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31583B1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583B1
KR100631583B1 KR1020040066867A KR20040066867A KR100631583B1 KR 100631583 B1 KR100631583 B1 KR 100631583B1 KR 1020040066867 A KR1020040066867 A KR 1020040066867A KR 20040066867 A KR20040066867 A KR 20040066867A KR 100631583 B1 KR100631583 B1 KR 100631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boot
state valu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8482A (ko
Inventor
오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83B1/ko
Priority to JP2005226040A priority patent/JP2006065857A/ja
Priority to US11/210,018 priority patent/US7770166B2/en
Priority to EP05018289A priority patent/EP1630669A1/en
Publication of KR20060018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8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4Updates u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for alterable solid state memories, e.g. for EEPROM or flash mem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5Updates
    • G06F8/658Incremental updates; Differential 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89Program code verification, e.g. Java bytecode verification, proof-carrying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을 부트 바이너리 영역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시작 전 특정 메모리 번지에 에러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특정 메모리 번지에 정상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부팅 시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메모리 및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특정 메모리 번지에 기록된 상태값(정상 상태값, 에러 상태값)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값이 에러 상태값이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PROGRAM UPDATE CHECK AND PROGRAM FORCE DOWNLOA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메모리의 맵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프로그램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강제 다운로드 구현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부트 바이너리 영역 102 : 메인 바이너리 영역
103 : 데이터 영역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에서 프로그램 업데이트 중, 에러 발생에 의해 정상적인 부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 프로그램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제조 과정에서 펌웨어 프로그램을 탑재하거나, 시판된 단말기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또는 단말기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경우, A/S 센터를 통해 프로그램을 재 다운로드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프로그램 다운로드(업데이트) 중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피씨가 다운되는 경우에 다운로드(업데이트)를 실패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다운로드 과정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정상적인 부팅도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기에는 상기와 같은 상황 발생 시 지정된 특정 키(버튼)를 눌러,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의 경우 키 스캔을 통신모듈(CDMA 모듈, MSM) 자체에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피디에이 모듈에서 키 스캔한 결과 값을 소정 통신포트(UART2)를 통해 통보 받아 처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강제 다운로드 모드 전환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즉,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는 통신모듈이 정상적으로 부팅한 후, 피디에이와 직렬 통신을 담당하는 타스크(Task)가 원활하게 동작되어야만, 피디에이 모듈에서 전달되는 키를 인식할 수 있는데, 통신모듈에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던 중, 어떤 원인에 의해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지 않을 경우, 통신모듈이 정상적으로 부팅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피디에이 모듈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 종래 방식으로 특정 키(버튼)를 눌러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고 싶더라도, 키 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종래 방법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에서 프로그램 업데이트 중, 에러 발생에 의해 정상적인 부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 프로그램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을 부트 바이너리 영역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프로그램 다운로드를 시작 전 특정 메모리 번지에 에러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 과정과; 상기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특정 메모리 번지에 정상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의 부팅 시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메모리 및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특정 메모리 번지에 기록된 상태값(정상 상태값, 에러 상태값)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값이 에러 상태값이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을, 물리적으로는 부트 바이너리 영역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부트 영역의 프로그램은 단말기 부팅 시마다 정상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 여부를 체크하여, 정상적인 단말기 구동이 가능할 경우, 상기 두 영역에 있는 프로그램을 병합(Merge)하여 단말기를 구동하고, 불완전한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의해 단말기의 구동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자동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의 제공을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메모리의 맵 구성을 보인 예시도로서, 종래의 경우에는 메인 바이너리 영역만 구성하여 0번지(0x0000)부터 메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끝 번지부터 일정 영역에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는 부트 바이너리 영역(101)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102)으로 분리하고, 0번지(0x0000)부터 일정 영역(부트 바이너리 영역)에 부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후 소정 번지(0x10000)부터 메인 바이너리 영역으로 설정하여 메인 프로그램을 저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트 바이너리 영역에 저장되는 부트 프로그램은, MSM 칩(ARM Core 초기화)의 초기 구동 알고리즘과 RAM 및 ROM의 초기화 및 UART를 초기화하여 소정의 데이터 전송속도(Baud rate)를 연속적으로 낼 수 있도록 설정하여 프로그램의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는 함수를 포함한다.
다음, 상기 메인 바이너리 영역에 저장되는 메인 프로그램은, 상기 부팅 시퀀스와 관련된 함수들을 제외한 단말기 운용에 관련된 함수들을 포함한다.
본래, 상기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컴파일 시 생성되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본 발명의 용도에 맞게 분리한 것으로, 부팅이 완료된 후에는 두 프로그램을 병합(Merge)하여 최종적으로는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운용하는 과정을 더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부트 영역의 프로그램은 단지 본래의 메인 프로그램에서 단말기 부팅에 필요한 함수만을 분리한 것이 아니고, 단말기 부팅 시마다 정상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 여부를 체크하여, 불완전한 프로그램 업데이트에 의해 단말기의 구동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함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정상적인 프로그램 업데이트 여부의 체크는, 프로그램 업데이트 시 정상적인 업데이트 완료 여부에 따라, 특정 메모리 번지(0xFFFE)에 소정의 상태값(예:정상 상태값:0xAB, 에러 상태값:0xFF or 0x00)을 기록하도록 하고, 부팅 시 해당 번지의 값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상태값이 기록되어 있으면 부팅을 계속 수행하고, 에러값이 기록되어 있으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업데이트된 프로그램에 이상이 없을 경우 정상적으로 부팅을 완료하고, 병합(Merge) 함수에 의해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하나로 합쳐주 므로, 이후 단말기의 구동이나 프로그램 업데이트에는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음, 상기 도1의 구성에서 설명이 생략된 영역(103, EFS : Enhanced File System)은 리드/라이트가 가능한 데이터 영역으로서, 전화번호부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영역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부팅 프로그램 동작 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될 경우 부팅 프로그램은 우선 메모리의 초기화 및 하드웨어 초기화, 먹스 세팅(GPIO 포트 설정, 동작 클럭 설정 등), 메모리(RAM) 테스트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화 과정들은 단말기를 구동하거나 강제 다운로드 모드 진입을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이며, 상기 과정이 모두 진행된 후 이전의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즉, 특정 메모리 번지(0xFFFE)에 기록된 소정의 상태값(정상:0xAB, 에러:0xFF or 0x00) 을 체크하여, 정상적인 체크값이 기록되어 있으면 메인 프로그램이 저장된 번지(0x10000)로 분기하여 부팅을 계속 수행하고, 에러 상태값이 기록되어 있으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강제 다운로드 구현 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의 MSM(arm core), RAM, ROM, UART 등의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함수 및 변수들을 발췌해 부트 바이너리 영역에 포함한다.
이때, 부트 바이너리 영역(VBB_ROM)은 0x0000 번지에서 0xFFFF 번지까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상기 발췌한 초기화 함수 및 변수에 의한 부트 프로그램(VBB_ROM)을 메모리(Flash_ROM)의 0x0000 ~ 0xFFFF 번지 안에 위치시키고, 나머지 함수를 포함하는 메인 프로그램은 0x10000 번지 이후부터 위치시킨다.
다음,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병합하여 하나의 통합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운용하는데, 상기 통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업데이트) 툴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했을 때, 정상적으로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롬의 특정번지(예 : 0xFFFE 번지)에 특정 상태값(예 : 0xAB)를 기록하고, 도중에 비정상적인 이유로 다운로드 작업이 중단될 경우, 즉 실패한 경우 에러값(0xFF 또는 0x00)을 기록하여 다운로드의 성공 실패 여부를 가려, 다운로드(업데이트) 툴을 이용해 롬의 특정 영역(예 : 0xFFFE 번지)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부트 프로그램은 롬의 특정번지(예 : 0xFFFE 번지)의 값을 리드해, 그 상태값에 따라 정상적인 부트 시퀀스 과정대로 부팅을 할 것인지, 아니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여 프로그램 다운로드(업데이트)를 재실행 할 것인지를 판별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종래 이동 통신 단말기가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인가 시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시키는 것과 달리, 키 스캔을 하지 않더라도 부팅 시 자동으로 프로그램 업데이트 상태를 판단하여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의 진입을 판단하므로, 피디에이 모듈과 통신모듈(CDMA 모듈)이 별도로 구동되어 상호간 통신에 의해 운용되는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이동 통 신 단말기에도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은 피디에이 타입 단말기에서 프로그램 업데이트 중, 에러 발생에 의해 정상적인 부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강제 프로그램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J-TAG을 이용하지 않고도 간편한 복구 절차에 의해 쉽게 불량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복원할 수 있도록 하여 개발비용 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단말기 제조사의 고객지원 인터넷 사이트에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직접 업데이트를 수행할 경우, 업데이트 도중 전원이나 컴퓨터 오류, 사용자 부주의에 의해 업데이트가 실패하더라도, 고객센터의 도움을 받지 않고도 단말기 전원을 다시 부팅하는 것만으로 업데이트를 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제조사의 A/S 비용 절감 및 제품의 신뢰성 향상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모리 영역을 부트 바이너리 영역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과;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시작하기 전 특정 메모리 번지에 에러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분할된 각 영역에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는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 상기 특정 메모리 번지에 정상 상태값을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바이너리 영역과 메인 바이너리 영역 사이에 완충 영역(Not Used)을 설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트 프로그램은,
    통신모듈의 초기 구동 알고리즘과, 램 및 롬의 초기화와, 소정의 데이터 전송속도(Baud rate)를 연속적으로 낼 수 있도록 통신포트를 초기화하는 함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로그램은,
    상기 부트 프로그램에 의한 부팅 시퀀스와 관련된 함수들을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 운용에 관련된 함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단말기의 부팅 시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메모리 및 하드웨어를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 후 특정 메모리 번지에 기록된 상태값(정상 상태값, 에러 상태값)을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상태값이 에러 상태값이면 강제 다운로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부팅이 완료될 경우,
    부트 프로그램과 메인 프로그램을 병합(merge)하여 하나의 통합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단말기를 운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10. 삭제
KR1020040066867A 2004-08-24 2004-08-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67A KR100631583B1 (ko) 2004-08-24 2004-08-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JP2005226040A JP2006065857A (ja) 2004-08-24 2005-08-03 移動通信端末機のプログラム強制ダウンロード方法及び装置
US11/210,018 US7770166B2 (en) 2004-08-24 2005-08-22 Forcibly downloading program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EP05018289A EP1630669A1 (en) 2004-08-24 2005-08-23 Forcibly downloading program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867A KR100631583B1 (ko) 2004-08-24 2004-08-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482A KR20060018482A (ko) 2006-03-02
KR100631583B1 true KR100631583B1 (ko) 2006-10-09

Family

ID=37126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8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31583B1 (ko) 2004-08-24 2004-08-24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5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71B1 (ko) * 2005-06-30 2007-04-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기기의 펌웨어 업데이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482A (ko) 200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0166B2 (en) Forcibly downloading program i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US7516315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lterable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configuring the same
TWI576764B (zh) 電腦系統
US84900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softwar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0010196A (ko)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컴퓨터 시스템의 프로덕트 키 저장방법
CN100504778C (zh) 计算机开启系统和开启方法
CN101505331A (zh) 升级智能手机系统软件的方法和装置
US20130262848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booting method
US20050010914A1 (en) Method for upgrading firmware
CN105279002B (zh) 嵌入式系统中基于系统引导文件的自动升级方法
KR10063158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데이트 체크 및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CN114625389A (zh) 嵌入式设备升级方法、嵌入式设备及存储装置
KR10065266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 자동 복구 방법
KR10063158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로그램 강제 다운로드 방법
CA2539897C (en)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n alterable configuration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configuring the same
US2004023693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rmware upgrade in microprocessor-based processing units
CN113885926A (zh) 一种基于安全芯片的操作系统在线升级方法
KR20040056682A (ko) 휴대폰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다운로딩법
CN113656063A (zh) 一种系统版本更换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0628176B1 (ko) 정보 단말기의 저장 프로그램 갱신 방법
KR1006365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CN114860336B (zh) 基于pxe的系统审核模式实现方法及电子设备
KR10060879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이너리 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KR20040096734A (ko) 휴대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KR2006001382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09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92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