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69853A -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9853A
KR20000069853A KR1019997006032A KR19997006032A KR20000069853A KR 20000069853 A KR20000069853 A KR 20000069853A KR 1019997006032 A KR1019997006032 A KR 1019997006032A KR 19997006032 A KR19997006032 A KR 19997006032A KR 20000069853 A KR20000069853 A KR 20000069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absorbent
main
main absorbent
flexibl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264B1 (ko
Inventor
오스본토마스워드삼세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69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9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6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 A61F13/82Garments, holders or supports not integral with absorbent pads with means for attaching to th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4Tamp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장치, 특히 월경용이나 실금 보호용 또는 양자의 용도로 여성 착용자가 음순 사이에 착용하는 흡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는 주 흡수부와, 이것에 연결된 한쌍의 가요성 연장부를 포함한다. 주 흡수부는 상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시, 상부는 착용자의 대음순 사이의 공간내로 가장 깊숙히 위치한다. 가요성 연장부는 주 흡수부의 상부로부터 하향 및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착용자의 신체가 쭈그려 앉는 것을 비롯한 소정의 운동범위를 통하여 진행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대음순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연장부는 흡수장치를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장치{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FLEXIBLE EXTENSIONS}
생리혈, 소변 및 대변과 같은 신체 유출액을 흡수하도록 구성된 여러 가지 방식의 각종 흡수제품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여성용 보호 장치에 대하여 당해 분야에는 두가지의 기본 유형이 제공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외음부 영역 둘레로 외부적으로 착용하도록 개발된 생리대이고, 다른 하나는 질 공동으로부터 생리혈이 흐르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질의 공동내에 내부적으로 착용하도록 개발된 탐폰이다. 그러한 탐폰 장치는 1983년 11월 1일자로 바이그너(Weigner) 등에게 특허된 "탐폰 설치기(Tampon Applicator)"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12,833 호와, 1983년 11월 8일자로 제이콥스(Jacobs)에게 특허된 "무균 삽입용 수단을 갖는 탐폰 조립체(Tampon Assembly With Means For Sterile Insertion)"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13,98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생리대 및 탐폰의 구조적 특성을 단일의 장치로 합치려고 시도하는 혼성의 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한 혼성의 장치는 1937년 9월 7일자로 아론(Arone)에게 특허된 "월경 패드(Catamenial Pad)"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2,092,346 호와, 1975년 9월 16일자로 덴킹거(Denkinger)에게 특허된 "여성용 혼성 보호 차폐체(Feminine Hygiene Protective Shield)"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905,37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음순의 또는 음순간의 생리대로서 알려져 있는 다른 침입성이 약한 혼성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은 착용자의 전정(vestibule)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는 부분과, 착용자 전정의 외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잔류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한 장치는 1953년 12월 15일자로 잭스(Jacks)에게 특허된 "생리용 패드(Sanitary Pad)"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2,662,527 호와, 1986년 12월 23일자로 라센(Lassen) 등에게 특허된 "음순의 생리용 패드(Labial Sanitary Pad)"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31,062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음순간 패드는 작은 크기 및 누설 위험의 감소로 인하여 불편함에서 훨씬 더 크게 해방시킬 가능성을 가진다. 탐폰과 생리대의 장점들을 취하면서도 이들 각 장치와 관련된 단점들중 적어도 일부를 없앤 음순간 패드를 제조하고자 하는 노력이 과거에 행해진 바 있다. 그러한 장치의 예는 1959년 12월 15일자로 델라네이(Delaney)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2,917,049 호와, 1969년 1월 7일자로 하몬(Harmo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420,235 호와, 1986년 6월 17일자로 존슨(Johnson)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595,392 호와, 1991년 12월 14일 및 1994년 8월 9일자로 로젠블루스(Rosenbluth) 등에게 각기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074,855 호 및 제 5,336,208 호와, 1996년 1월 16일자로 부코스(Vukos)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5,484,42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접적으로 구입가능한 음순간 장치는, 1976년 10월 5일자 및 1979년 11월 27일자로 허쉬맨(Hirschman)에게 각기 특허된 미국 특허 제 3,983,873 호 및 제 4,175,561 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 미국 오레곤주 포틀랜드 소재의 아데나 메디칼 코포레이션(Athena Medical Corp.)에서 시판하고 있는 FRESH Ν FIT(등록상표) 패데트(Padette)이다.
그러나 이들 장치의 대부분이 상업적 성공을 크게 거두지는 못하였다. 이들 모든 제품과 관련된 결점이 있다. 예를 들면 델라네이의 특허에 개시된 장치는 삽입중 흡수물질의 층이 개방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삽입이 쉽고 편리하다고 여겨지지는 않는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패데트는 착용자가 쭈그리고 앉아 있을 때 보호를 제공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결점이 있다. 이 패데트의 특허는 착용자가 소변을 보는 동안 의도한 대로 신뢰성 있게 이탈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크기가 작고 삽입이 용이하며 실금, 생리 유출물, 및 신체 배설분비물과 같은 유출물에 대하여 보호를 제공하는 음순간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착용자가 소변을 보는 동안 신뢰가능하게 이탈될 수 있는 음순간 장치가 필요하다. 아울러 위생적인 삽입 및 제거를 촉진하는 음순간 장치도 필요하다. 즉, 손가락 끝을 덮은 상태로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할 수 있게 되어서, 손가락 끝을 더럽히지 않는 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고 삽입이 용이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아무리 움직여도 실금, 생리 유출물 및 신체 배설분비물의 유출물에 대하여 보호가 제공되도록 요도를 확실하게 봉쇄할 수 있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손이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도 음순 사이로 삽입될 수 있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착용자가 더러워진 제품과 접촉할 필요가 없도록 착용자가 소변을 보고 있을 때 신뢰성 있게 이탈될 수 있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의 손이 신체와 접촉하지 않고도 선택적으로 손가락에 의해서 제거할 수도 있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하기의 설명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할 때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월경용이나 실금 보호용 또는 양자의 용도로 여성 착용자가 음순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할 수 있는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는 주 흡수부와 이것에 연결된 한쌍의 가요성 연장부를 포함한다. 주 흡수부는 상부와 이것에 대향하는 하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부는 흡수장치를 착용자의 음순사이 공간내로 삽입하는 동안 및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착용자의 전정 바닥을 향하고 있다. 즉, 상부는 착용자의 음순사이 공간의 내측으로 침투하여 위치하는 것으로, 삽입중에 흡수장치의 하부를 안내한다. 삽입시 착용자의 음순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되는 정도는 하부가 상부보다 적고, 하부는 착용자의 전정 바닥과 반대쪽을 향하고 있다.
주 본체부의 상부로부터는 가요성 연장부가 외향 및 하향으로 연장되어서 그것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가요성 연장부는 착용자의 음순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면서 그것의 실질적인 부분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요성 연장부는 흡수장치를 착용자의 음순사이 공간내로 삽입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연장부는 착용자의 신체가 쭈그리고 앉는 것을 비롯해서 소정의 행동범위내에서 움직이고 있을 때 착용자의 음순의 내측 공간과 접촉하면서 그것을 덮고 있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한 구조의 가요성 연장부는, 신체의 배설분비물이 제품을 "빗나가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그러한 배설분비물의 흐름이 흡수성 음순간 장치에 의해 중단되지 않도록 대음순의 외주부로부터 질 입구로 향하는 직접적인 시선을 차단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는 대체로 난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 흡수부는 하부의 횡단면 치수에 비하여 큰 횡단면 형상을 갖는 상부를 포함한다. 이 주 흡수부의 상부와 하부의 연결부위는 횡단면 치수가 사실상 급격히 변화하여서 그러한 연결부위에서 쇼울더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는 주름형 구조체로 접힌 연속적인 물질 웨브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조체는 유출액이 주 흡수부의 주름 사이로 쉽게 관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유출액 흡수에 이용할 수 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 흡수부가 면접촉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개별적인 층을 포함한다. 이 구조 역시 마찬가지로 유출액이 주 흡수부의 층 사이로 쉽게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유출액 흡수에 유용한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리용이나 실금 보호용으로 또는 양자의 용도로 여성들이 음순 사이에 착용하는 주름형 구조체를 갖는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형성한다고 여겨지는 주제를 특별하게 지적하고 구분되게 청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로 종결되지만,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단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부도이다.
도 4는 주름형 주 흡수부를 갖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도 5는 다층 구조를 갖는 주 흡수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부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서 있을 때 종래기술의 음순간 장치가 착용자의 음순 사이의 공간내로 어떻게 끼워지는지를 도시하는, 착용자의 대음순과 소음순을 비롯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착용자가 쭈그리고 있을 때 종래기술의 장치가 어떻게 끼워지는지를 도시하는, 도 6에 도시한 착용자 신체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흡수장치가 착용자의 음순사이 공간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본 발명의 가요성 연장부가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하는, 도 7에 도시한 착용자 신체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착용자가 서 있을 때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가 어떻게 끼워지는지를 도시하는, 도 6에 도시한 착용자 신체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착용자가 쭈그리고 있을 때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가 어떻게 끼워지는지를 도시하는, 도 7에 도시한 착용자 신체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3점 굽힘 테스트 장치(Three Point Bend Test apparatus)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흡수성 음순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음순간 장치(2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한 특정 구성을 갖는 구조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라는 용어는, 적어도 약간의 흡수 성분을 가지며 사용중 여성 착용자의 음순사이 공간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하도록 특별하게 구성된 구조체를 말한다. 본 발명의 전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절반 이상이 그러한 음순사이 공간내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한 것은 거의 전체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그러한 음순사이 공간내에 존재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전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사용중 여성 착용자의 그러한 음순사이 공간내에 존재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음순사이 공간" 또는 "음순간 공간"이라는 용어는 전정내로 연장하는 대음순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여성 해부학상 외음부 영역내의 공간을 말한다. 이 음순간 공간내에 위치하는 것으로는 소음순, 전정, 및 클리토리스와 요도구와 질구를 비롯한 주 요생식기 부위를 들 수 있다. 표준 의학 당국에서는 전정이 클리토리스와 질구 사이에서 바닥까지 내부적으로 연장하고 소음순의 내측에 의하여 횡방향 경계가 설정되는 공간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음순간 공간이란 전정이라고도 알려져 있는 소음순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비롯한, 대음순의 내측면 사이의 공간을 말할 수도 있다고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설명의 목적상 음순간 공간은 사실상 질구를 지나서 질의 내부까지 연장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음순"이라는 용어는 보통 대음순과 소음순의 양자를 말하는 것이다. 음순은 각기 전후방으로 전교련과 후교련에서 종단된다. 당업자라면 대음순과 소음순의 상대적 크기 및 형상과 관련하여 여성간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설명의 목적상 그러한 차이를 특별히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음순간 구조체를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배치하기 위해서는 특정 착용자의 대음순과 소음순의 내측면 사이 경계면의 정확한 위치와 무관하게, 대음순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하기만 하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여성 해부학상 위의 설명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Gray's Atatomy, Running Press 1901 Ed. (1974), 1025 내지 1027을 참조하길 바란다.
도 1에 도시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도 1에 도시한 "x"축을 따라 놓인 종방향 중앙선(L)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음순간 장치(20)를 착용하고 있을 때 서 있는 착용자를 좌측과 우측 신체의 절반으로 양분하는 수직면과 대체로 정렬된(예를 들면 그것에 거의 평행한) 음순간 장치(20)의 평면내에 놓이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횡방향", "측방향" 또는 "y" 방향 이라는 용어는 상호 교환가능한 것으로서, 종방향에 대체로 수직으로 놓이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측방향"은 도 1에서 "y" 방향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z" 방향은 전술한 수직면에 평행한 방향이다. "상부"라는 용어는 "z" 방향으로 착용자의 머리를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하부" 또는 하향으로라는 용어는 착용자의 발을 향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장치(20)는 주 흡수부(또는 "중앙 흡수부분")(22)과, 그것에 연결된 한쌍의 가요성 연장부(24)를 포함한다. 주 흡수부(2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흡수성이어야 한다. 주 흡수부(22)는 흡수된 배설분비물이 주 흡수부(22)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불투과성 장벽과 같은 비흡수성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주 흡수부(22)는 상부(26)와 그것에 대향하는 하부(28)를 포함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의 상부(26)에 연결된다. 사용시에는 상부(26)가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의 내향으로 가장 깊숙히 위치한다.
음순간 장치(20)는 그의 적어도 일부가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편안하게 끼워지도록 함과 아울러 착용자의 질구 및 바람직하게는 착용자의 요도를 덮도록 하기에 적절한 크기 및 형상을 가져야 한다. 음순간 장치(20)는 착용자의 질구 및 요도로부터의 생리혈, 소변 및 기타 신체 배설분비물의 흐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봉쇄,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봉쇄하여 차단한다.
음순간 장치(20)의 크기는 장치를 착용하고 있을 때의 편안함과 관련하여 중요하다. 도 1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는 종방향 중앙선(L)을 따라 측정한 길이가 약 35mm 내지 약 70mm이다. 음순간 장치(20)의 길이는 약 45mm 내지 약 5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약 49mm인 것이다. 횡방향(또는 "y" 방향)을 따라 측정한 주 흡수부(22)의 두께(또는 폭)는 약 8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두께가 약 3mm 내지 8mm인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두께가 약 4.5mm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두께는 0.96인치 직경의 푸트(foot) 및 0.25psi(게이지)의 부하에서 AMES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당업자라면, 0.96인치 직경의 푸트가 특정 샘플 크기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경우에, 푸트의 크기가 변경되고 게이지상의 부하도 0.25psi(게이지)의 한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주 흡수부(22)의 높이(또는 "z" 방향 치수)는 약 8mm 내지 약 35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약 20mm인 것이다.
음순간 장치(20)는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배출되는 배설분비물을 흡수하여 수용하기에 충분한 흡수용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품의 용량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 특히 그 주 흡수부(22)의 물리적 용적에 의해 좌우된다. 주 흡수부(22)는 젖었을 때 팽창하는 흡수성 겔 또는 포움을 이용하여 0.9중량%의 염수 용액을 적어도 약 1g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약 30g까지를 가질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생리혈과 같은 신체 배설분비물의 흡수 용량이 전술한 염수 흡수 용량보다 보통 작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흡수 용량을 측정하는 방법을 하기의 테스트 방법 부분에서 기술할 것이다. 음순간 공간은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출물이 신체 압력에 대하여 조절되는 겔로서 저장되는 경우에는 보다 많은 용적이 음순간 공간내에 저장될 수 있다. 게다가,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에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흡수된 배설분비물의 일부가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의 외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 흡수부(22)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소변)을 흡수 및/또는 보유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유형의 흡수성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 흡수부(22)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형상의 예로서 계란형, 사다리꼴,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반구형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유사하게, 주 흡수부(22)를 보통 에어펠트라 불리는 분쇄된 목재 펄프와 같이 흡수성 제품내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각종 유형의 액체 흡수성 물질로 제조할 수도 있다. 다른 적절한 흡수성 물질의 예로서, 크레이프된 셀룰로우스 웨딩; 코폼을 포함하는 멜트블로운 중합체; 화학적으로 강화, 개질 또는 가교결합된 셀룰로우스 섬유; 권축된 중합체 섬유와 같은 합성 섬유; 토탄 이끼; 티슈 랩 및 티슈 중합체를 비롯한 티슈; 흡수성 포움; 초흡수성 중합체; 흡수성 겔화제; 또는 이들의 어떤 균등한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흡수성 물질로서 절첩된 티슈, 직물, 부직 웨브, 니들 펀칭 레이욘, 포움의 얇은 층을 들 수 있다. 주 흡수부(22)는 단일 물질 또는 상이한 흡수재로 구성된 중앙 웨딩을 둘러싸는 랩층(wrapping layer)과 같은 물질의 조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22)는 레이욘 섬유와 같은 연질의 흡수성 물질 또는 다른 적절한 천연 섬유 또는 합성 섬유나 시트로 형성된다. 도 1에 도시한 주 흡수부(22)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난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의 주 흡수부(22)는 상부(26)의 횡단면 치수가 하부(28)의 치수보다 크다. 상부(26)는 하부(28)와 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26)와 하부(28)가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는 어떤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함께 결합된 분리된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22)의 상부(26)와 하부(28)의 결합부위는 횡방향으로 사실상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포함하여서, 그 부위에 쇼울더 형상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22)의 상부(26)와 하부(28)의 결합부위는 바느질(34)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부(26)의 횡단면 치수가 하부(28)의 횡단면 치수에 비하여 작을 수도 있다. 그러한 구성을 갖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도 3에 도시한다.
주 흡수부(22)는 임의의 적절한 프로세스에 의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1991년 2월 26일자로 거스텐버거(Gerstenberger) 등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95,150 호와 1978년 허쉬맨(Hirshma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095,542 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흡수장치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또한 그의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요성 연장부(2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연장부(24)의 형상은 대체로 직사각형이다. 또한 반원형,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도 가요성 연장부(24)용으로 가능하다. 가요성 연장부(24)는 길이가 약 40mm 내지 약 16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길이가 약 45mm 내지 약 130mm인 것이며, 가장 바람직한 것이 길이가 약 50mm 내지 약 115mm인 것이다. 주 흡수부(22)보다 짧은 길이(x 방향으로 측정한 것임)를 가질 수도 있지만, 바람직한 것은 가요성 연장부(24)가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와 같거나 그보다 긴 길이를 갖는 것이다. 각 가요성 연장부의 폭이라 함은 가요성 연장부(24)가 주 흡수부(22)에 부착된 지점[즉 가요성 연장부(24)의 기단부(24A)]으로부터 가요성 연장부(24)의 말단부(즉 자유단부)(24B)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가요성 연장부(24)의 폭은 전술한 바와 같은 주 흡수부 높이와 대략 같거나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연장부의 두께는 약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약 2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약 1mm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적인 것은 전체 흡수성 음순간 구조체(20)의 두께가 약 8mm 이하이도록 가요성 연장부(24)와 주 흡수부(22)의 두께를 선택하는 것이다.
가요성 연장부(24)가 티슈층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절한 티슈는 미국 위스콘신주 그린 베이 소재의 포트 하워드 티슈 캄파니(Fort Howard Tissue Company)에서 35 lbs./3000 ft2의 기본 중량으로 구입할 수 있는 공기 적층식 티슈이다. 다른 적절한 공기 적층식 티슈는 캐나다 브리티쉬 콜롬비아 델타 소재의 머핀 하이제닉 프로덕츠 리미티드(Merfin Hygenic Products, Ltd.)에서 61 lbs./3000 ft2의 기본 중량으로 176의 지정 등급수를 갖는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가요성 연장부(24)의 뒤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이 신체 배설분비물에 대하여 불투과성이거나 반투과성인 물질 층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연장부(24)의 쌍은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의 종방향 중앙선(L)의 양 쪽으로 연장하는 단일 물질의 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가요성 연장부(24)의 쌍이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별개의 시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의 종방향 중앙선(L)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연장부(24)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연결된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가요성 연장부(24)가 주 흡수부(22)의 상부(26)의 상면에 또는 주 흡수부(22)의 상면의 약 3mm 이내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연결된다"라는 용어는 일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그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적으로 고착하는 구성과, 일 요소를 중간 요소(들)에 부착하고 그 중간 요소를 다른 요소에 부착하는 것에 의하여 일 요소를 다른 요소에 간접적으로 고착하는 구성과, 일 요소를 다른 요소와 일체로 하는 구성, 즉 일 요소를 다른 요소의 사실상 일부로 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각종 수단에 의하여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의 종방향 중앙선(L)에 중심을 두고 [즉 종방향 중앙선(L)을 기준으로 양 쪽에] 도포된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36)를 이용하여 상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접착제(36)는 주 흡수부(22)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도포될 수도 있고, 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점선"의 형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가요성 연장부(24)가 바느질(면사 및 레이욘사 등에 의함), 열접합, 융합 접합, 또는 그러한 물질을 연결하는 것으로 당해 분야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부착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로부터 자유단부(24B)(주 흡수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곳)까지 하향 및 외향으로 연장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적소에 배치되어 있을 때 그 연장부(24)가 음순의 내측면과 접촉한 채로 유지되도록 주 흡수부(22)로부터 약간 외향으로 경사질 수도 있다. 게다가 음순의 표면은 본질적으로 축축하여서, 가요성 연장부(24)를 포함하는 물질에 부착하려는 경향이 있을 것이므로, 그것을 음순의 내측면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경향이 증가될 것이다. 가요성 연장부(24)는 그의 자유단부가 주 흡수부(22)의 근방에 놓이는 위치(도 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음)로부터, 가요성 연장부(24)가 주 흡수부(22)로부터 횡향향 외향으로 펼쳐진 위치(도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음)까지 움직일 수도 있어야 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할 때 가요성 연장부가 착용자의 손가락을 덮을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폭 및 가요성을 가져야 한다. 도 8은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삽입시 가요성 연장부(24)가 착용자의 손가락과 신체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동안 착용자가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를 어떻게 잡을 수도 있는지를 도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가요성 연장부(24)는 착용자 음순과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착용자 음순의 내측면과 함께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쭈그려 앉는 것과 같은 착용자의 전체 활동 범위에 걸쳐서 주 흡수부(22)를 적소에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가요성 연장부(24)는 흡수성일 수도 있고 비흡수성일 수도 있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적어도 약간의 흡수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유체가 우선적으로 주 흡수부(22)를 향하여 그것에 흡수되도록 주 흡수부(22)의 전진 접촉 각도보다 큰 전진 접촉 각도를 가질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는 가요성 연장부(24)를 주 흡수부(22)보다 흡수성이 작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에 흡수되어 보유된 유체의 대부분이 궁극적으로는 주 흡수부(22)에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친수성과 접촉 각도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알려면,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되는 하기 간행물을 참조하길 바란다: 로버트 에프 골드(Robert F. Gould)가 편집한 것으로 1964년에 제작된 "접촉 각도, 습윤성 및 접착성(Contact Angle, Wettability, and Adhesion)"이란 제목의 미국화학협회 간행물(The American Chermical Society Publication); 에이치 지 하이웨일 박사(Dr. H. G. Heilweil)가 편집한 것으로 1992년 4월에 발행된 "표면장력을 결정하기 위한 현미기술(A Microtechnique for Determining Surface Tension)"이란 제목의 발행번호 459의 TRI/프린스톤 간행물, 에이치 지 하이웨일 박사가 편집한 것으로 1993년 1월에 발행된 "다공성 망 내의 접촉 각도를 결정하는 것(Determining Contact Angles Within Porous Networks)"이라는 제목의 발행번호 468의 TRI/프린스톤 간행물.
주 흡수부(22)와 가요성 연장부(24) 양자의 강성은 제품의 편안함의 면에서 중요하다. 주 흡수부(22)가 지나치게 가요성이 크면 그 장치를 음순의 접힌 부분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쉽고 편리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주 흡수부(22)가 지나치게 강성이면, 그 장치가 불편함을 느끼게 할 것이며, 또한 사용자가 앉아 있는 경우 그 제품이 클리토리스를 향하여 전방으로 쏠려서 불편함을 가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주 흡수부(22)는 미국 특허 제 4,995,150 호 및 제 4,095,542 호에 기술한 제품과 거의 같은 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요성 연장부(24)의 강도 및 강성은 그 설계에서 중요한 특성이다. 가요성 연장부(24)가 약 15g 이하의 습윤 파열 강도를 갖는다면, 그들을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으로부터 빼낼 때 그들이 찢어지면서 일부 조각이 그 내에 남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가요성 연장부(24)가 마닐라 파일 폴더(manila file folder)만큼 강성이라면, 음순의 운동을 동적으로 조절하기에 충분한 가요성을 갖지 않는다. 가요성 연장부(24)의 강성은 굽힘 저항으로서 측정된다. 가요성 연장부(24)는 3점 굽힘 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할 때 약 25gm 미만의 굽힘 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가요성 연장부(24)가 약 5gm 이하의 굽힘 저항을 갖는 것이다. 3점 굽힘 테스트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테스트 방법 부분에 기술되어 있다. 또한 가요성 연장부(24)는 고유 강도를 가져서, 삽입하는 도중 또는 착용하고 있는 동안 인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가요성 연장부의 습윤 강도는 15gm을 초과하여야 하며, 바람직한 것은 150gm을 초과하는 것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300gm을 초과하는 것이다. 전술한 습윤 강도는 후술하는 테스트 방법 부분에서 상세히 기술하는 습윤 파열 테스트를 이용하여 측정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가 주름형 구조체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흡수부(22)는 절첩된 티슈 웹을 포함하고 있다. 절첩된 티슈 웹은 표준 비습윤 두루마리 화장지보다 강도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주 흡수부(22)는 약 100g 이상의 일시적 습윤 강도를 갖는 티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는, 이 습윤 강도가 약 30분에 걸쳐서 원래 강도의 약 50% 이하로 감소할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흡수부(22)를 포함하는 티슈 웹이 횡방향 평행 관계로 배열된 복수의 주름(30)을 포함하는 주름형 구조체로 절첩된다. 이 티슈 웹은 어떤 적절한 수의 주름을 갖도록 절첩될 수 있다. 이 티슈 웹은 이 실시예의 주 흡수부(22)의 전체 두께(즉 폭)가 약 2mm 내지 약 7mm이도록 절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첩된 티슈 웹내의 주름은 주름진 단면이 그의 주름진 구조를 유지하도록 어떤 적절한 방식으로 접속 또는 연결(또는 보유)되며 완전히 개방될 수는 없는 것이다. 주름은 나사, 접착제, 또는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가열 밀봉 티슈를 사용하는 것을 비롯한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은 주 흡수부(22)내의 모든 주름을 바느질에 의해서 함께 연결하는 것이다. 주 흡수부(22)는 하기와 같은 5개의 바느질 위치를 갖는다: 구석에 4개 그리고 두 개의 하부 구석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추가로 하나.
주 흡수부(22)의 주름형 구조체는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한다. 배설분비물이, 편평한 표면보다 더 크고 더 효율적인 흡수 표면을 제공하는 구조체의 주름내로 관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점성인 유체, 및 신체에 제공된 구조체의 표면을 막을 수 있는 세포상 파편 및 덩어리와 같은 특정 물질을 처리할 때 특히 중요하다. 이 설계의 두 번째 잇점은 주름의 수를 변경시킴으로써 제품의 두께(또는 폭)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구조체는, 제품을 잡고 음순내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에 편리한 중앙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한편, 본체/삽입하는 손의 손가락이 착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주 흡수부(22)의 굽힘 강성은 도 4에 도시한 주름형 구조체와 관련한 제품의 편안함 관점에서 중요하다. 주름형 구조체의 잇점은 주름의 수, 두께 및 밀집도에 의해서 구조체의 강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주 흡수부(22)와 가요성 연장부(24)의 치수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치수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횡방향(y 방향)으로 측정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의 폭은 약 2mm 내지 액 7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의 폭은 약 4.5mm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흡수부(22)가 균일한 횡방향 치수를 갖는 경우(즉 상부와 하부 사이의 연결부위를 규정하는 횡방향 치수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가 없는 경우)에, 상부(26)와 하부(28) 간의 분할은 주 흡수부(22)의 전체 높이의 대략 절반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고 여겨진다.
도 4에 도시한 주름형 구조는 가요성 연장부(24)를 쉽게 제공할 수 있다는 추가의 장점이 있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요성 연장부(24)는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연결되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주 흡수부(22)의 상면에 연결되거나 또는 주 흡수부(22)의 상면에 대하여 1mm 이내에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요성 연장부(24)가 주 흡수부(22)의 일체부인 것[즉 가요성 연장부(24)가 접혀서 주 흡수부(22)를 형성하는 흡수성 티슈 물질의 일체적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주 흡수부(22)와 가요성 연장부(2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임의의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는 여러 가지의 선택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배설분비물을 하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의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주름 사이에 이격수단 또는 고-로프트 또는 기공 영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골반의 바닥과 접촉하는 제품 부분위의 주름이 균일한 높이를 가질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중앙의 주름 물질이 더 높을 수도 있다(그 경우에는 압력을 가하면 쉽게 쭈그러진다). 그러한 구조는 밀착성 및/또는 편안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주름형 구조체의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주 흡수부(22)는 면접촉 관계로 연결된 복수의 개별적인 층(32)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장치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한 구조체는 주름형 구조체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모든 특성이 동일하다. 복수의 개별적인 층(32)을 이용하는 것과 관련된 하나의 잇점은 각종 층이 상이한 성질 또는 특성을 갖는 상이한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각각의 가요성 연장부(24)는 개별적인 층(32)중 하나와 일체일 수도 있고, 주 흡수부(22)의 상부(26)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개별적인 층(32)의 층들 사이의 공간이 z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도 5에 도시함) 평행 관계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한 모든 실시예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다른 선택적인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장치(20)의 신체측 표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상면시트(42), 및/또는 가요성 연장부(24)를 비롯한 장치의 배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걸쳐서 그것에 연결되어 있는 배면시트(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면시트(42) 및/또는 배면시트(38)가 사용되는 경우에, 이들 요소는 적어도 주 흡수부(2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주 흡수부가 상면시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을 것이다.
상면시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상면시트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촉이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비자극적이어야 한다. 더구나 상면시트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소변)가 그 두께를 통하여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액체 투과성이어야 한다. 적절한 상면시트는 직물 및 부직물; 천공된 성형 열가소성 필름, 천공된 소성 필름 및 하이드로폼된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 물질; 유공성 포움; 망상구조의 포움; 망상구조의 열가소성 필름; 및 열가소성 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적절한 직물 및 부직물로는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재 및 목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중합체, 레이욘,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은 중합체 섬유) 또는 천연 및 합성 섬유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면시트는 천공된 성형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천공된 성형 필름은 신체의 배설분비물에 대하여 투과성이며, 적절히 천공된다면 액체가 역류하여 착용자의 피부를 다시 적시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신체와 접촉하고 있는 성형 필름의 표면이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신체의 더럽혀짐이 감소되고 착용자가 보다 편안한 느낌을 갖게 된다. 적절한 성형 필름은 1975년 12월 30일자로 톰슨(Thompson)에게 특허된 "경사진 두께를 갖는 흡수성 구조체(Absorptive Structures Having Tapered Capillaries)"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929,135 호와; 1982년 4월 13일자로 물란(Mullane) 등에게 특허된 "내변형성 상면시트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Strain Resistant Topsheet)"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4,246 호와; 1982년 8월 13일자로 라델(Radel) 등에게 특허된 "섬유류의 특성을 나타내는 탄성 플라스틱 웨브(Resilient Plastic Web Exhibiting Fiber-Like Properties)"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42,315 호와; 1984년 7월 31일자로 아(Ahr) 등에게 특허된 "무광택 가시면 및 의류류의 촉감을 나타내는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적 플라스틱 웨브(Macroscopically Expanded Three-Dimensional Plastic Web Exhibiting Non-Glossy Visible Surface and Cloth-Like Tactile Impression)"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63,045 호와; 1991년 4월 9일자로 베어드(Baird)에게 특허된 "다층 중합체 필름(Multilayer Polymeric Film)"이라는 발명의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006,394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상면시트는 상기 특허중 하나 이상에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본 출원인이 "DRI-WEAVE"라는 이름으로 생리대상에 시판하고 있는 성형 필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 필름 상면시트의 신체측 표면은 생리혈 유출액이 주 흡수부(22)로 흘러서 그 내로 흡수되지 않고 상면시트 위로 흐를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신체측 표면이 친수성이 아닌 경우보다 액체가 상면시트를 통하여 더 빨리 이동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친수성으로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표면활성제가 성형 필름 상면시트의 중합체 물질내로 내장된다. 변형예로서 오스본(Osborn)에게 특허된 미국 특허 제 4,950,254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면시트의 신체측 표면을 표면활성제로 처리함으로써 그것을 친수성으로 만들 수도 있다.
배면시트가 사용되는 경우에, 배면시트는 액체(예를 들면 생리혈 및/또는 소변)에 대하여 불투과성 또는 반투과성이며 가요성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하는 "가요성"이라는 용어는 유연하여 인체의 대체적인 형상 및 윤곽에 쉽게 부합할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배면시트는 주 흡수부(22)내에 흡수되어 수납되어 있는 배설분비물이, 착용자의 속옷과 같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와 접촉하고 있는 제품을 적시지 못하게 한다. 또한 배면시트는 착용자의 신체가 배설분비물로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 있어서 주 흡수부(22)를 돕는다. 게다가, 배면시트를 사용하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삽입할 때 또는 그 장치를 손가락으로 선택적으로 제거할 때 착용자가 잡을 수 있는 개선된 표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배면시트는 직물 또는 부직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열가소성 필름과 같은 중합체 필름, 또는 필름 코팅된 부직물과 같은 복합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면시트는 두께가 약 0.012mm(0.5mil) 내지 0.051mm(2.0mil)인 폴리에틸렌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예로서는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클로페이 코포레이션(Clopay Corporation)에서 P18-0401이라는 이름으로 제조하는 것이 있다. 배면시트는 증기가 주 흡수부(22)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함(즉 통기성임)과 아울러 배설분비물이 배면시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에 완전히 위치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사용하려면, 착용자는 손가락 사이로 주 흡수부(22)를 잡는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요성 연장부(24)는 삽입도중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도록 펼쳐진다. 이 특성은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위생적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상부(26)는 음순간 공간내로 깊숙히 삽입된다. 착용자는 음순간 표면 위로 펼쳐지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삽입중 쭈그려 앉은 자세를 취할 수도 있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삽입되면, 가요성 연장부(24)는 음순의 내측면에 부착하려는 경향을 가질 것이다. 착용자가 서 있을 때에는, 음순의 벽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성 음순간 장치(20) 둘레에 더욱 밀접하게 위치될 것이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착용자의 대음순, 소음순 또는 양자의 내측면에 약간 측방향의 외향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적소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이 제품은 또한 본질적으로 축축한 음순 표면이 가요성 연장부(24)를 포함하는 티슈를 견인하는 것에 의하여 보유된다. 선택적으로는 가요성 연장부(24)가 착용자 음순의 내측면에 부착하는데 도움을 주는 생체적합성의 접착제가 가요성 연장부(24)에 제공될 수도 있다. 그러한 접착제의 강도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적소에 유지되는데에 도움을 주는 한편,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으로부터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신뢰성 있고 편안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여러가지의 관점에서 종래기술과 다르다고 여겨진다. 도 6은 착용자가 서 있을 때 종래기술의 음순간 장치가 음순간 공간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도시한다. 그러나 착용자가 쭈그리고 앉아 있을 때 음순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격되는 경향이 있다. 종래기술의 장치는 그러한 자세에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을 수도 있다. 종래기술의 장치가 도 7에 도시한 위치에 있는 상태로 착용자가 소변을 본다면, 소변 줄기는 장치에서 완전히 빗겨 나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요성 연장부(24)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적절한 위치(도 10에 도시한 것과 같음)에 유지시키기 위해서 음순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기에 적합하다. 가요성 연장부(24)의 작용에 의해서,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가 종래기술의 장치보다 요도구를 더 확실하게 봉쇄화는 위치로 유지된다고 생각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종래기술의 장치보다 더 신뢰성 있게 배뇨에 의해서 이탈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또한 가요성 연장부(24)는 삽입중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어서(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음),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이룰 수 있는 것보다 더 위생적인 삽입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는 주 흡수부(22)의 하부(28)를 손가락으로 파지함으로써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제거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가요성 연장부(24)는 손가락 끝을 덮고 있으므로,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이룰 수 있는 것보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더욱 위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착용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탐폰에 대한 지지수단으로, 또는 생리 또는 실금 용도의 생리대, 팬티라이너 또는 실금 패드와 함께 착용할 수도 있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를 생리대와 함께 착용하는 경우에, 생리대는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밤에는 후방이 더럽혀지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생리대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종래의 팬티내에 착용할 수도 있고, 또 생리용 팬티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여러가지 변형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들 제품은 배뇨에 의해서 제거되도록 설계되지만, 다른 이탈용 스트링 또는 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 제품을 의학 치료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제품은 미생물로 분해되고/분해되거나 (변기 내에서와 같이) 교반시 물내에서 분해되는 물질로 제조될 수도 있다. 도한 흡수성 음순간 장치(20)는 제품이 다수의 독립적인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주 흡수부(22)내에 다수의 슬릿을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제품이 신체의 이동과 관련된 응력에 보다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실시예의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신체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중앙 흡수부재의 표면의 단부는 앉아 있는 동안 제품상에 걸리는 힘을 감소시키도록 라운딩될 수도 있다. 그 구조체의 상면은 그 제품이 골반 바닥에 대한 수직 압력을 쉽게 조절할 수도 있도록 하나 이상의 슬릿 또는 다른 바람직한 굽힘 영역을 가져서 클리토리스와 외음부 사이에 골반 바닥의 비선형 표면이 수용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흡수장치의 가요성 연장부(24)는 또한 제품의 측부가 음순 전정의 측벽을 누르면서 외향으로 팽창하는 경향이 있도록 습윤 상태 및 건조 상태의 양 상태에서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제품이 적소에 보유되도록 한다. 게다가, 가요성 연장부(24)는 제품이 액체로 포화되어 있을 때와 같이 젖어 있을 때 "스프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과 같은 구조체가 이들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테스트 방법
흡수 용량
흡수 용량을 하기와 같이 결정할 수도 있다. 테스트전에 약 2 시간 동안 50%의 상대 습도 및 73℉의 실온내에 놓아 둠으로써 조절된 샘플에 대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 테스트는 동일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제품을 약 0.1g에 가장 가깝게 계량한다. 그런 다음에 그 제품을 0.9%의 무균 염류 용액[미국 일리노이주 디어필드 소재의 박스터 트래베놀 캄파니(Baxter Travenol Company)에서 구입할 수 있음]이 담긴 비이커에 넣으며, 이 제품을 잠기게 하여 굽힘 또는 다른 비틀림이나 절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그 제품을 염류 용액으로부터 뺀 낸 다음 2분동안 수직 위치로 걸어 놓아서 염류가 제품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미국 펜실바니아주 마운트 홀리 스프링스 소재의 필트레이션 사이언스 코포레이션(Filtration Science Corp.)의 이튼-다이크맨 디비젼(Eaton-Dikeman Division)에서 구입할 수 있는 여과지 #631과 같은 흡수 블로터(absorbent blotter)위에 신체측 표면이 하향으로 놓이도록 제품을 배치한다. 잉여 유체가 배출되도록 누르기 위하여 균일한 17.6g/cm2의 하중을 제품위에 배치한다. 흡수 블로터로 전달되는 유체의 양이 30초에 0.5g 미만이 될 때까지 30초 간격으로 흡수 블로터를 교환한다. 이어서, 0.1g에 가장 가깝도록 제품을 계량하고 제품의 건조 중량을 감한다. 이 그램수 차이가 제품의 흡수용량이다.
3점 굽힘 테스트
테스트전에 2 시간 동안 50%의 상대 습도 및 73℉의 실온내에 놓아 둠으로써 조절된 샘플에 대하여 3점 굽힘 테스트를 수행한다. 이 테스트는 동일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 3점 굽힙 테스트는 미국 메사추세츠주 캔톤 소재의 인스트론 코포레이션(Instron Corporation)에서 구입할 수 있는 INSTRON 모델 4502 인장 및 압축 테스터를 이용한다. 또한 이 테스트는 특수 변위 "T-봉"과 특수 테스트 샘플 홀더를 이용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T-봉"(1101)은 함께 수직으로 장착된 한쌍의 6.40mm 직경의 금속 봉을 포함한다. 구동봉(1102)은 길이가 약 125mm이고 가압봉(1103)은 길이가 약 75mm이다. 구동봉(1102)의 단부는 가압봉(1103)의 원주에 끼워맞춤되도록 경사지며 양자는 서로 접착, 용접 및/또는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봉(1102)의 반대쪽 단부는 INSTRON기의 크로스헤드 유닛에 장착된다. 테스트 샘플 홀더(1104)는 한쌍의 지지봉(1108)을 위치설정 및 지지하기 위한 고정 베이스(1105)를 포함한다. 이 고정 베이스(1105)는 베이스(1106)와 이 베이스(1106)에 평행하게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직사각형 지지부(1107)를 포함한다. 이 베이스(1106)와 지지부(1107)는 두께가 약 10mm 내지 약 13mm인 LEXAN(플렉시 유리)판으로 각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료가 "T-봉"과 동일하고 길이가 약 150mm인 지지봉(1108)이 고정 베이스(1105)의 각 지지부(1107)상에 장착된다. 이 지지봉(1108)은 그들 사이에 (다른 것에 가장 가까운 각 봉에서 측정한 것임) 10mm의 개방 공간이 존재하도록 장착된다.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T-봉"(1101)이 지지봉(1108) 사이의 중심에 배치된다.
INSTRON기는 크로스헤드의 속도가 2.0in/min(50.8mm/min)이도록 설정된다. INSTRON기는 크로스헤드 유닛이 테스트되는 각 샘플에 대하여 하방 및 후방으로 10mm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샘플을 테스트하기 앞서, "T-봉"(1101)은 지지봉(1108)중 하나의 상부위에 직접 배치되게 될 때까지 하강한다. "T-봉"이 지지봉(1108)상에 설치되어 있는 당시의 하중이 약 1gramf일 때 "T-봉"(1101)의 수직 위치를 "영점조정"한다. 그런 다음에는 "T-봉"(1101)을 이 영점 위치로부터 5mm 상승시켜서 양쪽 지지봉(1108) 사이의 중심에 위치설정한다.
테스트될 샘플(1000)은 가요성 연장부중 하나로부터 취한 물질 조각이다. 측부 랩 요소(side wrapping element)로부터 취한 샘플(1000)은 종방향(LD) 치수가 약 25mm이고 횡방향 치수가 약 10mm이어야 한다. 가압봉(1103)이 횡방향(TD)으로 배향되어 있던 샘플의 측부와 평행하게 놓이도록 샘플을 배치한다.
그 다음에는 "T-봉"(1101)을 완전한 10mm 사이클(즉 10mm 하방 및 10mm 후방)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T-봉"(1101)은 약 5분 후에 샘플(1000)과 접촉을 하여서 약 5mm 정도 샘플을 더 절곡시킨다. 굽힘 강도는 T-봉이 완전한 10mm 사이클을 통하여 이동할 때 샘플을 절곡시키는데에 필요한 피크 힘이다.
파열 강도 테스트
개관
시험편이 환상 클램프 사이에 유지되어, 0.625인치 직경의 연마된 스테인레스강 볼에 의해 가해지는 증가력을 받는다. 파열 강도는 샘플을 파괴시키는 힘이다. 파열 강도는 습윤 샘플 또는 건조 샘플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장치
파열 테스터 Intelect-II-STD 인장 테스트 장치(Tensile Test Instrument), Cat. No. 1451-24PGB 또는 Thwing-Albert Burst Tester가 모두 적합하다. 이들 장비는 미국 펜실바니아주 필라델피아 소재의 드윙-알버트 인스투르먼트 캄파니(Thwing-Albert Instrument Co.)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장비는 2000g 로드 셀을 구비하여야 하며, 습윤 파열 측정법이 행해지는 경우 장비는 로드 셀 차폐 물과 전방 패널 물 차폐물을 구비하여야 한다.
조건룸 온도 및 습도는 다음의 제한내에 있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온도: 73±3。F(23℃±2℃)
습도: 50±2% 상대습도
종이 커터 가위 또는 기타 균등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팬 샘플 크기에 적합한 습윤 파열 샘플을 소킹(soaking)하기 위함
용액 습윤 파열 샘플을 소킹하기 위한 물이 조건룸의 온도와 평형이 되어야 한다.
타이머 소킹 시간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것
샘플 준비
1) 샘플을 테스트에 적절한 크기로 절단한다(최소 샘플 크기 4.5인치 X 4.5인치). 테스트될 샘플이 지나치게 작다면(예를 들면 가요성 연장부의 전체 치수가 4.5인치 X 4.5인치 미만인 것) 동일 재료로 된 더 큰 샘플을 습윤 파열 강도 측정용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테스트될 각 조건에 대한 샘플을 최소 5개 준비한다.
2) 습윤 파열 측정이 행해지는 경우, 적절한 수의 절단된 샘플을 온도-평형된 물로 채워진 팬내에 설치한다.
장비 셋업
1)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파열 테스터를 셋업한다. Intelect-II-STD 인장 테스트 장치가 사용된다면, 다음의 사항이 적절하다.
속도: 12.7㎝/min
파열 감도: 20g
피크 하중: 2000g
2) 예측된 파열 강도에 따라 로드 셀을 캘리브레이션한다.
측정 및 기록
1)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파열 테스터를 작동시켜 각 샘플에 대해 파열 강도를 얻는다.
2) 각 샘플에 대한 파열 강도를 기록하고 각 조건에 대해 파열 강도에 대한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계산한다.
3) 각 조건에 대한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그램 단위로 기록한다. 각 그룹의 4샘플에 대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를 기록한다.
이것으로 테스트를 마친다.
모든 특허, 특허출원(또한 그에 대해 등록된 특허 및 공개된 대응 외국 특허출원) 및 본 명세서에 걸쳐 언급된 간행물의 개시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인용된 문헌은 본 발명을 제시하거나 개시하지 않고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0)

  1.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장치로서, 삽입시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에 전체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삽입시 착용자의 요도 및 질구를 바람직하게 봉쇄하는 흡수장치에 있어서,
    하부와 상부를 갖고, 상기 상부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부는 상기 음순간 공간내로의 삽입중 상기 착용자의 전정 바닥을 향하고 있고 그 내로의 삽입중 상기 하부를 안내하며, 상기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흡수장치를 상기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할 때 상기 하부가 상기 착용자의 전정 바닥과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주 흡수부와;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 흡수부의 상부의 상면으로부터 약 3mm를 초과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주 흡수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것으로부터 하향 및 외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흡수장치를 착용하고 있을 때 착용자의 음순의 내측면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을 수 있으며, 5gram 미만의 내굽힘성을 바람직하게 갖는 한쌍의 가요성 연장부를 포함하는 흡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수부의 하부는 상기 주 흡수부의 상부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은 횡단면 치수를 갖는 흡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수부의 상부는 상기 주 흡수부의 하부의 횡단면 치수보다 작은 횡단면 치수를 갖는 흡수장치.
  4.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수부는 그 길이가 35mm 내지 70mm, 바람직하게는 49mm 내지 55mm인 흡수장치.
  5.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수부는 그 두께가 8mm 미만,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6mm, 더욱 바람직하게는 4mm 내지 5mm인 흡수장치.
  6.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흡수부와 상기 가요성 연장부는, 상기 가요성 연장부의 길이가 약 40mm 내지 160mm, 바람직하게는 45mm 내지 130m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mm 내지 115mm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연장부의 길이가 상기 주 흡수부의 길이와 같도록 설정된 길이를 각기 갖는 흡수장치.
  7.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장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흡수성인 흡수장치.
  8.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장부는 습윤 파열 강도가 15 gram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gra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gram 이상인 흡수장치.
  9. 상기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장치는 적어도 상기 주 흡수부의 위에 위치된 액체 투과성 상면시트를 더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주 흡수부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를 더 포함하는 흡수장치.
  10.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장치에 있어서,
    하부와 상부를 갖고, 상기 상부는 상기 음순간 공간내로의 삽입중 착용자의 전정 바닥을 향하고 있고 그 내로의 삽입중 상기 하부를 안내하며, 상기 하부는 상기 상부와 대향하고 있고, 상기 흡수장치를 상기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할 때 상기 하부가 상기 착용자의 전정 바닥과 반대쪽을 향하고 있는 주 흡수부와;
    상기 주 흡수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그것으로부터 하향 및 외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흡수장치를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할 때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흡수장치의 주 흡수부의 하부를 잡아서 상기 흡수장치를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으로부터 제거할 때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덮을 수 있는 흡수장치.
KR10-1999-7006032A 1997-01-03 1997-12-23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 가능한 흡수장치 KR100404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778,520 US5895381A (en) 1997-01-03 1997-01-03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flexible extensions
US08/778,520 1997-01-03
US8/778,520 1997-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9853A true KR20000069853A (ko) 2000-11-25
KR100404264B1 KR100404264B1 (ko) 2003-11-03

Family

ID=2511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032A KR100404264B1 (ko) 1997-01-03 1997-12-23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 가능한 흡수장치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5895381A (ko)
EP (1) EP1011574B1 (ko)
JP (1) JP4212119B2 (ko)
KR (1) KR100404264B1 (ko)
CN (1) CN1253133C (ko)
AR (1) AR011347A1 (ko)
AT (1) ATE236598T1 (ko)
AU (1) AU740895B2 (ko)
BR (1) BR9714846A (ko)
CA (1) CA2276735C (ko)
CO (1) CO4910108A1 (ko)
DE (1) DE69720805T2 (ko)
EG (1) EG21955A (ko)
HU (1) HUP0003312A3 (ko)
ID (1) ID27869A (ko)
IL (1) IL130693A0 (ko)
NO (1) NO993280L (ko)
PE (1) PE39699A1 (ko)
TR (1) TR199901533T2 (ko)
TW (1) TW367244B (ko)
WO (1) WO1998029077A1 (ko)
ZA (1) ZA9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4584B1 (en) * 1997-01-03 2001-07-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comfort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US5968026A (en) * 1996-08-30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270486B1 (en) 1997-06-16 2001-08-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355022B1 (en) 1998-05-01 2002-03-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substance thereon for maintaining the device in position
BR9815428A (pt) * 1997-11-21 2000-11-21 Procter & Gamble Embalagem individual e dispositivo interlabial absorvente acondicionado individualmente
US6319238B1 (en) * 1999-05-12 2001-11-20 Mcneil-Ppc, Inc. Absorbent interlabial article
US6702796B2 (en) 2001-03-26 2004-03-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having an improved tab
ATE422869T1 (de) * 2001-05-22 2009-03-15 Uni Charm Corp Interlabial-polster
US20020193773A1 (en) * 2001-06-08 2002-12-19 Edens Ronald L. Finger-receiving area for a labial pad
US7115116B2 (en) 2001-06-08 2006-10-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having various means
US6890325B2 (en) 2001-06-08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having a tab
US7288080B2 (en) 2001-06-08 2007-10-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abial pad
DE10225943A1 (de) 2002-06-11 2004-01-08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stern von Polyalkoholen
JP4244128B2 (ja) * 2002-10-03 2009-03-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構成用の表面側シートおよび陰唇間パッド
WO2005055900A1 (ja) * 2003-12-09 2005-06-23 Uni-Charm Corporation 陰唇間パッド
US7931634B2 (en) * 2003-12-18 2011-04-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ily exudate capturing article
US20070299417A1 (en) * 2004-02-02 2007-12-27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tiute Absorbent Article
JP4554274B2 (ja) * 2004-05-27 2010-09-2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20060264873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9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s
US7481801B2 (en) * 2005-05-23 2009-01-27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537587B2 (en) * 2005-05-23 2009-05-26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0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458961B2 (en) 2005-05-23 2008-12-02 Rusl, Llc Thong-shaped holder for use with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65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interlabial article
US7462173B2 (en) * 2005-05-23 2008-12-09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7867211B2 (en) * 2005-05-23 2011-01-11 Rusl, Llc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2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60264871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bsorbent article
US20070142816A1 (en) * 2005-12-19 2007-06-21 Carstens Jerry E Absorbent article and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US20060264868A1 (en) * 2005-05-23 2006-11-23 Carstens Jerry E System comprising thong-shaped holder and article with sensor
CN101944293A (zh) * 2010-09-10 2011-01-12 天津市数通科技有限公司 带时间指示的交通指示灯
EP3763227A1 (en) 2014-04-28 2021-01-13 International Dehydrated Foods, Inc. Concentrated protei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making and use
US9555151B2 (en) 2014-10-03 2017-01-31 Soft Healt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ntinence control
AU2017101249B4 (en) * 2016-09-12 2018-08-23 Pauline JONES Incontinence aid
US20180263749A1 (en) 2017-03-17 2018-09-20 Soft Healt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ntinence control
US11684521B2 (en) 2017-03-17 2023-06-27 Soft Health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incontinenc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8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37A (en) * 1859-05-24 Attaching thills to axles
USRE24137E (en) * 1956-04-03 Sanitary pad
GB242517A (en) * 1925-03-27 1925-11-12 Paula Schneider Protective insertion for menstruation
US2092346A (en) 1936-06-24 1937-09-07 Arone George Catamenial pad
US2328795A (en) * 1940-06-19 1943-09-07 Frances W Finks Catamenial device
US2331355A (en) * 1941-09-18 1943-10-12 Herman L Strongson Catamenial pad
GB588689A (en) * 1945-03-03 1947-05-30 William Henry Baron Snape A sanitary pad
US2629381A (en) * 1951-08-02 1953-02-24 Ethel C Brown Tampon
US2771882A (en) * 1951-09-29 1956-11-27 Schickedanz Ver Papierwerk Hygienic insertion for women
US2662527A (en) 1952-12-18 1953-12-15 Jacks Williard Grant Sanitary pad
GB754481A (en) * 1953-04-23 1956-08-08 Eduard Neuman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nitary napkins
US2864362A (en) * 1953-12-01 1958-12-16 William A Hermanson Mouldable absorbent material
US2917049A (en) * 1956-06-21 1959-12-15 Alice M Delaney Feminine hygienic device
US3097648A (en) * 1961-02-10 1963-07-16 Marie J A Dupuis Catamenial pad
US3183909A (en) * 1962-09-24 1965-05-18 Kimberly Clark Co Convertible sanitary napkin
US3406689A (en) * 1965-05-28 1968-10-22 Melvin E. Hicks Sanitary napkin system
US3420235A (en) * 1966-07-13 1969-01-07 Johnson & Johnson Interlabial pad
US3528422A (en) * 1967-12-01 1970-09-15 Blossom E Hodas Vestibule type sanitary napkin
US3683915A (en) * 1969-12-15 1972-08-15 Kimberly Clark Co Catamenial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3726277A (en) * 1970-08-31 1973-04-10 S Hirschman Feminine hygienic pad
US3690321A (en) * 1970-10-15 1972-09-12 Shalom Z Hirschman Catamenial device
BE788910A (fr) * 1971-09-17 1973-03-15 Alemany R Moyens gynecologiques
US3834389A (en) * 1972-11-28 1974-09-10 Procter & Gamble Textile tampon having a resilient foam core
US3905372A (en) 1974-06-20 1975-09-16 Marian C Denkinger Feminine hygiene protective shield
US3983873A (en) * 1974-07-03 1976-10-05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
US4046147A (en) * 1976-08-05 1977-09-06 Cecilia Berg Sanitary napkin
US4196562A (en) * 1976-10-15 1980-04-08 Hirschman Shalom Z Methods of making feminine hygienic pads with anterior leading edges
US4095542A (en) * 1976-10-15 1978-06-20 Hirschman Shalom Z Methods of making feminine hygienic pads
US4175561A (en) * 1977-02-10 1979-11-27 Hirschman Shalom Z Feminine hygienic pads with improved absorption
US4286596A (en) * 1978-02-27 1981-09-01 Herbert Rubinstein Tampon containing a liquid medicant
FR2420339A1 (fr) * 1978-03-20 1979-10-19 Beghin Say Sa Serviette periodique anatomique
US4211225A (en) * 1978-07-19 1980-07-08 Dan Sibalis Tampon with a collapsible and invertible shroud
US4212301A (en) * 1978-08-14 1980-07-15 Kimberly-Clark Corporation Digital tampon
US4413986A (en) 1980-11-10 1983-11-08 Jacobs Henry R Tampon assembly with means for sterile insertion
DE3121364A1 (de) 1981-05-29 1982-12-16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applikator zum hygienischen einfuehren eines tampons"
US4433972A (en) * 1981-06-01 1984-02-28 Amanda Malfitano Sanitary napkin
US4578070A (en) * 1983-08-15 1986-03-25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structure containing corrugated web layers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US4627848A (en) * 1984-04-23 1986-12-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natomical pad
DE3417910C2 (de) * 1984-05-15 1986-10-23 Brigitte 3004 Isernhagen Dobson Neuartige hygienische Vorlage
US4846824A (en) * 1984-05-21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CA1247303A (en) * 1984-05-21 1988-12-28 Frederich O. Lassen Labial sanitary pad
US4631062A (en) * 1984-09-27 1986-12-23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US4743245A (en) * 1985-03-01 1988-05-10 Kimberly-Clark Corporation Labial sanitary pad
US4673403A (en) * 1985-10-30 1987-06-16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and pad allowing improved placement of catamenial device
US4848572A (en) * 1986-06-09 1989-07-18 Herrera Patricio B Feminine hygiene device
DE3705646A1 (de) * 1987-02-21 1988-09-01 Basf Ag Chromkomplexfarbstoff
US4946454A (en) * 1987-04-29 1990-08-07 Kimberly-Clark Corporation Perineal shield and discharge containment flap
US4804380A (en) * 1987-08-06 1989-02-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natomically shaped, self-aligning, sanitary protection device
US5197959A (en) * 1988-03-31 1993-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5171302A (en) * 1988-03-31 1992-12-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entral hinge
US5127911A (en) * 1988-05-03 1992-07-07 Eva Baharav Sanitary feminine napkin with a mechanism for optional contouring
US5374261A (en) * 1990-07-24 1994-12-20 Yoon; Inbae Multifunctional devices for use in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and methods-therefor
US4925453A (en) * 1988-08-10 1990-05-15 Sealed Air Corporation Absorbent blood wipe pad and method
GB2227666A (en) * 1988-10-19 1990-08-08 Tambrands Ltd Improvements in digital tampons
JPH0299933U (ko) * 1989-01-18 1990-08-09
US4925668A (en) * 1989-01-18 1990-05-1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nti-infective and lubricious medical articles and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US5295984A (en) * 1989-12-07 1994-03-22 Ultrafem, Inc. Vaginal discharge collection device and intravaginal drug delivery system
US4995150A (en) * 1990-03-05 1991-02-26 Xtramed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eminine hygienic interlabia pads
US5230119A (en) * 1990-04-13 1993-07-27 M. J. Woods, Inc. Multilayer laminated pad
US5057096A (en) * 1990-06-21 1991-10-15 Faglione Frances M Genital-vulva pad sanitary napkin construction
DE4032119A1 (de) * 1990-10-10 1992-04-16 Geb Frey Bortz Saugfaehige vorlage
JP3506700B2 (ja) * 1990-10-29 2004-03-15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使用中に分離できる構成要素を持つ衛生ナプキン
US5074855A (en) * 1991-01-10 1991-12-24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US5336208A (en) * 1991-01-10 1994-08-09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US5370633A (en) * 1991-07-02 1994-12-06 Villalta; Josue J. Anatomical vaginal tampon
US5169394A (en) * 1991-08-27 1992-12-08 Jean Lai D Feminine sanitary napkin
US5649917A (en) * 1992-03-31 1997-07-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barrier means
US5584827A (en) * 1992-05-18 1996-12-17 Ultracell Medical Technologies, Inc Nasal-packing article
US5290262A (en) * 1992-10-15 1994-03-01 Kimberly-Clark Corporation Feminine hygiene article and method
US5672165A (en) * 1992-10-19 1997-09-30 Belecky; June Marian Menstrual hygiene product
CA2090990C (en) * 1992-11-13 2002-11-12 John Philip Vukos Interlabial sanitary pad
US5383868A (en) * 1993-06-17 1995-01-24 Hyun; Kwang H. Woman's sanitary napkin
US5558656A (en) * 1993-12-20 1996-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an internal shaping component
CA2149498A1 (en) * 1994-05-31 1995-12-01 Theodore A. Foley Vaginal moisture balanced tampon and process
USH1614H (en) * 1994-08-19 1996-11-05 Mayer; Katherine L. Body fitting compound sanitary napkin
IT1279372B1 (it) * 1994-09-09 1997-12-10 Rita Palmira Azzali Assorbente anatomico per donna, vestibolare
US5520675A (en) * 1994-10-21 1996-05-28 Knox-Sigh; Annette Feminine hygiene pad
US5575047A (en) * 1994-11-25 1996-11-19 Athena Medical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biodegradable absorbent pads
US5545156A (en) * 1994-12-22 1996-08-1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eformed member
US5573523A (en) * 1995-02-09 1996-11-12 Whalen; Johanna B. Flushable sanitary mini-pad
USH1634H (en) * 1995-02-24 1997-02-04 Oetjen; David C. Compound sanitary napkin
USD380261S (en) 1995-06-13 1997-06-24 Renee M. Ely Sanitary pad
JP2958261B2 (ja) * 1995-10-04 1999-10-06 小林製薬株式会社 女性用衛生具及びその製造法
US5702380A (en) * 1996-02-23 1997-12-30 Walker; Rosemary Sanitary napkin
US5762644A (en) * 1996-08-30 1998-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ilet-disposable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5771524A (en) * 1996-12-31 1998-06-30 M.J. Woods, Inc. Disposable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29077A1 (en) 1998-07-09
JP4212119B2 (ja) 2009-01-21
AU740895B2 (en) 2001-11-15
EG21955A (en) 2002-04-30
DE69720805T2 (de) 2003-11-13
ATE236598T1 (de) 2003-04-15
BR9714846A (pt) 2000-10-17
AR011347A1 (es) 2000-08-16
US6123693A (en) 2000-09-26
HUP0003312A3 (en) 2001-03-28
AU5716298A (en) 1998-07-31
IL130693A0 (en) 2000-06-01
JP2001507596A (ja) 2001-06-12
NO993280L (no) 1999-09-03
CO4910108A1 (es) 2000-04-24
DE69720805D1 (de) 2003-05-15
CN1246043A (zh) 2000-03-01
CN1253133C (zh) 2006-04-26
TR199901533T2 (xx) 1999-10-21
TW367244B (en) 1999-08-21
CA2276735C (en) 2003-09-23
CA2276735A1 (en) 1998-07-09
ZA9814B (en) 1998-10-05
HUP0003312A2 (hu) 2001-02-28
NO993280D0 (no) 1999-07-01
EP1011574A1 (en) 2000-06-28
US5895381A (en) 1999-04-20
ID27869A (id) 2001-04-26
EP1011574B1 (en) 2003-04-09
KR100404264B1 (ko) 2003-11-03
PE39699A1 (es) 199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264B1 (ko)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 가능한 흡수장치
JP4503171B2 (ja) 吸収性陰唇間製品
KR100404261B1 (ko)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될 수 있는 음순간 흡수 장치
JP4212359B2 (ja) 改良されたタブを有する吸収性陰唇間デバイス
KR20010031988A (ko)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가능한 흡수 장치
KR20010032166A (ko) 음순간 흡수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00069849A (ko) 음순간 흡수 구조체
KR20010032355A (ko) 다수의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10013823A (ko) 생리혈 성분 처리에 적합한 음순간 장치
KR100404263B1 (ko) 여성 착용자의 음순간 공간내로 삽입 가능한 흡수장치
JP4294956B2 (ja) 吸収性陰唇間デバイス
CZ240299A3 (cs) Absorpční, interlabiálně nošený výrobek se skládanou strukturou
CZ240199A3 (cs) Absorpční, interlabiálně nošený výrobek s flexibilními protaženími
MXPA00005239A (en) Method of making a shaped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MXPA00005240A (en) Absorbent interlabial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7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2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identifier: 2002101002562

Request date: 2002062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11130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9072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port of Result of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2082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030701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20628

Decision date: 20030630

Appeal identifier: 2002101002562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2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30701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310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