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55515A -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515A
KR20000055515A KR1019990004167A KR19990004167A KR20000055515A KR 20000055515 A KR20000055515 A KR 20000055515A KR 1019990004167 A KR1019990004167 A KR 1019990004167A KR 19990004167 A KR19990004167 A KR 19990004167A KR 20000055515 A KR20000055515 A KR 2000005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ember
bush
pipe
vehic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호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9000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515A/ko
Publication of KR2000005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5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1Joining by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부시로 승차감 개선을 위한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인너 파이프의 중심 중앙에 개재되는 러버부재를 가류 접착하면서 외주면에 설치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러버부재의 양측 아웃터 파이프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는 인너 외파이프와,
상기 인너 외파이프에 가류 접착되면서 러버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개재되는 사이드 러버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BUSHING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부시로 승차감 개선을 위한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관한 것이다.
도2는 미끄럼형 부시를 도시한 도면으로. 미끄럼 부시(1)는 인너 파이프(2)의 중심 외주연에 돌출시킨 미끄럼부(4)를 형성하고, 미끄럼부(4)의 외주연에 수지 베어링(6)을 개재하면서 이루어지는 중간 파이프(8)와, 중간 파이프(8)의 양측 가장자리에 조립되면서 인너 파이프(2)에 삽입되는 더스트커버(10)와, 중간 파이프(8)의 외주면에 러버부(12)를 개재한 외측에 아웃터 파이프(14)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더스트 커버(10)와 인너 파이프(2)사이에는 공간부(16)를 형성하여 그리이스를 충진하고 있다.
미끄럼 부시(1)에 비틀림 운동 발생시 미끄럼부(4)에서 미끄럼이 발생하여 비틀림 방향으로 스프링 특성이 매우 낮게 된다.
미끄럼 부시(1)가 반경 방향 운동시 러버부(12)에서 스프링특성을 발생하게 한다.
도3은 일반적인 부시(18)를 도시하고 있는데, 인너 파이프(20)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아웃터 파이프(22)두고, 그 사이에 러버부(24)를 가류 접착하여 개재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차량 특성상 현가장치의 부시는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을 작게 설정하여 승차감을 향상시켜야 하고, 반경방향 스프링 특성은 높게 설정하여 조종 안정성을 향상해야 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일반적인 부시는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이 크기 때문에 승차감이 불리한 점이 있다.
또 일반적인 부시는 비틀림방향, 반력방향 스프링 특성을 독립적으로 설정하기는 불가능하다.
미끄럼 타입 부시는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이 작기 때문에 승차감에는 유리하지만 부시의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부시로 승차감 개선을 위한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2는 종래의 미그럼형 부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의 부시를 도시한 도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있어서,
인너 파이프의 중심 중앙에 개재되는 러버부재를 가류 접착하면서 외주면에 설치되는 아웃터 파이프와,
상기 러버부재의 양측 아웃터 파이프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는 인너 외파이프와,
상기 인너 외파이프에 가류 접착되면서 인너 파이프의 외주면에 개재되는 사이드 러버부재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부시에 비틀림 운동이 발생할 경우 부시에서만 비틀림 운동이 발생하는데, 이는 사이드 러버부재와 인너 파이프사이에는 슬립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반경 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러버부재와 사이드 러버부재에 모두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부시의 스프링 특성은 러버부재와 사이드 러버부재의 특성을 더한 값이 된다.
기존 부시 대비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은 낮게 설정된 반경방향 스프링 특성은 동등 또는 설계목적에 따라 변경 가능 사이드 러버부재의 경도를 러버부재와 별도로 제작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30)는 인너 파이프(32), 아웃터 파이프(34),인너 외파이프(36), 사이드 러버부재(38)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인너 파이프(32)는 현가장치의 일정축에 삽입되는 파이프이다.
아웃터 파이프(34)는 인너 파이프(32)의 중심 중앙에 개재되는 러버부재(40)를 가류 접촉하면서 외주면에 설치되고 있다.
인너 외파이프(36)는 러버부재(40)의 양측 아웃터 파이프(34) 내주면에 억지끼움되고 있다.
사이드 러버부재(38)는 인너 외파이프(36)에 가류 접착되면서 인너 파이프(32)의 외주면에 개재되고 있다.
사이드 러버부재(38)는 인너 파이프(32)와는 가류 접착되지 않고 갭(42)을 두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부시(30)가 인너 파이프(32)와 아웃터 파이프(34) 사이에 러버부재(40)를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하나의 부시와, 인너 외파이프(36)와, 인너 파이프(32)와의 사이에 사이드 러버부재(38)를 개재하여 또 하나의 부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부시(30)에 비틀림 운동이 발생할 경우 부시(30)에서만 비틀림 운동이 발생하는데, 이는 사이드 러버부재(38)와 인너 파이프(32)사이에 형성된 갭(42) 때문에 슬립이 발생한다.
반경 방향 하중이 작용할 경우에는 러버부재(40)와 사이드 러버부재(38) 모두에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부시(30)의 스프링 특성은 러버부재(40)와 사이드 러버부재(38)의 특성을 더한 값이 된다.
기존 부시 대비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은 낮게 설정되나 반경방향 스프링 특성은 동등 또는 설계목적에 따라 사이드 러버부재(38)의 경도를 러버부재(40)와 별도로 제작 변경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부시(30)는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을 작게 설정하므로서 승차감 향상이 이루어지고, 반경방향 스프링 특성은 높게 설정됨에 따라 조종 안정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가장치 부시는 비틀림 방향 스프링 특성을 작게 설정할 수 있어 승차감 향상이 이루어진다.
또, 반경방향 스프링 특성을 넓게 설정하므로서 조정 안전성의 향상이 이루어진다.

Claims (2)

  1.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에 있어서,
    인너 파이프(32)의 중심 중앙에 개재되는 러버부재(40)를 가류 접착하면서 외주면에 설치되는 아웃터 파이프(34)와,
    상기 러버부재(40)의 양측 아웃터 파이프(34) 내주면에 억지 끼움되는 인너 외파이프(36)와,
    상기 인너 외파이프(36)에 가류 접착되면서 러버부재(40)의 양측에 배치되어 인너 파이프(32)의 외주면에 개재되는 사이드 러버부재(38)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이드 러버부재(38)와 인너 파이프(32)사이에 갭(42)을 형성하여 슬립이 발생하게 이루어지는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KR1019990004167A 1999-02-08 1999-02-08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KR20000055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67A KR20000055515A (ko) 1999-02-08 1999-02-08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167A KR20000055515A (ko) 1999-02-08 1999-02-08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515A true KR20000055515A (ko) 2000-09-05

Family

ID=19573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167A KR20000055515A (ko) 1999-02-08 1999-02-08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5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384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동 안정성 및 횡강성이 향상된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CN111457043A (zh) * 2020-05-15 2020-07-28 福沃克汽车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汽车副车架衬套
CN112060898A (zh) * 2019-06-10 2020-1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防倾悬置装置
CN114506196A (zh) * 2022-02-25 2022-05-17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实时可调的车辆悬置及相应的车辆
CN114987128A (zh) * 2021-03-01 2022-09-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衬套、悬架系统及车辆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384A (ko) * 2001-07-12 2003-01-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동 안정성 및 횡강성이 향상된 차량용 리어 서스펜션
CN112060898A (zh) * 2019-06-10 2020-12-11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防倾悬置装置
CN111457043A (zh) * 2020-05-15 2020-07-28 福沃克汽车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汽车副车架衬套
CN114987128A (zh) * 2021-03-01 2022-09-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衬套、悬架系统及车辆
CN114506196A (zh) * 2022-02-25 2022-05-17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实时可调的车辆悬置及相应的车辆
CN114506196B (zh) * 2022-02-25 2024-05-14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限位实时可调的车辆悬置及相应的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3990A (en) Bushing structure in a vehicle suspension system
EP2581241B1 (en) Single-shaft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vehicle chassis parts
US8985604B2 (en) Cross axis joint with elastomeric isolation
US6425576B1 (en) Suspension arm bushing of vehicle
KR20000055515A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부시
US20040017034A1 (en) Vibration isolating bushing
KR102224010B1 (ko) 차량의 서스펜션용 미끄럼 부시
JPH11325145A (ja) 防振ゴムブッシュ
KR102463446B1 (ko) 스테빌라이저 부시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JP4358874B2 (ja) 防振ブッシュ
JPH04321420A (ja) スタビライザーリンクロッド
JPS6325405Y2 (ko)
KR200292103Y1 (ko) 자동차용 트레일링 아암 부시
CN222538621U (zh) 稳定杆组件及车辆
JPS633485Y2 (ko)
KR100398224B1 (ko) 버스용 에어서스펜션의 부시 마모 방지구조
KR100203073B1 (ko) 차량용 러버 부시 및 그 제조 방법
JP3852292B2 (ja) 自動車用の防振ブッシュ構造
JPS632674Y2 (ko)
JPS609045Y2 (ja) 車両サスペンシヨンのラバ−ブツシユ
KR20040033803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어컨트롤암 부시
JPS609046Y2 (ja) 車両サスペンシヨンのラバ−ブツシユ
JPS5952304B2 (ja) 弾性ブツシユの取付構造
KR20090049479A (ko) 스태빌라이저 바의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06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011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