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7010A - 외부 포켓 재순환부를 가진 2 속도 지로터 모터 - Google Patents
외부 포켓 재순환부를 가진 2 속도 지로터 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77010A KR20000077010A KR1020000018225A KR20000018225A KR20000077010A KR 20000077010 A KR20000077010 A KR 20000077010A KR 1020000018225 A KR1020000018225 A KR 1020000018225A KR 20000018225 A KR20000018225 A KR 20000018225A KR 20000077010 A KR20000077010 A KR 200000770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id
- stop valve
- fluid communication
- control valve
- passage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4/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 F04C14/08—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characterised by varying the rotational spe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2/00—Rotary-piston engines
- F03C2/08—Rotary-piston engine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 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0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 F04C2/08—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2/10—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 F04C2/103—Rotary-piston machines or pump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internal-axis type with the outer member having more teeth or tooth-equivalents, e.g. rollers, than the inner member one member having simultaneously a rotational movement about its own axis and an orbital movement
- F04C2/105—Details concerning timing or distribut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aulic Motors (AREA)
- Sliding Valves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다수의 정지 밸브 통로를 형성하는 정지 밸브 부재(19)를 가진 형태의 2 속도 지로터 모터(gerotor motor)에 있어서, 각각의 통로는 가동 밸브 부재(43)와 유체 연통을 변환하기 위한 상류 통로 부분과, 지로터 치차 군의 볼륨 챔버(volume chamber)(33)와 계속적인 유체 연통하에 있는 하류 통로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의 정지 밸브 통로(113)에서, 상류(115) 및 하류(117) 통로 부분은 직접 유체 연통으로부터 차단된다. 제어 밸브 스풀(spool)(89)은, 정상의 저속 운전에 대하여 상류 및 하류 통로 부분 사이에서 제한되지 않는 유체 연통을 허용하는 제1 위치(도 8)를 갖는다. 제어 밸브 스풀은, 상류(115) 및 하류(117) 통로 부분 사이의 유통을 차단하고, 모든 하류 부분을 함께 연결하며, 유체 축적 영역(91)과 연통하는 제2 위치를 가져서, 볼륨 챔버로부터의 유체는 재순환하고 운전의 고속 모드를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로터 치차 군(群)이 유체 디스플레이스먼트(displacement) 메커니즘 역활을 하는 형태의 회전 유체 압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 속도 능력을 구비한 이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용이, 캠로브(cam lobe)형 장치와 같은 지로터와는 다른 유체 디스플레이스먼트 메커니즘을 가진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은 특히 지로터 장치에 적합하고 이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지로터 치차 군을 사용하는 장치는 각종의 적용이 가능하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 중의 하나는 저속, 고 토크 모터로서 이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저속, 고 토크 지로터 모터에 대한 하나의 적용 예는 차량 추진으로서, 차량은, 각각의 모터가 구동 차륜의 하나와 관련되는 한 쌍의 지로터 모터에 가압유체를 제공하는 엔진 구동 펌프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특히 추진 응용에 사용되는 크고, 고 토크형의 모터에서, 많은 지로터 모터는 롤러 지로터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이하에서 계속해서 참조하는 "지로터"는 롤러 지로터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지로터 모두를 의미하며 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근년에, 차량 제조자의 편에, 차량이 작업장에 있을때와 같은, 저속, 고 토크 모드의 운전을 제공할 수도 있고, 차량이 작업장 사이를 이동할 때에 대하여는, 또한 고속, 저 토크 모드의 운전 모두를 제공할 수 있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 방안은 2-속도 능력을 가진 지로터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다.
2-속도 지로터 모터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참고로 여기에 결합되는, 미합중국 특허 제4,480,971호로부터 공지된다. 인용한 특허의 장치는 상업적 사용으로 널리 보급 되었으며, 대체적으로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로터 모터는, 지로터 치차 군의 팽창 및 수축 유체 볼륨 챔버 사이에서 유체를 효과적으로 "재순환"시킬 수 있는 밸빙(valving)을 구비함으로써 2-속도 장치로서 작동될 수도 있다. 환언하면, 입력 포트는 모든 팽창 챔버와 유통되고 모든 수축 챔버는 출력 포트와 유통된다면, 모터는 정상의 저속, 고-토크 모드로서 작동한다. 수축 챔버로부터 얼마간의 유체가 팽창 챔버의 몇몇으로 다시 재순환된다면, 결과는 고속, 저-토크 모드 운전이 되며, 이것은 마치 지로터의 디스플레이스먼트가 감소된 것과 같은 동일한 결과이나, 지로터를 통해서는 동일 유량이 흐르게 된다.
상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2-속도 지로터 모터에서, 상기 인용 특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로터 치차 군내의 각각의 볼륨 챔버는, 모터가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운전되는 동안, 팽창하고 수축하는 볼륨 챔버 양쪽 모두로서 "재순환" 볼륨 챔버가 될 수 있다. 각각의 볼륨 챔버가 재순환 볼륨 챔버로 되는 하나의 결과는,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운전될 때 평탄하지 않은 토크 파형으로 된다고 믿어지는 "이상하게 이격된" 재순환 볼륨 챔버로서 나타나는 조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지로터 모터에 사용하기 적합하고,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평탄하지 않은 토크 파형의 감소를 포함하는, "이상하게 이격된" 재순환 볼륨 챔버의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제거하거나 또는 사실상 감소시키는 개선된 2-속도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결과로서, 종래 기술의 2-속도 구성의 다른 단점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모든 재순환 흐름은 변환 밸빙을 통과해야만 되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약간의 유체가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재순환된다는 사실은 고속 모드에서는 총 유량이 사실상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애석하게도 전형적인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 2-속도 능력의 추가는 밸빙 통로가 동일 속도 및 토크 능력의 통상적인 모터에 비교하여 유동 능력에서 어느 정도 수축되는 결과로 되었다. 이 결과는 종래 기술의 2-속도 모터를 통해 바람직 하지 못한 압력 강하의 증가로 나타나며,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유압 모터를 통해 압력 강하가 높으면 높을수록 모터는 상업적으로 바람직 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 수축되는 변환 밸브 통로가 요구되지 않으며, 따라서 모터를 통해 압력 강하가 증가되지 않는 개선된 2 속도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유체 입력 포트 및 유체 출력 포트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는 개선된 유압 작동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유압 디스플레이스먼트 메커니즘은 하우징 수단과 관련되고, 내부 치(齒) 링부재 및 링부재내에 편심으로 배치된 외부 치 성형(星形) 부재를 포함한다. 링부재 및 성형부재는 상대적 궤도 및 회전 운동을 가지며, 상호 정합되어서 궤도 및 회전 운동에 응답하여 다수(N)의 팽창 및 수축 유체 볼륨 챔버를 형성한다. 모터 밸브 수단은 하우징 수단과 협력하여서 유체 입력 포트와 팽창 볼륨 챔버 사이 및 수축 챔버와 출력 포트 사이의 유체 연통을 구성한다. 모터 밸브 수단은, 하우징 수단에 대하여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되는 정지 밸브 부재와, 궤도 및 회전 운동의 하나에 동기되어 정지 밸브 부재에 대하여 운동할 수 있는 가동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 정지 밸브 부재는 다수(N)의 정지 밸브 통로를 형성하고, 각각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는 가동 밸브 부재와 유체 연통을 변환하기에 적합한 상류 통로부를 포함하며, 다수(N)의 유체 볼륨 챔버의 하나와 계속 유체 연통되는 하류 통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다수(N-M)의 정지 밸브 통로에서, 상류 통로 부분 및 하류 통로 부분은 직접, 비제한적, 연속적인 유체 연통이 된다.
개선된 유압 작동 장치는, 다수(M)의 정지 밸브 통로에서, 상류 및 하류 통로 부분이 직접 유체 연통으로부터 차단되는 것으로 특징지어 진다. 제어 밸브 수단은, 가동되게 정지 밸브 부재에 결합되고, 제1 위치에서 가동되어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과 이의 대응한 하류 통로 부분 사이에 비교적 비제한적인 연통을 제공한다. 제어 밸브 수단은, 제2 위치에서 가동되어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과 이의 대응한 하류 통로 부분 사이의 유체 연통을 차단한다.
종래 기술의 2-속도 지로터 모터 구성에서, 저속, 고-토크 모드에서의"비율"은 자명하게 1.0:1이고, 고속, 저-토크 모드는 재순환하는 볼륨 챔버의 수로써 결정된다(볼륨 챔버 총수의 비율로써 결정). 종래 기술의 구성에서, 저속 및 고속간의 변환은 상당히 급히 발생하여서, 종래 기술의 설계는 모터의 운전이 단지 저속 및 고속 모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을 효과적으로 지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최소 속도 비율 및 최고 속도 비율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비율을 제공하는 이론적 능력을 가진 개선된 2-속도 지로터 모터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토크 파형의 평탄을 꾀하고, 모터에서 압력 강하가 증가되지 않으며, 최고 및 최소 속도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작동 비율을 가진 2-속도 지로터 모터의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속, 고 토크(high torque) 지로터 모터의 축방향 단면도.
도 1a는 도 1의 좌측으로부터 보이고 도 1보다 약간 큰 축적으로 된, 지로터 치차 군(群)(gerotor gear set)의 횡 평면도.
도 2는 단지 도 1의 모터 상부의 반만을 나타내고, 도 1의 2-2 선상에서 보이는 횡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 선상에서 보이고, 이격판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횡 단면도.
도 4는 도 1의 4-4 선상에서 보이고, 본 발명의 부분을 구성하는 변환판을 나타내는 횡 단면도.
도 5는 도 1의 5-5 선상에서 보이고, 도 4에서 나타낸 변환판의 대향면을 나타내는 횡 단면도.
도 6은 도 1의 6-6 선상에서 보이고,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대부분의 볼트를 제외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정지 밸브판을 나타내는 횡 단면도.
도 7은 도 1의 7-7 선상에서 보이고, 본 발명의 제어 밸브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횡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2 속도 지로터 모터를 각각 저속 및 고속 모드로 나타내는, 도 4 및 도 7과 유사한 어느 정도의 개략도.
도 10은 모터 속도(RPM)를 저속, 고 토크 모드로부터 제어 밸브 스풀 위치(델타 X, 인치)내에서의 변화의 함수로써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볼트 13: 단부 캡(end cap)
15: 이격판 17: 변환판(shifter plate)
19: 정지 밸브판
21: 지로터 치차 군(gerotor gear set)
23: 평형판 조립체
27: 내부 치(齒) 링부재
31: 성형(星形)부재(star member) 33: 볼륨 챔버
35, 39: 스플라인(spline) 37: 주 구동축
113: 정지 밸브 통로 89: 제어 밸브 수단
115: 상류 통로 부분 117: 하류 통로 부분
91: 유체 축적 구역
59: 유체 입력 포트(fluid inlet port)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닌,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대체로 상기 결합된 특허에 따라 제조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또한 참고로 여기에 결합된 미합중국 특허 제5,211,551호에 따라 제조된, 성형(星形) 밸브(valve-in-star)(VIS)형의 저속, 고-토크 모터를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VIS 모터는, 도 1에서 그중 하나만을 나타낸 다수의 볼트(11)와 같은 것으로써 함께 고정되는, 다수의 섹션(section)을 포함한다. 이 모터는, 단부 캡(13), 이격판(15), 변환판(17)("선택판"으로도 나타낼 수 있음), 정지 밸브판(19), 대체로 21로 나타낸 지로터 치차 군, 평형판 조립체(23) 및 플랜지 부재(25)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제일 잘 보이는 지로터 치차 군(21)은, 해당 기술계에 잘 공지되어 있고, 상기 결합된 특허에서 매우 상세히 나타내고 설명되어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는 단지 간단히 설명한다. 치차 군(21)은 바람직 하게는, 각각의 개구에 원통형 롤러 부재(29)가 배치되고, 링부재(27)의 내부 치(齒)로서 이용되는 다수의 대체적으로 반 원통형의 개구를 형성하는 내부 치 링부재(27)를 포함하는 Geroler치차 군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치 또는 롤러(29)의 수보다 하나 적은 외부 치를 가져서 성형 부재(31)가 링부재(27)에 대하여 궤도를 따르며 회전하도록 허용하는, 외부 치 성형 부재(31)가 링부재(27)내에 편심으로 배치된다. 링부재(27)내에서 성형부재(31)의 궤도 및 회전 운동은, 어떤 주어진 순간에 각각이 팽창하는 볼륨 챔버(33E)이거나 또는 수축하는 볼륨 챔버(33C)인 다수의 유체 볼륨 챔버(33)를 형성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또한 어떤 주어진 순간에 볼륨 챔버중의 하나는 팽창과 수축 사이의 "천이" 상태에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단지 예로서, 총 9개의 볼륨 챔버(33)를 나타낸다.
다시 처음의 도 1을 참조하면, 성형부재(31)는, 주 구동축(37)의 한 단부에 형성된, 일군의 외부, 왕관 스플라인(crowned spline)(35)과 결합하는 다수의 직선, 내부 스플라인을 형성한다. 축 또는 차륜 허브(hub)(도시 않됨)와 같은 몇가지 형태의 회전 출력 부재로써 형성되는 다른 군의 직선, 내부 스플라인과 결합하기 적합한 다른 군의 외부, 왕관 스플라인(39)이 축(37)의 대향 단부에 배치된다.
재차 도 1a를 참조하면, 도 1과 관련하여, 성형부재(31)는 추가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은 아니드라도, 본 실시예에서 성형부재(31)는, 외부 치를 포함하는 주성형부(41) 및 삽입부 또는 플러그(43)를 포함하는 2개 부품의 조립체를 포함한다(그 사이의 관계가 도 1에서 제일 잘 나타남). 주성형부(41) 및 삽입부(43)는 협력하여 계속해서 설명되는 각종 유체 구역, 통로, 및 포트를 형성한다. 성형부재(31)는, 성형부재(31)의 단부 표면(47)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매니폴드(manifold) 구역(45)을 형성하며, 단부 표면(47)은 정지 밸브판(19)의 인접 표면(49)(도 1 및 도 6을 볼것)과 활주되게 밀봉 결합되어 배치된다.
성형부재(31)의 단부 표면(47)은, 삽입부(43)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 통로(53)의 수단에 의해 각각이 매니폴드 구역(45)과 계속적으로 유체 연통되는 일군의 유체 포트(51)를 형성한다. 단부 표면(47)은 유체 포트(51)와 교번하여 배열되는 일군의 유체 포트(55)를 추가로 형성하며, 각각의 유체 포트(55)는 방사상 안쪽으로 매니폴드 구역(45)으로 약 중간까지 연장되는 부분(57)을 포함한다. 이 부분(57)은 내부 또는 중앙 매니폴드 구역(45)을 감싸는 "외부" 매니폴드 구역을 함께 형성한다.
도 1과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단부 캡(13)은, 본 발명이 관련되는 대부분 형의 모터는 포트가 역으로 될 수도 있는 작동상 "양방향"을 의미한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지만, 유체 입력 포트(59)와 유체 출력 포트(61)를 포함한다. 단부 캡(13)은, 개방되어, 유체 입력 포트(59)와 계속 유체 연통되는 환형 챔버(63)를 형성한다. 단부 캡(13)은 또한, 개방되어, 출력 포트(61)와 계속 유체 연통되는 환형 챔버(65)(도 1을 볼것)를 형성한다. 결국, 단부 캡(13)은, 입력 포트(59)와 또한 계속 개방 유체 연통되는 원통형 챔버(67)를 형성한다. 원통형 챔버(67) 및 환형 챔버(63)는 통로(69)의 수단으로써 입력 포트(59)와 연통된다(도 2를 볼것). 환형 챔버(63)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다음에서 명백해지는 이유 때문에, 모터 입력 포트(59)와 같은 비교적 고압 유체원과 계속 유체 연통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처음 도 3을 참조하면, 이격판(15)은 도 2에 나타낸 단부 캡(13)의 인접 표면과 밀봉 결합으로 배치되는 표면(71)을 갖는다. 이격판(15)은 원통형 챔버(67)와 연통을 허용하는 중앙 개구(73)를 형성한다. 그 기능을 계속해서 설명하게 될 콩팥형 통로(75)가 도 3의 중앙 개구 위에 배치된다. 이격판(15)은 또한 소형 구멍(77)과 비교적 큰 구멍(79)을 형성하며, 구멍(77 및 79) 모두는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환형 챔버(63)에 개방된다.
도 4를 처음 참조하여서, 변환판(17)을 어느 정도 상세히 설명한다. 변환판(17)은 이격판(15)과 밀봉 결합되어 배치되는 표면(81)을 갖는다. 변환판(17)은 이격판(15)의 중앙 개구(73)와 개방 연통되는 중앙 개구(83)를 형성한다. 변환판(17)은 또한, 통로(75)와 개방 연통되는 콩팥형 통로(85)를 형성한다. 도 1과 도 7에서 제일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변환판(17)은, 보어(bore)(87)내에서 활주되게 배치되는 제어 밸브 스풀(89)을 갖는 스풀 보어(87)를 형성한다.
변환판(17)의 표면(81)은, 환형 챔버(63)로부터 큰 구멍(79)을 통해서 고압 유체를 받아들여 재순환 통로(91)가 항상 비교적 고압(입력 압력)을 갖게하는 재순환 통로(91)를 형성한다. 환형 챔버(63)와 관련하여 재순환 통로(91)는 계속해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로서 기능한다. 재순환 통로(91)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스풀 보어(87)를 교차하여서 다수의 재순환 보어(93A, 93B 및 93C)가 있다. 또한 표면(81)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풀 보어(87)를 교차하여서 다수의 포켓 보어(95A, 95B 및 95C)가 있다. 용어 "포켓"은 여기에서 "볼륨 챔버"에 대한 대안적인 용어로 사용되며, 즉 포켓 보어(95A, 95B 및 95C)는, 계속해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3개의 볼륨 챔버(33)와 개방되어, 계속 유체 연통된다. 또한 표면(81)으로부터 연장되고 스풀 보어(87)를 교차하여서 다수의 밸브 보어(97A, 97B 및 97C)가 있으며, 용어 "밸브"는, 보어(97A, 97B 및 97C)가 도 1a에서 나타내고 앞에서 설명한 변환 밸빙과 유체 연통되기 때문에 여기에서 사용된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도 5는 변환판(17)의 표면(99)을 나타내며, 표면(99)은 표면(8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도1, 도 4 및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대향 방향으로 보인다. 표면(99)은 콩팥형 통로(85)와 유체 연통되는 환형 홈(101)을 형성한다. 변환판(17)은 또한, 도 4에 나타내며 변환판(17)의 표면(81)상에 형성되는 각종 포켓 보어 및 밸브 보어와 유체 연통되는 다수의 개구 또는 포트를 형성한다. 도 5에서 나타낸 포트를 설명하는 문자 A, B, 및 C의 사용은 도 4에 나타낸 해당 보어에 이들 포트를 연결하는 표시로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변환판(17)의 표면(99)은 다수의 포켓 포트(103A, 103B 및 103C)를 형성한다. 추가하여, 표면(99)은 다수의 밸브 포트(105A, 105B 및 105C)를 형성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포켓 포트(103A, 103B 및 103C)는 변환판(17)의 전 축방향 길이를 통해서 연장되고, 따라서 참조 번호 103A, 103B 및 103C는 또한 도 4에서도 나타난다는 것을 유의해야 된다. 또한, 변환판(17)의 표면(81)은 각종 보어 및 포트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통로를 형성한다는 것을 유의해야 된다. 표시를 쉽게하기 위해서, 표면(81)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는 개별 참조 번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처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도 6은 도 1a, 도 3 및 도 4의 대향 방향에서 보인다는 점을 유의하며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VIS형 모터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적인 VIS 모터에서 정지 밸브판은 단부 캡에 바로 인접하거나 또는 단부 캡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명백해질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서 정지 밸브판(19)은, 본 발명의 2-속도 밸빙을 성취하기 위하여 단부 캡(13)으로부터 이격판(15) 및 변환판(17)에 의해 분리된다. 정지 밸브판(19)은, 또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타이밍 슬롯(timing slot)"으로 나타내는 다수의 정지 밸브 통로(107)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밸브 통로(107)는 전형적으로 방사상 방향이된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이 슬롯은 팽창 볼륨 챔버(33E)이거나 또는 수축 볼륨 챔버(33C)인 인접한 볼륨 챔버의 하나에 계속, 개방 유체 연통이 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통로(107)는 중앙 개구(109)에 대하여 동심인, 대체적으로 환형 패턴으로 배치된다. 다수의 각개 정지 압력 포트(111)를 포함하는 환형 압력 챔버가 중앙 개구(109)를 감싸고 있다. 정지 밸브판(19)을 종래 기술 내용에 따라 제조한다면, 각각의 볼륨 챔버(33)에 대하여 하나씩 9개의 밸브 통로(107)가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중요한 양태에 따라서, 6개의 정지 밸브 통로(107), 및 설명될 방식에서 통상적인 밸브 통로(107)와는 상이한, 대체로 113A, 113B 및 113C로 표시한 3개의 다른 상이한 정지 밸브 통로가 있다. 6개의 통로(107) 및 3개의 통로(113)가 있다는 사실은 단지 예의 목적이며, 당업자는 각 형태의 통로의 수는 어느 정도 변동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통상적인 VIS 모터에서 각각의 밸브 통로(107)의 방사상 내부 부분은 유체 포트(51 및 55)와 변환 연통되는 반면, 각각의 밸브 통로(107)의 방사상 외부 부분은 각각의 볼륨 챔버에 영구적, 계속 연통이 된다. 환언하면, 유체 포트(51 또는 55)의 하나로부터 인접 볼륨 챔버로의 연통은, 방사상 내부 부분 및 방사상 외부 부분이 직접, 개방 유체 연통되는 방사상으로 방향이된 밸브 통로(107)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비교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정지 밸브 통로(113A, 113B 및 113C)에 각각 방사상 내부(상류) 부분(115A, 115B 및 115C) 및 각각 방사상 외부(하류) 부분(117A, 117B 및 117C)이 있다. 도 6에서 쉽게 표시하기 위해 몇개의 볼트(11)를 나타냈으며, 볼트가 삽입된 이후에 유효 유동 면적을 간단히 나타내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양태에 따라 정지 밸브 통로(113A, 113B 및 113C)에서, 방사상 내부 부분(예, 115A) 및 방사상 외부 부분(예, 117A)은 직접, 개방 유체 연통되지 않는다. 대신에, 방사상 내부 및 외부 부분은, 정상, 저속, 고-토크 모드(도 8을 볼것)에서 제어 밸브 스풀(89)을 통해서 서로 연통되나, 고속, 저-토크 모드(도 9를 볼것)에서는 제어 밸브 스풀(89)에 의해 서로의 연통이 차단된다. 저속 및 고속 모드는 본 발명의 작동 설명과 연관하여 계속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제 도 7을 처음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어 밸빙의 일반적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서 제어 밸브 스풀(89)은 정상, 저속 모드로 나타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4와 같이 동일 방향에서 보이는 도 7에서, 스풀 보어(87)의 대향 횡 단부는 나사가 난 플러그(119 및 121)에 의해 밀봉된다. 제어 밸브 스풀(89)은 다수의 랜드(land)(123, 125, 127 및 129)를 포함한다. 플러그(119) 및 랜드(123) 양자는 부분적으로 중공이며, 스풀(89)을 도 7에서 우측으로, 즉 저속 모드 작동으로 바이어스(bias)시키려는 경향이 있는 바이어싱 스프링(131)을 위한 시이트(seat) 역활을 한다. 변환판(17)은 한 쌍의 파일럿 포트(pilot port)(133 및 135)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제어 밸브 스풀(89)의 위치가 적정 파일럿 압력을 사용하여 선택될 수 있다. 단지 예의 목적으로, 폐쇄 루프(loop) 추진 시스템에서, 차지 펌프(charge pump)로부터의 압력(전형적으로 200psi - 400psi)을 파일럿 압력으로 사용한다. 당업자는, 이후에서 표시하는 범위 및 첨부된 청구 내용의 범위를 제외하고는, 제어 밸빙의 상세 내용이 본 발명의 필요 불가결한 특징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어 밸브 스풀(89)은 또한 솔레노이드와 같이 유압 수단이 아닌 것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작동)
도 8을 처음으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저속, 고-토크 모드의 모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저속 모드의 작동이 요구될 때, 파일럿 포트(135)는 배출되고, 전형적으로 파일럿 포트(133)도 또한 배출되어, 바이어싱 스프링(131)이 제어 밸브 스풀(89)을 우측으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위치로 바이어스 시킨다. 도 8 및 도 9는 각종 보어에 대한 제어 밸브 스풀(89)의 관계를 나타냄에 있어 어느 정도 개략적이나, 저속 모드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랜드(123, 125 및 127)는 각각 재순환 보어(93A, 93B 및 93C)를 차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 그러나, 포켓 보어(95A)와 밸브 보어(97A) 사이, 포켓 보어(95B)와 밸브 보어(97B) 사이, 및 포켓 보어(95C)와 밸브 보어(97C) 사이의 연통은 허용된다. 결과적으로 포켓 포트(103A)와 밸브 포트(105A) 사이, 포켓 포트(103B)와 밸브 포트(105B) 사이, 및 포켓 포트(103C)와 밸브 포트(105C) 사이에서 어느 정도 비직접적이나 비교적 비제한적인 연통이 이루어진다. 추가 결과로서, 부분(115A)과 부분(117A) 사이, 부분(115B)과 부분(117B) 사이, 및 부분(115C)과 부분(117C) 사이에서 어느 정도 비직접적이나 비교적 비제한적인 연통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모터가 저속에서 작동되고, 입력 포트(59)에서 고압을 가정하면, 고압은 통로(69)를 통해서 원통형 챔버(67)로, 중앙 개구(73, 83 및 109)를 통해서 중앙 매니폴드 구역(45)으로, 다시 유체 통로(53)를 통해서 유체 포트(51)로 연통된다. 도 1a의 수직선의 좌측에 있는 유체 포트(51)는, 팽창 볼륨 챔버(33E)와 다시 연통되는 각종 타이밍 통로와 변환하며 유체 연통된다. 챔버(33E)내의 고압은 성형부재(31)를, 추가 설명이 필요없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방식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궤도를 돌게한다. 동시에, 저압 유체는 수축 볼륨 챔버(33C)로부터 배출되어 도 1a에서 수직선의 우측상의 유체 포트(55)와 연통되는 타이밍 슬롯을 통하여 흐른다. 저압 유체는 다음에 유체 포트(55)로부터 부분(57)을 통해서 압력 포트(111)에, 다시 콩팥형 통로(85)와 연통하는 환형 홈(101)으로 연통된다. 이 저압 유체는 다음에 콩팥형 통로(75)를 통해서, 저압 유체가 출력 포트(61)로 흐르게되는 환형 챔버(65)로 흐른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가 저속, 고-토크 모드에서 작동될 때, 고압 유체 포트(51)의 하나가 방사상 내부 부분(115A)과 연통할 때마다, 고압 유체는 밸브 포트(105A)로 흐르고, 다음에 밸브 보어(97A)로 흐른다. 도 8에서 제일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제어 밸브 스풀(89)이 저속 위치에서, 밸브 보어(97A)는 포켓 보어(95A)와 개방 연통되고, 고압 유체는 거기로부터 연결 통로를 통해서 포켓 포트(103A)로 흘러서, 인접한 팽창 볼륨 챔버(33E)(도 1a에서 약 10시 방향 위치)와 연통하는 방사상 외부 부분(117A)으로 흐른다. 도 1a의 약 2시 방향 위치에서 수축 볼륨 챔버(33C)로부터 방사상 외부 부분(117C)을 통해서, 결국 포켓 보어(95C)로부터 밸브 보어(97C)로, 방사상 내부 부분(115C)으로 유사 유동 경로가 발생된다. 환언하면, 저속 모드에서 모터의 작동은 방사상 외부 부분(117A 및 117C)이 각각 방사상 내부 부분(115A 및 115C)과 직접, 개방 연통되는 것과 동일하다(정지 밸브 통로(107)와의 경우와 같음).
도 1a에 나타낸 지로터 치차 군(21)의 위치에서, 6시 방향 위치의 볼륨 챔버(33)는 "천이" 챔버이고, 즉 그것은 순간 최소 가능 체적이며 수축 볼륨 챔버로부터 팽창 볼륨 챔버로의 변환 과정에 있기 때문에, 방사상 외부 및 내부 부분(117B 및 115B)에 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당업자는, 성형부재(31)가 궤도를 돌며, 회전하여 도 1a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떠나자마자 유체는, 통로(113A)에 관해서 설명한 동일 방식으로, 정지 밸브 통로(113B)를 통해서 상기 천이 볼륨 챔버로 연통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모터가 고속, 저-토크 모드에서 작동이 요구될 때, 즉, 유체의 일부를 재순환 시킴으로써 지로터 치차 군(21)의 디스플레이스먼트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적정 파일럿 신호가 파일럿 포트(135)로 연통되어, 제어 밸브 스풀(89)을 도 7의 우측, 도 9에서 나타낸 위치로 바이어싱하여 이루게된다. 밸브 스풀(89)이 고속 위치에 있고, 성형부재(31)가 아직 도 1a에 나타낸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면, 유체 포트(51)(약 10시 방향 위치)내의 고압 유체는 방사상 내부 부분(115A)으로 흐르나, 다음에 부분(115A)내의 가압 유체는 밸브 포트(105A)를 통해서 밸브 보어(97A)로 흐른다. 그러나, 보어(97A)내의 고압 유체는 밸브 보어(97A)가 랜드(125)에 의해 차단되었기 때문에 스풀 보어(87)로 진입할 수 없다. 유사하게, 방사상 내부 부분(115C)으로부터의 저압 배출 유체는, 이러한 배출 유체가 밸브 보어(97C)로부터 흘러야되나 이러한 흐름이 보어(97C)가 랜드(129)에 의해 차단되었기 때문에 발생될 수 없는 연유로, 변환 유체 포트(55)로 흐르지 않는다. 동일 방식으로, 밸브 보어(97B)는 랜드(127)에 의해 차단된다.
제어 밸브 스풀(89)의 이동 범위에 걸쳐서,포켓 보어(95A, 95B 및 95C)는 항상 스풀 보어(87)와 개방 연통된다는 것을 도 8 및 도 9를 비교하여서 주목하여야 한다. 제어 밸브 스풀(89)이 도 8의 저속 위치로부터 도 9의 고속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포켓 보어(95) 및 밸브 보어(97)간의 연통이 우선 차단되고, 다음에 포켓 보어(95A, 95B 및 95C) 및 재순환 보어(93A, 93B 및 93C)간의 연통이 각각 개방된다. 도 4에서 제일 잘 보이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3개의 재순환 보어(93A, 93B 및 93C)는 모두 재순환 통로(91)와 개방 연통된다. 따라서, 도 1a에 나타낸 순간에 포켓 보어(95B)는 재순환 보어(93B)와 연통하나, 포켓 보어(95B)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천이 챔버와 연통하고, 순간적으로 재순환 보어(93B)로부터 재순환 통로(91)내로 또는 밖으로 유체가 연통되지 않는다. 그러나 동일 순간에, 각각 포켓 포트(103A 및 103C)와 연통하는 팽창 볼륨 챔버(33E) 및 수축 볼륨 챔버(33C)는 거의 동일 비율로 체적을 변경하나, 대향 "방향"에서, 즉 하나는 팽창하고 다른것은 수축한다. 따라서, 팽창 볼륨 챔버(33E)에 대하여 어느 체적의 고압 유체가 재순환 통로(91)로부터 볼륨 챔버로 흘러들어 오고, 동시에 이제 또한 고압 유체를 수용한 수축 볼륨 챔버(33C)에 대하여 거의 동일 체적의 유체가 재순환 통로(91)내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고속 모드에서의 작동은, 재순환 통로(91)에 연결되어 일정하게 유지되는 3개의 볼륨 챔버의 순간 체적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8-9개의 지로터 치차 군에 연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용은 그렇게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다수의 외부 및 내부 치(齒)의 각종 다른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변환 밸빙이 VIS(valve-in-star)형의 것인 특정 실시예와 연관하여 나타내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용이 또한 그렇게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 된다. 최소 개념상으로, 본 발명은, 팽창 상태 및 수축 상태 사이를 교번하는 볼륨 챔버를 형성하는 유압 디스플레이스먼트 메커니즘을 가진 형식의 모터에 대하여 어떤 형식의 저속, 변환 밸빙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변환 밸빙에 관련되는 상류 부분과,볼륨 챔버와 개방 유통에 관련되는 하류 부분을 가진 정지 밸브 통로가 있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각종 보어 및 랜드는, 각각의 밸브 보어(97)로부터 각각의 해당 포켓 보어(95)로의 흐름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고, 유사하게 각각의 재순환 보어(93) 및 각각의 해당 포켓 보어(95)간의 연통이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저속 및 고속 모드간의 변환에서, 전체 비율 변경은 1단계로 일어난다. 즉 3개의 재순환 볼륨 챔버가 모두 동시에 재순환하기 시작하거나 또는 동시에 모두 순환을 정지하며,예를 들어 모터가 중간 비율의 발생이 없이 1.0:1 비율에서 직접 1.5:1 비율로 변환된다.
그러나, 상기 규격을 정독하여 이해함으로써 중간 비율들을 구성하는 것이 당업자의 능력내에 있다고 생각한다. 더구나, 재순환 흐름이 변환 밸빙을 통과하지 않고, 대신에 분리된 외부 제어 밸브[제어 밸브 스풀(89)]를 통과하기 때문에, 이러한 중간 비율이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한 중요한 양태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외부"는, 재순환의 제어가 정상 변환 모터 밸빙으로부터 분리된 밸빙을 통한다는 사실을 단순히 나타낸다. 중간 비율의 구성은, 본 발명의 작동이 재순환 포켓간의 연통이 변환 밸빙을 통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재순환 포켓의 일정한, 총 체적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앞에서의 관찰에 관련된다. 대신에, 분리된 외부 제어 밸빙을 통하는 재순환 포켓간의 연통에서, 재순환 유체 흐름의 제어에 있어 더 큰 유연성의 존재 가능성이 있다.
하나의 예로서, 본 실시예는 밸브 보어(97)의 폐쇄 및 재순환 보어(93)의 개방을 하는 랜드(125,127 및 129)의 타이밍이 변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따라서 3 폐쇄 및 3 개방이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타임드(timed)" 또는 다단계 변환을 구성하기 위해, 단지 약 0.050인치(1.27mm)와 거의 비슷한 랜드 이격 변환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변형을 분리 도면으로 나타내지 않았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 10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우선 1.0:1 비율로부터 1.13:1 비율로, 다시 1.29:1 비율로, 최종으로 1.50:1 고속 비율로 변환시키는 저속으로부터 고속으로 변환할 때, 각종 랜드의 시작 및 종료되는 축방향 간격을 A, B, 및 C그룹내의 보어에 대하여 조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비율에서 이러한 다단계 변환은 사실상 변환의 급속함을 감소시키며, 따라서 고속으로부터 저속으로 또는 고속으로부터 저속으로 변환되드라도 차량 운전자에게는 매우 받아들이기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대부분의 지로터 모터는 정지 링부재와, 궤도를 돌며 회전하는 성형부재를 갖지만, 공지된 각종의 다른 구성이 있다. 예를 들면, 링부재는 단지 궤도 운동만으로 제한되고, 성형부재는 순수하게 회전 운동을 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정지 밸브 부재의 목적이 유체를 볼륨 챔버로 진로를 잡는 것을 인지하면, 정지 밸브 부재는 모터 하우징에 대하여 글자 그대로 여전히 정지하거나, 또는 링부재와 같이 동일 방식으로 궤도를 도는 것이 허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용어 "정지"는, 약간의 운동은 가지나 여전히 대체적으로 볼륨 챔버에 대하여 고정되어 볼륨 챔버에 공급할 수 있는 밸브 부재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범주내에서 이러한 다른 지로터 및 모터 구성을 포함하며, 어떤 변형이라도 본 발명의 다속도 능력에 대하여 이러한 다른 모터 및 지로터 구성과 작동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을 전술한 규격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본 규격을 정독하고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각종 변경 및 변형이 당업자에게 명백해지리라고 믿어진다. 그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은, 그것이 첨부한 청구 내용의 범주내에 속하는 한, 본 발명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차량 운전자에게 부드러운 변속을 제공할 수 있는 다속도 변환 지로터 모터의 구성이 가능해진다.
Claims (12)
- 유체 입력 포트(59) 및 유체 출력 포트(61)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13)을 포함하는 유압 작동 장치에 있어서; 유압 디스플레이스먼트 메커니즘(21)은 상기 하우징 수단(13)과 결합되고, 내부-치(齒) 링부재(27) 및 상기 링부재(27)내에 편심으로 배치된 외부-치 성형(星形)부재(31)를 포함하고; 상기 링부재 및 상기 성형부재는 상대적 궤도 및 회전 운동을 하고, 상호 연동하여서 상기 궤도 및 회전 운동에 응답하여 다수(N)의 팽창(33E) 및 수축(33C) 유체 볼륨 챔버를 형성하며; 모터 밸브 수단(43,19)은 상기 하우징 수단(13)과 협력하여, 상기 유체 입력 포트(59)와 상기 팽창 볼륨 챔버(33E) 사이, 및 상기 수축 볼륨 챔버(33C)와 상기 유체 출력 포트(61)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모터 밸브 수단은 상기 하우징 수단(13)에 대하여 비(非)회전적으로 고정된 정지 밸브 부재(19)와, 상기 궤도 및 회전 운동의 하나에 동기되어서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에 대하여 운동 가능한 가동 밸브 부재(43)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는 다수(N)의 정지 밸브 통로를 형성하여, 각각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는 상기 가동 밸브 부재(43)와 유체 연통을 변환하기에 적합한 상류 통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N)의 유체 볼륨 챔버(33)의 하나와 계속 유체 연통되는 하류 통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다수(N-M)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107)에서, 상기 상류 통로 부분 및 상기 하류 통로 부분은 직접, 비교적 비제한적인, 계속 유체 연통을 시키는 유압 작동 장치에서,(가) 다수(M)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113A, 113B, 113C)에서, 상기 상류(115) 및 상기 하류(117) 통로 부분은 직접 유체 연통으로부터 차단되고;(나)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정지 밸브 수단(19)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위치(도 8)에서 작동 가능하여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115)과 그 대응하는 하류 통로 부분(117) 사이의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고, 제2 위치(도 9)에서 작동 가능하여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115)과 그 대응하는 하류 통로 부분(117) 사이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제2 위치(도 9)에서 작동 가능하여 상기 다수(M)의 하류 통로 부분(117A, 117B, 117C) 사이에서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 및 상기 하우징 수단(13)의 하나와 협력하여 유체 축적 구역(91)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제2 위치(도 9)에서, 각각의 상기 다수(M)의 하류 통로 부분(117A, 117B, 117C)과 상기 유체 축적 구역(91) 사이에서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축적 구역(91)은 비교적 고압 유체의 소오스(source)(59)와 유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비교적 고압 유체의 소오스는 상기 유체 입력 포트(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각각이 상기 제1 위치(도 8) 및 상기 제2 위치(도 9)를 갖는 다수(M)의 분리 밸브 부분(123, 125, 127)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분리 밸브 부분은 상이한 시간에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천이하여, 상기 유압 작동 장치가 동시에 하나의 유체 볼륨 챔버(33)에 의해 최소 속도 비율(도 8)과 최대 속도 비율(도 9) 사이에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유체 입력 포트(59) 및 유체 출력 포트(61)를 형성하는 하우징 수단(13)을 포함하는 유압 작동 장치에 있어서; 유압 디스플레이스먼트 메커니즘(21)은 상기 하우징 수단(13)과 결합되고, 제1 부재(27) 및 상기 제1 부재(27)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부재(3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 및 상기 제2 부재는 상대적 운동을 하고, 상호 연동하여서 상기 상대 운동에 응답하여 다수(N)의 팽창(33E) 및 수축(33C) 유체 볼륨 챔버를 형성하며; 모터 밸브 수단(43,19)은 상기 하우징 수단(13)과 협력하여, 상기 유체 입력 포트(59)와 상기 팽창 볼륨 챔버(33E) 사이, 및 상기 수축 볼륨 챔버(33C)와 상기 유체 출력 포트(61) 사이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고; 상기 모터 밸브 수단은 상기 하우징 수단(13)에 대하여 비(非)회전적으로 고정된 정지 밸브 부재(19)와, 상기 상대 운동에 동기되어서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에 대하여 운동 가능한 가동 밸브 부재(43)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는 다수(N)의 정지 밸브 통로를 형성하여, 각각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는 상기 가동 밸브 부재(43)와 유체 연통을 변환하기에 적합한 상류 통로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N)의 유체 볼륨 챔버(33)의 하나와 계속 유체 연통되는 하류 통로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며; 다수(N-M)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107)에서, 상기 상류 통로 부분 및 상기 하류 통로 부분은 직접, 비교적 비제한적인, 계속 유체 연통을 시키는 유압 작동 장치에서,(가) 다수(M)의 상기 정지 밸브 통로(113A, 113B, 113C)에서, 상기 상류(115) 및 상기 하류(117) 통로 부분은 직접 유체 연통으로부터 차단되고;(나)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정지 밸브 수단(19)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 위치(도 8)에서 작동 가능하여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115)과 그 대응하는 하류 통로 부분(117) 사이의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고, 제2 위치(도 9)에서 작동 가능하여 각각의 상류 통로 부분(115)과 그 대응하는 하류 통로 부분(117) 사이의 유체 연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제2 위치(도 9)에서 작동 가능하여 상기 다수(M)의 하류 통로 부분(117A, 117B, 117C) 사이에서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정지 밸브 부재(19) 및 상기 하우징 수단(13)의 하나와 협력하여 유체 축적 구역(91)을 형성하고,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상기 제2 위치(도 9)에서, 각각의 상기 다수(M)의 하류 통로 부분(117A, 117B, 117C)과 상기 유체 축적 구역(91) 사이에서 비교적 비제한적인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축적 구역(91)은 비교적 고압 유체의 소오스(source)(59)와 유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비교적 고압 유체의 소오스는 상기 유체 입력 포트(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밸브 수단(89)은, 각각이 상기 제1 위치(도 8) 및 상기 제2 위치(도 9)를 갖는 다수(M)의 분리 밸브 부분(123, 125, 127)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분리 밸브 부분은 상이한 시간에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천이하여, 상기 유압 작동 장치가 동시에 하나의 유체 볼륨 챔버(33)에 의해 최소 속도 비율(도 8)과 최대 속도 비율(도 9) 사이에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작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9/291,671 | 1999-04-14 | ||
US09/291,671 US6099280A (en) | 1999-04-14 | 1999-04-14 | Two speed geroter motor with external pocket recircul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7010A true KR20000077010A (ko) | 2000-12-26 |
Family
ID=23121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18225A Withdrawn KR20000077010A (ko) | 1999-04-14 | 2000-04-07 | 외부 포켓 재순환부를 가진 2 속도 지로터 모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6099280A (ko) |
EP (1) | EP1045147A3 (ko) |
JP (1) | JP2000329051A (ko) |
KR (1) | KR20000077010A (ko) |
CN (1) | CN1270283A (ko) |
BR (1) | BR0001207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158165A3 (en) * | 2000-05-25 | 2001-12-12 | Eaton Corporation | Gyrotor hydraulic motor |
US6826909B2 (en) * | 2001-11-08 | 2004-12-07 | Parker-Hannifin Corp. | Hydraulic gerotor motor with integral shuttle valve |
US6679691B1 (en) * | 2002-10-29 | 2004-01-20 | Eaton Corporation | Anti cavitation system for two-speed motors |
US6827562B1 (en) | 2003-06-06 | 2004-12-07 | Eaton Corporation | Method of controlling shifting of two-speed motor |
DE102004020357A1 (de) | 2004-04-26 | 2005-11-17 | Sauer-Danfoss Aps | Verfahren und Hydromaschine zum Steuern einer Verdrängung |
US7695259B2 (en) * | 2006-09-21 | 2010-04-13 | Eaton Corporation | Rotary fluid pressure device with modular multi-speed control mechanism |
DE102007049551A1 (de) * | 2007-10-16 | 2009-04-23 | Voulgari-Politou, Ekaterini | Hydromotor in Zahnringbauweise mit ins Rotorgehäuse integrierter Verteilerplatte |
US8225603B2 (en) * | 2008-02-07 | 2012-07-24 | Eaton Corporation | Fluid controller with multiple fluid meters |
WO2012075625A1 (en) * | 2010-12-07 | 2012-06-14 | White (China) Drive Products Co., Ltd | Distributor assembly for two-speed gerotor device |
ITTO20111126A1 (it) * | 2011-12-09 | 2013-06-10 | Vhit Spa | Sistema di pompaggio a portata regolabile, pompa per tale sistema e metodo di regolazione della portata della pompa |
CN111648913B (zh) * | 2020-05-14 | 2022-02-22 | 濮阳市凯祥石油设备有限公司 | 一种液压马达驱动机构 |
JP2023079597A (ja) * | 2021-11-29 | 2023-06-08 | ナブテスコ株式会社 | 流体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88198A (en) * | 1972-06-02 | 1974-01-29 | Raycon Corp | Fluid supported rectangular slide unit |
US4480971A (en) * | 1983-01-17 | 1984-11-06 | Eaton Corporation | Two-speed gerotor motor |
US4741681A (en) * | 1986-05-01 | 1988-05-03 | Bernstrom Marvin L | Gerotor motor with valving in gerotor star |
US4756676A (en) * | 1986-05-01 | 1988-07-12 | Eaton Corporation | Gerotor motor with valving in gerotor star |
US5137438A (en) * | 1991-04-18 | 1992-08-11 | Trw Inc. | Multiple speed fluid motor |
US5516268A (en) * | 1995-07-25 | 1996-05-14 | Eaton Corporation | Valve-in-star motor balancing |
US5593296A (en) * | 1996-02-16 | 1997-01-14 | Eaton Corporation | Hydraulic motor and pressure relieving means for valve plate thereof |
US5624248A (en) * | 1996-02-21 | 1997-04-29 | Eaton Corporation | Gerotor motor and improved balancing plate seal therefor |
-
1999
- 1999-04-14 US US09/291,671 patent/US6099280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
- 2000-04-07 KR KR1020000018225A patent/KR20000077010A/ko not_active Withdrawn
- 2000-04-10 EP EP00107698A patent/EP1045147A3/en not_active Withdrawn
- 2000-04-11 BR BR0001207-6A patent/BR0001207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0-04-14 CN CN00106586.6A patent/CN1270283A/zh active Pending
- 2000-04-14 JP JP2000113485A patent/JP2000329051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70283A (zh) | 2000-10-18 |
BR0001207A (pt) | 2000-10-31 |
EP1045147A2 (en) | 2000-10-18 |
EP1045147A3 (en) | 2001-12-05 |
US6099280A (en) | 2000-08-08 |
JP2000329051A (ja) | 2000-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5798A (en) | Two-speed valve-in star motor | |
EP0213154B1 (en) | Rotary motion fluid apparatus | |
KR20000077010A (ko) | 외부 포켓 재순환부를 가진 2 속도 지로터 모터 | |
KR100506125B1 (ko) | 캠모터 장치 | |
JP4374558B2 (ja) | 回転流体圧装置 | |
JP4817037B2 (ja) | 回転流体圧装置 | |
US3598509A (en) | Hydraulic device | |
US5017101A (en) | Selectively operated gerotor device | |
EP0756085B1 (en) | Gerotor motor and commuting valve | |
US5228846A (en) | Spline reduction extension for auxilliary drive component | |
US6328667B1 (en) | Traction distributing apparatus for motor vehicle | |
US4756676A (en) | Gerotor motor with valving in gerotor star | |
CN115306631B (zh) | 具有高低速转换功能的高压摆线马达 | |
JPH11264367A (ja) | 回転流体圧力装置 | |
JPH11257203A (ja) | 回転流体圧装置 | |
JPH05113112A (ja) | エンジンの弁開閉時期可変装置 | |
JPH1047225A (ja) | 回転流体圧装置 | |
EP1416121B1 (en) | Anti cavitation system for a gerotor-type two-speed motor | |
US6345969B1 (en) | Increased capacity valving plates for a hydraulic motor | |
EP1158165A2 (en) | Gyrotor hydraulic motor | |
EP0276680A2 (en) | Two-speed valve in-star motor | |
JPS6151670B2 (ko) | ||
JPS5970888A (ja) | 液圧回転装置 | |
CN112377363A (zh) | 多级变排量双定子液压马达 | |
JPH07332217A (ja) | 油圧モー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4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