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7207A -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기초한 마크로다이버시티모드를 갖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기초한 마크로다이버시티모드를 갖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207A
KR20010007207A KR1020000030388A KR20000030388A KR20010007207A KR 20010007207 A KR20010007207 A KR 20010007207A KR 1020000030388 A KR1020000030388 A KR 1020000030388A KR 20000030388 A KR20000030388 A KR 20000030388A KR 20010007207 A KR20010007207 A KR 20010007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unit
macrodiversity
fixed
wireles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6899B1 (ko
Inventor
라흐만모하메드에니슈얼
Original Assignee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filed Critical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01000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6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6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좌우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갖는 무선 유니트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고정 유니트, 유한 고정 유니트(홈 셀 내의 이동성) 및(또는) 완전한 이동 유니트 등의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과 관련된 카테고리에서 운영되는 무선 유니트들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해,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는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에 좌우되어 확립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가 고정된 것이고 홈 기지국으로부터 양호하게 수신되는 경우, 특히 홈 기지국에 근접한 지역에서,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는 제한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은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모드에서 제한되기 때문에, 홈 기지국과 무선 유니트 간의 신호들의 페이딩은 심각하지 않아야 하고, 그에 따라 마이크로다이버시티가 디스에이블된다. 수신이 불량한 경우, 특히, 셀의 에지 근처 지역에서,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가 인에이블된다. 셀의 에지에서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마크로다이버시티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무선 유니트는 고정(또는 유한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되지 않는다(또는 단지 기지국의 제한된 세트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기초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갖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Macrodiversity control system having macrodiversity mode based on operating category of wireless uni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이한 운영 카테고리의 무선 유니트들을 갖는 셀 방식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어느 지리적인 지역 내에 위치하는 수많은 무선 유니트 또는 이동 유니트(12a-c)에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형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10)의 일부의 도면을 나타낸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인 지역은 "셀"이라 칭하는 공간적으로 별개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셀은 벌집 모양 패턴의 육각형으로 개략적으로 나타내지만; 실제로, 각각의 셀은 그 셀 및 기타 인자를 둘러싸는 지세의 지형학에 좌우되는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다. 종래의 셀 방식 전화 시스템은 종종 이동 유니트 또는 무선 유니트라 칭하는 셀 방식 전화로 및 그로부터 음성-베이스 통신 신호의 전송 및 수신을 지원하도록 지리학적으로 분포된 수많은 셀 사이트 또는 기지국(14a-d)을 포함한다. 각각의 셀 사이트는 셀 상으로 음성 통신을 다루고, 셀 방식 전화 시스템에 대한 전체 적용 범위 영역은 모든 셀 사이트에 대한 셀들의 연합으로 정의되고, 여기서 근처 셀 사이트에 대한 적용 범위 영역은 시스템의 적용 범위 영역의 외부 경계 내의 (가능할 경우) 연속적인 통신 적용 범위를 보장하기 위해 어느 정도까지 중첩된다. 하나의 셀 사이트는 때때로 여러 섹터에 대한 작용 범위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들 및 섹터들은 호환성있는 것이라 칭한다.
기지국(14a-d)은 그 기지국이 그러한 셀 내의 이동 유니트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라디오 및 안테나를 포함하고, 또한 그 기지국이 이동 스위치 센터(MSC)(16)와 통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장비를 포함한다. 이동 스위치 센터(16)는 무엇보다도 이동 유니트들 간의 콜 및 이동 유니트와 무선 유니트(예, 무선 유니트(18)) 간의 콜을 설치 및 유지를 담당하고, 여기서 무선 유니트(18)는 공용 스위치 전화 네트워크(PSTN)(20)를 통해 이동 스위치 센터(MSC)(16)에 접속된다. 이동 스위치 센터(16)는 인 MSC(16)에 의해 서비스되는 지리적 지역 전반에 산재된 기지국(14a-d)과 같은 복수개의 기지국 및 인터넷과 같은 PSTN(20) 및(또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22)에 접속된다. MSC(16)는 홈 위치 레지스터(HLR)(24)를 포함하는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된다. HLR(24)은 MSC(16)의 지리적 지역 내에 체류하는 모든 이동 유니트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각각의 이동 유니트에 대해, HLR(24)은 이동 식별 번호(MIN) 또는 국제 이동 가입자 식별 번호(IMSI), 이동 디렉토리 또는 전화 번호(MDN), 및(또는) 전자 일련 번호(ESN)를 저장한다.
액티브 이동 유니트가 (적어도) 하나의 셀 사이트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포워드-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인버스-링크 신호를 그에 전송한다. 각각의 액티브 이동 유니트는 그것이 적어도 하나의 포워드 링크 채널 상에 포워드-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것 상에 포워드 링크를 할당하고 그것이 적어도 하나의 리버스 링크 채널 상에 리버스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것 상에 리버스 링크를 할당한다. TDMA(시분할 다중 액세스), FDMA(주파수-분할 다중 액세스) 및 CDMA(코드-분할 다중 액세스) 도식을 포함하는, 셀 방식 전화 시스템에 대한 포워드 및 리버스 링크 채널을 정의하기 위한 많은 상이한 도식이 존재한다. CDMA 통신에서, 상이한 채널들은 상이한 음성-베이스 스트림을 인코딩하기 위해 사용된 상이한 스프레딩 시퀀스에 의해 구별되고, 이어서 동시 전송을 위해 1개 이상의 상이한 반송파 주파수에서 변조될 수 있다. 하나의 수신기는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해 적절한 스프레딩 시퀀스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로부터 특정 음성-베이스 스트림을 회복할 수 있다.
CDMA 시스템에서 이동 유니트로 및 그로부터 전송된 신호들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특정 셀 내의 모든 액티브 이동 유니트들은 상이한 CDMA 스프레딩 시퀀스에 할당된다. 셀 방식 전화 시스템들은 이동 유니트가 상이하고 (가능하게는 랜덤한) 시점에서 활성화되고 비활성화되는 다이내믹 시스템이기 때문에, 그리고 이동 유니트들이 하나의 셀로부터 다른 셀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채널들의 여러 가지 이동 유니트들로의 할당은 셀 방식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인접하는 셀들에서 이동 유니트들 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이동 유니트들에 대역폭 리소스들을 할당하기 위해, 인접하는 셀 사이트들의 리소스-할당 활동이 조정된다.
활동의 상세한 시퀀스는 전형적으로 이동 유니트가 콜을 확립하거나 또는 수신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을 액세스할 수 있기 전에 후속된다.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CDMA 이동 유니트와 기지국 간의 콜은 전형적으로 여러 가지 종류의 채널을 사용한다. 초기에는, 어떤 영역 내의 모든 이동 유니트들에 대해 특정 시스템 동기화 및 타이밍 정보를 연속적으로 방송하기 위해 파일러트 채널이 사용된다. 초기 동기화가 이동 유니트에서 달성된 후, 그 이동 유니트에서 보다 명확한 시간 및 프레임 동기화를 확립하기 위해 싱크 채널이 사용된다. 싱크 채널 메시지는 다른 군의 채널, 즉 페이징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한다. 페이징 채널들은 액세스 파라메터 메시지에 포함된 액세스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다양한 채널 정보를 방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액세스 파라메터 메시지는 기지국에 대한 액세스를 구하는 이동 유니트들에 대한 관심있는 파라메터들 및 기타 정보를 포함한다. 기타 오버헤드 메시지들은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정보가 전송되는 기지국과 이동 유니트 간의 포워드 및 리버스 링크 트래픽 채널 상의 통신을 조장하기 위해 이동 유니트와 기지국 간에 전송된다.
개발중인 종래의 CDMA 시스템은 수신 성능 또는 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마크로다이버시티(macrodiversity)를 사용한다. CDMA에 사용된 바의 마크로다이버시티 개념은 2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 이상의 동시 링크를 포함한다. 이동 유니트 및 셀 수신기는 수많은 병렬 상관기를 사용한다. 병렬 상관기들을 사용하는 수신기들(때때로 RAKE 수신기라 칭함)은 개개의 경로 도달이 개별적으로 트랙되게 하고, 이들의 수신된 신호 강도의 합은 이어서 그 신호를 복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각각의 도달에 대한 페이딩이 존재하는 동안, 페이딩들은 독립적이다. 신호들의 합에 기초한 복조는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그것은 셀 사이트의 많은 리소스/장비를 사용할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 더욱이, 상당히 큰 백분율의 콜이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사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단 하나의 시스템이 지정되면, 트랜스시버의 수가 고정되고,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크로다이버시티는 무선-리소스를 다 사용할 것이다. 운영할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위해, 이동 유니트는 현재 무선 유니트에 대해 서비스하지 않는 후보 리스트 상에 기지국의 파일러트 신호에 대해 탐색한다. 무선 유니트는 예를 들면 파일러트 신호들의 수신된 신호 강도 지시기(RSSI)를 사용하여 신호 강도를 측정한다. 무선 유니트가 이 무선 유니트에 할당되지 않은 기지국과 연관된 충분한 강도의 파이럿을 검출할 때, 파일럿 신호 측정치를 포함하는 파일럿 측정 메시지가 MSC(16)에 제공된다. 파일럿 신호 측정치를 사용함으로써, MSC(16)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유니트에 트래픽 채널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유니트는 그것이 1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채널들이 할당되는 경우에 마크로다이버시티 상태에 있다고 한다. 지리적 지역 내에서, MSC(16)는 이동 유니트가 셀들 간에 이동할 때 실시간으로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콜을 스위치하고, 이는 콜 핸드오프라 칭해진다.
주어진 무선 유니트에 접속된 모든 기지국들은 그 이동 유니트의 액티브 세트를 규정하고, 액티브 셋트 갱신 함수는 파일럿 강도 측정치에 기초하여 이러한 액티브 세트를 제어하고, 즉 평가 및 갱신한다. 무선 유니트에서, 가장 강력한 파일럿이 측정 공정에 의해 검출되고 측정된다. 이어서, 신호 강도 값은 파일럿 측정 리포트로 수집되고, 이는 MSC(16)로 전송된다. 액티브 세트 갱신 함수가 실시될 때, 가장 강력하고 가장 약한 파일럿이 수신되는 액티브 세트 내의 기지국들이 식별된다. 그 차이가 시스템이 목적하는 값보다 더 큰 경우(이후 액티브 세트 윈도우라 칭함), 가장 약한 기지국은 액티브 세트로부터 제거될 것이다. 수신된 파일럿 신호 강도가 윈도우 내에서 액티브 세트 임계값 이상인 경우, 기지국이 액티브 세트 윈도우에 부가되고, 단, 액티브 세트 크기(수신기에서 RAKE 핑거들의 번호)가 초과되지 않는다. 액티브 세트 크기가 최대인 경우, 액티브 세트에서 가장 약한 기지국은 대응하는 파일럿 신호 강도가 가장 약한 기지국보다 더 큰 경우의 새로운 기지국으로 대체될 것이다.
일부 무선 셀 방식 통신 시스템들은 고정된 무선 유니트들을 포함한다. 고정된 셀 방식 개념은 많은 주의를 끌고 있고, 공용 스위치 전화 네트워크(PSTN)를 대체하고, 여기서, 그 지세가 험하고, 기본 시설 비용이 너무 커서 PSTN을 구현하기 곤란하다. 고정된 셀 방식 개념은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이 홈 셀 내에서 매우 제한되는(제한되거나 또는 이동성이 전혀 없음) 무선 유니트를 포함한다. 마크로다이버시티는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않고, 기지국들 간에 어떠한 핸드오프도 허용되지 않는다.
CDMA 시스템에 사용되는 마크로다이버시티는 그것이 셀 방식 또는 PCS 시스템에서 수신의 질을 개선시키는 장점을 갖지만, 셀 사이트가 완전히 로드되는 경우(모든 트랜스시버가 다 사용됨), 시스템의 용량이 손상된다. 따라서, 마크로다이버시티는 특히 고정 유니트 및 이동 유니트 모두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조정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따라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 유니트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고정 유니트, 유한 고정 (홈 셀 내의 이동성) 유니트 및(또는) 완전한 이동 유니트 등의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과 연관된 카테고리에서 운영되는 무선 유니트를 가질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해,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는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에 좌우되어 확립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가 고정되고, 홈 기지국으로부터 양호하게 수신되는 경우, 특히 홈 기지국과 근접한 지역에서,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가 제한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은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모드로 제한되기 때문에, 홈 기지국과 무선 유니트 간의 신호들의 페이딩은 엄격하지 않아야 하고, 그로 인해 마크로다이버시티가 디스에이블된다. 수신이 불량한 경우, 특히 셀의 에지 근처의 지역에서,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가 인에이블된다. 셀의 에지에서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마크로다이버시티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무선 유니트는 고정(또는 유한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다른 기지국으로 핸드오프되지 않는다(또는 단지 기지국의 제한된 세트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는 셀 방식 통신 시스템의 일반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원리를 사용한 셀 방식 시스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흐름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30: 기지국 32: 셀
34: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 36: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
38, 40, 42: 무선 유니트 52: 블록
본 발명의 다른 관점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확해질 수 있을 것이다.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제어 시스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고정 유니트(이동성 없음), 유한 고정 유니트(홈 셀 내에서 제한된 고정 이동성) 및(또는) 완전한 이동 무선 유니트 등의 상이한 운영 카테고리를 갖는 무선 유니트들의 셀 방식 시스템에 관련하여 기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는 고정, 유한 고정 및(또는) 이동 카테고리 간에 스위치될 수 있다. 도 2는 셀(32)에 대한 기지국(30)을 보여준다. 예시의 목적상, 셀(32)은 고정 카테고리의 무선 유니트들에 대해 마크로다이버시티 영역(34) 및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영역(36)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고정 운영 카테고리에서, 기지국을 향하여 배향된 지붕 위의 안테나를 갖는 무선 유니트(40) 등의 무선 유니트들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안테나는 상당히 큰 높이 이득을 갖고, 방향성 안테나는 수신을 보조한다. 안테나의 위치는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모드 또는 오퍼레이션은 안테나 위치 또는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설치/RF 최적화 동안 확립될 수 있고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한 고정 운영 카테고리는 이동성이 제한되는 경우 확립될 수 있고(예를 들면,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그 무선 유니트가 홈 또는 건물 내에 있기 때문에 도보 속도로 제한될 수 있음), 그로써 페이딩 카테고리들은 완전한 이동 무선 유니트로서 작용하지 않는다. 유한 고정 카테고리에 대해, 무선 유니트들은 고정 무선 유니트들에 의해 사용된 모드에 비해 상이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또는 오퍼레이션을 사용하여 운영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선(37)은 유한 고정 카테고리에 대해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과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 간의 경계를 지정할 수 있다. 상이한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들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포워드 및(또는) 리버스 트래픽 또는 파일럿 채널들의 신호 강도 측정치들과 같은 신호 질 측정치와 비교할 때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특정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오퍼레이션은 특정 무선 유니트에 대한 개개의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 및(또는) 핸드오프 임계값에 의해 결정된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는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오퍼레이션을 확립하기 위한 근간이 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는 가입 시에 또는 설치/RF 최적화 시에 확립될 수 있고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모드는 예를 들면 운영 카테고리의 변화 또는 특정 운영 카테고리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특정 이동 장치, 특정 셀 또는 시스템이 어떻게 정의되는 시스템에 의한 변화에 기초하여 변화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는 기지국으로 및(또는) 그로부터 신호의 신호 질 측정치 및(또는) 셀 및(또는) 주변 셀의 트래픽 로드 등의 특정 운영 파라메터(들)를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선행 기술의 트래픽 패턴 및(또는) 선행 기술의 핸드오프 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특성은 무선 장치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오퍼레이션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는 여름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에 있을 수 있고, 겨울에는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에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경계(37)는 변화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34)에서, 고정 무선 유니트(38)는 기지국(30)으로부터 수신이 예를 들면 신호 강도에 의해 측정된 신호 품질 값, 신호 대 잡음 비(Ec/Io 등), 비트 에러율(BER), 및(또는) 프레임 에러율(FER) 등의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 이하로 불량하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34)은 전형적으로 셀(32)의 에지 또는 핸드오프 지역에 존재하지만, 위치 또는 기타 간섭 시나리오 (영역(39)과 같이 기지국(30)에 물리적으로 근접하지만)으로 인한 불량한 수신에 따라 무선 유니트에 대해 확장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가 인에이블될 때, 무선 유니트(38)는 수신을 개선하기 위해 다른 셀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지만, 무선 유니트(38)는 고정 운영 카테고리에서 다른 셀들로 핸드오프되지 않을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고정 무선 유니트는 핸드오프 과정을 블로킹하거나 또는 우회함으로써, 예를 들면 핸드오프를 초기화하기 위해 전형적인 시스템에 사용된 고정 무선 유니트(38)에 대한 핸드 오프 파라메터 측정치 요구 메시지 및(또는) 핸드 오프 방향 메시지를 블로킹함으로써 다른 셀들에 대해 핸드오프되지 않고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사용할 수 있다.
대안으로, 서비스 및(또는)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신호 질 측정치와 비교할 때 핸드오프 과정을 초기화시키기 위해 사용된 핸드오프 파라메터 값 또는 임계값은 무선 유니트가 이동 무선 유니트에 대한 핸드오프를 결정하는 임계값과 상이한 임계값 이하의 유한 고정 모드 및 수신 신호일 때와 같이, 제한된 조건 하에서만 핸드오프되고(되거나) 무선 유니트가 핸드오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무선 유니트 베이스 당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시나리오에서, 후보 기지국들의 제한된 리스트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에 대해 조사될 수 있고, 액티브 세트는 완전한 이동 무선 유니트에 비교할 때 제한될 수 있다.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가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을지 여부를 결정하는 다른 파라메터들이 셀(32) 및(또는) 주변 셀 상에 로드된다. 예를 들면, 트래픽 로드가 임계값 이하일 때,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파라메터들과 관련된 액티브 세트 임계값 및(또는) 핸드오프를 설정함으로써 인에이블될 수 있다.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40 또는 42)는 예를 들면 신호 강도의 측정치, 프레임 에러율(FER), 또는 비트 에러율(BER)과 같이 서비스 중인 기지국(30)으로부터 신호의 신호 질 측정 값 등의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임계값 이상으로 서비스 중인 기지국(30)으로부터 수신이 양호한 경우,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36)에서 디스에이블된 마크로다이버시티를 갖는다. 그러한 비-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36)은 전형적으로 기지국(30)에 근접하지만 영역(43)과 같은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고, 여기서 무선 유니트는 셀의 에지에 근접하여 위치하더라도 우수하게 수신된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지역(상이한 셀들과 사이트들 간의 마크로다이버시티를 도 2에 나타낸 경우)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무선 리소스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40 또는 42)를 고정 유니트로서 설립하고 디스에이블된 마크로다이버시티에 따라 운영함으로써 다른 기지국과 함께 무선 유니트를 등록하는 데 필요한 자원 뿐만 아니라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트래픽 채널들과 같은 무선 시스템 리소스를 절감한다. 또한, 무선 시스템에서 간섭은 다중 기지국들의 동일한 정보를 전송 취소로 인해 감소된다. 마크로다이버시티가 인에이블되는 경우조차, 액티브 세트 임계 값, 제한 또는 유한 액티브 세트(들) 및(또는) 기타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파라메터들은 핸드오프가 방지되는 (또는 제한되는) 동안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40 또는 42)는 고정 유니트로서 지정될 수 있고 콜들이 기원되어야 하는 홈 셀(32)이 할당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40 또는 42)가 무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를 얻으려 시도할 때,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40 또는 42)에 대응하는 홈 셀 식별을 검색할 수 있다. 홈 셀 식별은 MSC(16)(도 1)의 홈 위치 레지스터(24)(도 1)로부터 및(또는) 무선 유니트로부터 검색될 수 있다. 일부 다른 기지국(30)에서 무선 유니트(40 또는 42)에 의해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모드로) 액세스가 시도되는 경우, 시스템은 지시된 재시도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기지국(30)은 액세스가 시도된 셀에서 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무선 유니트를 명령하도록 지시된 재시도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장소에서 또는 상이한 운영 카테고리 또는 파라메터들에 따라 액세스를 시도할 수 있다.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액세스를 단순히 부인하거나 또는 고정 또는 유한 고정 유니트로부터 이동 유니트로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니트(이동성이 전혀 없음), 유한 고정 유니트(홈 셀 내에서 유동성) 및 완전한 이동 유니트를 갖는 무선 시스템에서, 무선 유니트들은 홈 셀 내의 고정 또는 유한 고정 유니트로서 가입시에 지정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들은 기지국(30)에 따라 등록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등록은 무선 유니트가 그의 위치의 기지국에 그 기지국이 무선 종료된 콜을 확립할 때의 기지국을 호출할 수 있게 하는 신원 확인을 통지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1.8 내지 2.0 GHz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개인 통신 시스템(ANSI J-STD-008)에 대한 개인 스테이션-기지국 호환 요건이라는 표제의 1995년 3월 24일자 미국 국내 표준(ANSI) J-STD 008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등록이 기재되어 있다.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항상 동일한 홈 셀에 따라 기재될 것이고, 그에 따라 셀 방식 환경에서 매우 유효한 등록-관련 과정의 무선 시스템을 경감시킬 것이다. 완전한 이동 유니트로서 지정된 무선 유니트에 대해, ANSI J-STD-008 등의 현재 표준에 기재된 바의 등록이 다루어지고 처리되어야 한다.
그와 같이,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그 고정 유니트가 이동 무선 유니트보다 더 적은 시스템 가능 출력 및 자원을 필요로 할 것이기 때문에 할인율로 요금이 부담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의한 콜 기점, 호출 반응 또는 등록 시에,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 (고정, 유한 고정 또는 이동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 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로부터 운영 카테고리를 수신함으로써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에 대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검색함으로써 무선 유니트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 액티브 세트 임계 값, 유한 또는 제한된 액티브 세트, 유한 또는 제한된 후보 세트 및(또는) 핸드오프 임계값 또는 파라메터들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정의된 현재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는 HLR(24)(도 1)과 같이 기지국(30)의 MSC(16)에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의 무선 유니트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또는 파라메터들은 독립형 HLR(SHLR) 등의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의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및 파라메터들은 무선 유니트와 연관되거나, 운영 카테고리와 연관되고(되거나) 홈 셀 id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홈 셀 id 및(또는) 운영 카테고리는 무선 유니트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고, 그의 대응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및 파라메터들은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홈 셀 id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의 가능 출력은 가입시 또는 설치/RF 최적화 시에 확립되고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는 고정 모드, 유한 고정 모드 및(또는) 이동 모드 간에 스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는 주택의 지붕 위의 안테나 등의 안테나에 접속된 증폭 회로를 포함하여, 무선 네트워크 간섭 유니트(NIU)를 포함하는 도킹 스테이션으로 플러그 접속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과 맞물릴 때, 무선 유니트는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 액티브 세트 임계값, 액티브 세트 또는 후보 세트, 기타 파라메터들에 의해서 및(또는) 핸드오프가 특정 고정 무선 유니트 구조에 대해 또는 셀의 고정 무선 유니트에 대해 방지되는지 여부에 의해 정의된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사용하여 고정 운영 카테고리에 사용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과 맞물릴 때, 무선 유니트의 증폭 및 안테나 회로는 도킹 스테이션에 접속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유니트(NTU) 회로 및 안테나에 의해 우회될 수 있다. 무선 유니트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접속 해제될 때, 무선 유니트는 이 무선 유니트와 통합된 증폭 회로 및 안테나를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유한 고정 운영 카테고리로 스위치할 수 있다. 대안으로, 무선 유니트 상의 스위치는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좌우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고정 (또는 유한 고정) 유니트로부터 이동 유니트로 무선 유니트(40)의 운영 카테고리를 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무선 유니트(40)는 이 무선 유니트(40)일 때의 기지국들 간에 핸드오프될 수 있다.
대안으로, 시스템 액세스에서, 무선 유니트는 기지국에 이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홈 셀 id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홈 셀 id 및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시점에서 기지국이 정합되도록 요구받는 경우, 무선 유니트는 고정 (또는 유한 고정) 운영 카테고리에 남겨진다. 그렇지 않으면,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를 변화시킬 수 있거나 또는 무선 유니트는 이 무선 유니트 또는 HLR(15)에 저장된 홈 셀 id가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가 시도되고 있는 기지국의 홈 셀과 정합되는 않는 경우에 카테고릴 변화를 요구한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또는 그의 일부는 무선 유니트에 저장된 홈 셀 id와 비교하기 위해 기지국의 홈 셀 id를 무선 유니트에서 수신한다. ANSI J-STD-008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유니트로 액세스 채널 상으로 전송된 액세스 파라메터 메시지(APM)는 홈 셀 ID라 칭하는 필드를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선 유니트는 단순히 그 자신을 식별하거나(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이 무선 유니트의 홈 셀 id를 얻는 것으로부터) 또는 그의 홈 셀 id를 기지국에 제공하고, 무선 유니트와 연관된 홈 셀 id는 무선 유니트가 액세스하려 시도하는 기지국의 홈 셀 id와 비교된다. 무선 유니트와 연관된 홈 셀 id가 액세스 중인 기지국의 홈 셀 id와 정합되는 경우, 운영 카테고리는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모드로 남을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는 완전한 이동 모드로 변화될 수 있다.
운영 카테고리의 임의의 변화에 응답하여,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은 대응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 액티브 세트 임계값, 유한, 고정 또는 제한된 후보 리스트, 유한, 고정 또는 제한된 액티브 세트 및(또는) 기타 마크로다이버시티 및 핸드오프 파라메터 또는 임계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일단 모드가 변화되면, 상이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 임계값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드 변화가 무선 시스템에 의해 허용되지 않는 경우, 콜은 약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셀 방식 시스템에서, 무선 유니트(40)에 대한 비용은 이동 모드에서보다 고정 모드 또는 유한 고정 모드(홈 셀 내의 제한된 이동성)에서 운영될 때 저렴해질 수 있다. 운영 카테고리에 좌우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및 대응하는 파라메터, 임계값, 후보 리스트, 절차, 값 및(또는) 기타 정보 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과정을 사용하므로써 무선 유니트 원리로, 또는 셀-와이드 원리로, 또는 시스템 와이드 원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시스템에 대한 무선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고정, 유한 고정 및(또는) 이동 유니트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증가된 용량을 인에이블시킨다. 고정 무선 시스템은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 및 이동 무선 유니트를 갖는 독립형 고정 무선 시스템 또는 혼합 무선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고정, 유한 고정 또는 이동 모드의 운영 카테고리에 좌우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의 실시예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다소간의 운영 카테고리가 가능하다. 블록(50)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를 결정한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는 가입 또는 설치시에 확립될 수 있고, 전자 일련 번호, 이동 식별 번호(MIN 또는 IMSI) 및 디렉토리 또는 전화 번호(DN) 등의 무선 유니트의 가입자 정보와 연관된 무선 유니트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홈 셀 id는 HLR(24)(도 1) 및(또는) 무선 유니트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일부는 기지국 및(또는) MSC(16)(도 1) 등의 무선 유니트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고정, 유한 고정 또는 이동 모드)의 정보를 예를 들면 기지국으로의 메시지 및(또는)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유니트로의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 및 대응하는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모드 파라메터)는 무선 유니트 및(또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예를 들면 기지국 또는 HLR(24)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모드는 가입의 변화가 발생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모드 및 그의 파라메터들은 리버스 및(또는) 포워드 링크 상의 채널의 수신된 신호 강도 등의 기타 운영 파라메터들에 좌우되거나 또는 주기적으로, 다이내믹하게 갱신될 수 있다. 그와 같이,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에 의해 무선 시스템을 액세스하려 시도할 때마다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 및(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초기에 확립하고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블록(52)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가 고정 운영 카테고리에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무선 유니트가 고정 유니트로서 운영되는 경우,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고정 모드로 운영되는 무선 유니트에 대해서 또는 블록(54)에 나타낸 바의 특정 무선 유니트에 대해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을 결정한다.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은 각각의 무선 유니트에 대해 또는 각각의 운영 카테고리에 대해 상이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 및(또는) 홈 셀에 관련된 기타 파라메터들, 예를 들면 셀 또는 주변 셀 및(또는) 무선 유니트의 트래픽 로드, 예를 들면 다른 파라메터 뿐만 아니라 무선 유니트의 신호 질 또는 속도에 좌우됨으로써,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이 결정된 후,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확립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에서 수신된 신호 강도 지시기(RSSI)를 사용하여 신호 질 측정을 수행한다.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가 블록(56)에서 신호 강도 측정치보다 적은 경우,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는 블록(5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에이블된다. 실시예에 따라, 시스템 측으로부터 특정 무선 유니트로의 전송은 서비스 중인 기지국으로 제한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는 액티브 세트를 서비스 중인 기지국으로 제한함으로써, 예를 들면 홈 기지국에 상대적인 RF 최적화 시에 액티브 세트 임계값 또는 기타 파라메터들을 설정함으로써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그와 같이, 무선 유니트는 홈 기지국과 유일하게 통신할 수 있다.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이 블록(56)에서 신호 강도 측정치보다 더 큰 경우, 마크로다이버시티는 인에이블된다. 블록(6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선 유니트에 대한 액티브 세트 임계값 및(또는) 후보 기지국, 예를 들면 홈 셀에 인접한 특정 셀의 제한 또는 유한 세트가 무선 유니트에 대해 확립될 수 있다. 인에이블된 마크로다이버시티에 따라, 무선 유니트는 액티브 세트 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지만, 홈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될 수 없을 것이다. 그와 같이, 핸드오프가 디스에이블된다. 마크로다이버시티/핸드오프 제어 시스템은 상이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가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핸드오프 요청을 무시하고(하거나) 목적하는 오퍼레이션을 달성하기 위해 핸드오프 파라메터들을 설정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 값, 액티브 세트 임계값 및(또는) 핸드오프 파라메터값들이 동일하고(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고정 운영 카테고리 외에,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추가의 운영 카테고리, 예를 들면 유한 고정, 완전 이동 및 기타 카테고리, 예를 들면 속도에 기초한 카테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운영 카테고리는 가입시에 또는 설치시에 확립될 수 있고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면 고정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무선 유니트를 제거함으로써 또는 운영 카테고리들 간에 스위치하게 위해 무선 유니트 상의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정 모드로부터 유한 고정 모드로 변화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라도, 블록(52)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이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가 고정 모드가 아님을 결정한 경우,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블록(62)에서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가 유한 고정 모드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무선 유니트는 블록(6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에이블된 핸드오프 및 마크로다이버시티에 따라 ANSI J-STD-00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운영되는 완전한 이동 무선 유니트로서 운영된다. 그렇지 않으면, 제어 시스템이 무선 유니트가 유한 고정 모드로 운영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제어 시스템은 블록(66)에서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을 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은 고정 무선 유니트 또는 다른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의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해질 수 있다.
블록(68)에서,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수신된 신호 강도 지시기(RSSI)를 사용하여 신호 질 측정치와 D한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을 비교한다. 무선 유니트에서 신호 질 측정치 (또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가 마크로다이버시티 트리거 값보다 더 큰 경우, 제어 시스템은 블록(70)에서 마크로다이버시티를 디스에이블시키고, 그에 따라 핸드오프를 디스에이블시킨다. 그렇지 않으면, 마크로다이버시티가 블록(72)에서 인에이블된다. 또한, 무선 유니트 및(또는) 후보 기지국, 예를 들면 홈 셀에 인접한 특정 셀들의 제한 또는 유한한 세트에 대한 액티브 세트 임계값은 무선 유니트에 대해 확립될 수 있다. 인에이블된 마크로다이버시티에 따라, 무선 유니트는 액티브 세트 상의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지만, 홈 기지국으로부터 핸드오프될 수 없을 것이다. 그와 같이, 핸드오프는 디스에이블된다.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상이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가 핸드오프를 요청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핸드오프 요청을 무시하고(하거나) 핸드오프 파라메터들을 설정함으로써 이를 달성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에 따라, 무선 시스템은 핸드오프를 인에이블/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거나 또는 핸드오프 파라메터들을 상이한 레벨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무선 유니트는 핸드오프 가능 출력을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제한되게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마크로다이버시티 가능 출력을 전혀 갖지 않거나 또는 제한되게 또는 완전히 가질 수 있고; 이동 무선 유니트는 완전한 핸드오프 가능 출력 및 완전한 마크로다이버시티 가능 출력을 가질 수 있다. 운영 모드 및(또는) 파라메터들, 예를 들면 신호 질 측정치, 셀(32) 및(또는) 주변 셀의 이동 속도 및(또는) 트래픽 로드에 따라,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규정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및(또는) 핸드오프 파라메터들은 단위 무선 유니트 원리로 및(또는) 콜 바이 콜 원리로 확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는 트래픽 로드가 중할 때 전혀 없거나 또는 훨씬 더 많이 제한되는 핸드오프 가능 출력으로 실질적으로 스위치되는 경한 가능 출력일 때 제한된 핸드오프를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실시예에서, 등록 절차는 상이한 모드로 운영되는 무선 유니트들에 대해 상이하다. 예를 들면, 고정 (또는 유한 고정) 무선 유니트가 핸드오프 가능 출력을 갖지 않는 경우, 이들 무선 유니트에 대한 등록 절차는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 외에,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고정 모드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기재된 시스템의 부품들을 생략 및(또는) 부가하고(하거나) 그의 변형 또는 일부를 사용하는 상이한 셀 방식 시스템 및 구성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ANSI-STD-J-008을 사용하는 셀 방식 네트워크 구조를 특히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TDMA 등의 상이한 다중 액세스 기술을 사용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 및 데이터 및(또는)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여러 가지 구조 블록의 상이한 표시, 참조 및 특성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고정, 유한 고정 및(또는) 이동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 시스템이 특정 무선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재되었지만, 기재된 구조의 시스템 및 그의 일부는 상이한 위치, 예를 들면 무선 유니트, 기지국 및(또는) MSC에서 또는 용도 특이적 집적 회로, 소프트웨어 구동 처리 회로, 펌웨어 또는 본 개시의 이익에 따라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의 이산 부품들의 다른 배열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기재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 적용을 예시하는 것이다. 당업계의 숙련자라면 본 명세서에 예시되고 기재된 전형적인 적용에 엄격히 따르지 않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는 본 발명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변형, 설비 및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것이다.
무선 유니트의 운영 카테고리에 따라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사용하는 무선 유니트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본 발명의 마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은, 특히 고정 유니트 및 이동 유니트 모두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1)

  1. 기지국 및 무선 유니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니트의 이동성에 관련된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운영 카테고리에 의존하는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로 무선 유니트를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단계는 고정 유니트로서 운영되는 상기 무선 유니트 및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에 의존하는 상기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로 상기 무선 유니트를 운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운영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운영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마크로다이버시티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핸드오프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는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핸드오프 파라메터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핸드오프 메시지를 블로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카테고리로부터 유한 고정 카테고리로 상기 무선 유니트를 스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유한 고정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로 상기 무선 유니트를 운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카테고리로부터 이동 카테고리로 상기 무선 유니트를 스위치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이동 마크로다이버시티 모드로 상기 무선 유니트를 운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니트에 대한 핸드오프를 인에이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유니트의 홈 기지국과 연관된 홈 셀 id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을 액세스하도록 상기 홈 셀 id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통신 방법.
KR1020000030388A 1999-06-03 2000-06-02 무선 유닛의 오퍼레이팅 카테고리에 기초한 매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갖는 매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KR100696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24,177 1999-06-03
US09/324,177 US6434390B2 (en) 1999-06-03 1999-06-03 Macrodiversity control system having macrodiversity mode based on operating category of wireless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207A true KR20010007207A (ko) 2001-01-26
KR100696899B1 KR100696899B1 (ko) 2007-03-21

Family

ID=2326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388A KR100696899B1 (ko) 1999-06-03 2000-06-02 무선 유닛의 오퍼레이팅 카테고리에 기초한 매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갖는 매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34390B2 (ko)
EP (1) EP1058408B1 (ko)
JP (1) JP3954284B2 (ko)
KR (1) KR100696899B1 (ko)
CN (1) CN1276655A (ko)
AU (1) AU3779400A (ko)
BR (1) BR0003100A (ko)
CA (1) CA2309467A1 (ko)
DE (1) DE6004501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41850A1 (en) * 1999-04-01 2000-10-04 Nortel Matra Cellular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radio link configuration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th soft handover
US6434390B2 (en) * 1999-06-03 2002-08-13 Lucent Technologies Inc. Macrodiversity control system having macrodiversity mode based on operating category of wireless unit
GB2352586B (en) 1999-06-07 2004-03-10 Nec Corp Handover between mobile networks
US7664492B1 (en) * 1999-07-27 2010-02-16 Cellco Partnership Network engineering in a wireless network
JP3293599B2 (ja) * 1999-07-28 2002-06-17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間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3525828B2 (ja) * 1999-11-01 2004-05-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位置登録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移動局装置
KR100401185B1 (ko) * 1999-11-26 200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이트 선택 다이버시티 방법
US6701150B1 (en) * 2000-10-13 2004-03-02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driven cell switching and handoff with load balancing for wireless systems
US7346347B2 (en) * 2001-01-19 2008-03-18 Raze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providing WLAN service in a fixed wireless 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90111457A1 (en) 2007-10-31 2009-04-30 Raze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upling a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s
US8670390B2 (en) 2000-11-22 2014-03-11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beam-forming in wireless networks
SE0004326D0 (sv) * 2000-11-24 2000-11-24 Ericsson Telefon Ab L M Base station identification
US6853840B2 (en) * 2001-03-02 2005-02-08 Csi Wireles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nd disabling devices based on RSSI analysis
US9819449B2 (en) 2002-05-14 2017-11-14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subspace demultiplexing in content delivery networks
US10355720B2 (en) 2001-04-26 2019-07-16 Genghiscomm Holdings, LLC Distributed software-defined radio
US10931338B2 (en) 2001-04-26 2021-02-23 Genghiscomm Holdings, LLC Coordinated multipoint systems
US6731936B2 (en) * 2001-08-20 2004-05-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 handoff in a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6980820B2 (en) * 2001-08-20 2005-12-27 Qualcomm Inc.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JP4604432B2 (ja) * 2001-08-29 2011-01-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それに用いられる移動機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30142647A1 (en) * 2002-01-31 2003-07-31 Prathima Agrawal Discrete soft handoff in CDMA wireless networks
US10142082B1 (en) 2002-05-14 2018-11-27 Genghiscomm Holdings, LLC Pre-coding in OFDM
US10644916B1 (en) 2002-05-14 2020-05-05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US9628231B2 (en) 2002-05-14 2017-04-18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US9136931B2 (en) * 2002-05-14 2015-09-15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wireless networks
PT1365612E (pt) * 2002-05-22 2006-12-29 Siemens Ag Processo e dispositivo para o controlo da mobilidade num sistema de comunicações
US7940724B2 (en) * 2002-11-18 2011-05-10 Motorola Mobility, Inc. Network assisted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7656846B2 (en) * 2002-11-18 2010-02-02 Ge Fanuc Automation North America, Inc. PLC based wireless communications
US20040097233A1 (en) * 2002-11-18 2004-05-20 Pecen Mark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 cell change
US7167504B1 (en) * 2003-01-27 2007-01-23 L-3 Communication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ast data rate discovery from PN codes
WO2004073322A2 (en) * 2003-02-05 2004-08-26 Motorola Inc. Network assisted cell reselec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8099095B2 (en) * 2003-02-25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access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912485B2 (en) * 2003-09-11 2011-03-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signaling i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US11552737B1 (en) 2004-08-02 2023-01-10 Genghiscomm Holdings, LLC Cooperative MIMO
US11431386B1 (en) 2004-08-02 2022-08-30 Genghiscomm Holdings, LLC Transmit pre-coding
US11184037B1 (en) 2004-08-02 2021-11-23 Genghiscomm Holdings, LLC Demodulating and decoding carrier interferometry signals
US8570880B2 (en) * 2004-08-05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in a wireless multiple-access communications system
US7239886B2 (en) * 2004-08-27 2007-07-03 Motorola, Inc. Adaptive power control method for cellular systems
US20060098676A1 (en) * 2004-11-08 2006-05-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macrodiversity reception
EP2252105B1 (en) 2005-03-28 2020-01-15 Sony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handover controlling method,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mobile terminal
EP1761091B1 (en) * 2005-08-30 2012-1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dmission control in a cellular network
US8219042B2 (en) * 2005-09-26 2012-07-10 Sharp Kabushiki Kaish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and macrodiversity selection method
WO2007066399A1 (ja) * 2005-12-08 2007-06-14 Fujitsu Limited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324646A (ja) * 2006-05-30 2007-12-13 Kyocera Corp 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KR100820928B1 (ko) * 2006-12-07 2008-04-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인터넷 시스템의 자원 선 예약 방법
ES2393767T3 (es) * 2007-01-31 2012-12-27 Sharp Kabushiki Kaisha Intercambio de una tabla de interfaz entre estaciones base
EP1993309B1 (en) * 2007-05-16 2012-07-04 Nokia Siemens Networks Oy Mobility Policy in a WiMAX communications system
KR20090055786A (ko) * 2007-11-29 200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 특성을 적용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GB0725051D0 (en) * 2007-12-21 2008-01-30 Fujitsu Lab Of Europ Ltd Communications system
GB0725049D0 (en) * 2007-12-21 2008-01-30 Fujitsu Lab Of Europ Ltd Communiactions systems
US8175594B2 (en) 2008-10-24 2012-05-08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set management with hotspot carriers
US8923125B2 (en) 2008-10-24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network resource adaptation
EP2439993B1 (en) 2009-06-05 2016-03-16 Fujitsu Limited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565619B1 (ko) * 2009-07-22 201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의 세션 전환 방법 및 장치
US9008647B2 (en) 2010-05-03 2015-04-14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devic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mission/reception of control information
US8340680B2 (en) * 2010-12-02 2012-12-2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ning mobile switching centers in a wireless network
US20140045501A1 (en) * 2012-08-08 2014-02-13 Benjamin Cheung Manifold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224860B1 (en) 2014-01-30 2025-02-11 Genghiscomm Holdings, LLC Linear coding in decentralized networks
US9794840B1 (en) * 2014-05-27 2017-10-17 Sprint Sprectrum LP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ccess node candidates for handover of wireless devices
US10243773B1 (en) 2017-06-30 2019-03-26 Genghiscomm Holdings, LLC Efficient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and MIMO-OFDM
US10637705B1 (en) 2017-05-25 2020-04-28 Genghiscomm Holdings, LLC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multiple access
US11343823B2 (en) 2020-08-16 2022-05-24 Tybalt, Llc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US11917604B2 (en) 2019-01-25 2024-02-27 Tybalt, Llc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US12206535B1 (en) 2018-06-17 2025-01-21 Tybalt, Llc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CN113454964A (zh) 2019-01-25 2021-09-28 珍吉斯科姆控股有限责任公司 正交多址和非正交多址
WO2020242898A1 (en) 2019-05-26 2020-12-03 Genghiscomm Holdings, LL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06824B (fi) * 1993-07-05 2001-04-12 Nokia Networks Oy Tukiasema
GB2282731C (en) * 1993-10-08 2006-09-0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and a handover procedure of the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701585A (en) * 1994-12-12 1997-1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obile assisted handoff
US5737702A (en) * 1995-03-08 1998-04-07 Northern Telecom Limited Cellular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O1996034500A1 (en) 1995-04-28 1996-10-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of subscribers assigned to fixed subscription area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073010A (en) * 1995-04-28 2000-06-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restricting mobility of subscribers assigned to fixed subscription area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MX9800265A (es) * 1995-07-12 1998-04-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o y aparato para proporcionar una funcionalidad celular fija.
US5913166A (en) * 1995-12-29 1999-06-15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providing a call hand-off for a mobile station from a land-line supported private base station to a cellular base station operating in a cellular system
US5765103A (en) * 1996-08-16 1998-06-09 Northern Telecom Limited Spatially-oriented subscriber configuration in a fixed wireless system
US5920808A (en) * 1996-12-12 1999-07-06 Glenayre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key-up distortion by pre-heating transistors
US6078817A (en) * 1997-04-24 2000-06-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FI972396L (fi) 1997-06-05 1998-12-0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Kanavanvaihto matkaviestinjärjestelmässä
US6434390B2 (en) * 1999-06-03 2002-08-13 Lucent Technologies Inc. Macrodiversity control system having macrodiversity mode based on operating category of wireless unit
KR100329111B1 (ko) * 2000-01-28 2002-03-18 오길록 셀룰러 환경에서 다중반송파 코드분할다중접속시스템의다이버시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09467A1 (en) 2000-12-03
DE60045019D1 (de) 2010-11-11
US6434390B2 (en) 2002-08-13
EP1058408A1 (en) 2000-12-06
BR0003100A (pt) 2001-01-30
KR100696899B1 (ko) 2007-03-21
AU3779400A (en) 2000-12-07
US20010041569A1 (en) 2001-11-15
EP1058408B1 (en) 2010-09-29
CN1276655A (zh) 2000-12-13
JP3954284B2 (ja) 2007-08-08
JP2001016633A (ja) 200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899B1 (ko) 무선 유닛의 오퍼레이팅 카테고리에 기초한 매크로다이버시티 모드를 갖는 매크로다이버시티 제어 시스템
EP1360861B1 (en) Handover in a shared radio access network environment using subscriber-dependent neighbour cell lists
US7072656B2 (en) Handover in a shared radio access network environment using subscriber-dependent neighbor cell lists
US6151512A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optimum resource arrangements in a multi-sectored environment and method therefor
ES2287035T3 (es) Metodo y aparatos para comunicarnse por radio y respuesta a la comunicacion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es moviles por radio.
US7680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system-access and soft-handoff parameter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EP1929828B1 (en) Hard handoff from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o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KR100291478B1 (ko) 셀룰러시스템에서유휴상태핸드오프방법및시스템
US7003297B2 (en) Partial support of mobility between radio access networks
US200300403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on area updating in cellular communications
US200201029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layer handoff in a hierarchical cellular system
JP4643103B2 (ja) 移動体の上り回線における送信電力情報を使用して無線ネットワークを制御する方法
JP2003500909A (ja) イベントベースでの移動局測定報告
KR20020026527A (ko) 무선통신장치에서의 커버리지 에지의 검출용 시스템 및 방법
JP2001512951A (ja) 通信システムの通信信号の送信信号電力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EP1615459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handoff in a mobile station.
US200500960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liable hard handoffs between wireless networks
WO2000011895A1 (en) Layer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9990063065A (ko) 주 파일럿 감소 방법 및 장치
Choi A metho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base stations connected to a BSC in CDM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6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6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0120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