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10007135A -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7135A
KR20010007135A KR1020000029221A KR20000029221A KR20010007135A KR 20010007135 A KR20010007135 A KR 20010007135A KR 1020000029221 A KR1020000029221 A KR 1020000029221A KR 20000029221 A KR20000029221 A KR 20000029221A KR 20010007135 A KR20010007135 A KR 20010007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control device
sound
unit
acou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까다데루오
네바시히데아끼
이나게슈이찌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2001000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13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43Bidirectional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3Combination of monophonic or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audio players, e.g. integrated in the head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외부 인터페이스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정보 등을 판독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이 오디오 신호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헤드폰과, 헤드폰의 음악 정보의 재생 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적외선에 의해 헤드폰에 송신하는 리모콘 장치를 구비하는 음향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음향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등과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적은 적외선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이 쉬워지고, 리모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폰과 리모콘 장치가 무선으로 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Description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SOUND SYSTEM AND SOUND DEVICE EQUIPPED WITH HEADPHONE}
본 발명은 매체에 기록된 음악 등의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으로서 적합한 음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음향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101) 또는 카셋트 테이프(102) 등의 기억 매체를 장착가능한 소형 사이즈의 재생 장치(103,104)에 의해 장착된 기억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예컨대 음악 정보 등을 판독하고, 판독한 음악 정보를 재생 장치(103,104)로부터 접속 코드(105)를 통해 헤드폰(106)에 전송함으로써, 이 헤드폰(56)을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예컨대 특원평5-39167호(특개평6-2510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와이어레스 타입의 음향 시스템도 있다. 즉, 이 와이어레스 타입의 음향 시스템은 재생 장치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의 음향 정보 등을 판독하여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이 오디오 신호를 재생 장치측에서 헤드폰측으로 FM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특원평6-139244호(특개평8-948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음향 시스템은, 헤드폰에 설치된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 모듈에 음성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음성 데이터의 재생 버튼 또는 음향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하는 조작 버튼이 헤드폰 자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헤드폰 하나로 음향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음향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었다. 즉, 특원평5-39167호의 음향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FM송신하는 것이므로 송수신 회로가 복잡해져서 필연적으로 비용이 상승해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FM 송신은, 음질의 저하를 초래하는 동시에 동종의 음향 시스템을 가까이서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가 존재한 경우에 혼신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특원평6-139244호의 음향 시스템은, 헤드폰 하나에 음향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종 조작 버튼도 헤드폰 자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음향 시스템은, 이용자가 음성을 청취하고 있는 경우 즉 이용자가 헤드부에 헤드폰을 장착하고 있는 경우, 각종 조작 버튼을 눈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예컨대 음량 조절 또는 재생 정지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하기 어려워 조작성에 과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음향 시스템은 표시 기능 등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 등의 메모리 잔량이나 음악 등의 곡 순서를 나타내는 파일 번호 등을 이용자측이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서 편리성에도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간략적인 구성에 의해, 음향 정보 등을 고음질로 또한 확실히 재생할 수 있는 동시에, 편리성이 높고 또한 조작성도 뛰어난 음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기억부에 기억된 음향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된 음향 정보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의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예컨대 헤드폰인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가 기억부에 기억된 음향 정보를 재생하고 또한 음향 정보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원격 제어 장치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의 재생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오디오 신호 등이 아니라,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에서 오디오 신호 등을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이므로, 예컨대 출력되는 음악 등의 음질이 원격 제어 장치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사이의 전송 경로에서 열화되는 일없이 고음질의 음을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이 쉬워지는 예컨대 적외선 등에 의해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음향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제어 신호가 코드화하기 쉽기 때문에 FM 전파 등에 의한 송신과는 달리 혼신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음향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이 쉽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의 소형화는 물론 원격 제어 장치를 예컨대 손목시계형 또는 브로치형 등의 휴대간편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음향 시스템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가 무선이기 때문에, 개개의 장치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기억부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자유로운 기억 매체이어도 좋다.
즉,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기억부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에 대하여 착탈자유로운 기억 매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억 매체로서 예컨대 메모리 카드 등을 이용함으로써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원하는 음향 정보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컴팩트한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기억부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개체 메모리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에 음향 정보가 기억되는 기억부로서 개체 메모리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개체 메모리에 원하는 음향 정보를 미리 기록시켜 두는 것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가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단자를 더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잭 등의 입력 단자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음향 정보의 재생 기능을 갖는 외부의 재생 장치에 이 입력 단자를 통해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접속함으로써, 일반적인 헤드폰으로서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반신하는 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발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한 이용자는 조작 내용에 기초한 제어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한 이용자는 조작 내용에 따른 제어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되는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에 의해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 미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정보가 기록된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의 기억부의 메모리 잔량 또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가동하기 위한 배터리 잔량을 원격 제어 장치측에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음향 정보의 재생에 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버튼과, 상기 제어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경우에 눌려진 제어 버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은, 원격 제어 장치의 임의의 제어 버튼이 눌려져서 눌려진 제어 버튼의 재생에 관한 제어에 따른 제어 신호가 발신된 경우에,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에 설치된 표시부에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를 조작하는 이용자는 예컨대 재생, 되감기, 빨리 감기 또는 정지 등의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의 음향 정보의 재생에 관한 제어 모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는 제어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에서 확실히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갖는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제어 버튼이 설치된 면과 동일 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이용자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헤드부에 장착하고, 원격 제어 장치의 표시부 또는 제어 버튼 등을 눈으로 보면서 원격 제어 장치의 조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송수신부는 필연적으로 이용자의 헤드부에 장착된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측으로 향하게 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의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제어 신호 또는 제어 신호의 응답 신호의 송수신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해당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주전원의 ON/OFF를 상기 제어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상황에 따라서 제어하는 ON/OFF 제어부를 더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상황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주전원의 ON/OFF의 제어, 예컨대 일정 시간 이상 제어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주전원이 OFF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주전원이 OFF된 후 제어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주전원이 ON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시스템으로서의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휴대용 전기기기에 있어서 중요한 아이템인 소비 전력의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전파를 송출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삽입되고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를 갖는 시일드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 신호를 전파에 의해 송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파를 개구부로부터 송출할 수 있기 때문에, 무지향성의 전파를 특정 방향에만 송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제어 신호의 혼신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제어했음에도 불구하고, 타인의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가 잘못하여 제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등의 송출은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에 설치된 기억부로부터 행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오디오 신호 등을 송출시킬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전파의 송출에 지향성을 갖게 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음악을 청취하고 있는 동안 등의 음악 정보의 재생 중에, 끊임없이 원격 제어 장치를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로 향하게 할 필요가 없어지고,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제어할 때만 원격 제어 장치를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로 향하게 하면 되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를 취급할 때의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펜던트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손목 시계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시계 밴드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 전용 밴드를 손목에 장착하지 않고, 원격 제어 장치를 손목에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되어, 원격 제어 장치의 휴대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반지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를 손가락에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원격 제어 장치의 휴대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원격 제어 장치를 패션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시일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를 다양한 장소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원격 제어 장치의 휴대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과 겸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예컨대 휴대 전화나 PHS 등으로부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전용 원격 제어 장치를 별도로 갖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격 제어 장치를 휴대하기 위한 부담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음향 정보는 휴대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기억부에 다운노드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예컨대 휴대 전화나 PHS 등으로부터 원하는 음악 정보를 원할 때에 기억부에 기억시킬 수 있게 되어, 듣고 싶은 음악을 듣고 싶을 때에 임의로 선택하여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서는,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의 미 사용시에 원격 제어 장치를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와 일체로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원격 제어 장치의 분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2의 음향 시스템과 다른 종래의 다른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음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3의 음향 시스템의 헤드폰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메모리 카드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서포트 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음향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리모콘 장치를 조작할 때의 신호의 송수신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9의 리모콘 장치가 갖는 절전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9의 리모콘 장치의 형상을 변경한 펜던트형의 리모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리모콘 장치의 형상을 변경한 손목시계형 리모콘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반지형 리모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콘 장치의 안테나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향 시스템
2 : 헤드폰
3 : 리모콘 장치
4 : 제어 신호
5 : 적외선 수신기
6 : 메모리 카드
7 : 인터페이스
8 : 시스템 콘트롤러
9 : 음성 디코더
10 : D/A 컨버터·증폭기
11 : 헤드폰 스피커
102 : 카셋트 테이프
103 : 재생 장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그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음향 시스템(1)은 이용자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인 예컨대 헤드폰(2)과, 헤드폰(2)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리모콘 장치(3)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폰(2)에는, 리모콘 장치(3)가 조작되었을 때에 발신되는 적외선의 제어 신호(4)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기(5)와, 예컨대 음악 정보가 압축 파일로서 코드화되어 기록된 스마트 미디어 등의 메모리 카드(6)가 장착되는 외부 인터페이스(7)와, 헤드폰(2)내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콘트롤러(8)와, 메모리 카드(6)에 코드화되어 기록된 음악 정보 등을 오디오 신호로서 복조하는 음성 디코더(9)와, 복조된 음악 정보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증폭하는 D/A 컨버터·증폭기(10)와, 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음으로서 출력하는 헤드폰 스피커(11)가 설치되어 있다.
리모콘 장치(3)는, 헤드폰(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정보의 재생 기능 등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12)과, 어떤 조작 버튼(12)이 눌려졌을 때에 눌려진 조작 버튼(12)에 따라서 발생하는 신호를 예컨대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방식에 의해 펄스변조하는 펄스 변조기(13)와, 펄스 변조기(13)에 의해 변조된, 헤드폰(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4)를 적외선에 의해 헤드폰(2)에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기(14)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폰(2)에 대하여 착탈자유로운 메모리 카드(6)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 기판(15)과, 배선 기판(15)의 한쪽면에 설치된 평면형 외부 접속 단자(16)와, 배선 기판(15)의 다른쪽면에 탑재되고 평면형 외부 접속 단자(16)와 접속되는 반도체 소자(도시 생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6)가 갖는 이 반도체 소자는, 판독 데이터 또는 기록 데이터 등과 커맨드를 모두 공통의 I/O 핀으로부터 시리얼하게 입출력하는 시리얼 액세스형 메모리 소자인 NAND형 EEPROM이고, 메모리 카드(6)는 이와 같은 반도체 소자의 접속 단자와 배선 기판(15)의 접속 단자를 본딩 접속하고, 또한 배선 기판(15)의 접속 단자와 평면형 외부 접속 단자(16)를 비어홀을 통해 층간접속 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음향 시스템(1)에 의해,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된 음악 정보가 실제로 음으로서 출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용자에 의해서 리모콘 장치(3)의 조작 버튼(12)을 통해 헤드폰(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 정보의 재생이 요구되면, 조작 버튼(12)의 조작 내용에 따른 신호가 생성된다. 이 생성된 신호는 펄스 변조기(13)에 의해 PPM 방식 등으로 펄스 변조되고, 적외선 송신기(14)로부터 적외선의 제어 신호(4)가 송신된다. 이 제어 신호(4)가 헤드폰(2)의 적외선 수신기(5)에 의해서 수신되면, 시스템 콘트롤러(8)는 메모리 카드(6)에 압축 파일로서 기록된 음악 정보의 재생 요구를 확인한다. 이후, 메모리 카드(6)에 코드화되어 기록되어 있던 음악 정보는 시스템 콘트롤러(8)에 의해서 판독되는 동시에, 또한 음성 디코더(9)에 의해 오디오 신호로서 복조된다. 복조된 오디오 신호는 D/A 컨버터·증폭기(1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는 동시에 증폭되어 헤드폰 스피커(11)로부터 음으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에 의하면, 헤드폰(2)이 헤드폰(2) 본체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6)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 정보를 재생하고 또한 이 음악 정보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며, 리모콘 장치(3)가 헤드폰(2)의 재생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즉, 이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오디오 신호 등이 아니라, 헤드폰(2)측에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신호(4)이므로, 헤드폰(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의 음질이 리모콘 장치(3)와 헤드폰(2) 사이의 전송 경로에서 열화되는 일없이, 고음질의 음을 헤드폰(2)으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는 FM 전파 등에 의해서 송신되는 오디오 신호와 비교하여 명백히 데이터량이 적은 적외선의 제어 신호이므로, 시스템으로서의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을 쉽게 할 수 있으며, 저 비용으로 음향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량이 적은 제어 신호는 코드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지향성이 높은 적외선에 의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고 있는 것과 함께, FM 전파 등에 의한 송신과는 달리 혼신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을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3)의 소형화는 물론 리모콘 장치(3)를 휴대 간편한 형상으로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폰(2)과 리모콘 장치(3)가 무선이기 때문에 헤드폰(2) 및 리모콘 장치(3)의 취급이 각각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은, 음악 정보를 기억하는 매체가 극히 소형 사이즈이고 또한 헤드폰(2)에 대하여 착탈자유로운 메모리 카드이므로,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등에서 원하는 음악 정보를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폰(2)을 콤택트한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다. 메모리 카드(6)를 퍼스널 컴퓨터에 의해 처리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카드(17) 등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즉, 서포트 카드(17)는 메모리 카드(6)의 평면형 외부 접속 단자(16)가 노출되도록, 또한 메모리 카드(6)를 착탈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고, 메모리 카드(6)의 외형이 적합하도록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1)에서는, 음악 정보 등이 기록되는 기억 매체가 헤드폰(2)에 대하여 착탈자유로운 메모리 카드(6)였었지만, 기억 매체를 헤드폰(2) 본체에 직접 설치한 개체 메모리로서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21)은, 헤드폰(22)과 리모콘 장치(23)의 쌍방에 송신 기능 및 수신 기능을 설치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헤드폰(22)에는 제1 실시 형태의 헤드폰(2)의 구성에 덧붙여, 적외선 수신기(5)에 의해서 수신된 제어 신호(4)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24)를 리모콘 장치(23)로 반신하는 적외선 송신기(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23)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의 구성에 덧붙여서, 헨드폰(22)으로부터 반신되는 응답 신호(24)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기(26)와, 이 응답 신호(24)에 기초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LCD)(27)과, 액정 표시 패널(27)을 제어하는 LCD 콘트롤러(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모콘 장치(23)에는, 제1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의 펄스 변조기(13) 대신에, 조작 버튼(12)이 눌려졌을 때에 생성되는 신호를 펄스 변조하는 동시에, 적외선 수신기(26)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 신호(24)를 전기적인 신호로 복조하는 펄스 변복조기(29)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21)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23)로부터 발신된 제어 신호(4)에 대응하는 헤드폰(22)으로부터의 응답 신호(24)를 리모콘 장치(23)에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23)를 조작한 이용자는 조작 내용에 기초한 제어가 헤드폰(22)에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액정 표시 패널(27)에 표시되는 응답 신호(24)에 기초한 정보에 의해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리모콘 장치(23)의 조작 미스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21)에 의하면, 음악 정보가 기록된 헤드폰(22)의 메모리 카드(6)의 메모리 잔량 또는 헤드폰(22)의 배터리 잔량 등을 리모콘 장치(23)측에서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헤드폰(22)에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D/A 컨버터·증폭기(10)에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헤드폰 잭을 설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헤드폰 잭을 설치함으로써, 음악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외부의 재생 장치와 헤드폰(22)을 접속할 수 있으며, 통상의 헤드폰으로서 본 실시 형태의 헤드폰(22)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23)를 상세히 설명한다. 즉, 리모콘 장치(23)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된 음악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31)과, 이 음악 정보의 재생을 정지하는 정지 버튼(32)과, 재생 대상이 되는 곡을 앞 파일 NO의 곡으로 되감는 되감기 버튼(33)과, 재생 대상이 되는 곡을 뒤 파일 NO의 곡으로 빨리 감는 빨리 감기 버튼(34)과, 헤드폰(2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 조정 버튼(35)과, 적외선에 의해 헤드폰(22)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4)를 송신하는 동시에 헤드폰(22)으로부터 반신되는 응답 신호(24)를 수신하는 적외선 송수신부(36)와, 응답 신호(24)에 기초한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27)과, 헤드폰(22)측의 동작 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고, 헤드폰(22)측의 데이터의 표시 요구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 표시 버튼(37)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외선 송수신부(36)는 리모콘 장치(23)의 표면, 즉 액정 표시 패널(27)이나 재생 버튼(31), 정지 버튼(32) 등이 설치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38)는 리모콘 장치(23)를 조작할 경우, 리모콘 장치(23)의 액정 표시 패널(27)을 가장 보기 쉬운 위치 또는 재생 버튼(31), 정지 버튼(32) 등을 조작하기 쉬운 위치인, 이용자(38)의 얼굴 정면 하측에서 리모콘 장치(23)를 조작하기 때문에, 리모콘 장치(23)의 적외선 송수신부(36)와 헤드폰(22)이 필연적으로 대향하게 되어 적외선인 제어 신호(4) 또는 응답 신호(24)의 통신 상태가 양호해진다.
데이터 표시 버튼(37)은, 헤드폰(22)측에서의 실행 중인 모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헤드폰(22)측의 실시간 정보를 리모콘 장치(23)의 액정 표시 패널(27)에 표시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음악의 재생 중에 있어서, 데이터 표시 버튼(37)을 누른 후 정지 버튼(32)을 누르면 배터리 잔량을 액정 표시 패널(27)에 표시하고, 또한, 데이터 표시 버튼(37)을 누른 후 빨리 감기 버튼(34)을 누르면 메모리 카드(6)의 메모리 잔량을 액정 표시 패널(27)에 표시하는 것이다. 이 외에, 표시 대상의 실시간 정보로서는, 재생 중인 곡이 몇곡째인지의 파일 NO, 재생 중인 곡명, 동일 곡의 재생의 반복을 나타내는 리피트, 재생이 개시되고 나서의 재생 시간, 오동작 방지를 위해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무효로 하는 홀드, 또는 메모리 카드(6)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미디어 장착 표시 등이 예시된다. 또한, 단순히, 재생 버튼(31), 정지 버튼(32), 되감기 버튼(33) 또는 빨리 감기 버튼(34)이 눌려졌을 때에는, PLAY(재생), STOP(정지), REV(되감기), FF(빨리감기)가 액정 표시 패널(27)에 각각 표시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23)는, 모든 조작 버튼이 주전원을 ON으로 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갖는 동시에,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이 종료되고 나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자동적으로 주전원이 OFF가 되는 소비 전력의 절전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장치(23)는,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키 입력이 있은 후(S1),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키 입력이 없는 채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2), 리모콘 장치(23)의 주전원이 자동적으로 OFF가 된다(S3). 또한, 전원 OFF 후, 다시 어느 하나의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에는(S4), 리모콘 장치(23)의 주전원이 ON이 된다(S5).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리모콘 장치(23)의 어느 하나의 조작 패턴이 눌려지고, 눌려진 조작 패턴의 재생에 관한 제어에 따른 제어 신호(4)가 발신된 경우에, 헤드폰(24)으로부터의응답 신호(24)에 기초한 정보를 리모콘 장치(23)에 설치된 액정 표시 패널(27)에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콘 장치(23)를 조작하는 이용자(38)는 예를 들면, 되감기, 빨리 감기 또는 정지 등의 헤드폰(22)측의 음악 정보의 재생에 관한 제어 모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의도하는 제어가 헤드폰(22)측에서 확실히 실행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음악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6)의 메모리 잔량 또는 헤드폰(22)측의 배터리 잔량 등을 메모리 장치(23)측에서 취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은 적외선 송수신부(36)가 리모콘 장치(23)의 표면 즉, 액정 표시 패널(27) 또는 재생 버튼(31), 정지 버튼(32) 등이 설치되어 있는 면과 동일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용자(38)가 헤드폰(22)을 헤드부에 장착하여, 리모콘 장치(23)의 액정 표시 패널(27)을 눈으로 보면서 조작 버튼에 의해 원격 조작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이 적외선 송수신부(36)는 필연적으로 헤드폰(22)측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이용자(38)는 리모콘 장치(23)의 방향을 의식하지 않고, 제어 신호(4) 또는 제어 신호(4)에 대한 응답 신호(24)의 송수신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음향 시스템에 의하면,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상황에 따른 리모콘 장치(23)의 주전원의 ON/OFF의 제어, 즉 일정 시간 이상 조작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 리모콘 장치(23)의 주전원이 OFF가 되도록 제어하고, 또한 주전원이 OFF가 된 후, 조작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 리모콘 장치(23)의 주전원이 ON이 되도록 제어하므로, 시스템으로서의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휴대용 전기 기기에 있어서 중요한 아이템인 소비 전력의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23)는, 이용자(38)가 손으로 잡아 유지하면서 조작을 행하는 것이였지만, 예컨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 장치(3,23)를 소형화하는 동시에 체인(41) 등을 부착하여 펜던트형의 리모콘 장치(42)를 구성하여도 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43)를 부착하여 손목시계형 리모콘 장치(44)를 구성하여도 된다. 이 외에, 리모콘 장치를 예컨대 브로찌형 또는 키홀더형 등으로서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휴대용 기기로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에 시계 기능, 게임 기능, 전화 기능 또는 포켓 벨 기능 등을 부가하여 음향 시스템을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23)는, 리모콘 장치(3,23)를 시계 밴드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리모콘 장치(3,23)를 시계 밴드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로서, 예컨대, 클립이나 고무 밴드 등을 리모콘 장치(3,23)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 장치(3,23)를 시계 밴드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리모콘 장치(3,23)를 손목에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되어, 리모콘 장치(3,23)의 휴대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헤드폰(2,22)은 리모콘 장치(3,23)를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리모콘 장치(3,23)를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로서, 예컨대 리모콘 장치(3,23)를 수납가능한 수납부를 헤드폰(2,22)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모콘 장치(3,23)를 헤드폰(2,22)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리모콘 장치(3,23)가 분실되어 헤드폰(2,22)이 제어불능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23)는 반지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반지형 리모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리모콘 장치(51)에는 조작 버튼(52)이 설치되는 동시에, 손가락에 장착가능한 링(5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링(53)이 설치된 리모콘 장치(51)를 손가락에 끼워서 조작 버튼(52)을 조작함으로써, 헤드폰(2,22)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 장치(51)나 링(53)에 장식을 행함으로써 패션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모콘 장치(3,23)는 시일형 리모콘 장치이어도 된다. 여기서, 리모콘 장치를 시일으로서 부착하기 위해서 점착제나 매직 테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신호(4)나 응답 신호(24)를 송수신할 때의 지향성을 얻기 위해서 적외선을 이용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제어 신호(4)나 응답 신호(24)를 전파를 통해 송수신하여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신호(4)나 응답 신호(24)를 송수신할 때의 지향성을 얻기 위해서,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를 갖는 시일드 박스 내에 안테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리모콘 장치의 안테나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있어서, 시일드 박스(61)에는 개구부(62)가 설치되고, 이 시일드 박스(61)내에 안테나(6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테나(63)에 의해 발생되는 전파(64)는 이 개구부(62)로부터 시일드 박스(61)의 외부로 송출되고, 이 이외의 방향의 전파는 시일드 박스(61)에서 차단된다. 이 때문에, 안테나(63)에 의해 발생된 전파(64)에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제어 신호(4)나 응답 신호(24)를 전파(64)에 의해 송수신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 신호(4)나 응답 신호(24)의 혼신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신호의 송출은 헤드폰(2,22)에 장착된 메모리 카드(6)로부터 행해지기 때문에, 전파의 송출에 지향성을 부여한 경우에 있어서도, 헤드폰(2,22)을 조작할 때만 리모콘 장치를 헤드폰(2,22)으로 향하면 되고, 음악을 듣고 있는 동안 끊임없이 리모콘 장치를 헤드폰(2,22)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헤드폰(2,22)으로 음악을 들을 때의 이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폰(2,22)을 조작하기 위해서 헤드폰(2,22)의 조작 전용 리모콘 장치(3,34)를 이용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헤드폰(2,22)의 조작을 휴대 정보 단말로부터 행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휴대 정보 단말로서는 휴대 전화나 PHS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음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에 있어서, 휴대 전화(75)에는 헤드폰(7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7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용자가 듣고 싶은 음악이 있는 경우, 듣고 싶은 음악을 휴대 전화(75)로 선택하여, 그 음악의 송신 요구를 그 음악의 배급원에 행한다. 그러면, 그 배급원은 송신 요구된 음향 정보를 휴대 전화(75)에 송신한다. 휴대 전화(75)는 배급원으로부터 송신된 음향 정보를 수신하면(R1), 그 수신한 음향 정보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카드 소켓부에 장착한 메모리 카드(74)에 다운로드한다(R2).
다음에, 메모리 카드(74)에 음향 정보가 다운로드되면, 그 메모리 카드(74)를 휴대 전화(75)의 메모리 카드 소켓부로부터 분리하여 헤드폰(71)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72)에 장착한다(R3).
다음에, 이용자는 헤드폰(71)의 조작을 행할 경우, 휴대 전화(75)의 조작부(76)를 조작한다. 그러면, 휴대 전화(75)로부터 제어 신호가 송신되고, 이 제어 신호가 헤드폰(71)에 설치되어 있는 수신부(73)에서 수신된다(R4). 이것에 의해, 헤드폰(71)은 휴대 전화(75)로부터 송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메모리 카드(74)에 기억되어 있는 음향 정보를 재생시키거나, 빨리감기, 되감기, 정지 등을 행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헤드폰(71)은 헤드폰(71)의 동작 상태 등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휴대 전화(75)에 송신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휴대 전화(75)는 헤드폰(71)으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그 응답 신호에서 표시되는 헤드폰(71)의 동작 상태 등을 휴대 전화(75)에 설치되어 있는 표시부(77)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음향 시스템에 따르면, 오디오 신호등과 비교하여 데이터량이 적은 적외선의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회로 구성 및 부품 구성이 쉬워지고, 리모콘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폰과 리모콘 장치가 무선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Claims (20)

  1. 기억부에 기억된 음향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 및 상기 재생된 음향 정보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와,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의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전파를 송출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삽입되고 소정의 위치에 개구부를 갖는 시일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펜던트형 리모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손목 시계형 리모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시계 밴드에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반지형 리모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시일형 리모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휴대 정보 단말과 겸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정보는 휴대 정보 단말을 통해 상기 기억부에 다운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자유로운 기억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본체에 설치된 고체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는 외부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출력 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를 탈착시키는 탈착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는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반신하는 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음향 정보의 재생에 관한 제어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제어 버튼과,
    상기 제어 버튼 중 어느 하나가 눌려진 경우에 눌려진 제어 버튼에 따른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에 의해서 수신된 응답 신호에 기초한 정보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갖는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제어 버튼이 설치된 면과 동일 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해당 원격 제어 장치 본체의 주전원의 ON/OFF를 상기 제어 버튼으로부터의 입력 상황에 따라서 제어하는 ON/OFF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시스템.
  20. 기억부에 기억된 음향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재생된 음향 정보에 따른 음을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외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KR1020000029221A 1999-05-31 2000-05-30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KR20010007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52952 1999-05-31
JP15295299 1999-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135A true KR20010007135A (ko) 2001-01-26

Family

ID=1555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221A KR20010007135A (ko) 1999-05-31 2000-05-30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4368B1 (ko)
EP (1) EP1058480A3 (ko)
KR (1) KR20010007135A (ko)
CN (1) CN1205836C (ko)
TW (1) TW4762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0296B (fi) 2000-05-26 2002-12-31 Nokia Corp Kädet vapaana -toiminto
US6714233B2 (en) * 2000-06-21 2004-03-30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video telephone system
KR20030057802A (ko) * 2001-12-29 2003-07-07 사파미디어 주식회사 라디오 수신기와 라디오 수신기 장착용 음성저장장치
US20040196405A1 (en) * 2003-04-04 2004-10-07 Thomas Spinelli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DE102004044280A1 (de) * 2004-09-10 2006-03-16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Kopfhörer
WO2007139770A2 (en) * 2006-05-22 2007-12-06 Nike, Inc. User interface for remotely controlling a digital music player
US8112125B2 (en) * 2006-11-10 2012-02-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Voice activated dialing for wireless headsets
US9235986B2 (en) * 2007-01-23 2016-01-12 Bose Corporation Universal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20080174467A1 (en) * 2007-01-23 2008-07-24 Laszlo Drimusz Universal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8702430B2 (en) 2007-08-17 2014-04-22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US8221290B2 (en) 2007-08-17 2012-07-1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electronic gaming feature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360904B2 (en) 2007-08-17 2013-01-29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sport ball,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100039282A1 (en) * 2008-08-12 2010-02-18 Hostage Christine M Universal Remote Control Programming
US8033959B2 (en) 2009-05-18 2011-10-11 Adidas Ag Portable fitness monitoring systems, and applications thereof
US8654987B2 (en) 2010-01-11 2014-02-18 Dennis Palma Audio player headset earhook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US9161131B2 (en) * 2010-03-25 2015-10-13 K&E Holdings, LLC Stereo audio headphone apparatus for a user having a hearing loss and related methods
US8493822B2 (en) 2010-07-14 2013-07-23 Adidas A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the playback of music
US10039970B2 (en) 2010-07-14 2018-08-07 Adidas Ag Location-aware fitness monitoring methods, systems, and program products, and applications thereof
WO2012142303A2 (en) * 2011-04-12 2012-10-18 Murray Maria Remote control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P2859661B1 (en) 2012-06-08 2020-04-08 ParTech, Inc. Modular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CN103826176A (zh) * 2012-11-16 2014-05-28 黄金富 一种用于汽车司机与乘客之间的司机专用保密耳筒
US9277310B1 (en) 2013-08-28 2016-03-01 Steven Nohr Audio playback system
USD750040S1 (en) * 2014-08-28 2016-02-23 Steven Nohr Audio playback system
CN106205658A (zh) * 2016-06-28 2016-12-07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电子终端或耳机控制多媒体文件播放的方法和设备
JP6652096B2 (ja) * 2017-03-22 2020-02-19 ヤマハ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及びヘッドホン装置
US11114773B2 (en) * 2018-12-28 2021-09-07 Flex Lt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onal antennas that protect sensitive zones
CN219237432U (zh) * 2023-04-14 2023-06-23 东莞奥尼瑞实业有限公司 一种手表无人机及其遥控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214105U (de) 1972-04-14 1972-08-10 Sel Ag Kommandosignalgebergehaeuse fuer fernsteuereinrichtungen
JPS5698996A (en) 1980-01-09 1981-08-08 Seiko Instr & Electronics Ltd Headphone having incorporated cassette tape recorder
JPH01175492A (ja) 1987-12-29 1989-07-11 Fujitsu General Ltd ヘッドフォン付き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3139700A (ja) 1989-10-25 1991-06-13 Sony Corp オーディオ信号再生装置
GB9000307D0 (en) 1990-01-06 1990-10-17 Stc Plc Adaptive antenna
US5138649A (en) * 1990-11-16 1992-08-11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handset with remote control
GB9027784D0 (en) * 1990-12-21 1991-02-13 Northern Light Music Limited Improved hearing aid system
US5197332A (en) * 1992-02-19 1993-03-30 Calmed Technology, Inc. Headset hearing tester and hearing aid programmer
US5316249A (en) * 1992-08-25 1994-05-31 Alfred Anderson Stand with tether for electronic remote control units
JPH06251080A (ja) 1993-03-01 199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型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転送装置
US5905947A (en) * 1993-03-04 1999-05-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Electronic audio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data signals over wireless networks
US5378874A (en) * 1993-04-05 1995-01-03 Whirlpool Corporation Diagnostic method and apparatus for a domestic appliance
KR0138060B1 (ko) * 1993-12-21 1998-08-17 가시오 가즈오 리모트 콘트롤 장치
US6466677B1 (en) * 1994-05-24 2002-10-15 Thomas A. Bush Cordless digital audio headphone
JPH089483A (ja) 1994-06-22 1996-01-12 Nec Corp ヘッドホンセット
US6124804A (en) * 1994-11-10 2000-09-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interface, an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mote controller and a remote control interface
US5499713A (en) * 1994-11-16 1996-03-19 Huffer; Richard L. Transparent remote control flexible envelope
US5461812A (en) * 1994-11-16 1995-10-31 Bennett; Emeric S. Method and apparatus for a weapon firing safety system
JPH08172679A (ja) 1994-12-16 1996-07-02 Sony Corp 受話装置
US5587704A (en) * 1995-09-01 1996-12-24 Foster; Samuel T. Code blue light audio and visual alarm apparatus
US5704153A (en) * 1996-07-23 1998-01-06 Colt's Manufacturing Company, Inc. Firearm battery and control module
IL119174A (en) * 1996-09-01 1999-03-12 Consumer One Ltd Personal radio system
USD395355S (en) * 1996-09-17 1998-06-23 Von Freiberg Scott Combined key ring and remote control transmitter
JP3062135B2 (ja) 1997-09-25 2000-07-10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イヤホンシステム
US6213619B1 (en) * 1997-10-14 2001-04-10 Sun Yu Wrist mounted light
US6437836B1 (en) * 1998-09-21 2002-08-20 Navispace, Inc. Extended functionally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6606506B1 (en) * 1998-11-19 2003-08-12 Albert C. Jones Personal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6732381B1 (en) * 2002-02-08 2004-05-11 Sanjiv K. Lal Sports helm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5875A (zh) 2000-12-06
TW476226B (en) 2002-02-11
CN1205836C (zh) 2005-06-08
EP1058480A3 (en) 2006-08-16
EP1058480A2 (en) 2000-12-06
US7254368B1 (en) 2007-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07135A (ko) 음향 시스템 및 헤드부 장착형 음향 장치
US6526287B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US6606506B1 (en) Personal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device
US5881149A (en)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with wireless transmitter and detachable earpiece including a wireless receiver
US6454608B1 (en) Adapter for external conne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US8295770B2 (en) Electrical accessory and method of providing same
US8155336B2 (en) Wireless headset with integrated media player
US20030114133A1 (en) MP3 player for vehicles
US20080201658A1 (en) Wireless Media Player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19618B1 (ko) 데이터 재생장치
KR20010085405A (ko) 배터리팩 및 휴대전화장치
JP2013062580A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方法
JP2001054184A (ja) 音響システムおよび頭部装着型音響装置
JP2006186904A (ja) ヘッドセット装置
JP2005217464A (ja) ヘッドホン装置、時計型情報処理装置及び音楽再生装置
JP4906241B2 (ja) オーディオ伝送システム
KR200159069Y1 (ko) 휴대폰용 간이 송수화기
KR20000056051A (ko) 휴대용 디지털오디오데이터 재생기 겸용 휴대폰
KR200179155Y1 (ko) 휴대폰의 통화녹음장치
JP2001309024A (ja) 無線装置
US20050181744A1 (en) Multimedia transmission device
KR200165522Y1 (ko) 휴대폰용 음성 녹음 및 재생 장치
JP3094396U (ja) オーディオ信号制御装置
KR200340280Y1 (ko) 원격 시동 기능이 있는 엠피3 플레이어
KR200235508Y1 (ko) 핸즈 프리 기능을 갖춘 무전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302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205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