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30009A - 편안하게치아를교체하기위한골내의개별치아이식물,스탬핑공구및상기개별치아이식물용위치설정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편안하게치아를교체하기위한골내의개별치아이식물,스탬핑공구및상기개별치아이식물용위치설정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009A
KR20000030009A KR1019997001301A KR19997001301A KR20000030009A KR 20000030009 A KR20000030009 A KR 20000030009A KR 1019997001301 A KR1019997001301 A KR 1019997001301A KR 19997001301 A KR19997001301 A KR 19997001301A KR 20000030009 A KR20000030009 A KR 20000030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e
spacer sleeve
disposed
locking
cr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키르슈악셀
뒤어발터
Original Assignee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이엠제트 페르티궁스 운트 페르드립스 게젤 샤프트 피어 덴탈레 테크놀로지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이엠제트 페르티궁스 운트 페르드립스 게젤 샤프트 피어 덴탈레 테크놀로지 엠베하 filed Critical 디에테르 레브하르트
Publication of KR20000030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0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sitio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치아 교체 보철용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은 그 관형상 단부에 일단막힘 개구를 갖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인 기저부와, 경부의 센터링 칼라를 갖는 스페이서 슬리브와, 이식물 포스트를 수용하는 치관을 향하여 개방된 보어와, 치아 보철용 고정 헤드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규칙적으로 분포된 잠금 그루브의 제 1 수가 본체의 전방 에지 바로 뒤에서 중공 원통형 리세스의 내벽에 성형된다.

Description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 스탬핑 공구 및 상기 개별 치아 이식물용 위치설정 보조장치{ENDOSTEAL SINGLE TOOTH IMPLANT SECURED AGAINST TORSION, STAMPING TOOL AND POSITIONING AID FOR PRODUCING SUCH A SIGLE TOOTH IMPLANT}
전술한 유형의 개별 치아 이식물은 독일 특허 출원 제 195 34 979.2 호(조기 공개되지 않음)의 개시내용으로서, 그 수가 미세 분포를 사전결정하는 이식물의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에 의해서 동일 또는 더 작은 수의 돌출부 또는 스페이서 슬리브상의 캠 각각과 함께 작동한다. 예컨대 스페이서 슬리브에 의해서 사전결정된 바와 같이, 회전에 대해서 대칭이 아닌 소정의 구성요소가 이식물상에 제공되며, 주로 가능한 한 좁은 각위치를 등간격으로 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술한 이식물을 사용하면, 스페이서 슬리브를 본체에 대해서 30。의 각도 단계로 오프셋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것을 정렬한다. 그러나, 이 미세 분포는 또한 가능한 오정렬과 오배치와 관련된 설치물의 회전 위험을 유발하는데, 이것의 평가액은 몇가지 환경에서 타원형 캐비티에 있어서는 어렵다. 이것은 특히 소정의 몇 개의 이식물을 환자의 입속에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한다. 오배치는 이식물상에 생화학적 및 생리적 스트레스를 가져와 이식물 주변의 뼈의 손상을 가져온다. 이식물의 손상은 이 상황에서 궁극적인 결과로서 가능하다. 또한, 미세 정렬의 가능성은 의치술의 면에서 최적의 심미적 주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입안에 오정렬의 위험이 실제로 배제되고, 미세 정렬의 동일 가능성을 보유하도록 상술한 개별 치아 이식물을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목적은 스페이서 슬리브의 본체로의 적당한 변위 전에 제 2 수가 제 1 수의 총배수이며,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중에서 단지 이들만이 최종적으로 스페이서 슬리브에 존재하여 본체에 대해 소망 정렬을 결정하여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는 본체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기본적으로 원의 세그먼트의 형태의 단면을 반경방향 평면에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는 치관 단부에 가이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은 경부 방향으로 캠 루트로부터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캠 루트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포스티브-잠금 캠은 본체의 전방 에지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본체 포스티브 잠금 그루브의 대응 직경보다 다소 크다.
기본적으로, 본 과제의 해결책은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만 그리고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만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 적용에 있어서,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가 3개가 바람직하며 스페이서 스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이 12개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본체의 벽 두께는 대규모의 표면에 걸쳐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기본구성요소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의 감소된 수--특허 출원 제 195 09 762.9-32 호에 개시된 이식물에 대응하는 12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예컨대 3까지--상당한 기계적 편장점을 제공한다. 이것은 이식물과 스페이서 슬리브 사이에 강성 증가를 유도한다. 최종 개별 치아 이식물에 관해서, 12개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의 정확한 정렬의 결정 후 9개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3개의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를 갖는 기본구성요소와 결합하여 120。의 각단계만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개별 치아 이식물을 가지면, 준비 위상의 미세분포 가능성이 유지되므로, 환자의 입안에 배치되는 동안 정확한 정렬이 결정되기에 용이하다. 동시에,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 회전 안정성이 고도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치아 이식물에 있어서, 독일 특허 출원 제 195 09 762.9-32(조기 공개되기를 원치않음)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체의 환상 개구의 나산속으로 가능한 정확히 끼어맞춤되며, 최적의 응력이 스페이서 슬리브의 포스티브와 마찰과 그로인한 본체에 대한 치아의 변위의 잠금으로 인하여 확보된다.
또한, 스페이서 슬리브의 포스티브-잠금 캠은 경부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며, 본체와 스페이서 슬리브 사이의 연결관계의 안정성과 정밀성은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와 포스티브-잠금 캠 사이의 이 수단에 의해서 제조와 관련된 공극의 공차는 보상되며,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에 대해 포스티브-잠금 캠의 문제없는 비틀림 결합이 보증된다.
초과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을 제거하기 위해서, 스페이서 슬리브용 리셉터클 수단과 절단 수단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한 스탬핑 공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절단 수단은 스페이서 슬리브의 포스티브-잠금 세그먼트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거의 환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그 수가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의 수에 대응하고, 피치 원을 따라 측정된 거리는 스페이서 슬리브상의 그 지지면에서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의 피치 원을 따라 측정되는 거리에 적어도 대응하는 개구가 배열되어 있다.
오류 캠을 스탬핑하는 위험을 피하기 위한 위치설정 보조장치가 마찬가지로 유용하다. 스페이서 슬리브가 그 내부에 위치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는 위치설정 보조장치는 연장되며, 고정되고, 위치설정 그루브가 스페이서 슬리브와 사용되는 본체의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와 그 배열이 일치하는 개구안에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의 분포를 지시하는 표시가 지지체상에 제공되며, 특히 정확한 위치결정을 위한 "부피가 큰" 하부구조체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오며, 이 실시예는 개략적인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에 관한 것으로, 턱뼈내의 보어안에 배치될 수 있는 거의 실린더형 본체를 가지며, 이 본체는 그 치관 단부에 일단막힘형 보어 개구를 가지며, 회전방지되도록 본체의 치관 전방부상에 배치될 수 있는 스페이서 슬리브를 가지며, 슬리브는 본체의 치관 단부에 배치된 중공 원통형 환상 개구안에 배치될 수 있는 경부 센터링 칼라를 포함하며, 본체의 치관 전방부상에 배치될 수 있는 숄더를 가지며, 그 치관 단부가 개방된 보어를 가지는데 이것은 기본 요소의 일단막힘 보어속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페이서 슬리브를 통과하며, 치아 교체용 고정 헤드를 형성하는 치관이 개방된 본체의 이식물 포스트를 수용하며, 제 1 수의 포스티브 잠금 그루브(positive-lock groove)가 중공 실린더형 환상 개구의 내벽에 배치되고 직접적으로 본체의 전방부를 따르며, 그루브는 본체의 원주에 대해서 정규 분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캡을 가지는데 이것은 기본구성요소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에 상보적이도록 형상을 가지며, 캠은 포스티브-잠금 세스먼트의 센터링 칼라의 외벽상에 배열되며(이 스페이서 슬리브의 원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정규 분포됨), 그 외경은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의 면적에 있어서 본체의 내경과 일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탬핑 장치(stamping tool)뿐만 아니라 개별 치아 이식물, 특히 그것의 스페이서 슬리브와 같은 것을 제조하는 위치설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의 본체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스페이서 슬리이브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스탬핑 공구의 부분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스탬핑 공구의 부분 평면도이며,
도 5는 스탬핑 공구용 절단 수단과 리셉터클 수단의 축방향 종단면도이며,
도 6은 위치설정 보조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위치설정 보조장치의 축방향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거기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개별 치아 이식물은 예컨대 DE-PS 40 28 855와 이미 언급한 독일 특허 출원 제 195 34 979.2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유형의 본체(10)를 포함한다. 그 각각의 경부 말단(도 1에 저부로 도시됨)이 밀봉되도록 형성된 본체(10)는 도 1에서 상부에 배치된, 그 치관 말단을 향하여 일단막힘 보어 개구를 포함한다. 일단막힘 보어의 경부 말단 근처에, 이식물 포스트(도 1에 도시되지 않음)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더 작은 직경을 갖게 나사가공 내부(도면에서 볼 수 없음)를 가진다. 나사가공 내면에 대해서 확장된 직경을 갖는 환상 개구(14)가 있다. 환상 개구(14)는 이 나사가공 내면에 치관 결합되는 센터링부(16)를 포함한다. 안내부(20)는 치관 방향으로 이 센터링부에 결합되며, 가이드부속에 환상 개구(14)는 직경이 더 확장된 평활한 중공 원통형 내벽을 가진다. 환상 개구(14)의 포스티브 잠금부(24)는 가이드부로부터 본체(10)의 치관 전방 에지(22)까지 연장되며, 다수의 축방향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임)가 환상 개구(14)의 내벽에 형성되어 있다.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는 본체(10)의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며, 기본적으로 원형 세스먼트 형상인 단면을 반경방향 평면에 가진다. 각각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는 그 치관 단부, 즉 전방 에지에 대면하는 단부에 원뿔형 베벨이 전방 에지(22)로부터 빠져나올 때 축방향으로 거의 직선 벽을 갖는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의 일부가 되게 가이드면(28)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스페이서 슬리브(30)는 치아의 편안한 교체에 대한 고정 헤드(도시암함)로서 독일 특허 출원 제 195 09 762.9 호에 도시된 방식으로 작동한다. 스페이서 슬리브(30)는 축방향으로 기다란 보어(32)를 구비하는데 이것의 내직경은 이식물 포스트(도시안함)의 외직경에 일치한다. 또한, 치아 교체용 원주방향 지지 숄더(34)를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방 에지(22)에 배치될 수 있는 숄더(36)에 있어서, 숄더는 원주방향 환상 숄더로서 형성되며, 스페이서 슬리브(30)는 경부 방향으로 포스티브 잠금 세그먼트(38)와, 가이드 세그먼트(40)와 센터링 세그먼트(42) 및 센터링 칼라(44)를 포함한다. 포스티브-잠금부(38)에서, 축방향과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포스티브-잠금 캠(46, 46a)이 형성되어 있는 데, 이것의 수는 본체의 포스티브 잠금 그루브(26)의 수의 총배수이다. 도 2에 따른 대표예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 46a)중에서 이 실시예에 대해서는 단지 4개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포스티브-잠금부(38)의 둘레에는 실제로 12개가 있을 수 있다. 각각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은 그 형상[가이드면(28) 제외]에 있어서 본체(10)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에 대응한다.
스페이서 슬리브(30)가 본체(10)안에 배치되는 동안, 센터링 세그먼트(42)는 환상 개구(14)의 센터링부(16)에서 결합한다. 스페이스 슬리브(30)의 가이드 세그먼트(40)는 본체(10)의 가이드부(20)에서 비틀림 끼임부에 안착한다.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 중,--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는 방식으로 -- 하나가 제거되는데, 그 위치는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에 대응하지 않을 것이지만 스페이서 슬리브(30)를 본체(10)상에 정확히 정렬한다. 스페이서 슬리브(30)의 다른 배치 중, 잔존 포스티브-잠금 캠, 예컨대 포스티브-잠금 캠(46)은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안에 결합되며, 숄더(36)는 전방 에지(22)상에서 멈춤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슬리브(30)는 본체(10)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식물 포스트에 의해서, 본체(10)의 나사가공 내면속으로 나사결합되며 스페이서 슬리브(30)는 본체(10)와 고정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불필요한 스페이서 슬리브 가이드 캠의 제거용 스탬핑 공구는 도 3에 부분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기저부(50)는 발이 달린 하부구조체(48)상에 결정되며 상기 기저부는 기본적으로 T-자형 단면을 가지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설명된 바와 같이, 하부구조체(48)에 평행한 세그먼트는 기능과 안정성에 관한 필요조건에 따라 다른 두께를 갖게 구성된다. T-기저부(50)의 제 1 단부 세그먼트에서, 하부구조체(48)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는 스테이(56)가 정렬되며 나사(58)에 의해서 기저부(50)의 세그먼트와 단단히 결합되며, 이에 대응하여 육중하게 형성된다. 또한 스페이서 슬리브용 리셉터클 수단은 이 영역에 배치되며, 이 수단들은 본질적으로 도 5에 상세히 개시된 바와 같이, 매트릭스를 갖는 위치설정 캠(8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위치설정 보조장치가 배치되는데 이것은 노치(580)에서 기저부(50)에 배치되며 그 안에 고정된다. 종방향 보어(86)는 위치설정 캠(84)를 통해 연장되며, 보어는 기저부(50)속으로 연장되며 이속에서 핀(88)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이젝터 레버(60)와 함께 작동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기다란 보어(86)는 하부 구조체(48)에 평행한 기저부(50)의 아암으로 진출한다. 기저부(50)의 세그먼트가 상태적으로 얇게 형성된 전이부에 결합되고 탭(54)에서 종료되는 부피가 큰 돌출부(52)가 나사(58)에 대면하는 기저부(50)의 단부상에 배치된다. 돌출부(52)의 일단막힘 개구에서, 보유 스프링(64)이 이미 언급한 이젝터 레버(60)와 그 자유 단부가 결합되게 고정되어 있다. 이젝터 레버(60)는 스페이서 슬리브용 리셉터클 수단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회전 축선(62)에 대해서 피봇운동 가능하다. 이젝터 레버(60)의 비교적 짧은 레버 아암의 자유 단부에 플런저(110)가 위치설정 캠(84)의 종방향 보어(86)와 정렬되고 핀(88)상에서 작동하도록 배치된 개구(66)가 있다. 보유 스프링(64)에 의해서, 이젝터 레버(60)의 더 긴 레버와 결합하며, 이젝터 레버(60)는 플런저(110)가 핀(88)상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작동자가 이젝터 레버(60)의 더 긴 레버 아암의 자유 단부상에 버튼(68)을 가질 때, 플런저(110)가 종방향 보어(86)로 견인되고, 위치설정 캠(84)에 근접하게 배치된 스페이서 슬리브가 그로부터 비틀림운동하도록 이 레버는 그 축(62)에 대해서 회전한다. 이 과정은 도 5를 참고할 때 더 분명하게 설명된다.
스프레이(56)의 단부에서(도 3에서 상부), 압력 레버(70)가 그 일단부 근처에 배치된 회전축(72)에 대해서 피봇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위치설정 캠(84)위에 놓이는 작동 상태에서, 플런저(82)를 이동시키는 압력 이식물(80)이 보어형 구멍(74)속에 배치된다. 회전축(72)에 대향하는 압력 레버(70)의 자유 단부는 도면에서 상부로부터 저부까지 연장된 개구(76)를 포함하며 이것을 통해서 아암(90)이 개구(76)안에 배열된 축방향 로드(78)로부터 매달려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아암(90)에 배열된 종방향 슬롯(96)으로 안내되며, 이 아암의 차원은 축방향 로드(78)에 대해 수직하다. 하부구조체(48)를 향하는 방향으로 현수되어 있는 아암의 단부는 기저부(50), 특히 그 탭(54)과 대면하고 스탬핑 공구의 작동 상태에 이 탭을 수용하는 개구(92)를 포함한다. 개구(92) 밑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54)의 베벨면에 평행한 베벨부(94)를 더 포함한다. 현수 단부에 대향하는 아암(90)의 자유 단부는 회전 디스크(100)가 편심 결합하는 회전 축(98)을 형성한다. 작동 노브(104)를 지탱하는 레버 로드(102)는 회전 디스크(100)에 나사결합된다. 회전 디스크(100)에 부착된 두 개의 핀(106, 108)은 회전 디스크(100)의 운동을 제한한다.
도 3은 이미 사용된 스페이서 슬리브가 소망 방식으로 정확히 고정되는 상태의 스탬핑 공구를 도시한다. 이제 스페이서 슬리브를 제거하기 위해서, 회전 디스크(100)는 레버 로드(102) 또는 작동 노브(104) 각각의 도움으로 화살표(B) 방향으로 더 피봇운동하여 하부구조체(48)에 위치되는 기다란 슬롯(96)의 단부에서 축방향 로드(76)의 사전고정 안착이 포기된다. 축방향 로드(78)는 가이드로서 더 이상 배제되지 않으며 오히려 아암(90)이 핀(106)의 작동에 의해서 탭(54)과 리세스(92) 사이의 공극에서 피봇운동할 수 있는 회전축으로서 작동을 하며 아암(90)과 기저부(50) 사이의 잠금이 이에 의해서 해제된다. 압력 레버(70)는 이제 회전축(72)에 결합되는 단부사의 그 안착면(116)이 스테이(56)의 대응 안착면(118)에 제공될 때까지 회전축(72)에 대해서 피봇운동될 수 있다. 이젝터 레버(60)의 도움으로, 최종 스페이서 슬리브가 다시 올려져 전술한 방식으로 위치설정 숄더로부터 제거되고, 새로운 스페이서 슬리브가 적소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탬핑 공구가 압력 레버(70)를 역으로 피봇운동시켜서 그 작동 위치로 되게 다시 폐쇄시킬 수 있다. 압력 레버(70)로부터 매달려 있는 아암(90)은 처음에 탭(54)의 경사 표면상에서 그 베벨(94)에 놓이며, 그 다음 과정에서 탭(54)을 통해서 개구(92)와 스냅결합한다. 아암(90)의 기다란 슬롯(96)의 에지(하부 구조체를 지적함)상의 축방향 로드(78)의 제공에 의해서 제한될 때 까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다. 핀(108)은 이 운동에 대한 회전 제한을 형성한다.
도 4는 특히 도 3의 스탬핑 공구의 평면도에서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도시된 중공형 요소로서 형성된 하부구조체(48)의 세부사항을 도시한다. 기저부(50)는 나사 등(도시안함)에 의해서 하부구조체(48)에 고정된다. 이 고정 수단의 양 측부상에, 매가진(140, 142)이 소형 부품, 교체 매트릭스 등을 위해 제공되어 있으며, 매가진(142)에 대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피봇 볼트(144)에 대해서 하부구조체(48)로부터 떨어져 피봇운동할 수 있다. 핀의 형태인 피봇운동 멈춤부(도시안함)가 각각의 매가진(140, 142)의 플로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치설정 캠(84)을 상호교체가능하게 수용하는 노치(580)는 도 4에 특히 명백히 도시될 수 있다.
도 5에 축방향 종단면으로 도시된 위치설정 캠(84)은 본질적으로 중공형이며 원통형이고 그 축방향 길이의 대략 중심에 압축부(840)를 포함한다. 숄더를 관통하는 종방향 보어(86)안에, 종방향 보어986)의 내부안에 지지되는 나선형 스프링(882)에 의해서 장전된 핀(88)이 있으며, 이 핀은 그 단부가 후에 이젝터 레버[도 3에서 참조부호(60)임]와 대면하는 위치설정 캠(84)를 구비하는 압력판(842)에 의해서 기다란 보어(86)안에 고정되며 이것은 압력판(842)에 제공된 개구(844)를 관통하여 돌출된다. 이 핀의 돌출 세그먼트(844)는 관형상이 되도록 성형된다. 위치설정 캠(84)의 배치중, 왕관형상 세그먼트(884)는 도 3과 결합하여 특정되는 기저부(50)의 개구속에 스냅결합되며, 개구는 기다란 보어(86)로 연속된다. 위치설정 캠(84)에 대략 위치설정된 스페이서 슬리브(30)가 들려올려진 후, 이젝터 레버(60)(도 3)의 플런저(110)가 핀(88)을 역방향으로 가압하여 기다란 보어(86)의 내부로 도입될 때까지 위치설정 캠(84)은 제거될 수 없다. 절단 수단(850)은 -- 조립된 상태로 리셉터클(846)내의 압력 레버(70)에 대면하는 -- 위치설정 캠(84)안에 정렬되고, 설치된 스페이서 슬리브(30)의 불필요한 포스티브-잠금 캠을 절단한다. 따라서 절단 과정이 스페이서 슬리브(30)의 기다란 보어(32)를 통해 안내되고 가압 이식물(80)의 플런저(82)가 작동하는 압력 핀(860)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6과 도 7은 평면도로서 또한 각각 종단면도로서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스탬핑 공구의 위치설정 캠(84)에 예컨대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설정 보조 장치를 도시한다. 위치설정 보조장치는 그 외부 에지에서 그 상측부와 하측부상에 환상 보강체(122)를 구비하는 환상 지지체(120)로 구성된다. 스페이서 슬리브를 제조하기 위한 본체의 구성에 따르면, 보강체(122)로부터 연장되는 아암(124)은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의 자유 단부는 개구(128)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형상이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에 일치하는 위치설정 그루브(126)에서 종료된다. 스탬핑 공정에 의해서 처리되는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그루브는 위치설정 보조장치안에 보호되게 놓인다. 보강체(122)상에 형성된 표시(130, 132)는 각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표시(130)는 30°각공간을 도시한다. 이 때 참조 번호(132)의 많은 지시자들은 실제 위치설정 보조물을 나타낸다. 소위 가상 구조체(dummy structure)와 관련되어 사용된다.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을 30°씩 분포하면, 이러한 5개의 가상 구조체가 가능한 각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 요구되는데 -- 그 하나는 0°위치(위치설정 보조장치로서 표시 2), 다른 하나는 -30°위치 (표시 1), 또 다른 하나는 -60°위치 [표시 0, 보강체(122)상의 시계방향에서 더 판독됨], 제 4의 +30°위치(표시 3) 및 제 5의 +60°-- 반대로 표시 0에 대응한다.
정확한 정렬이 가상 구조체의 도움으로 결정되면, 스페이서 슬리브는 위치설정 보조물의 대응 표시에 따라 적소에 놓여질 수 있어서 이식물에 후에 요구되는 캠은 그루브(126)안에 보호되게 놓인다.
상기 명세서,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독자적으로 그리고 또한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실현화를 위해서 기본적일 수 있다.

Claims (9)

  1.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로서, 턱뼈내의 보어안에 배치될 수 있는 거의 원통형 본체(10)를 가지며, 상기 본체는 그 치관 단부에 일단막힘형 보어 개구를 가지며, 회전방지되도록 본체의 치관 전방부상에 배치될 수 있는 스페이서 슬리브(30)를 가지며, 상기 슬리브는 본체(10)의 치관 단부에 배치된 중공 원통형 환상 개구(14)안에 배치될 수 있는 경부 센터링 칼라(44)를 포함하며, 본체(10)의 치관 전방 에지(22)상에 배치될 수 있는 숄더(36)를 가지며, 그 치관 단부가 개방된 보어(32)를 가지는데 이것은 기본 요소(10)의 일단막힘 보어속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페이서 슬리브(30)를 통과하며, 치아 교체용 고정 헤드를 형성하는 치관이 개방된 본체의 이식물 포스트를 수용하며, 제 1 수의 포스티브 잠금 그루브(26)가 중공 실린더형 환상 개구(14)의 내벽에 배치되고 직접적으로 본체(10)의 전방부를 따르며, 그루브는 본체의 원주에 대해서 정규 분포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 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을 가지는데 이것은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에 상보적이도록 형상을 가지며, 캠은 포스티브-잠금 세스먼트의 센터링 칼라(44)의 외벽상에 배열되며 이 스페이서 슬리브의 원주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정규 분포되며, 그 외경은 본체(10)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의 면적에 있어서 본체의 내경에 일치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브(30)의 본체(10)로의 적당한 변위전의 제 2 수는 제 1 수의 총배수이며,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 중에서 단지 이들만이 본체(10)에 대한 스페이서 슬리브(30)의 소망 정렬을 결정하도록 스페이서 슬리브(30)상에 최종적으로 남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골내의 개별 치아 이식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들은 본체(10)의 종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며, 반경방향 평면에 거의 원형 세그먼트인 단면을 가지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개별 치아 이식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는 그 치관 단부에 가이드면(2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개별 치아 이식물.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은 캠 루트로부터 경부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캠 루트 근처의 적어도 하나의 포스티브-잠금 캠의 직경은 반경방향 평면에서 측정되며 본체(10)의 전방 에지(22) 근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의 대응 직경보다 다소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개별 치아 이식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개별 치아 이식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안하게 치아를 교체하기 위한 개별 치아 이식물.
  7. 특히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른 개별 치아 이식물용 스페이서 스리브를 제조하는 스탬핑 공구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브(30)용 리셉터클 수단(84)과 절단 수단(86)으로서, 절단 수단(86)은 상기 스페이서 슬리브(30)의 포스티브-잠금 세그먼트(38)의 직경에 그 직경이 대응하는 거의 환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개구안에 배치되며, 이것의 개수는 본체의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의 수에 일치하며, 피치 원을 따라 측정되는 그 거리는 스페이서 슬리브(30)상의 지지면에서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의 피치 원을 따라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탬핑 공구.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별 치아 이식물의 스페이서 슬리브의 제조용이며, 특히 제 7 항에 따른 스탬핑 공구과 관련하여 적용되는 위치설정 보조장치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브(30)가 그 내부에 배치되는 개구(128)를 통과하는 지지체(120)는 돌출되며, 지지되고 위치설정 그루브(126)는 스페이서 슬리브(30)와 사용되는 본체(10)의 본체 포스티브-잠금 그루브(26)에 그 배열체에서 대응하는 개구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치아 이식물용 위치설정 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브 포스티브-잠금 캠(46)의 분포를 지시하는 표시(130, 132)가 지지체(120)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치아 이식물용 위치설정 보조장치.
KR1019997001301A 1996-08-21 1997-03-05 편안하게치아를교체하기위한골내의개별치아이식물,스탬핑공구및상기개별치아이식물용위치설정보조장치 KR200000300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33570.1 1996-08-21
DE19633570A DE19633570C1 (de) 1996-08-21 1996-08-21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und Stanzwerkzeug sowie Positionierhilfe zur Fertigstellung eines solchen Einzelzahnimplanta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009A true KR20000030009A (ko) 2000-05-25

Family

ID=780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301A KR20000030009A (ko) 1996-08-21 1997-03-05 편안하게치아를교체하기위한골내의개별치아이식물,스탬핑공구및상기개별치아이식물용위치설정보조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16904A (ko)
EP (1) EP0927000A1 (ko)
JP (1) JP2000517208A (ko)
KR (1) KR20000030009A (ko)
CN (1) CN1227477A (ko)
AU (1) AU2379597A (ko)
BR (1) BR9711326A (ko)
CA (1) CA2262704A1 (ko)
DE (1) DE19633570C1 (ko)
NO (1) NO990799L (ko)
WO (1) WO1998007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52464A1 (de) * 1998-04-08 1999-10-21 Imz Fertigungs- Und Vertriebsgesellschaft Für Dentale Technologie Mbh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IT1307923B1 (it) * 1999-01-25 2001-11-29 Hofmann S A S Di Roberto Hofma Dispositivo di impianto dentale endosseo.
US6733291B1 (en) * 1999-09-27 2004-05-11 Nobel Biocare Usa, Inc. Implant with internal multi-lobed interlock
DE10019332B4 (de) * 2000-04-19 2005-08-25 Heraeus Kulzer Gmbh Pfostenförmiges Element
US20070037123A1 (en) * 2000-10-26 2007-02-15 Mansueto Robert F High-strength dental-implant w/curvilinear-indexing and tool-free delivery-system
GB0108551D0 (en) * 2001-04-05 2001-05-23 Osseobiotek Ltd Implant
US8790408B2 (en) 2001-08-31 2014-07-29 Leonard Marotta Accurate analogs for bone graft prostheses using computer generated anatomical models
US7887327B2 (en) * 2001-08-31 2011-02-15 Leonard Marotta Accurate analogs for prostheses using computer generated anatomical models
US7059856B2 (en) 2001-08-31 2006-06-13 Leonard Marotta Stable dental analog
SE520043C2 (sv) * 2001-09-06 2003-05-13 Nobel Biocare Ab Implantat och fastdragnings- och distansorgan för sådant implantat
US6648643B2 (en) * 2001-12-19 2003-11-18 Biolock International, Inc. Dental implant/abutment interface and system having prong and channel interconnections
SE523395C2 (sv) 2001-12-21 2004-04-13 Nobel Biocare Ab Implantat och förfarande och system för tillhandahållande av sådant implantat
SE520756C2 (sv) * 2001-12-21 2003-08-19 Nobel Biocare Ab Förfarande för att åstadkomma ytstruktur på implantat samt sådant implantat
IL158789A (en) 2002-11-13 2009-11-18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system
SE526667C2 (sv) * 2002-12-30 2005-10-25 Nobel Biocare Ab Anordning vid implantat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implantatet
US7104797B2 (en) * 2003-03-18 2006-09-12 Jeff Rassoli Rotationally immobilized dental implant and abutment system
IL156033A0 (en) *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7014464B2 (en) * 2003-12-19 2006-03-21 Niznick Gerald A Multi-part abutment and transfer cap for use with an endosseous dental implant with non-circular, beveled implant/abutment interface
EP1579818B1 (en) * 2004-03-25 2007-08-01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with positioning means
JP4818598B2 (ja) * 2004-09-10 2011-11-16 株式会社ジーシー スクリュー型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
US20080096168A1 (en) * 2004-11-08 2008-04-24 Straumann Holding Ag Tooth Implant
ES2978922T3 (es) 2005-06-03 2024-09-23 Straumann Holding Ag Acoplamiento mejorado para un sistema de implante dental de múltiples partes
JP5096339B2 (ja) 2005-09-16 2012-12-12 メーアホーフ インプラント テクノロジーズ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2部分から成る歯インプラント
DE102006005667B4 (de) 2006-01-31 2009-05-28 Wieland Dental Implants Gmbh Zahnimplantat, Verschlussschraube und Abutment für ein solches Zahnimplantat
US7806693B2 (en) 2007-04-23 2010-10-0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US8038442B2 (en) 2007-04-23 2011-10-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DE102007029105A1 (de) 2007-06-21 2008-12-24 Zipprich, Holger Formendes und oder Spanendes Laborimplantat
US20100196850A1 (en) * 2007-07-16 2010-08-05 Dentalpoint Ag Dental implant
EP2347729A1 (de) * 2010-01-21 2011-07-27 Camlog Biotechnologies AG Zahnimplantat, Abutment für ein Zahnimplantat und Kombination davon sowie ein Implantations-Set
EP2438885A1 (de) 2010-10-05 2012-04-11 Walter Moser Einteiliges Zahnimplantat und Biegeinstrument
EP2444023A1 (en) * 2010-10-20 2012-04-25 Astra Tec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 dental implant assembly and a dental implant system
EP2491885A1 (en) * 2010-11-29 2012-08-29 Orapix Co. Ltd Implant device having firm fastening structure between abutment and zirconia cap
CH704382A1 (de) * 2011-01-25 2012-07-31 Dentalpoint Ag Zahnersatz-System.
USD721809S1 (en) 2011-05-13 2015-01-27 Astra Tech Ab Dental implant
US9925024B2 (en) 2011-06-28 2018-03-27 Biomet 3I, Llc Dental implant and abutment tools
EP2570097A1 (en)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nd a dental implant
EP2570095A1 (en) 2011-09-14 2013-03-20 Dentsply IH AB A dental component and a dental implant
WO2014198282A1 (de) 2013-06-13 2014-12-18 Hager & Meisinger Gmbh Einteiliges zahnimplantat, vorrichtung zum biegen eines implantats und verfahren zum biegen eines implantats
KR101386560B1 (ko) * 2013-11-21 2014-04-17 김윤자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EP2949287A1 (de) * 2014-05-27 2015-12-02 Ivoclar Vivadent AG Zahnersatz-Erzeugungsvorrichtung sowie Zahnersatz
ES2556149A1 (es) * 2014-07-10 2016-01-13 Montserrat TERRATS TRIQUELL Aditamento dental, conjunto de aditamento y tornillo, y sistema de implante dental
BR102014031426B1 (pt) 2014-12-15 2018-07-24 Jjgc Ind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implante
USD816841S1 (en) 2014-12-15 2018-05-01 Jjgc Industria E Comercio De Materiais Dentarios S/A Bone implant
ES2582494B1 (es) * 2015-03-11 2017-06-20 Sweden & Martina, S.P.A. Prótesis dental
BR102016010184B1 (pt) 2016-05-05 2020-10-27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conjunto protético e processo para produção do mesmo
CN108435876A (zh) * 2018-03-08 2018-08-24 广州燃烧医疗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牙种植体设备
CN108453164A (zh) * 2018-03-08 2018-08-28 广州燃烧医疗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新型牙种植体设备
DE102019111699A1 (de) * 2019-05-06 2020-11-12 TRI Dental Implants Int. AG Suprakonstruktion, Zahnimplantat und Zahnprothes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7690A1 (de) * 1989-05-31 1990-12-13 Kirsch Axel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sowie konterwerkzeug zur verwendung bei einem derartigen implantat
FR2664808A1 (fr) * 1990-07-23 1992-01-24 Gersberg Eduardo Systeme d'implants dentaires.
DE4127839A1 (de) * 1990-09-01 1992-03-19 Gerold Klaus Vorrichtung zum befestigen von zahnersatz an einem implantat
IL99411A (en) * 1990-09-08 1996-01-19 Eberle Medizintech Elemente Anus implant of a single tooth with torsional delay
US5316477A (en) * 1993-05-25 1994-05-31 Calderon Luis O Universal implant abutment
US5577912A (en) * 1994-09-19 1996-11-26 Prins; Steven P. Adjustable implant fixture
DE19509762A1 (de) * 1995-03-17 1996-09-26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Distanzhülse
DE19534979C1 (de) * 1995-09-20 1997-01-09 Imz Fertigung Vertrieb Enossales Einzelzahnimplantat mit Verdrehsiche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62704A1 (en) 1998-02-26
CN1227477A (zh) 1999-09-01
AU2379597A (en) 1998-03-06
US6116904A (en) 2000-09-12
EP0927000A1 (de) 1999-07-07
NO990799L (no) 1999-04-20
NO990799D0 (no) 1999-02-19
JP2000517208A (ja) 2000-12-26
BR9711326A (pt) 1999-08-17
WO1998007382A1 (de) 1998-02-26
DE19633570C1 (de) 199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0009A (ko) 편안하게치아를교체하기위한골내의개별치아이식물,스탬핑공구및상기개별치아이식물용위치설정보조장치
US6227859B1 (en) Dental implant and device with a dental implant
US6726480B1 (en) Support for sustaining and/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EP0695147B1 (en) Spacing member for tooth implant
US4995810A (en) Tool for a prosthetic part
CA2010383C (en) Enossal individual tooth implant
EP0727193A1 (en) Universal precision dental transfer for endosseous implants
BR112012018070B1 (pt) pilar para um implante dentário e combinação de um implante dentário e de um pilar
JP2004237106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延長部材、インプラントおよび延長部材の配置を転写するための転写補助具、および固定要素のための基部を作製する方法
US6488502B1 (en) Transfer element for transferring the position of a dental implant to a dental model
US5362237A (en) Dental post construction
WO2004058093A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xture installation
US6540516B1 (en) Impression coping platform and related methods
KR20140018884A (ko) 의치 시스템
EP2114289B1 (en) Dental transfer for fixing the position of endosseous implants in dental arches
US6524106B1 (en) Fastener for attaching to a dental fixture and related methods
KR20210006427A (ko) 골내 치과 임플란트용 임플란트 지대주
US20050233281A1 (en) Uniquely positioned, winged, low profile impression cap for use with triple tray
US20090081614A1 (en) Orthodontic implant system
JP2016513508A (ja) インプラントアナログ
TW201808234A (zh) 用於牙科植體之錨定總成
US5277583A (en) Dental post
US20080096168A1 (en) Tooth Implant
EP3381401B1 (en) System for producing a dental prosthesis
US20210068930A1 (en) Impression Post for a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907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1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1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108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