록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질소 중에서 90℃에서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률이 95%에 도달한 후에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틸렌 블록(A)와 에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블록(B)[에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90:10(mol 기준)]로 구성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이를 이후에는 "블록 공중합체(III-4)"라고 한다.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III-4)에서,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8,200이고,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4,4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4)의 수 평균 분자량은 12,600이다.
<참조 실시예 5>
[블록 공중합체(III-5)(폴리에틸렌 블록-메틸 메타크릴레이트/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
참조 실시예 1의 (3)에서 제조된 말단에 머캅토 그룹을 갖는 폴리에틸렌 50중량부를 톨루엔 184중량부에 용해시키고,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9.6중량부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5.4중량부를 가한다. 이어서, 시스템에서의 중합 속도가 약 10%/hr로 되도록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보니트릴)을 질소 중에서 90℃에서 가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중합률이 95%에 도달한 후에 반응을 정지시킨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하여 폴리에틸렌 블록(A)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블록(B)[메틸 메타크릴레이트: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90:10(mol 기준)]로 구성된 AB형 디블록 공중합체를 수득한다. 이를 이후에는 "블록 공중합체(III-5)"라고 한다. 수득된 블록 공중합체(III-5)에서, 중합체 블록(A)의 수 평균 분자량은 8,200이고, 중합체 블록(B)의 수 평균 분자량은 3,800이다. 블록 공중합체(III-5)의 수 평균 분자량은 12,000이다.
[실시예 1 내지 7]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상품명: VL200; 제조원: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Sumitomo Chemical Co.); 이후 "VLDPE"라고 한다],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Hidilight)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Nippon Light Metal Co.)]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상품명: 기스마(Kisuma) 5B; 제조원: 교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캄파니(Kyowa Chemical Industry Co.)] 및 참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 내지 (III-5) 중의 하나를 다음 표 1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 혼련시킨 다음,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1 및 2]
VLDPE와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을 표 1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3]
VLDPE,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상품명: 본딘(Bondine) FX8000; 제조원: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를 표 1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1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4]
VLDPE,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참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을 표 1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1에 기재한다.
[실시예 8 내지 14]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상품명: 렉슬론(Lexlon) EEA A1150; 제조원: 닛폰 페트롤륨 캄파니; 이후 "EEA"라고 한다],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상품명: 기스마 5B; 제조원: 교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캄파니] 및 참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 내지 (III-5) 중의 하나를 표 2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2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5 및 6]
EEA와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을 표 2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2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7]
EEA,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상품명: 본딘 FX8000; 제조원: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를 표 2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2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8]
EEA,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참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을 표 2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2에 기재한다.
[실시예 15 내지 21]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상품명: 엔가즈(Engage) 8100; 제조원: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 이후 "EG 8100"이라고 한다],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상품명: 기스마 5B; 제조원: 교와 케미칼 인더스트리 캄파니] 및 참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 내지 (III-5) 중의 하나를 표 3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9 및 10]
EG 8100과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을 표 3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11]
EG 8100,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말레산 무수물 삼원공중합체[상품명: 본딘(Bondine) FX8000; 제조원: 스미토모 케미칼 캄파니]를 표 3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3에 기재한다.
[비교 실시예 12]
EG 8100, 수산화알루미늄[상품명: 히딜라이트 42M; 제조원: 닛폰 라이트 메탈 캄파니] 및 참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블록 공중합체(III-1)을 표 3에 기재한 비로 혼합하고 190℃에서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련시킨 후, 두께가 1mm인 쉬트로 압출시킨다. 3호 덤벨을 사용하여 쉬트로부터 시험편을 제조하고 이의 물리적 특성을 시험한다. 수득한 시험 데이타를 표 3에 기재한다.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용융 성형성,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다는 잇점이 있고, 당해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수득한 난연성 재료는 전선 피복재, 전기 절연재, 건축용 가스킷, 건축용 칸막이벽재, 바닥재, 벽재, 자동차 부품 등의 난연성이 요구되는 각종 용도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Claims (2)

  1. 폴리올레핀계 수지(I) 100중량부, 수산화알루미늄 및/또는 수산화마그네슘 (II) 50 내지 300중량부, 및 올레핀계 단량체 단위 50 내지 100mol%와 당해 올레핀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 0 내지 50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A)와 카복실 그룹, 에폭시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카복실산 무수물 그룹 및 화학식 1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 단위 0.1 내지 100mol%와 관능성 그룹을 갖는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 0 내지 99.9mol%를 포함하는 중합체 블록(B)로 이루어진 블록 공중합체(III) 0.1 내지 100중량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위의 화학식 1에서,
    R1, R2및 R3은 각각 할로겐 원자, 비닐 그룹, 알킬 그룹 또는 알콕실 그룹이다.
  2. 제1항에 따르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용융 성형시켜 제조되는 난연성 재료.
KR1019997010851A 1998-03-23 1999-03-15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200100128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073946 1998-03-23
JP7394698 1998-03-23
JP98-169413 1998-06-17
JP16941398A JP3784538B2 (ja) 1998-03-23 1998-06-17 難燃性樹脂組成物
PCT/JP1999/001242 WO1999048971A1 (fr) 1998-03-23 1999-03-15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2885A true KR20010012885A (ko) 2001-02-26

Family

ID=2641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10851A KR20010012885A (ko) 1998-03-23 1999-03-15 난연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82361A4 (ko)
JP (1) JP3784538B2 (ko)
KR (1) KR20010012885A (ko)
CN (1) CN1262698A (ko)
CA (1) CA2291662A1 (ko)
WO (1) WO1999048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48174C1 (de) 2002-10-16 2003-11-13 Nabaltec Gmbh Flammgeschützte Polymer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ammschutzmittels
KR100454272B1 (ko) * 2003-11-12 2004-10-27 엘지전선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선
US20070149675A1 (en) 2005-12-26 2007-06-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rganic polymer/inorganic particles composite materials
US8330045B2 (en) 2005-12-26 2012-12-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Fire-resistant wire/cable
CN101210123B (zh) * 2006-12-29 2011-08-24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防火涂料
CN101210111B (zh) * 2006-12-29 2011-07-27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有机/无机复合材料与包含该复合材料的防火板材
CN102250406B (zh) * 2011-05-05 2013-03-06 上海邦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高阻燃性能的聚乙烯材料
CN102321294A (zh) * 2011-08-12 2012-01-18 上海邦中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阻燃作用的电缆专用料及其制备方法
EP3196218B1 (en) * 2014-08-29 2020-05-27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Block copolymer and resin composition
JP6560136B2 (ja) * 2016-01-29 2019-08-14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水酸化鉱物分散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3499516A1 (en) * 2017-12-12 2019-06-19 Borealis AG Flame retardant and fire resistant polyolefin composition
CN113861431A (zh) * 2021-08-31 2021-12-31 东南大学 应用于a1级阻燃芯材的高分子嵌段共聚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9041A (en) * 1983-11-07 1985-10-22 Fujikura Ltd. Flame-retardant cross-linked composition and flame-retardant cable using same
US5674930A (en) * 1991-04-04 1997-10-07 Nof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JP3318343B2 (ja) * 1991-04-09 2002-08-26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マット性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17452A (ja) * 1991-10-28 1993-05-14 Mitsubishi Cable Ind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331086A (ja) * 1994-06-07 1995-12-19 Sumitomo Bakelite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5707732A (en) * 1995-07-31 1998-01-13 Nippon Unicar Company Limited Flame retardant cable
JP2963034B2 (ja) * 1995-09-29 1999-10-12 矢崎総業株式会社 自動車電線被覆用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用絶縁電線
JPH10176113A (ja) * 1996-12-20 1998-06-30 Kuraray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0251464A (ja) * 1997-03-14 1998-09-22 Nof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型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91662A1 (en) 1999-09-30
JP3784538B2 (ja) 2006-06-14
CN1262698A (zh) 2000-08-09
WO1999048971A1 (fr) 1999-09-30
EP0982361A1 (en) 2000-03-01
JPH11335496A (ja) 1999-12-07
EP0982361A4 (en) 200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86453B (zh) 阻燃的无卤素的组合物
KR100808892B1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0526961B1 (ko) 폴리올레핀 수지용 용융 장력 향상제 및 그 제조방법
US7893132B2 (en) Power or communications cable with flame retardant polymer layer
JPWO2003106554A1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重合体組成物、該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
CN102264826B (zh) 具有改善的机械性能的阻燃性聚合物组合物
KR20010012885A (ko) 난연성 수지 조성물
JP2753840B2 (ja) 無機難燃剤高充填難燃性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AU739062B2 (en) Polyolefin compositions
JPWO2007026735A1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100058417A (ko) 무할로겐 난연 절연 전선
JP3908195B2 (ja) 難燃性組成物
JP4784005B2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難燃性重合体組成物
KR100688643B1 (ko)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JP2000080213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01200106A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
JP200529880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1031803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6182875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4331842A (ja)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3589761B2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
JP4953277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2371159A (ja) 難燃性重合体組成物および電線被覆材
JP2002327095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テープ基材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難燃性テープ基材
JP2006160778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24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