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9313A -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 Google Patents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9313A
KR20010009313A KR1019990027599A KR19990027599A KR20010009313A KR 20010009313 A KR20010009313 A KR 20010009313A KR 1019990027599 A KR1019990027599 A KR 1019990027599A KR 19990027599 A KR19990027599 A KR 19990027599A KR 20010009313 A KR20010009313 A KR 20010009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grade
data
system program
song
new s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봉필
Original Assignee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환,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재환
Priority to KR1019990027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09313A/ko
Publication of KR20010009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9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06F11/327Alarm or error messag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곡 데이터(수정된 구곡 데이터 포함)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용 저장팩을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일련의 업그레이드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은 저장팩이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노래반주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읽어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종류 값을 읽어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인지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를 판단하여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각각 데이터 메모리와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며, 업그레이드 작업 완료 후 노래반주장치가 업그레이드된 상태로 정상 동작되도록 시스템을 초기화 시켜주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실수 없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과정까지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일일이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도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A simple data/program upgrading method for Karaoke system}
본 발명은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착탈되는 저장팩을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를 업그레이드 방법과 관련된 것으로서, 특히 신곡 데이터(수정된 구곡 데이터 포함)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래반주장치는 사용자가 미디(MIDI) 규격에 따라 조음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반주음에 맞춰 디스플레이장치(모니터)를 통해 출력되는 배경 영상 및 가사 자막을 보며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로서, 미디 규격에 따른 반주음 데이터 및 가사 자막 데이터(이하 '곡 데이터'라 한다)는 소정의 데이터 메모리에 저장(구곡 데이터)되어 있으며 소정의 주기로 신곡 데이터가 추가되어 업그레이드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최초 노래반주장치가 켜졌을 때, 그 동작을 시작하고 이후 사용자의 키 버튼 조작에 따른 일련의 동작 및 기능(템포나 음정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들도 신곡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추가되거나 향상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는 곧 노래반주장치에 구비되는 소정의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이 업그레이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노래반주장치의 업그레이드는 종래 신곡 데이터 및 새로운 시스템 프로그램을 EPROM 등과 같은 반도체 IC에 저장시킨 후, 노래반주장치의 커버를 열고 추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필요한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저장시킨 저장팩을 사용함으로써 노래반주장치의 커버를 열지 않고도 신곡 데이터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이러한 저장팩을 이용하여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외관도로서 그 구성 및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노래반주장치(100)는 그 소정 부분에 저장팩(200)을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삽입구(150)를 갖는다.
업그레이드용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저장팩(200)은 업그레이드 시, 삽입구(150)를 통해 노래반주장치(100)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장치(300)는 작업자가 눈으로 보면서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일련의 업그레이드 과정을 디스플레이 해준다.
도 2는 도 1의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업그레이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노래반주장치(100)는 시스템 메모리(110), 데이터 메모리(120), 자막/영상 처리부(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또한 저장팩(200)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구(150)를 통하여 노래반주장치(100)와 연결되어 제어부(140)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업그레이드를 위한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갖는 메모리 소자(흔히, EPROM이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사용된다)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저장팩(200)의 메모리 소자에는 업그레이드되는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정의해 주기 위해 필요한 저장팩의 작성 연도, 신곡 월, 시스템 프로그램 버전, 신곡 수 및 메모리 소자 번호 등과 같은 저장팩 정보와 함께 곡 번호,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위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크기 등과 같은 신곡 데이터 정보/시스템 프로그램 정보 등도 함께 저장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노래반주장치(100)의 업그레이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저장팩(200)을 노래반주장치(100)의 삽입구(150)에 삽입하고 소정의 키 버튼 조작을 통해 노래반주장치(100)를 업그레이드 모드로 전환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 고유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후, 작업자는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일련의 작업과정을 모니터링 하면서 적절한 키 버튼 조작을 통해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업그레이드 작업의 수행 결과, 저장팩(200)으로부터 노래반주장치(100)의 데이터 메모리(120)와 시스템 메모리(110)로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및 상술한 저장팩 정보 등이 다운로드 된다.
이 경우, 저장팩 정보가 다운로드 되는 이유는 현재까지의 업그레이드 상황을 노래반주장치(100)가 저장하고 필요시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표출시켜 줄 수 있음으로 인해 다음 업그레이드시 작업자로 하여금 최종적으로 업그레이드된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자막/영상 처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상술한 업그레이드 과정을 디스플레이장치(300)에 표출시켜주기 위해 자막이나 영상의 처리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그레이드 작업은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일련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서 작업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디스플레이장치를 계속 보면서 각 과정마다 일일이 키 버튼을 적절하게 조작해야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키 버튼 조작 회수가 많아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은 작업자가 업그레이드해야하는 노래반주장치의 대수가 많아질수록 더 커지게 됨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또한 이 경우, 작업자의 실수나 미숙함으로 인하여 키 버튼의 조작을 잘못하게 되면 업그레이드 작업은 더욱 더디게 진행될 것이다.
더욱이 작업자가 자신만이 알고 있는 비밀번호를 잊어버리기라도 하게 되면 업그레이드 작업 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팩을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를 모르더라도 상술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저장팩을 이용하여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도 1의 노래반주장치에 있어서 업그레이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3b는 도 3a의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 과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저장팩 내의 메모리 소자가 갖는 데이터 맵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노래반주장치 110 : 시스템 메모리
120 : 데이터 메모리 130 : 자막/영상 처리부
140 : 제어부 150 : 삽입구
200 : 저장팩 300 : 디스플레이장치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의 특징은 저장팩이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노래반주장치와 접속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읽어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종류 값을 읽어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인지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를 판단하여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각각 데이터 메모리와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며, 업그레이드 작업 완료 후 노래반주장치가 업그레이드된 상태로 정상 동작되도록 시스템을 초기화 시켜주는 과정으로 제어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 3 및 도 4를 중심으로 하고,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이 적용된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은 업그레이드용 신곡 데이터(수정된 구곡 데이터 포함)/시스템 프로그램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가지는 저장팩을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팩이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노래반주장치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S100)와, 제 1 단계(S100)의 판단 결과 저장팩이 접속된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읽어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S200)와, 제 2 단계(S200)의 판단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종류 값을 읽어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인지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S300)와, 제 3 단계(S300)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팩으로부터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각각 데이터 메모리와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S400) 및 제 4 단계(S400) 수행 후 업그레이드된 상태로 노래반주장치가 동작되도록 시스템을 초기화 시켜주는 제 5 단계(S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 저장팩(200) 내의 메모리 소자가 갖는 데이터 맵의 일 예를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술한 도 2에서 설명한 바 있는 저장팩 정보(230), 신곡 데이터 정보/시스템 프로그램 정보(240) 및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250)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210)와 업그레이드 종류 값(220)을 더 포함한다.
먼저, 제어부(140)는 저장팩(200)이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150)를 통해 노래반주장치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S100)하며, 이 결과 저장팩(200)이 접속된 경우 저장팩(200)으로부터 비밀번호(210)를 읽어 데이터 메모리(120)에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S200)한다.
판단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저장팩(200)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종류 값(220)을 읽어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인지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를 판단(S300)하며,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소정의 비밀번호 에러문구를 표출한다(S600).
이후, 노래반주장치(100)는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상술한 업그레이드 종류를 판단하는 단계(S300)의 결과에 따라 저장팩(200)으로부터 신곡 데이터를 다운 받아 데이터 메모리(120)에 저장하거나, 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시스템 메모리(110)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한다(S400).
즉, 상술한 제어부(140)가 저장팩(200)으로부터 읽어들인 업그레이드 종류 값이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모두를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에 해당하는 값이면 저장팩(200)의 소정 영역(250)에 저장된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데이터 메모리(120) 및 시스템 메모리(110)를 각각 업그레이드시킨다(S450).
마찬가지로, 저장팩(200)으로부터 읽어들인 업그레이드 종류 값이 신곡 데이터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만을 업그레이드시키는 것에 해당하는 값이면 저장팩(200)의 소정 영역(250)에 저장된 신곡 데이터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데이터 메모리(120) 또는 시스템 메모리(110)만을 각각 업그레이드시킨다(S410 또는 S430).
이와 같은 업그레이드 작업의 세부적인 과정은 저장팩(200)으로부터 신곡 데이터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 과정과, 다운 받는 과정 중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에러문구를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표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데, 이 과정을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b는 도 3a의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 과정(S41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순서도로서, 먼저,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저장팩(200)으로부터 데이터 메모리(120)로 신곡 데이터를 다운 받고(S411), 다운로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3).
판단 결과, 다운로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신곡 데이터를 다운 받는 도중 에러가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며(S415),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정의 업그레이드 에러문구를 디스플레이장치(300)를 통해 표출한다(S417).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는 상술한 신곡 데이터를 다운 받는 과정(S411)부터 재 수행한다.
상술한 단계(S413)의 판단 결과, 신곡 데이터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업그레이드가 완료된 것이며, 이 경우 업그레이드된 상태로 노래반주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제어부(140)는 노레반주장치 시스템을 초기화 시켜준다(S500).
물론, 상술한 과정들(S411∼S417)은 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하거나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을 함께 업그레이드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업그레이드 과정과는 별도로 종래 기술의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팩(200)내의 저장팩 정보가 노래반주장치(100)의 데이터 메모리(120)로 다운로드 됨도 물론이다.
한편, 저장팩(200) 삽입 후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술한 단계(S200)와는 다르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제 1 단계(S100)의 판단 결과 저장팩(200)이 접속된 경우 작업자로 하여금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 후,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120) 내의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작업자가 자신만이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거나 필요에 의해 비밀번호를 노출시키지 않으려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에서는 도 3 및 도 4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에 의하면, 저장팩 내의 메모리 소자에는 업그레이드 종류를 나타내는 값 또는 이 값과 함께 비밀번호를 저장해 두고 노래반주장치로 하여금 이 값들을 이용한 업그레이드 제어 프로그램을 운용하도록 해줌으로써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경우, 일련의 버튼조작이 필요 없거나 그 조작 회수가 줄어들게 되어 비숙련자라 하더라도 실수 없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입력과정까지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일일이 비밀번호를 기억할 필요도 없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업그레이드용 신곡 데이터(수정된 구곡 데이터 포함)/시스템 프로그램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여 가지는 저장팩을 이용하여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에 있어서,
    저장팩이 노래반주장치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 삽입구를 통해 노래반주장치와 접속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저장팩이 접속된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읽어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저장팩으로부터 업그레이드 종류 값을 읽어 신곡 데이터 업그레이드인지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 신곡 데이터 및 시스템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저장팩으로부터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아 각각 데이터 메모리와 시스템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해당되는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제 4 단계 수행 후 업그레이드된 상태로 노래반주장치가 동작되도록 시스템을 초기화 시켜주는 제 5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각 업그레이드 과정은;
    저장팩으로부터 신곡 데이터 또는 시스템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 과정; 및
    상기 다운 받는 과정 중 에러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업그레이드 에러문구를 표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의 판단 결과 저장팩이 접속된 경우, 작업자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과정; 및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데이터 메모리 내의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판단 결과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밀번호 에러문구를 표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 방법.
KR1019990027599A 1999-07-08 1999-07-08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KR20010009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99A KR20010009313A (ko) 1999-07-08 1999-07-08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7599A KR20010009313A (ko) 1999-07-08 1999-07-08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9313A true KR20010009313A (ko) 2001-02-05

Family

ID=1960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599A KR20010009313A (ko) 1999-07-08 1999-07-08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093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55B1 (ko) * 1999-07-27 2002-05-23 박태현 프로그램/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0576162B1 (ko) * 2004-08-2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락 코드를 이용한 광디스크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855B1 (ko) * 1999-07-27 2002-05-23 박태현 프로그램/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KR100576162B1 (ko) * 2004-08-23 2006-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락 코드를 이용한 광디스크 재생 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4653A (ja) データ蓄積装置と方法
KR101448994B1 (ko) 펌웨어 다운로드 이력 관리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그 제어방법
US5941711A (en) Karaoke apparatus with a personal data reading function
US8365161B2 (en) Compatibility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EP0872835A2 (en) Music compact disk players and programming methods therefor
US72213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presenting memory size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GB2277180A (en) Programmable controll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010009313A (ko) 노래반주장치의 신곡 데이터/시스템 프로그램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JPH0588832A (ja) 操作ガイド画面表示方法
US5995987A (en) Programming method and programming unit for programmable controller in which only common names for application instructions need be designated by the programmer
JP20001556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844170B2 (ja) 電子装置
JP309751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299480B1 (ko) 어휘학습보조장치
US20080004800A1 (en) Navigation System
US67824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among variety of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37855B1 (ko) 프로그램/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US7685592B2 (en) Method and device for updating program functions corresponding to a version flag
JP3678402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949763B2 (ja) 表示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139010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作成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作成支援方法
EP0407849B1 (en) Programming method and programming unit for programmable controller
JP4758299B2 (ja) 表示装置
JP4608754B2 (ja) ナビゲーション制御装置、ナビゲーショ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63158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2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10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