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9765A -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온도 민감성제품 - Google Patents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온도 민감성제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69765A KR20000069765A KR1019997005904A KR19997005904A KR20000069765A KR 20000069765 A KR20000069765 A KR 20000069765A KR 1019997005904 A KR1019997005904 A KR 1019997005904A KR 19997005904 A KR19997005904 A KR 19997005904A KR 20000069765 A KR20000069765 A KR 200000697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pc
- binder composition
- water dispersible
- cloud point
- fibro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08L1/28—Alk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1/00—Adhesive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26—Cellulose ethers
- C09J101/28—Alkyl eth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11/00—Preparation of cellulose ethers
- C08B11/20—Post-etherification treatments of chemical or physical type, e.g. mixed etherification in two steps, including purification
-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8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 bonding agents u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62—Coated or impregnated natural fiber fabric [e.g., cotton, wool, silk, linen, etc.]
- Y10T442/277—Coated or impregnated cellulosic fiber fabric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861—Coated or impregnated synthetic organic fiber fabr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Paper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틸화도를 조절하므로써 m-HPC 중합체의 하한 임계 용액 온도 (LCST)를 실온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약 30 ℃를 넘는 물에서 중합체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m-HPC 중합체를 함유하는 결합제 조성물, 섬유상 기재, 수분산성 제품 및 열성형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러 해 동안 처분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일회용 기저귀, 실금용 가먼트 및 여성 위생 용품을 포함하는 산업은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 문제점을 처리하는데 많은 진전이 있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약점 중 하나는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거나 또는 분해되는 경제적인 응집성 섬유상 웹을 제조하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예를 들어, 영국 특허 공보 제2,241,373호 및 미국 특허 제4,186,233호 참조. 이러한 제품이 없이는, 사용자가 제품을 화장실에서 수세폐기하므로써 폐기하는 능력은 이러한 측면이 배제되지 않는 경우 크게 경감된다. 또한, 매립지에서 제품이 분해되는 능력은 매우 제한되며, 이는 양호하게 생분해성이거나 또는 광분해성일 수 있는 대부분의 제품 성분은 적어도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분해되는 플라스틱으로 포장되어 있거나 또는 그에 의해 함께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플라스틱이 물의 존재하에 분해되는 경우, 내부 성분들은 플라스틱 포장이 터지거나 또는 결합이 끊어질 때만 분해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 여성 위생용품 및 성인 실금용 위생용품은 일반적으로 뇨 또는 월경액과 같은 유체가 제품의 흡수성 코어에 의해 흡수될 수 있도록 유체를 신속하게 통과시켜야 하는 신체측 라이너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신체측 라이너는 바람직하게는 연성 및 가요성과 같은 여러 특징들을 갖는 응집성 섬유상 웹이다. 신체측 라이너 물질의 섬유상 웹은 전형적으로 대개 랜덤한 다수의 섬유들을 습식 또는 건식 (에어) 집적 (laying)시키고, 이들을 결합제를 사용하여 함께 결합시켜 응집성 웹을 형성시키므로써 형성된다. 과거의 결합제는 이 기능을 양호하게 수행해 왔다. 환경적 견해로부터, 과거의 결합제는 분해되지 않는 경향이 있어 라이너가 손상됨 없이 유지된다는 점에서 이 기능을 지나칠 정도로 수행해 왔으며, 이로 인해 일회용 제품의 임의의 환경적 분해가 크게 제한되어 온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보다 최근에는, 과거의 결합제 보다 더 환경적으로 신뢰할 수 있고 더 양호한 수용성을 나타내는 결합제 조성물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최근의 관심사는 역 수용해성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결합제이다. 여러 중합체들이 수성 매질에서 운점 또는 역 용해도 특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잘 공지되어 있다. 이들 중합체들은 (1) 증발 지연제 (JP 제6207162호); (2) 상응하는 온도 변화와 관련된 명백한 색상 변화에 기인한 온도 지시자로서 유용한 온도 민감성 조성물 (JP 제6192527호); (3) 특정 온도에서 불투명하고 특정 온도 미만으로 냉각되는 경우 투명하게 되는 열 민감성 물질 (JP 제51003248호 및 동 제81035703호); (4) 흡수 특징이 양호하고 제거가 용이한 상처용 드레싱 (JP 제6233809호); 및 (5) 수세식용 (flushable) 개인 위생용품에서의 물질 (미국 특허 제5,509,913호)을 포함하는 다양한 용도에 대한 여러 문헌에 인용되어 왔다.
역 수용해성의 한 중합체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HPC)이다. HPC의 경우 상 전이는 수세식용 물질에 요구되는 유발 (triggering) 온도 보다 사실상 더 높은 약 40-44 ℃에서 일어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발 온도"라 함은 수세식용 물질이 신속하게 분해되어 물로 분산되는 온도이다. 또한, 운점을 넘는 온도에서 HPC의 수화 수준은 높다. 화학적 변성 없이는, HPC는 수세식용 개인 위생용품내의 결합제 물질로서 부적합하다. 그러나, 메틸화와 같은 화학적 변성으로 전이 온도는 유발 온도 미만으로 저하될 수 있고, 동시에 유발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에테르의 메틸화 방법은 예를 들어, 유기 매질내의 겔화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메틸화 HPC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096,325호에 나타나 있다. HPC의 메틸화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지만, 원하는 운점을 얻기 위한 HPC의 화학적 변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약 23 내지 28 ℃의 바람직한 유발 온도 범위를 얻어 HPC가 수분산성 제품내의 결합제 물질로서 적합하게 되는 HPC의 화학적 변성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HPC는 여러 응용분야에 사용되어 왔다. 스태포드 (Stafford) 등의 문헌 (J. Pharm. Pharmacol. (1978), 30(1), 1)에는 온도 민감성 결합제로서 HPC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HPC의 온도 및 이온 민감성과 관련된 다른 참고문헌들은 (1) 필릅 (Philp) 등의 [Cellul.: Chem., Biochem. Mater. Aspects (1993), 313]; (2) 칼슨 (Carlsson) 등의 [Colloids Surf. (1990), 47, 147]; (3) 하쉬 (Harsh)의 [J. Controlled Release (1991), 17 (2), 175]; (4) 차우드허리 (Chowdhury) 등의 [Polym. Mater. Sci. Eng. (1988), 59, 1045]; 및 (5) 나구라 (Nagura) 등의 [Kobunshi Ronbunshu (1981), 38(3), 133]과 같은 간행물, 및 (1) 잉크 젯 기록에 대한 CA 제2100523호 AA; (2) 표백제로서의 JP 제7611081호 및 (3) 운반, 제거 또는 반응 물질로서의 WO 제8706152호와 같은 특허를 포함한다.
많은 특허에 HPC를 포함하는, 수세식용 물질을 위한 다양한 이온 및 온도 민감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지만, 연성, 3차원성 및 복원성; 웹 구조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양호한 유체 흡상 (wicking) 특성; 체온에서 체액의 존재하의 구조적 통합성 및 흡상; 구체적으로 조절된 수온에서의 수분산성, 및 섬유가 나무 뿌리와 또는 하수관내 굴곡부에서 뒤엉키지 않도록 화장실 수세폐기 후에 진정한 섬유 분산을 갖는 수세식용 제품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러한 제품은 과거의 제품이 행하기에 실패했던 제품 안전성 및 환경적 고려사항을 손상시킴 없이 적정한 비용에서 요구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m-HPC 중합체의 하한 임계 용액 온도 (LCST)는 메틸화도를 조절하므로써 실온 미만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중합체는 약 21 ℃ 초과 내지 25 ℃의 물에서 안정화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하한 임계 용액 온도"라는 용어는 용액 온도가 증가됨에 따라 중합체 용액이 하나의 상 (균일 용액)으로부터 두개의 상 (중합체 풍부 상 및 용매 풍부 상)으로의 상 전이 진행을 겪게 될 때의 온도를 나타낸다.
m-HPC 물질은 수분산성 제품에 대한 에어-집적 및 습식-집적된 부직포용 결합제 및 구조 성분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수분산성 제품"이라는 용어는 약 22 ℃ 온도의 유체에 약 2 분 동안 노출되는 경우, 용해되거나 또는 모두가 20 메쉬의 체를 통과하는 단편으로 파쇄되는 제품을 의미한다. 일부 용품에는 기저귀, 탐폰, 여성용 패드, 팬티라이너 및 습윤 와이프와 같은 다양한 수세식용 개인 위생용품에서의 신체측 라이너, 유체 분배 물질, 유체 수용 (in-take) 물질 (서지 (surge)) 또는 커버 스톡 (stock)과 같은 용품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온도 및 이온 민감성, 열가소성 m-HPC 중합체는 온수, 또는 염화나트륨 또는 황산나트륨과 같은 묽은 염 수용액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나, 냉수에서는 신속하게 용해된다. 전이 온도는 m-HPC 구조물의 메틸화 수준을 바꾸므로써 조절된다. 또한, m-HPC 물질의 수민감성 또는 습윤 강도는 수불용성 중합체를 그 물질에 혼입시키므로써 개선된다. 또한, m-HPC 중합체는 필름, 섬유,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열처리될 수 있다. 이들 물질의 기계적 강도 및 유발능에 대한 자극, 블렌드 조성 및 중합체 구조의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필름, 섬유 및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해 열처리된 m-HPC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m-HPC 중합체는 압출기와 같은 통상의 열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열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용액 처리된 m-HPC 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로운 용품은 m-HPC 중합체를 함유하는 다양한 수세식용 개인 위생용품을 위한 신체측 라이너, 유체 분배 물질, 유체 수용 물질 (서지) 및 커버 스톡에 사용되기 위한 에어-집적된 물질이다.
본 발명에는 또한 독특한 m-HPC 결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이온 함량이 높은 체액에서 또는 체온 정도의 유체에서 안정한, 커버스톡 (라이너) 및 수용 (서지) 물질을 포함하는 유발성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생성된 부직포는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물의 온도를 넘는 조절된 LCST 또는 운점으로 인해 수세식용으로 사용가능하고 수분산성이다.
본 발명은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 기재의 이온 및 온도 민감성 중합체 물질의 제조 방법 및 결합제 조성물로서의 이들의 응용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온 민감성 결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 함유 직물 및 웹, 및 수분산성 개인 위생용품에서의 이들의 응용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열성형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용 개인 위생용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효과적인 온도 또는 이온 유발성 물질이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1) 기능적, 즉 조절된 조건하에 습윤 강도를 유지하고,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냉수에서 신속하게 분해되거나 또는 분산되어야 하고; (2) 열가소성이어야 하고; (3) 안전해야 하고 (비독성); (4) 경제적이어야 한다. 상기 기준과 부합되는 한 중합체는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이다.
m-HPC는 디메틸설페이트 또는 염화메틸과 같은 메틸화제를 사용하여 HPC를 메틸화시키므로써 제조된다. m-HPC의 운점은 메틸화도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된다. 물에 침전되는 경우 골격을 따라 초거대분자 나선형 구조를 형성하여 겔 유사 특성이 없는 매우 느슨하고 개방된 침전물을 형성하는 HPC와는 달리, m-HPC는 수화 수준이 매우 낮은 고상 괴로서 침전된다. 이러한 침전 거동은 메틸기의 도입에 의해 초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나선형 구조가 분해되고 중합체 쇄의 전체 소수성이 증가된다. m-HPC는 유발점을 넘는 온도에서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IPAM)에 견줄만한 겔 강도 및 응집 에너지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유발점" 또는 "유발 온도"라는 용어는 LCST 또는 운점 온도를 칭한다.
본 발명은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에 관한 것이지, 메틸셀룰로스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의 공중합체인 메틸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에 관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MHPC의 LCST 또는 운점은 비교적 높은 약 55 내지 60 ℃이고, 열처리하기가 어렵다. 반면, m-HPC는 LCST 또는 운점이 0 ℃ 미만으로 조정될 수 있어, 용이하게 열처리된다.
m-HPC의 운점과 변성도와의 관계를 예시하기 위해 하기 표 1이 제공된다.
선택된 HPC들의 메틸화 및 운점 | ||
시료 | OH에 대한 MeO의 비 | 운점 (℃) |
m-HPC-1 | 0.53 | 19-22.5 |
m-HPC-2 | 0.46 | 23-26 |
m-HPC-3 | 0.44 | 23-28 |
m-HPC-4 | 0.43 | 23-26.5 |
m-HPC-5 | 0.39 | 26-31 |
m-HPC-6 | 0.26 | 31-35 |
HPC | 0.00 | 44-50 |
히드록실기가 메톡시기로 대체되는 경우 HPC의 소수성은 증가된다. 그 결과, m-HPC의 운점은 표 1에 나타내진 바와 같이, 메틸화도의 증가에 의해 감소된다. 또한, m-HPC는 운점 분포가 좁기 때문에, m-HPC의 용해도는 주어진 용액 온도에서 m-HPC상의 메톡시기의 양을 변화시키므로써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HPC의 메틸화에 의해 수용액중의 중합체의 수용해도는 증가된다. m-HPC-5의 수화 수준은 40 ℃의 탈이온수 및 실온의 2, 4 및 8 중량% 황산나트륨 용액에서 측정되었다. 시료는 특수한 조건하에서 4 시간 동안 물에 침지되어 평형에 도달한다. 단지 비교를 위해, 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의 수화 수준도 또한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험되었다. 하기 표 2에 의해 상기 용액들의 수분 흡수율이 예시된다.
수용액중의 m-HPC-5의 수분 흡수율 (중량%) | ||||
시료 | 2 중량% | 4 중량% | 8 중량% | 40 ℃ + 0% 염 |
m-HPC-5 | 38 | 28 | 17 | 34 |
IPAM | 용해됨 | 35 | 30 | 61 |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m-HPC-5는 상기 모든 조건하에서 IPAM 보다 수화도가 더 낮고, 결과적으로 수용해성이 더 양호하다.
특히 적합한 m-HPC 배합물의 결합 강도가 측정되었다. 메탄올중에 5 중량% m-HPC-2를 함유하는 용액은 20번 와이어가 감긴 막대를 사용하여 영국 브릿지워터 서머셋 소재의 BFF 논우븐스 (Nonwovens)로부터의 레이온 섬유 (1.5 데니어 x 25 mm 길이)를 포함하는 습식-집적된 수분산성 부직포에 도포되었다. 부직포는 70 ℃에서 강제 순환식 오븐에서 건조되었다. "부가 (add on)" 수준은 32-35 중량%이었다. 부직 시트는 2.54 cm x 10.2 cm (1 in. x 4 in.)의 스트립으로 절단된 후, 5.1 cm (2 in.) 그립 간격을 갖는 소형-인장 시험기상에 올려졌다. 스트립 및 그립은 실온 (대략 21 내지 23 ℃)에서의 하기 용액: 0.9 중량% 염화나트륨 용액; 2.0 내지 4.0 중량% 황산나트륨 용액; 및 30 ℃에서의 물에 10 분 동안 침지되었다. 시료는 또한 30 초 침지된 후 23 ℃의 수돗물에서 시험되었다. 또한 인장 강도에 대한 온도와 황산나트륨의 합쳐진 효과는 30 ℃의 0.9 중량% 염화나트륨 용액 및 30 ℃의 2 중량% 황산나트륨 용액에서의 m-HPC-2를 사용하여 연구되었다. 유사한 효과는 비교를 위해 35 ℃를 넘는 온도에서 보다 높은 분자량의 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IPAM)에 대해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요약된다.
인장 강도에 대한 온도 및 염 용액의 효과 | |||||||
시료 | 피크 담지량 (g) | ||||||
수돗물 | 온수 | 0.9%1 | 2%2 | 4%2 | 2%/30 ℃2 | 0.9%/30 ℃1 | |
m-HPC-2 | 0 | 110 | 125 | 97 | 136 | 151 | 222 |
IPAM | 0 | 154 | 0 | 0 | - | - | - |
1 염화나트륨 수용액.2 황산나트륨 수용액. |
표 3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m-HPC는 효과적인 온도 및(또는) 이온 유발성 결합제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m-HPC의 인장 강도는 유발점을 넘는 온도에서 IPAM의 인장 강도에 견줄만하거나 또는 그를 능가하게 유지되나, m-HPC는 저온의 수돗물에서 수 초내에 분산된다. m-HPC는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제품내의 비-내력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HPC 배합물의 결합 강도는 결합 물질로서 5 중량% HPC 용액을 사용하여 유사하게 제조된 부직포에 대해 비교 시험되었다. 온수에서의 습윤 인장 강도가 약 110 g인 m-HPC-2 물질과는 달리, HPC 물질은 온수에서 측정가능한 습윤 인장 강도를 전혀 나타내지 못했다.
m-HPC의 결합 강도 및 유발성에 대한 중합체 블렌딩의 효과는 메탄올에서 계면활성제가 없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PVAc) (분자량 = 96,000)를 m-HPC와 용액 블렌딩시키므로써 측정되었다. PVAc의 혼입에 의해 수화 수준이 상당히 경감되었으나, 약 50 중량%까지는 유발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블렌드의 유발성은 단지 m-HPC 성분에 따라 좌우되었다. 약 50 중량%를 능가하는 소수성 중합체의 농도 수준이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고려되지만, 이러한 범위의 농도는 냉수중의 블렌드의 용해 비율을 경감시킨다.
m-HPC의 결합 강도에 대한 PVAc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메탄올중의 5 중량% 블렌드 용액은 결합제로서의 블렌드를 레이온 부직 기재에 도포시키는데 사용되었다. 도포 수순은 이전과 동일하였다. 약 33 내지 35%의 부가가 달성되었다. 이들 블렌드중의 PVAc의 농도는 30, 50 및 70 중량%이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블렌드에 대한 유발 온도는 영향받지 않고 유지되었다. 분산비는 또한 30 및 50 중량% PVAc를 갖는 결합제의 경우 영향받지 않았다. PVAc 함량이 약 70 중량%로 증가됨에 따라, 진탕시 기재가 분산되는데 약 1 분이 소요되었다. 블렌드의 결합 강도는 이전과 동일한 수순을 사용하여 시험되었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진다.
m-HPC의 결합 강도에 대한 PVAc의 효과 | |
시료 (중량%/중량%) | 2 중량% 황산나트륨중의 피크 담지량 |
m-HPC-2/PVAc (70/30) | 81 |
m-HPC-2/PVAc (50/50) | 68 |
m-HPC-2/PVAc (30/70) | 165 |
PVAc 50 중량% 미만을 함유하는 블렌드 기재의 m-HPC의 결합 강도는 순수 m-HPC의 결합 강도 보다 더 낮았다. m-HPC는 PVAc와의 분자 용적 차이가 큼으로 인해 양립할 수 없기 때문에, 거대 상 분리는 PVAc가 충진제로서 작용하고 결합제의 습윤 강도에 거의 기여하지 않는 이들 블렌드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PVAc 함량이 약 50 중량%를 능가하는 경우, PVAc에 의해 연속 상이 형성되고 결합 특성이 좌우되었다. 그 결과, 브렌드의 결합 강도는 증가되었다. 예를 들어, 70 중량% PVAc를 갖는 블렌드의 인장 강도는 100 중량% m-HPC 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블렌드는 여전히 유발성이고, 유발 온도는 PVAc에 의해 영향받지 않은 채 유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와 혼합된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를 포함하는 여러 블렌드를 포함한다. 중합체와 블렌딩하기에 적합한 다른 소수성 중합체에는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삼원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극성 관능기, 예컨대 아크릴산, 말레산 무수물 등으로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체와 블렌딩되기에 적합한 소수성 중합체의 선택 및 갯수는 생성된 블렌드의 특성 (즉, 이온 민감성 용해도, 유발 온도, 냉수에서의 분산성 등)이 수분산성 제품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수분산성 블렌드중의 소수성 중합체의 양은 블렌드중의 중합체 혼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 내지 약 75 중량%이다.
본 발명의 블렌드 배합물은 상술한 유발성 중합체 및 소수성 중합체 외에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양태에서, 최종 제품에서 원하는 특수한 특성에 따라, 가공제 또는 개질제로서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상용화제, 방염제, 열 안정화제, 내충격 개량제, 윤활제, 자외선 안정화제, 가공 보조제, 분산제, 활주제 등과 같은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열 가공성을 위해, 1종 이상의 상기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m-HPC 중합체에 대해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m-HPC 중합체 조성물은 매우 다양한 가소제들과 고도로 상용성이므로, 이러한 가소제들은 m-HPC 중합체 조성물에 혼입되어 가요성 및 내마멸성과 같은 조성물 특징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조성물이 상술한 생리대, 기저귀 등과 같이 착용되는 물품과 관련된 결합제 물질로서 사용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수용성 가소제, 뿐만 아니라 캐스터유 등과 같은 수불용성 가소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 배합물은 임의의 섬유상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결합제는 수분산성 제품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적합한 섬유상 기재에는 부직포 및 직포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실시양태, 특히 개인 위생용품에서, 바람직한 기재는 부직포이며, 이는 혈액, 뇨 및 월경액과 같은 유체에 대한 이들의 흡수성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 "부직포"라는 용어는 매트와 같은 양식으로 랜덤하게 배열된 개개의 섬유 또는 필라멘트의 구조물을 갖는 직물을 칭한다. 부직포는 에어-집적 방법, 습식-집적 방법, 수엉킹 (hydroentangling) 방법, 스테이플 섬유 카딩 및 접합, 및 용액 방사를 포함하는 여러 방법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제 배합물은 에어-집적된 부직포의 섬유를 결합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들 에어-집적된 물질은 다양한 수분산성 개인 위생용품의 신체측 라이너, 유체 분배 물질, 유체 흡수 물질 (서지) 및 커버 스톡과 같은 용도에 특히 유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에어-집적된 부직포에 대한 기본 중량은 평방미터 당 약 20 내지 약 200 그램 (gsm)이다. 길이가 약 15 mm 미만인 짧은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이들 수세식용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서지 또는 흡수 물질에는 보다 양호한 복원력 및 보다 높은 로프트 (loft)가 요구되어, 섬유 역가가 약 3 데니어 (d) 이상인 섬유가 이들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서지 또는 흡수 물질에 대한 바람직한 최종 밀도는 입방 센티미터 당 약 0.025 내지 약 0.050 그램 (g/cc)이다. 유체 분배 물질의 밀도는 보다 낮은 데니어의 섬유, 가장 바람직하게는 데니어가 약 1.5 d 이하인 섬유를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0.10 내지 약 0.20 g/cc의 보다 높은 범위일 것이다.
상기 직물을 형성하는 섬유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섬유의 선택은 예를 들어, 완성된 직물의 의도되는 최종 용도 및 섬유 가격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적합한 섬유상 기재에는 면, 아마, 황마, 삼, 면, 모, 목재 펄프 등과 같은 천연 섬유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사하게는, 비스코스 레이온 및 구리암모늄 레이온과 같은 재생된 셀룰로스 섬유, 셀룰로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변성된 셀룰로스계 섬유, 또는 폴리비닐 알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 등으로부터 유도된 것들과 같은 합성 섬유가 단독으로 또는 다른 하나와 조합된 형태로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1종 이상의 상기 섬유의 블렌드도 또한 원하는 경우 사용될 수 있다.
섬유 길이는 본 발명의 직물 제조에 있어서 중요하다. 수세식용 제품과 같은 몇몇 실시양태에서, 섬유 길이는 더욱 중요하다. 섬유의 최소 길이는 섬유상 기재를 형성하는데 선택된 방법에 따라 좌우된다. 예를 들어, 섬유상 기재가 카딩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섬유 길이는 일반적으로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약 42 mm 이상이어야 한다. 섬유상 기재가 에어-집적 또는 습식-집적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섬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0.2 내지 6 mm이다. 길이가 50 mm를 넘는 섬유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하더라도 길이가 약 15 mm를 넘는 상당량의 섬유가 수세식용 직물내에 존재하는 경우, 섬유가 물에서 분산 및 분리되더라도 그 길이는 가정용 화장실에서 수세되는 경우 바람직하지 않은 섬유의 "로프 (rope)"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품을 위해, 섬유가 화장실을 통해 수세되는 경우 "로프"되는 경향을 갖지 않도록 섬유 길이는 약 15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길이의 섬유가 본 발명에 사용가능하더라도, 섬유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섬유가 물과 접촉하게 되는 경우 서로로부터 용이하게 분산되도록 약 15 mm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 mm 내지 약 15 mm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섬유상 기재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다중층의 경우, 층들은 일반적으로 병치되거나 또는 면과 면이 마주보는 관계이고, 층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접 층에 결합될 수 있다. 부직 웹은 또한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개별적인 부직 웹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부직 웹이 다중층을 포함하는 경우, 부직 웹의 전체 두께에 걸쳐 결합제가 도포될 수 있거나, 또는 각각의 개별 층이 개별적으로 결합제 도포될 수 있으며, 이어서 병치 관계의 다른 층과 조합되어 완성된 부직 웹을 형성한다.
결합제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도포 방법에 의해 섬유상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결합제 물질의 적합한 도포 방법에는 인쇄, 분무, 함침 또는 임의의 다른 기술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제 조성물의 양은 계량되어 섬유상 기재내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거나 또는 섬유상 기재내에 불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결합제 조성물은 섬유상 기재 전반에 걸쳐 분포할 수 있거나 또는 근접하게 이격된 다수의 작은 영역내에 분포할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양태에서, 결합제 조성물의 분포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상 기재로의 도포가 용이하기 위해, 결합제는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등과 같은 비수성 용매 (여기서, 물이 바람직한 용매임)에 용해되어 결합제 조성물 고상물의 약 25 중량% 이하를 함유하는 용액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글리세롤, 폴리에틸렌 글리콜, 캐스터유 등과 같은 가소제는 결합제 조성물을 함유하는 용액에 첨가될 수 있고, 이러한 가소제의 양은 최종 직물에서 원하는 연성에 따라 변한다. 또한, 향료, 착색제, 소포제, 살균제, 표면 활성제, 증점제, 충진제 및 유사한 첨가제는 원하는 경우 결합제 성분의 용액에 혼입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다른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결합제, 또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와 에틸렌,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염화비닐과의 공중합체의 수분산액은 또한 다양한 원하는 특성의 결합된 직물을 수득하기 위해 결합제 조성물 용액에 첨가될 수 있다.
일단 결합제 조성물이 기재에 도포되면, 기재는 임의의 통상의 수단에 의해 건조된다. 일단 건조되면 응집성 섬유상 기재는 처리되지 않은 습식-집적 또는 건식-집적된 기재의 인장 강도에 비해 개선된 인장 강도를 나타내는 반면, 냉수에 위치하여 교반되는 경우 신속하게 "붕괴 (fall apart)"되거나 또는 분해되는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섬유상 기재의 인장 강도는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는 처리되지 않은 기재의 인장 강도에 비해 25% 이상 증가될 수 있다. 더욱 특히, 섬유상 기재의 인장 강도는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은 처리되지 않은 기재의 인장 강도에 비해 100% 이상 증가될 수 있다. 보다 더욱 특히, 섬유상 기재의 인장 강도는 결합제를 함유하지 않은 처리되지 않은 기재의 인장 강도에 비해 500% 이상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은 생성된 섬유상 기재에서 결합제 조성물의 "부가"량이 전체 기재의 중량을 기준으로 단지 적은 부분인 경우에도, 인장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가"량은 특정 용도에 대해 변할 수 있으나, 최적의 "부가"량에 의해 사용 동안 통합성을 갖고 또한 냉수에서 교반되는 경우 신속하게 분산되는 섬유상 기재가 생성된다. 예를 들어, 결합제 성분은 전형적으로 기재의 총량의 약 5 내지 약 50 중량%이다. 더욱 특히, 결합제 성분은 기재의 총량의 약 10 내지 약 35 중량%일 수 있다. 보다 더욱 특히, 결합제 성분은 기재의 총량의 약 15 내지 약 25 중량%일 수 있다.
"부가"량의 경우와 같이, 생성된 섬유상 기재의 밀도는 기재가 사용 동안 구조적 통합성을 유지하지만 냉수에서 교반되는 경우 신속하게 분산되는 밀도이어야 한다. 밀도는 주어진 용도에 대해 다양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섬유 기재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입방 센티미터 당 약 0.01 내지 약 0.3 g,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약 0.2 g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직물 기재는 생리대, 기저귀, 수술용 드레싱, 티슈, 습윤 와이프 등과 같은 체액 흡수용품에 혼입될 수 있다. 이들 제품은 1개 이상의 층의 흡수성 섬유상 물질을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또한 섬유상 티슈, 가제, 플라스틱 그물 등과 같은 유체 투과성 부재의 1개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코어의 성분들을 함께 유지하기 위한 포장재로서 유용하다. 또한, 코어는 유체 불투과성 부재 또는 차단 수단을 포함하여 유체가 코어를 통과하여 제품의 외부 표면상에 도달하는 것을 배제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단재 수단도 또한 수분산성이다. 사실상 상술한 수분산성 결합제와 동일한 조성의 중합체 필름은 이 목적을 위해 특히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은 흡수 코어, 유체 투과성 부재, 포장재 및 유체 불투과성 부재 또는 차단 수단의 층을 포함하는 각각의 상술한 제품 성분들을 형성하는데 유용하다.
m-HPC의 열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결합제 배합, 열처리 및 제품 성능면에서 중요하다. 유리 전이 온도는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시차 주사 열량법)에 의해 평가되고, DMA (Dynamic Mechanical Analysis; 동적 기계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m-HPC의 안정성은 TGA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열 중량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 그 결과가 하기 표 5에 요약되어 있다.
HPC와 m-HPC 사이의 열적 특성 비교 | ||
HPC | m-HPC | |
유리 전이 온도 (℃) | 85 | 56 |
연화 온도 (℃) | 130 | 100 |
분해 온도 (℃) | 205 | 208 |
HPC에 비해 유리 전이 온도는 상당히 하강하였고, 이는 주로 m-HPC내의 수소 결합 갯수의 감소에 기인한다. 유사하게는, 연화점은 HPC 경우의 130 ℃로부터 m-HPC 경우의 100 ℃로 변화되었다. m-HPC는 208 ℃ 이하에서 안정하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심각한 열화가 일어난다.
m-HPC의 열처리능을 측정하기 위해, m-HPC 중합체를 시험하여 필름 또는 섬유와 같은 구조 물질로서의 m-HPC의 응용성을 측정하였다. HPC (분자량=370,000) 및 m-HPC-5의 용융 유동성은 모세관 유량계상에서 연구되었다. m-HPC-5는 170 ℃에서 연구된 반면, HPC는 보다 높은 점도로 인해 190 ℃에서 연구되었다. 두 중합체 모두는 전형적인 열가소성 거동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m-HPC의 점도는 주어진 전단 속도에서 HPC 보다 훨씬 더 낮았다. 예를 들어, 전단 속도 1000 초-1에서, m-HPC-5의 용융 점도는 36 Pa·초인 반면, HPC의 용융 점도는 96 Pa·초이었다. 점도의 감소는 수소 결합의 부분 손실로부터 초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또한 메틸화도가 보다 높은 m-HPC-3의 점성이 170 ℃에서의 m-HPC-5 보다 160 ℃에서 더 낮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HPC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m-HPC는 열처리가능하다. m-HPC는 카버 (Carver) 고온 압착기상에서 약 120 내지 200 ℃에서 필름으로 압착될 수 있다. 처리 조건을 신중히 선택하여, m-HPC는 압출기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그의 열처리능이 주어진 경우, m-HPC는 필름 또는 부직포 섬유 형태로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유발성 기저귀 성분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의 결합제 배합물 및 섬유상 기재가 체액과 접촉되도록 고안된 흡수성 개인 위생용품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광범위한 제품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제품은 단지 섬유상 기재의 단일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술한 부재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합제 배합물 및 섬유상 기재가 개인 위생용품에 특히 적합하지만, 이들은 유리하게는 광범위한 소비 제품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더욱 예시되며, 이것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이에 반하여, 본 명세서의 설명을 숙지한 후, 본 발명의 정신 및(또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제안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실시양태, 변형 및 그의 동등물도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히 이해되어야 한다.
<HPC의 메틸화>
두가지 접근이 HPC를 변성시키는데 취해졌다. 첫번째 접근은 헥산 농도가 0에서 20 부피%로 다양한 아세톤/헥산 혼합물에서의 균일 반응을 포함한다. 두번째 접근은 헥산에서의 비균일 반응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예 1-3에는 반응 수순이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 소재의 아쿠알론사 (Aqualon Company)로부터 구입한 HPC 분말 (70 g, 히드록시기 0.51 몰)을 실온에서 격렬히 교반시키면서 아세톤 2100 ㎖에 첨가하였다. 점성의 헤이지 용액이 약 1 시간 안에 형성되었다. NaOH (80 g, 2.0 몰)를 물 180 ㎖에 용해시키고, NaOH 용액의 약 1/4을 HPC 용액에 적가시켰다. 혼합물을 30 분 동안 교반시켰다. 디메틸 설페이트 (140 g, 1.11 몰) 및 NaOH 용액의 1/2을 동시에 45 분에 걸쳐 2개의 개별 첨가 깔대기로 적가시켰다. 점도는 초기에 증가한 이후, 첨가 동안에는 감소하였다. 반응을 3 시간 동안 수행하고, 그 마지막 무렵에 NaOH 용액의 남은 1/4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추가로 30 분 동안 수행하였다. 중합체를 온수에 침전시키고, 냉수에서 재용해시키고 온수에서 재침전시키므로써 정제시켰다. 최종 생성물을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거의 100%의 수율이 수득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의 운점은 24-27 ℃이었다.
<실시예 2>
HPC (10 g, 히드록시기 0.076 몰)를 30 분 동안 30 중량% 수산화나트륨 용액 60 ㎖에 위치시켜 균일하게 습윤시켰다. HPC를 약간 압착시켜 과잉의 물을 제거한 후, 헥산 300 ㎖에서 분산시켰다. 디메틸 설페이트 (30 g, 0.24 몰)를 실온에서 슬러리에 적가시켰다. 반응을 6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용매를 공기 건조를 통해 제거하였다. 중합체를 온수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수율은 99%를 넘었다. 생성된 중합체의 운점은 28-40 ℃이었다.
<실시예 3>
염화메틸을 사용한 HPC의 변성을 비균일 계에서 수행하였다. HPC (20 g, 히드록시기 0.15 몰)를 57% 수산화나트륨 용액 (물 15 ㎖중의 NaOH 20 g) 35 g과 혼합시켰다. 혼합물을 톨루엔 200 ㎖로 옮겼다. 현탁액을 HPC가 미립자로 파쇄될 때까지 1 시간 반 동안 교반시켰다. 이어서, 톨루엔 100 ㎖중의 염화메틸 (41.2 g, 0.82 몰)을 HPC 슬러리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실온에서 6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톨루엔을 따라 붓고, 생성물을 공기중에서 건조시켰다. 건조 분말을 온수로 세척하여 염화나트륨 및 미반응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켰다. 수율은 100%이었다. 생성된 중합체의 운점은 26-45 ℃이었다.
상기 실시예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균일 계에 의해 좁은 운점 분포를 초래하는 보다 균일한 반응이 얻어졌다. 그러나, 고상물 수준은 종종 낮아서 점도가 높지 않았다. HPC의 각각의 입자는 아세톤에서 고도로 팽윤되어 메틸화제가 반응 동안 각각의 입자의 중심과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나, 중합체 쇄는 충분히 연장되지는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분자량 약 370,000의 HPC의 약 3 중량% 용액에 대한 점도가 처리하기에 용이하였다. 디메틸 설페이트의 신속한 분산은 고속의 교반에 의해 균일한 반응을 보장하므로써 달성되었다. 그 결과, 아세톤에서 제조된 모든 m-HPC의 운점 범위는 일반적으로 4 내지 5 도내로 매우 좁았으며, 이것은 HPC와 매우 유사하였다 (상기 표 1 참조). 이것은 아세톤중의 메틸화가 중합체 쇄를 따라 고르게 일어남을 나타낸다. 아세톤의 수용해도에 의해 중합체의 용이한 회수에 대한 추가의 잇점이 추가된다.
반응시 고상물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헥산/아세톤 혼합물을 사용하여 입자의 팽윤을 경감시켰다. 25% 헥산에 의해 계의 점도가 상당히 경감되어 운점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약 10% 농도에서 변성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HPC의 비균일 변성에 의해 보다 높은 고상물 담지량이 달성되었다. HPC 입자를 농축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예비팽윤시켜 중합체 쇄상에 반응 중심을 만들어서 시약의 용이한 침투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어서, 팽윤된 입자를 헥산 또는 톨루엔으로 옮겨 현탁된 계를 형성하였다. 고상물 담지량은 약 3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메틸화제는 디메틸 설페이트 또는 염화메틸일 수 있다. 그러나, 생성된 m-HPC의 운점 분포는 균일 반응에 비해 3 내지 4 배 더 넓었다. HPC 입자는 완전히 개방되지는 않은 것으로 여겨졌다. 표면상의 중합체의 변성 수준은 최고였으며, 반응 정도는 입자의 중심 쪽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물중의 메틸화제의 용해도가 열등하여 반응이 지연되었다. 용매화 능력을 개선시키는 상승된 온도 및 시약을 입자에 가하는 보다 높은 압력이 반응의 균일성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메틸화에 의한 운점 조정>
메틸화도를1H NMR에 의해 측정하였다. 약 3.5 ppm에서의 피크를 메톡시기로 선정하였다. 메틸화도를 약 1.2 ppm에서 히드록시프로필기 (PO)의 메틸 피크에 대한 메톡시 피크 (MeO)의 비율로서1H NMR에 의해 측정하였다.
히드록시기를 메톡시기로 대체하여 HPC의 소수성을 증가시켰다. 그 결과, m-HPC의 운점은 메틸화도의 증가와 함께 감소되었다.
<실시예 4>
하기 실시예 4-9에 의해 HPC의 운점에 대한 메틸화의 효과가 입증된다.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6.0 ppw중의 NaOH 2.4 ppw 및 아세톤중의 디메틸 설페이트 5.2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53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 (m-HPC-1)의 운점 범위는 19 내지 22.5 ℃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6.0 ppw중의 NaOH 2.4 ppw 및 디메틸 설페이트 3.7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43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인 m-HPC-2의 운점 범위는 23 내지 26.5 ℃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4.0 ppw중의 NaOH 1.5 ppw 및 디메틸 설페이트 3.0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46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인 m-HPC-3의 운점 범위는 23 내지 26 ℃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4.0 ppw중의 NaOH 1.5 ppw 및 디메틸 설페이트 2.8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44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인 m-HPC-4의 운점 범위는 23 내지 28 ℃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4.0 ppw중의 NaOH 1.5 ppw 및 디메틸 설페이트 2.8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39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인 m-HPC-5의 운점 범위는 26 내지 31 ℃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균일 방법을 사용하여, HPC 1.0 중량부 (ppw)를 물 4.0 ppw중의 NaOH 1.5 ppw 및 디메틸 설페이트 2.1 ppw와 반응시켰다. 메틸화도는 0.26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생성된 중합체인 m-HPC-6의 운점 범위는 31 내지 35 ℃이었다.
<열처리>
하기 실시예들은 m-HPC 중합체의 필름 및 섬유 배합물에 대한 실시예이다. m-HPC의 필름 배합물을 165 ℃의 고온 압착기상에서 시험하였다. 중합체에 의해 투명하고 가요성인 필름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또한, 모세관 유량계의 다이를 통해 처리된 경우, m-HPC에 의해 섬유를 성공적으로 매우 용이하게 형성하였다. m-HPC 섬유의 강도는 예외적이었다.
<실시예 10>
m-HPC를 하케 (Haake) 압출기상에서 각각 대역 1, 대역 2, 대역 3 및 다이에 대해 100, 120, 180 및 200 ℃의 온도에서 압출시킨 경우, 연속 시트를 형성하였다. 압출 전 및 후에 시료의 GPC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자량 분석에 의해 처리 동안 열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다 고분자량의 m-HPC에 의해 보다 양호한 필름 품질이 제공되었다.
<실시예 11>
m-HPC의 섬유 방사를 통상의 모듈 방사 라인상에서 수행하였다. 대역 1, 대역 2 및 대역 3에 대한 가열 온도는 각각 125, 150 및 165 ℃이었다. 정적 혼합기 및 다이의 온도는 175 ℃이었다. 중합체를 35 m/분의 감아내림 (drawdown) 속도로 방사 헤드로부터 연속 섬유로서 방출시켰다. 이 속도에서 섬유의 평균 직경은 43 마이크론이었다. 섬유는 신테크 텐사일 테스터 (Sintech Tensile Tester)상에서 측정시 평균 건조 강도가 90 g으로 매우 강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이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 당업계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한, 개시된 수분산성 중합체의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양태 및 용도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내에 드는 것으로 여겨진다.
Claims (38)
- 섬유상 물질을 통합 웹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40 ℃ 미만인 결합제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31 ℃ 미만인 결합제 조성물.
- 제3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6 ℃ 미만인 결합제 조성물.
- 제4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3 ℃ 미만인 결합제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
- 제7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m-HPC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합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결합제 조성물.
-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 및상기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을 통합 웹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9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40 ℃ 미만인 섬유상 기재.
- 제10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31 ℃ 미만인 섬유상 기재.
- 제11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6 ℃ 미만인 섬유상 기재.
- 제12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3 ℃ 미만인 섬유상 기재.
- 제9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이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14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15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m-HPC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합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섬유상 기재.
- 제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천연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17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제9항에 있어서, 섬유상 물질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섬유상 기재.
-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 및상기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을 통합 웹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를 포함하는 결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섬유상 기재를 함유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40 ℃ 미만인 수분산성 제품.
- 제22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31 ℃ 미만인 수분산성 제품.
- 제23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6 ℃ 미만인 수분산성 제품.
- 제24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의 운점이 약 23 ℃ 미만인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결합제 조성물이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6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7항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가 m-HPC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합량을 기준으로 약 7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천연 섬유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9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섬유상 물질이 천연 섬유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섬유상 물질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m-HPC로부터 형성된 유체 불투과성 필름을 더 포함하는 수분산성 제품.
- 제21항에 있어서, 제품이 탐폰, 여성용 패드, 팬티라이너, 기저귀, 상처용 드레싱, 습윤 와이프, 건조 와이프, 타월 및 티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수세식용 (flushable) 개인 위생용품인 수분산성 제품.
-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m-HPC)를 포함하는 수분산성 열성형성 제품.
- 제35항에 있어서, 제품이 1종 이상의 섬유상 m-HPC 물질을 포함하는 수분산성 열성형성 제품.
- 제35항에 있어서, 제품이 m-HPC 필름을 포함하는 수분산성 열성형성 제품.
-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중합체 쇄의 히드록시프로필기상의 제2 히드록시기를 메톡시기로 치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수분산성 결합제 물질로서 사용되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의 운점 조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08/775,223 US5770528A (en) | 1996-12-31 | 1996-12-31 | Methylated hydroxypropylcellulose and temperature responsive products made therefrom |
US8/775,223 | 1996-12-3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9765A true KR20000069765A (ko) | 2000-11-25 |
Family
ID=25103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7005904A KR20000069765A (ko) | 1996-12-31 | 1997-12-12 |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온도 민감성제품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US (1) | US5770528A (ko) |
EP (1) | EP0963403A1 (ko) |
JP (1) | JP2001507735A (ko) |
KR (1) | KR20000069765A (ko) |
CN (1) | CN1248987A (ko) |
AU (1) | AU730649B2 (ko) |
BR (1) | BR9714242A (ko) |
CA (1) | CA2274674A1 (ko) |
IL (1) | IL130378A0 (ko) |
WO (1) | WO19980295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384297B1 (en) | 1999-04-03 | 2002-05-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 dispersible pantiliner |
US5969052A (en) | 1996-12-31 | 1999-10-19 |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water-dispersible products containing the polymers |
US5986004A (en) | 1997-03-17 | 1999-11-1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sensitive polymeric materials |
US6043317A (en) | 1997-05-23 | 2000-03-2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sensitive binder for fibrous materials |
US5976694A (en) | 1997-10-03 | 1999-11-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sensitive compositions for improved processability |
US6149636A (en) * | 1998-06-29 | 2000-11-21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having proactive sensors |
US6186991B1 (en) | 1998-06-29 | 2001-02-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having a responsive system including a mechanical actuator |
US7772455B1 (en) | 1997-11-14 | 2010-08-10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providing improved management of bodily exudates |
US6127593A (en) | 1997-11-25 | 2000-10-0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Flushable fibrous structures |
US5942354A (en) * | 1997-12-02 | 1999-08-24 | Viskase Corporation | Reduced curl battery separator and method |
US20040044130A1 (en) * | 1998-06-26 | 2004-03-04 | Labeau Marie-Pierre | Heat thickening composition for coating slips based on a copolymer having a lower critical solubility temperature |
US6160200A (en) * | 1998-06-29 | 2000-12-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rectionally preferential waste passage member for use with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
CN1309547A (zh) | 1998-06-29 | 2001-08-22 | 宝洁公司 | 带有前摄传感器的一次性用品 |
EP1091720B1 (en) | 1998-06-29 | 2004-05-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responsive system including an electrical actuator |
US6342037B1 (en) | 1998-06-29 | 2002-01-2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evice having fecal component sensor |
US6372951B1 (en) | 1998-06-29 | 2002-04-16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having sensor to detect impending elimination of bodily waste |
ATE255424T1 (de) | 1998-06-29 | 2003-12-15 | Procter & Gamble | Exkrementveränderndes mittel enthaltende windel |
US6160198A (en) * | 1998-06-29 | 2000-12-12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article having a discontinuous responsive system |
US6433244B1 (en) | 1998-06-29 | 2002-08-1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isposable treatment article having a responsive system |
US6359190B1 (en) | 1998-06-29 | 2002-03-19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evice for measuring the volume of a body cavity |
US6387528B1 (en) * | 1998-12-29 | 2002-05-1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Compositions of ion-trigger polymer coatings on water-sensitive polymer films |
SV1999000251A (es) * | 1998-12-31 | 2000-10-16 | Pfizer Prod Inc | Derivados de 3,3-biarilpiperidina y 2,2-biarilmorfolina ref. pcl0085/82805/bb |
US6423804B1 (en) | 1998-12-31 | 2002-07-2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hard water dispersible polymers and applications therefor |
US6713414B1 (en) | 2000-05-04 | 2004-03-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579570B1 (en) | 2000-05-04 | 2003-06-1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7276459B1 (en) | 2000-05-04 | 2007-10-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045826A (en) * | 1999-04-02 | 2000-04-04 |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 Water-soluble compositions of bioactive lipophilic compounds |
KR20020064968A (ko) * | 1999-12-27 | 2002-08-10 |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 제어된 활성제 전달을 제공하는 섬유 |
US7101612B2 (en) | 2000-05-04 | 2006-09-05 |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 Pre-moistened wipe product |
US6653406B1 (en) | 2000-05-04 | 2003-11-25 |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599848B1 (en) | 2000-05-04 | 2003-07-2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429261B1 (en) | 2000-05-04 | 2002-08-0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683143B1 (en) | 2000-05-04 | 2004-01-27 |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444214B1 (en) | 2000-05-04 | 2002-09-0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815502B1 (en) | 2000-05-04 | 2004-11-0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a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548592B1 (en) | 2000-05-04 | 2003-04-1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835678B2 (en) | 2000-05-04 | 2004-12-2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sensitive, water-dispersible fabric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BR0110531B1 (pt) * | 2000-05-04 | 2013-04-30 | formulaÇço polimÉrica para uso em substratos fibrosos, tecido, artigo dispersÍvel em Água, produto descartÁvel e mÉtodo para preparar uma formulaÇço polimÉrica. | |
US6608237B1 (en) * | 2000-08-03 | 2003-08-1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High-strength, stabilized absorbent article |
US6533989B1 (en) | 2000-08-03 | 2003-03-1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ulti-chamber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tabilized absorbent web |
US6533978B1 (en) | 2000-08-03 | 2003-03-1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stabilized absorbent web |
US20050226993A1 (en) * | 2000-10-03 | 2005-10-13 | Nawrocki Jesse G | Medical devices having durable and lubricious polymeric coating |
US6908966B2 (en) | 2001-03-22 | 2005-06-2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828014B2 (en) * | 2001-03-22 | 2004-12-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7070854B2 (en) | 2001-03-22 | 2006-07-0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897168B2 (en) * | 2001-03-22 | 2005-05-2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795464B2 (en) * | 2001-12-10 | 2004-09-21 | Spectra Systems Corporation | Temperature control of laser action in scattering media |
AU2003215352A1 (en) * | 2002-02-20 | 2003-09-09 | Spectra Systems Corporation |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cutaneous photodynamic therapy |
US7772138B2 (en) | 2002-05-21 | 2010-08-1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sensitive, water-dispersible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7101456B2 (en) | 2002-09-20 | 2006-09-05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triggera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7141519B2 (en) | 2002-09-20 | 2006-11-28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triggera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994865B2 (en) | 2002-09-20 | 2006-02-0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triggera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6960371B2 (en) | 2002-09-20 | 2005-11-0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ter-dispersi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7157389B2 (en) | 2002-09-20 | 2007-01-02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Ion triggerable, cationic polymers, a method of making same and items using same |
US20040126585A1 (en) * | 2002-12-27 | 2004-07-01 | Kerins John E. | Water dispersible commode/bedpan liner |
US8217219B2 (en) | 2003-12-29 | 2012-07-1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natomically conforming vaginal insert |
US8168852B2 (en) * | 2004-12-23 | 2012-05-0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ctivated carbon substrates |
US7763061B2 (en) * | 2004-12-23 | 2010-07-2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Thermal coverings |
US20060142712A1 (en) * | 2004-12-23 | 2006-06-2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Absorbent articles that provide warmth |
US7338516B2 (en) * | 2004-12-23 | 2008-03-0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for applying an exothermic coating to a substrate |
US20060147505A1 (en) * | 2004-12-30 | 2006-07-06 | Tanzer Richard W | Water-dispersible wet wipe having mixed solvent wetting composition |
US7651290B2 (en) | 2005-05-09 | 2010-01-26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evice with pull tab activation |
US20070111624A1 (en) * | 2005-11-15 | 2007-05-17 | Tiong Liong Industrial Co. Ltd. | Breathable warm-keeping fabric |
US7950864B2 (en) * | 2005-12-13 | 2011-05-31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evice with internal pull tab activation |
US20070147942A1 (en) * | 2005-12-14 | 2007-06-28 | Sojka Marci E | Water-dispersible device with pull tab activation |
US8425578B2 (en) * | 2006-08-31 | 2013-04-23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Warming product |
US20080064800A1 (en) * | 2006-09-08 | 2008-03-13 | Bruce Edward Wade | Poly(vinyl butyral) Dispersions Comprising a Non-Ionic Surfactant |
US20080153155A1 (en) * | 2006-11-22 | 2008-06-26 | Kota Kato | Microchannel chip |
JP2008151773A (ja) * | 2006-11-22 | 2008-07-03 | Fujifilm Corp | マイクロ流路内混合方法 |
WO2008069711A1 (en) * | 2006-12-08 | 2008-06-12 | Sca Hygiene Products Ab | An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a breathable material layer |
US8187697B2 (en) * | 2007-04-30 | 2012-05-29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Cooling product |
US9149567B2 (en) | 2009-03-11 | 2015-10-06 | Ansell Limited | Powder-free antimicrobial coated glove |
IL198837A0 (en) * | 2009-05-20 | 2010-02-17 | Gilad Hakim | Temperature responsive glazing plate |
EP2625236B1 (en) | 2010-10-07 | 2017-12-13 | Basf Se | Aqueous polish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chemically mechanically polishing substrates having patterned or unpatterned low-k dielectric layers |
US9439549B2 (en) | 2010-12-08 | 2016-09-13 | Georgia-Pacific Nonwovens LLC | Dispersible nonwoven wipe material |
MX353338B (es) | 2010-12-08 | 2018-01-09 | Georgia Pacific Nonwovens Llc | Material de limpieza no tejido dispersable. |
US8821687B2 (en) | 2010-12-10 | 2014-09-02 | H.B. Fuller Company | Flushable article including polyurethane bin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WO2012123839A1 (en) | 2011-03-11 | 2012-09-20 | Basf Se | Method for forming through-base wafer vias |
US9645149B2 (en) | 2011-09-30 | 2017-05-09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ystem for detecting rare cells |
US10130946B2 (en) | 2011-09-30 | 2018-11-20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ystem for detecting rare cells |
WO2014070776A1 (en) | 2012-10-29 | 2014-05-0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Microfluidi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rare cells |
US10113254B2 (en) | 2013-10-31 | 2018-10-30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ersible moist wipe |
US9528210B2 (en) | 2013-10-31 | 2016-12-27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Method of making a dispersible moist wipe |
US9005395B1 (en) | 2014-01-31 | 2015-04-14 | Kimberly-Clark Worldwide, Inc. | Dispersible hydroentangled basesheet with triggerable binder |
US10317406B2 (en) | 2015-04-06 | 2019-06-11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System for detecting rare cells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65913A (en) * | 1933-07-17 | 1941-12-09 | Lilienfeld Patents Inc | Hydroxy alkyl-alkyl ethers of cellulose |
US2306451A (en) * | 1935-03-29 | 1942-12-29 | Lilienfeld Patents Inc | Cellulose derivatives |
US2831852A (en) * | 1954-05-27 | 1958-04-22 | Dow Chemical Co | Water-soluble thermoplastic cellulose ethers |
US3388082A (en) * | 1965-11-01 | 1968-06-11 | Dow Chemical Co | Novel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ethers,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compositions utilizing such ethers |
US3709876A (en) * | 1972-04-10 | 1973-01-09 | Dow Chemical Co | Water soluble hydroxyethyl methyl cellulose ether thickener for latex paint |
US3804092A (en) * | 1973-01-15 | 1974-04-16 | Johnson & Johnson | Water dispersible nonwoven fabric |
US3839319A (en) * | 1973-01-26 | 1974-10-01 | Dow Chemical Co |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ethers and method of preparation |
SE403782B (sv) * | 1973-03-14 | 1978-09-04 | Mo Och Domsjoe Ab | Nonjoniska cellulosaetrar |
US4002171A (en) * | 1975-03-17 | 1977-01-11 | Personal Products Company | Water-dispersible ionic polyurethane binder for nonwoven fabrics |
US4096325A (en) * | 1976-02-20 | 1978-06-20 | Anheuser-Busch, Incorporated | Methyl hydroxypropyl cellulose ethers |
US4309469A (en) * | 1977-08-22 | 1982-01-05 | Scott Paper Company | Flushable binder system for pre-moistened wipers wherein an adhesive for the fibers of the wipers interacts with ions contained in the lotion with which the wipers are impregnated |
CA1214371A (en) * | 1983-11-18 | 1986-11-25 | Borden Company, Limited (The) | Binder for pre-moistened paper products |
EP0445077B1 (en) * | 1990-03-02 | 1994-05-18 | Ciba-Geigy Ag | A method and compositions for textile finishing |
US5196470A (en) * | 1991-03-01 | 1993-03-23 | H. 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 Water soluble alcohol based nonwoven binder for water swellable, soluble or sensitive fibers |
US5252332A (en) * | 1992-07-24 | 1993-10-12 |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 Pre-moistened flushable towlette impregnated with polyvinyl alcohol containing binders |
US5466518A (en) * | 1993-08-17 | 1995-11-14 | Kimberly-Clark Corporation | Binder compositions and web materials formed thereby |
CA2128483C (en) * | 1993-12-16 | 2006-12-12 | Richard Swee-Chye Yeo | Flushable compositions |
US5674513A (en) * | 1996-02-20 | 1997-10-07 | Viro-Kote, Inc. | Anti-bacterial/anti-viral coatings, coating process and parameters thereof |
-
1996
- 1996-12-31 US US08/775,223 patent/US5770528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
- 1997-12-12 EP EP19970951662 patent/EP0963403A1/en not_active Withdrawn
- 1997-12-12 WO PCT/US1997/022861 patent/WO1998029501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2-12 BR BR9714242A patent/BR9714242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2-12 KR KR1019997005904A patent/KR2000006976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2-12 CA CA 2274674 patent/CA2274674A1/en not_active Abandoned
- 1997-12-12 CN CN97181987A patent/CN1248987A/zh active Pending
- 1997-12-12 IL IL13037897A patent/IL130378A0/xx unknown
- 1997-12-12 JP JP53004498A patent/JP2001507735A/ja active Pending
- 1997-12-12 AU AU55239/98A patent/AU730649B2/en not_active Ceas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BR9714242A (pt) | 2000-04-18 |
AU5523998A (en) | 1998-07-31 |
CN1248987A (zh) | 2000-03-29 |
EP0963403A1 (en) | 1999-12-15 |
US5770528A (en) | 1998-06-23 |
IL130378A0 (en) | 2000-06-01 |
AU730649B2 (en) | 2001-03-08 |
WO1998029501A1 (en) | 1998-07-09 |
JP2001507735A (ja) | 2001-06-12 |
CA2274674A1 (en) | 1998-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69765A (ko) | 메틸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및 그로부터 제조된 온도 민감성제품 | |
US5969052A (en) |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water-dispersible products containing the polymers | |
DE60315166T2 (de) | Feuchttücher mit ionenaktivierbaren kationischen polymeren | |
EP0608460B1 (en) | Water-decomposable non-woven fabric | |
US9163355B2 (en) | Highly absorbent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KR101386734B1 (ko) | 분산가능한 젖은 닦개 | |
US5384189A (en) | Water-decomposable non-woven fabric | |
JP3741170B2 (ja) | 水崩壊性複合繊維及び不織布、吸収性物品 | |
DE1904945A1 (de) | Koerperausscheidungen aufsaugende Schichtstoffe | |
JP2020533498A (ja) | 多糖を含む不織ウェブ | |
EP1485432A2 (de) | Polymergemische mit verbesserter geruchskontrolle | |
KR102556589B1 (ko) |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70089974A (ko) | 생분해성 강화 섬유를 함유하는 흡수성 복합체 | |
JP2000504767A (ja) | 水及び塩溶液の高い吸収能を持つ物質の調製法 | |
KR102205294B1 (ko) | 나노 셀룰로오스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에 전분을 가교시켜 제조한 고흡수성 흡수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EP2863785B1 (en) | Binder for flushable nonwoven fabric | |
CA1186499A (en) | Absorbent web structure | |
US20060079631A1 (en) | Method for preparing water-absorbent polymer composite and accumulated material thereof | |
MXPA99006198A (en) | Temperature sensitive polymers and water-dispersible products containing the polym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9062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