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0055762A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5762A
KR20020055762A KR1020000084981A KR20000084981A KR20020055762A KR 20020055762 A KR20020055762 A KR 20020055762A KR 1020000084981 A KR1020000084981 A KR 1020000084981A KR 20000084981 A KR20000084981 A KR 20000084981A KR 20020055762 A KR20020055762 A KR 20020055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acket
packet data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정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8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5762A/ko
Publication of KR20020055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576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1Terminal devices adapted for Wireless Local Loo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3세대(3rd Generation)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MTS) 환경상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작 및 전송 종료, 패킷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oS) 제어 및 외부 패킷망과의 프로토콜 정합 제어를 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동 단말기와, 터미널 장비 및 이동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터미널 장비가 특정 이동 단말기로 패킷 호 시작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패킷 호 처리 요구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 장비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장비는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METHOD OF MANAGING SE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3세대(3rd Generation)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MTS) 환경상에서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에 적당하도록 개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사회든 통신망의 사용 빈도는 패킷 통신망이 상대적으로 회선 통신망보다 많이 뒤쳐져 있다. 따라서, 단말기 기술도 패킷 통신보다는 회선 통신에 중점을 두어 개발되어 왔다.
기존의 패킷 관련 데이터 전송은 회선 통신의 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선 통신 기법을 이용하여 회선을 점유한다. 이어, 점유한 회선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 전송이 종료되기 전까지는 시스템의 무선 자원은 항상 점유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패킷 통신 본래 의미를 제대로 반영할 수 없었다.
한편, 3G UMTS 환경상에서 동작되는 패킷 데이터 전송 관련 단말기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은 기존의 제 2세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2G 환경하에서 이동 단말기는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부분을 처리하는 세션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회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였다. 즉, 회선점유는 기존의 음성 호처리 기능을 제공하는 회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회선을 점유한다.
이때, 회선 점유시 전송과 관련된 베어러(Bearer) 능력 등을 검사하여 회선의 설정 또는 해제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점유된 회선을 통해 관련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어, 회선을 해제하는 경우에는패킷 데이터 전송 완료시 해당 회선을 해제하여 다른 단말기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단말기는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제어 부분을 처리하는 세션 관리 기능이 없기 때문에 회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회선 즉, 무선 자원을 항상 점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양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기존의 회선 통신은 음성을 기반으로 이루어 졌기 때문에 패킷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 품질 제어 기능이 미비하며 외부 패킷 망(PSPDN)과의 프로토콜 정합을 위한 협의 기능 및 현재의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이동성(Mobile IP)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패킷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한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현재로서는 3G UMTS 환경상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가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또한 이상에서 언급한 사용자들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창안한 것으로서, 제3세대(3rd Generation)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MTS) 환경상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시작 및 전송 종료, 패킷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oS) 제어 및 외부 패킷망과의 프로토콜 정합 제어를 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기존의 제 2세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세대 세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터미널 장비
60 : 3세대용 이동 단말기
70 : 3세대용 교환기
80 : 외부 패킷망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은,
특정 터미널 장비가 특정 이동 단말기로 패킷 호 시작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패킷 호 처리 요구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 장비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장비는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세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패킷 데이터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은 터미널 장비(TE: Terminal Equipment)(50)가 연결된 3세대용 이동 단말기(MT: Mobile Terminal)(60)와 3세대용 이동 교환기(SGSN: Serving GPRS Support Node,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필요한 여러 가지 사항을 점검하고 관련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패킷 세션을 생성한다. 패킷 세션은 패킷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검사하는 기능, 터미널 장비와 외부 패킷망과의 프로토콜 정합 협상을 위한 프로토콜 구성(Protocol Configuration) 협의 기능, 동적 패킷 주소(Dynamic Packet Data Protocol Address) 할당 요구 기능, 연결되기 원하는 외부 패킷망을 이름으로 요구하는 기능 등이 포함되며, 이미 생성된 세션과 동일한 패킷 주소 및 외부 패킷망을 이용하는 경우의 처리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종료하고 해당 세션을 삭제하기 위한 기능도 제공한다. 이때, 세션 삭제 시에는 관련 데이터 구조를 초기화한다. 또한, 이미 생성된 세션과 동일한 패킷 주소 및 외부 패킷망을 이용하는 세션을 동시에 삭제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이미 생성된 패킷 세션의 서비스 품질 및 패킷 전송 프로토콜과 관련된 사항들을 변경할 수 있는 패킷 세션 수정 기능도 제공한다. 또한, 패킷 세션 생성시 요구한 동적 패킷 주소가 교환기나 외부 패킷망으로부터 할당되었을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다양한 여러 가지 기능들을 기존의 회선 통신 방법과는 별도로 제공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60)와 연결된 터미널 장비(50)를 통해 패킷 호 시작을 요구한다. 즉, 터미널 장비(50)에 실장된 패킷 데이터 처리 프로토콜이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패킷 처리 프로토콜과 통신하면서 패킷 호 처리 요구를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으로 전달한다.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은 패킷 호 처리 요구신호에 따른 해당 절차 내용을 파악하여 이에 따른 각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세션 관리 블록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처리한다. 만일, 터미널 장비(50)가 동적 패킷 주소 할당을 요구하였으면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수행된 기능들은 해당 프로토콜 메시지로 생성되어 이동 교환기(70)로 전송된다.
세션 관리 블록은 이동 교환기(70)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응답을 수신하면, 터미널 장비(50)에 이를 통보하여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어, 터미널 장비(50)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음을 통보 받은 후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때, 패킷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 및 패킷 전송 프로토콜과 관련된 사항들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60)와 연결된 터미널 장비(50)를 통해 패킷 세션 수정을 요구한다. 즉, 터미널 장비(50)에 실장된 패킷 데이터 처리 프로토콜이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패킷 처리 프로토콜과 통신하면서 필요한 절차를 처리하고, 해당 절차를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으로 전달한다.
이어,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은 해당 절차 내용을 파악하여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렇게 수행된 기능은 해당 프로토콜 메시지로 생성되어 이동 교환기(70)로 전송된다.
이어, 이동 교환기(70)로부터 패킷 세션 수정 요구에 응답을 수신하면 세션 관리 블록은 연결된 터미널 장비(50)에 이를 통보한다.
이어, 패킷 데이터 전송을 완료 후 세션을 종료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터미널 장비(50)는 이동 단말기(60)로 세션 종료를 요구한다. 즉, 터미널 장비(50)에 실장된 패킷 데이터 처리 프로토콜이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패킷 처리 프로토콜과 통신하면서 필요한 절차를 처리하고, 해당 절차를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으로 전달한다.
이어, 이동 단말기(60)에 실장된 세션 관리 블록은 세션 종료에 대한 프로토콜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동 교환기(70)로 전송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60)는 이동 교환기(70)로부터 패킷 세션 종료 요구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면, 터미널 장비(50)에 이를 통보하여 종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적으로 관련 데이터 구조를 초기화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에 따르면, 3G UMTS 환경상에 동작하는 단말기의 패킷 세션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3G UMTS 환경상에 각 단말기가 패킷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무선 자원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특정 터미널 장비가 특정 이동 단말기로 패킷 호 시작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패킷 호 처리 요구신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기능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터미널 장비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터미널 장비는 상기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패킷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 호와 관련된 사항들을 변경하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 장비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패킷 세션 수정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해당 절차 내용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기능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메시지를 상기 이동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교환기로부터 패킷 세션 수정 요구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터미널 장비에 이를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KR1020000084981A 2000-12-29 2000-12-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KR20020055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81A KR20020055762A (ko) 2000-12-29 2000-12-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4981A KR20020055762A (ko) 2000-12-29 2000-12-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5762A true KR20020055762A (ko) 2002-07-10

Family

ID=27688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4981A KR20020055762A (ko) 2000-12-29 2000-12-2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57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17B1 (ko) * 2001-11-01 2004-07-1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통신망에서 제어 메시지와 사용자 패킷간의 동기화 방법
KR100470688B1 (ko) * 2002-09-13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호전환 방법
KR100501271B1 (ko) * 2002-08-17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과금 처리방법
CN113439426A (zh) * 2019-02-18 2021-09-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经由其他接入实现nas信令的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6266A1 (en) * 1997-09-25 1999-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able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1999037103A1 (en) * 1998-01-14 1999-07-22 Nokia Networks Oy An access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1999060801A1 (en) * 1998-05-21 1999-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network and packet data network interoperability
WO2000013441A2 (en) * 1998-08-27 2000-03-09 Qualcomm Incorporated Cdma transmission of packet-switched dat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16266A1 (en) * 1997-09-25 1999-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lectable packet-switched and circuit-switched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WO1999037103A1 (en) * 1998-01-14 1999-07-22 Nokia Networks Oy An access control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WO1999060801A1 (en) * 1998-05-21 1999-11-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telligent network and packet data network interoperability
WO2000013441A2 (en) * 1998-08-27 2000-03-09 Qualcomm Incorporated Cdma transmission of packet-switched dat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717B1 (ko) * 2001-11-01 2004-07-1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선통신망에서 제어 메시지와 사용자 패킷간의 동기화 방법
KR100501271B1 (ko) * 2002-08-17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과금 처리방법
KR100470688B1 (ko) * 2002-09-13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호전환 방법
CN113439426A (zh) * 2019-02-18 2021-09-24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经由其他接入实现nas信令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40509B2 (ja) パケットデータセッションにおける休眠モードを終了させる方法および無線システム
RU218121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выбор услуг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JP4334802B2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の技術分野で呼設定を行うための手法
EP1684532A1 (en) System for re-establishment of a packet data call
EP1353480B1 (en) Reconnecting a cdma2000 high speed packet data service from dormant state
US7787413B2 (en) Method for mobile station request release of multiple packet data service sessions simultaneously using resource release request messages
KR20030027067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베어러 인가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55762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 방법
US20030096619A1 (en) Data transmission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5669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국 사용자의 전용 신호 채널 공용 방법
KR100338637B1 (ko) 차세대 고속데이터 이동통신시스템 범용 패킷 무선서비스에 있어서 무선 구간 호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장치및 그 방법
KR100498341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피에스 호 해제방법
KR20050037894A (ko) 듀얼밴드/듀얼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단말과 그 제어방법
KR10041491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서비스 방법 및 네트워크 구조
JP2002125255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の交換局、基地局制御局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KR100498342B1 (ko) 3세대 통신망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방법
KR100446638B1 (ko) 다중 패킷 호 지원이 가능한 패킷 단말기 및 이 패킷단말기에서의 다중 패킷 호 지원 방법
KR20050032243A (ko) 1X 시스템과 1xEV-DO 시스템간의 페이징 터널링을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980007395A (ko) 서비스 플랫폼 교환기에서의 vod 서비스 접속방법
KR101499982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채널 연결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 패킷망
KR100687266B1 (ko) 유엠티에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중 상대방 단말기의성능 확인 및 서비스 연결방법
CN117858171A (zh) 对终端提供Qos服务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0860658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서비스 방법
KR20030090824A (ko) 이동통신망에서의 푸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304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