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9521A -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521A
KR20010009521A KR1019990027915A KR19990027915A KR20010009521A KR 20010009521 A KR20010009521 A KR 20010009521A KR 1019990027915 A KR1019990027915 A KR 1019990027915A KR 19990027915 A KR19990027915 A KR 19990027915A KR 20010009521 A KR20010009521 A KR 20010009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hannel
request message
message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균
구창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2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521A/ko
Publication of KR20010009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52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65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reducing network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 H04W92/1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 and access point, i.e. wireless air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한다.)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간의 호 연결 상태(In Traffic Channel State)에서 새로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와 상기 새로이 요구된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는 단말과,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 동시 수행 요구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해석을 수행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부와,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A OPTIONAL SERVICE APPRATUS AND METHOD OF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한다.)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호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과 단말간의 호 연결 상태(In Traffic Channel State)에서 새로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CDMA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최근에 있어 음성뿐만 아니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차세대 CDMA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의 등장이 예고 되고 있으며, 그러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통상 IMT-2000 규격의 이동통신시스템이라 칭하고 있다. 상기 IMT-2000 규격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및 동화상, 그리고 인터넷 검색 등의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한된 무선 자원 및 기지국 용량, 그리고 이동 단말기의 전력 소모 등의 고려 하에 무선자원을 이용효율을 높이도록 개발되고 있어, 기존 이동통신시스템, 즉 음성 통신 위주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구현하지 못하였던 고속의 데이터 전송 서비스 등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자원제어(Resource Control), 호 제어(Call Control) 기능 등 여러 가지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이 보다 더 향상되어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적용될 경우에 있어서도, 보다 낮은 이용료로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되었다.
이에 향후에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이외의 여러 가지 데이터 서비스를 옵션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에 있어 데이터 서비스의 이용 형태는 사용자가 각각의 서비스를 서로 다른 시간에 별도로 이용하는 경우와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로서 구분되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기존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호 연결 상태 도중에 있어, 사용자가 다시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경우, 이미 연결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일단 해제한 후, 공통 채널을 이용하여 미리 정의된 수순에 다라 호 요구 메시지(Origin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최초 호 연결 시와 동일한 방법을 통해 음성서비스를 먼저 연결한 다음 다시 서비스 환경 협상(Service Negotiation: 이하 SN)을 통해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의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1의 참조로서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옵션 수행에 따른 메시지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특히, 기존의 시스템에서의 호 연결 상태 도중에 있어서의 서비스연결 시도 과정을 메시지 절차로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있어서는 단말측의 모듈들과 기지국측의 모듈들간의 메시지 절차를 보여준다. 단말측에 있어서는 호 설정과 관련된 제어메시지를 처리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부분이 되는 제어메시지 처리기(SIG), 기지국의 직교부호나 채널소자(channel element) 등의 기지국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자원제어기(RC), 논리적 자원과 물리적 자원의 연결 관리 및 제어하는 부분인 매체접속제어기(MAC), 메시지나 데이터 등의 신호(Signal)를 실제로 기지국 및 단말로 전송하는 물리채널 부분의 채널소자(channel element) 의 구현이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측의 구성은, 기지국의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기지국 또한 호 설정과 관련된 제어메시지를 처리하는 부분인 제어메시지 처리기, 단말의 여러 논리적 물리적 자원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자원제어기, 논리적 자원과 물리적 자원의 연결을 관리 및 제어하는 매체접속제어기(MAC), 단말기에서 실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맡은 물리소자 부분이 되는 채널소자의 구현이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존 통신시스템 경우에 있어서 단말 및 기지국 각각의 구성들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갖는 메시지의 처리를 수행한다. 먼저, 110단계에서 단말의 서비스옵션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위한 요구가 상기한 자원제어기를 통해 SIG-Allocate.Request 메시지가 메시지 제어기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단말은 120단계에서 릴리즈 오더(Release Order) 혹은 익스텐디드 릴리즈 메시지(Extended Release Message : 이하 ERM)를 전송하여 호 연결 상태에 따른 연결 상태의 물리채널을 해제하고 아이들 상태(이하 Idle State)로 변환하도록 하여 패킷 서비스 상태를 도먼트 상태로 천이하도록 한다. 상기 아이들 상태에서, 130단계에서는 상기 단말은 새로운 호 요구 메시지(이하 : Origination Message)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이는 새롭게 추가되는 서비스 옵션을 실어서 전달하는 메시지가 된다. 140단계에서는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연결한다. 일단 트래픽 채널이 새롭게 생성되고 나서 새로운 서비스 옵션이 먼저 연결되면, 150단계에서 기존의 서비스옵션을 연결하기 위한 요구가 생성되고, 160단계에서 상기 기존의 서비스옵션이 포함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그리고 170단계에서 기존의 서비스옵션을 포함한 서비스 환경 변수가 기지국에 있어서의 자원제어기로 통보되도록 하고, 해당 환경변수의 수용이 가능한 경우, 상기 기지국은 180단계에서 서비스 연결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를 전송하여 2개 이상의 서비스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190단계를 통해 마지막으로 서비스 연결 메시지에 기록된 서비스 환경 변수에 맞추어 채널 등 물리자원을 준비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연결 과정을 살펴보면, 항상 연결된 호를 일단 해제한 다음에야 새로운 서비스 옵션을 연결하여 추가하도록 되어 있어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가 없었다.
또한, 종래에는 추가되는 서비스 옵션이 새로운 채널을 요구하는 경우에 있어, 이를 추가하도록 하는 별도의 메시지가 정의되지 않았고, 아울러 그러한 메시지의 필드와 전송 절차 또한 별도로 정의하지 않고 있어 적절히 서비스 옵션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리고, 호가 연결되어 있는 도중에 단말이 다이얼드 디지트(Dialed Digit)가 필요한 서비스 옵션을 추가하고자 할 경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메시지 및 그에 따른 절차 또한 아직까지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향후의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 음성 통화와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패킷 데이터 통신의 요구가 있을 시, 즉 두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요구할 시 이를 동시에 처리하도록 하지 못하는 결과를 낳게 되며, 결국,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적절한 사용자의 서비스 요구를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를 낳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호가 연결되어 있는 도중에 새로운 서비스를 연결하여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하고자 할 경우, 기존의 방식과 달리 호를 해제하지 않고 곧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서비스의 향상을 도모하는 차세대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어 필요한 새로운 메시지의 정의와 그에 따른 전송 절차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호 연결 도중, 새로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에 있어, 기존의 서비스를 위하여 연결된 트래픽 채널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시킬 수 있는 차세대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수행 따른 새로운 시그날링 (Signaling)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와 상기 새로이 요구된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는 단말과,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 동시 수행 요구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해석을 수행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부와,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구비하는 기지국과 그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의 새로운 서비스 수행에 따른 메시지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새로운 서비스 수행에 따른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Non-negotiable Service Configuration Record.)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 정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기 도 2의 비협상 서비스 환경변수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함에 있어서의 역방향 링크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의 메시지 필드 정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추가되는 새로운 서비스 수행에 따른 메시지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수행에 있어, 호 연결 상태에서 추가되는 새로운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부가된 참조 부호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된 참조 부호일 지라도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신호의 명칭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는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이며,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주된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는 이전과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종래의 방법과 차별화된 과정이 있을시 이는 새로운 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의 경우는 차별화된 사항을 위주로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세대 CDMA 이동통신시스템의 경우에 있어서 적용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또한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실시되는 구체적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된다.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먼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가능한 서비스 형태를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데이터통신을 이용하면서 새로운 음성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중인 사용자가 새로운 음성통화를 요구 받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요구하기 위해 필요한 다이얼드 디지트(Dialed Digit)가 들어 있는 메시지는 호 설정 요구 메시지 (Origination Message), 혹은 호출 응답 메시지(Page Response Message)로 제한되어 있다. 이는 2세대 이동통신시스템과 같이 이용자의 요구가 음성통화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유효하지만, 패킷 데이터서비스를 지원할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한 제한은 많은 문제를 내포한다. 특히 2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경우 시스템 용량 또한 제한적이어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요하는 새로은 메시지의 제안을 이루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지만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과 같은 3세대 시스템의 경우 데이터 처리 능력의 향상에 따른 용량의 증가와 원활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한 새로운 기능들이 추가되었다.
그래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가능해지는데 음성사용자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이용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의 시스템에서 소홀히 하였던 음성과 데이터 동시 서비스를 위한 지원책의 하나로서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연결하는데 있어 필요한 절차 및 메시지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추가하기로 한다.
상기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네트웍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Over The Air Message)를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수행에 따른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Non-negotiable Service Configuration Record.) 메시지의 메시지 필드 정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비협상 서비스 환경변수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함에 있어서의 역방향 링크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의 메시지 필드 정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측의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Non-negotiable Service Configuration Record)를 살펴보도록 한다.
기존의 서비스 환경변수 (Service Configuration Record)는 단말과 기지국간의 협상을 통해서 양쪽이 모두 만족하는 값을 지정하도록 하는 변수이다. 하지만 상기에서 지적된 채널지정을 위한 채널 지정 필드(CH_IND)나 다이얼드 디지트에 따른 다이얼드 디지트 (Dialed Digit) 필드는 상호간의 협상이 필요 없는 파라미터이다.
앞서의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 발생된 새로운 서비스 옵션의 추가에 따른 호 해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몇가지 환경변수와 메시지필드를 추가하도록 한다.
먼저, NUM_CON_REC 필드는 연결되는 서비스 옵션에 관련된 변수의 수를 한다. RECORD_LEN 필드는 추가되는 필드의 길이를 말한다. SERVICE_OPTION 필드는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옵션을 말한다. CH_IND_INCL 필드는 CH_IND 필드의 포함여부를 가리키는 지정자이다. CH_IND 필드는 새로운 서비스옵션을 연결함에 있어 요구하는 물리채널을 지정하며, 이를 통해 기본채널(Fundamental Channel) 혹은 전용제어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중 하나가 선택 된다. 그리고, DIALED_DIGIT_INCL 필드는 새롭게 요구되는 서비스가 호출 번호(CALLED PARTY NUMBER)를 필요로 하는 경우 이와 관련된 아래의 필드의 포함 여부를 지정한다. NUM_FIELDS 필드는 DIALED_DIGIT_INCL 필드가 '1'로 될 경우 포함되는 필드로써 DIGIT의 수를 지정하는 필드이다. DIGIT_MODE 필드는 아래에서 지정될 문자 (CHARACTER)들을 지정함에 있어 DIGIT_MODE가 '0'이면 4 비트로 표현되는 숫자로 표현하고, '1'로 지정된 경우에는 8 비트의 ASCII문자로 표현하게 된다. CHARi 필드는 상기 NUM_FIELDS 필드에서 지정된 수만큼의 문자(CHARACTER)가 지정된다.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비협상 서비스 환경변수를 기지국으로 전달하기 위해 역방향 링크의 서비스 요청 메시지(Service Request Message)를 일부 수정한 내용을 담고 있다. 상기 도 3에 있어 표시된 필드 중 밑줄 친 부분이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새롭게 추가된 필드이다.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기존의 서비스 협상 변수를 포함하기 위한 필드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여기에 새롭게 정의된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포함할 필드를 추가한다. 비협상 서비스 환경변수가 포함되면 한 개나 그 이상의 필드 집합을 추가하는 것이다. RECORD_TYPE 필드는 정보 변수(Information Record)들 중에서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에 해당하는 인덱스(Index)를 지정하게 된다. RECORD_LEN 필드는 정보 변수의 길이를 나타낸다. Type-specific fields 필드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 중 해당 정보를 싣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서비스 수행에 따른 메시지 절차를 나타낸 도면으로, 호 연결 중에 있어 새로운 서비스의 수행을 추가하는 경우 호를 연결한 상태로 해당 서비스를 추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참조하면, 410 단계에서 단말의 자원관리기(RC)에서 새로운 서비스 옵션을 필요로 하는 SIG-Allocate.Request가 단말의 메시지 처리기(SIG)로 올라오면, 420단계에서 해당 서비스 옵션을 추가하기 위해서 필요한 변수들을 자원제어기(RC)와 협상하게 되는데 그 결과가 서비스 환경 변수와 비협상 서비스 환경변수에 들어가게 된다.
이때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에는 앞서의 도 2에 있어 정의된 CH_IND 필드와 다이얼드 디지트 필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430단계에서는 상기의 변수들은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기지국으로 전송되게 된다. 이를 받은 기지국의 메시지 제어기(SIG)는 기지국의 자원제어기(RC)로 SIG-Allocate.indication을 보내고, 상기 기지국의 자원제어기(RC)는 단말기에서 온 서비스 환경 변수의 내용을 파악하여 현재 기지국의 자원과 성능으로 단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에 있어 단말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가능한 경우에는 곧바로 서비스를 수용할 준비를 하게 된다. 이때 추가되는 서비스가 새로운 채널을 요구할 경우에는, 440단계에서 기지국의 메시지 제어기(SIG)가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Universal Handoff Direction Message)를 보내서 새로운 채널을 할당받도록 처리한다. 상기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는 기존의 채널 할당 메시지와 달리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용채널 환경하에서 추가되는 메시지로, 이를 통해 채널의 할당요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추가되는 채널을 할당받게 된다. 이때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없어진다. 이것은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는 서비스 환경 변수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서 서비스 연결 메시지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440단계에서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450단계에서 서비스 연결 메시지(Service Connect Message)를 보내고 서비스의 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메시지 절차에 따라 두 가지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설정되면, 하나는 우선 전송(Primary traffic)으로 나머지는 이차 전송(Secondary traffic)으로 선택되어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설명에서 기지국이 단말측으로 음성호를 추가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현재 절차 자체는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현재 메시지를 이용해서 서비스를 추가하는 경우는 마찬가지의 원리하에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옵션 연결 동작의 수행에 있어, 호 연결 상태에서 서비스 옵션 추가를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를 통해 서비스 옵션이 추가되는 과정에서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지정하는 절차를 알 수 있다.
먼저, 510단계에서 호 연결 상태 중에 있어 새로운 서비스 옵션을 추가하고자 하는 요구가 상기한 단말의 메시지 처리기로 전달되면, 520단계에서 요구된 서비스 옵션이 현재 사용중인 채널이 아닌 새로운 채널을 요구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520단계에서 새로운 채널을 요구하는 경우로 확인되면, 530단계에서 단말은 새롭게 기본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메시지 필드를 생성하게 된다. 이 경우는 현재 이용중인 패킷 서비스가 전용제어채널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이루어지며, 음성서비스를 위해서는 기본채널이 필요함에 따른 것이다. 이와 달리 현재 진행중인 서비스가 기본채널을 사용중인 서비스일 경우에는 추가로 요구되는 패킷 서비스가 전용 제어 채널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원하는 채널을 표시하도록 한다. 540단계에서는 추가하고자 하는 서비스 옵션이 다이얼드 디지트가 필요한 서비스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대상이 되는 서비스는 음성서비스나 그에 상응하는 팩스 및 ISDN서비스 등이 된다. 상기 540단계에서 다이얼드 디지트가 필요한 서비스의 서비스 옵션이면 550단계에서 다이얼드 디지트를 지정한다. 그리고 560단계에서 상기 필드 등 포함한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달하며, 기지국은 570단계에서 상기 전달된 메시지를 수신하여 서비스 환경 변수 와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 등을 조사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기지국은 580단계에서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중 다이얼드 디지트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해당 번호를 이동 교환기(MSC) 등을 통해서 PSTN이나 ISDN 네트웍 상의 해당 단말을 호출하게 된다. 다음으로 현재 기지국의 상태에서 단말의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 확인하게 되는 데 이는, 590단계에서 추가된 서비스가 새로운 채널을 요구하는 서비스인지 먼저 확인하고, 그러한 경우, 새로운 채널을 요구하는 경우가 되므로, 5100단계에서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함으로서 새로운 채널의 할당을 요청하고 합의된 서비스 환경 변수를 전송하게 된다. 만약 새로운 채널의 요구가 없으면 5110단계에서 기존의 절차에서와 같이 서비스 연결 메시지를 통해 합의된 서비스 환경 변수를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나 서비스 연결 메시지가 상기 단말로 전달되면 일정시간 후, 5120단계에서와 같이 서비스의 재개가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호가 연결되어 있는 도중에 새로운 서비스를 연결하여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아울러, 새로운 서비스를 통시에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있어서 이전 호를 해제하지 않고 옵션으로 요구되는 서비스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서비스의 지연이나 공통채널로 전송되는 메시지의 량을 감소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시스템의 부하 또한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Claims (20)

  1.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단말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와 상기 새로이 요구된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메시지는,
    기지국과의 서비스 협상 결과에 따르는 서비스 협상 변수와,
    기지국과의 서비스 협상이 필요 없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단말의 서비스 장치.
  3.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 동시 수행 요구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해석을 수행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부와,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서비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채널과 다른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장치.
  6.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단말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의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수행되는 서비스와 상기 새로이 요구된 서비스가 동시에 수행되도록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 과정과,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생성부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서비스 요청 메시지로 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전송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메시지는,
    기지국과의 서비스 협상 결과에 따르는 서비스 협상 변수와,
    기지국과의 서비스 협상이 필요 없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단말의 서비스 방법.
  8.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수행에 따른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 동시 수행 요구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 수신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서비스 요청 메시지의 해석을 수행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과정과,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은,
    상기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채널과 다른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과정은,
    상시 서비스 요청 메시지 해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채널과 동일한 채널로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 기지국의 서비스 방법.
  11.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사용되는 채널과 다른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단말과,
    상기 다른 채널의 할당 요구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새로운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지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비스 요구에 따른, 다른 채널의 할당 요구는,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 결과에 따르는 서비스 협상 변수와,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이 필요 없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할당된 채널로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의 제공은,
    상기 할당된 채널에 있어 현재 서비스 가능한 자원 상태를 서비스환경 변수로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함으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14.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트래픽 상태에서, 새로운 서비스가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인트래픽 상태에서 사용되는 채널과 다른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다른 채널의 할당 요구에 따라, 상기 인트래픽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새로운 채널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채널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서비스 요구에 따른, 다른 채널의 할당 요구 과정은,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 결과에 따르는 서비스 협상 변수와,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이 필요 없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이 할당된 채널로 상기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은, ,
    상기 할당된 채널에 있어 현재 서비스 가능한 자원 상태를 서비스환경 변수로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7.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인트래픽 상태에 있어, 새로운 서비스의 추가 수행 요구가 있는 경우, 상기 요구된 서비스가 현재 사용중인 채널 외에 다른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새로운 채널의 할당 요구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채널 할당 요구에 따른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전송된 메시지를 해석한 후, 해석 결과가 새로운 채널의 할당 요구인 경우, 상기 요구된 채널이 현재 상태에서 할당 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현재 상태에서 할당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트래픽 상태의 유지하며 상기 요구된 채널을 새로이 할당하는 제4과정과,
    상기 할당 된 채널을 통해 현재 상황에서 서비스 가능한 자원상태에 따라 상기 요구된 서비스의 수행을 처리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생성되어 전송되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는,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 결과에 따르는 서비스 협상 변수와,
    상기 단말과 기지국 쌍방의 서비스 협상이 필요 없는 비협상 서비스 환경 변수를 포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새로운 채널의 할당은,
    서비스 환경 변수들을 포함하는 유니버셜 핸드오프 지시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에서 새로운 채널의 할당은,
    서비스 환경 변수들을 포함하는 서비스 연결 메시지의 전송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방법.
KR1019990027915A 1999-07-10 1999-07-10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09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15A KR20010009521A (ko) 1999-07-10 1999-07-10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915A KR20010009521A (ko) 1999-07-10 1999-07-10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521A true KR20010009521A (ko) 2001-02-05

Family

ID=19600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915A KR20010009521A (ko) 1999-07-10 1999-07-10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5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18B1 (ko) * 2001-11-30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Imt-2000 비동기 방식의 이동단말기용 소프트웨어적합성 시험에서의 신호 메시지 비교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718B1 (ko) * 2001-11-30 2004-04-28 주식회사 팬택 Imt-2000 비동기 방식의 이동단말기용 소프트웨어적합성 시험에서의 신호 메시지 비교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4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uplink state flag (USF) with multiple uplink temporary block flows (TBFs)
RU2197779C2 (ru)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пакетной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ля высокоскоростной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приемопередатчиков базовых станций системы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EP1570688B1 (en)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S, FOR PROVIDING TRAFFIC CLASS SUPPORT FOR QoS ACTIV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WO2002025983A1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EP2104387B1 (en) Allocation of a radio access bearer with a lower rate than desired in case of lack of resources, if an indicator in the assignment request indicates that the communication rate is negotiable
KR1999003147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채널로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매체 액세스 제어 프레임 구조를 이용한 제어 평면 정보의송수신 방법
US200401054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ormant control in the packet data service network
KR1004218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기 서비스 방법
US7403782B2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625137B1 (en) Method for operating supplemental code channel for high speed data service in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US6438113B1 (en) Method for sharing an associated control channel of mobile station us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10009521A (ko) 부호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54648B1 (ko) 이종 이동통신 시스템 사이의 핸드 오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00157B1 (ko) 무선기지국
KR100547877B1 (ko)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신속한 호 설정 방법
KR100305294B1 (ko) 시그널링 채널의 효율적인 할당에 의해 동일 단말로 다수의 서비스들을 동시에 지원하는 방법
KR100493280B1 (ko)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 제어 방법
KR2002005576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KR19990008910A (ko) 패킷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 패킷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데이터 전송방법
JP3508726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通信装置、並びに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移動体通信プログラム
KR20020051698A (ko) 무선 자원 할당 방법
KR20000073866A (ko)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부가채널의 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11657A (ko) Ptt 시스템의 호 설정 장치 및 방법
KR19990051798A (ko) 동적 보코드 할당을 위한 스위칭 방법
KR20030056965A (ko) 아이엠티-2000 이동 통신 교환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