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267A -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및 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및 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6267A KR20000016267A KR1019980709840A KR19980709840A KR20000016267A KR 20000016267 A KR20000016267 A KR 20000016267A KR 1019980709840 A KR1019980709840 A KR 1019980709840A KR 19980709840 A KR19980709840 A KR 19980709840A KR 20000016267 A KR20000016267 A KR 200000162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g
- vehicle
- housing
- compartment
- inflatab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1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XKRFYHLGVUSROY-UHFFFAOYSA-N Argon Chemical compound [Ar] XKRFYHLGVUSROY-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10052786 arg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KRHYYFGTRYWZRS-UHFFFAOYSA-M Flu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F-] KRHYYFGTRYWZR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261 inert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claims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484 Briquet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7 hel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4 he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SWQJXJOGLNCZEY-UHFFFAOYSA-N helium atom Chemical compound [He] SWQJXJOGLNCZE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rubber coating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3 coating (rubb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2 fibre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팽창수단 또는 차량 내에서 팽창 가능한 백과 같은 팽창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탑승객을 보호하는 팽창수단 또는 차량 내에서 팽창 가능한 백과 같은 팽창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팽창시 탑승자의 위치를 제한하는 팽창가능한 백, 가열시 팽창하는 가스를 담는 하우징, 꽃불물질을 담는 용기, 차량충돌시 발생하는 꽃불물질의 연소를 초기화하는 제 1수단, 하우징을 가진 통로를 제한하고 하우징을 담는 분기관 및, 팽창가능한 백으로 하우징과 분기관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도입하는 분기관의 전체길이를 따라 분기관내에 배치된 제 2수단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내의 탑승객의 안전은 제조자와 차량의 탑승객에게 중요한 사실이다. 제조자는 차량의 충돌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안전벨트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팽창 가능한 에어백을 배치한다.
팽창 가능한 수단(상기 용어는 여기서 에어백과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됨)은 차량의 충돌시 허용 불가능한 비율 이하로 탑승객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탑승객의 안전을 위해 탑승객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팽창된다.
많은 제조자는 전면시트에 탑승하는 탑승자를 위해 팽창가능한 수단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아마 팽창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에서 대부분의 고려사항은 챠량이 충돌하는 동안 탑승객이 상기 수단과 접촉하도록 움직일 때까지 상기 수단이 탑승객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시작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측면 보호 에어백의 경우 이것은 전통적으로 문과 탑승객사이에 배치되어 있어서 충격시 탑승객이 움직이기 시작할 때, 오직 짧은 시간동안에 동작하여야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팽창수단에서 요구되는 꽃불(pyrotechnic)물질의 양은 본 발명의 팽창수단에서 사용되는 꽃불물질보다 대략 50%에서 100% 많은 양이다. 결과적으로, 차량 내에서 허용가능한 팽창가능 수단 및 팽창수단의 양을 조절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서 어려운 문제였다.
팽창수단에서 사용되는 연소물질의 구성과 합성은 역시 비교적 느린 팽창장치를 제공한다. 전면 에어백에서는 이용가능한 상기 느린 팽창장치는 팽창가능한 안전벨트 및 측면충격보호장치에서는 종래의 에어백 전개시간의 1/5 미만으로 전개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용하지 않다.
이것은 팽창가능한 벨트와 팽창가능한 측면백이 전면 충격 에어백에서 허용가능한 시간보다 적은 시간 내에 탑승자 보호를 위해 전개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필수적이다.
또한 측면 충격에 포함된 감속거리와 차량에 대한 측면 충격의 시작과 차량 내부표면에 대한 탑승자의 충격사이의 시간간격은 전면충격에 대한 거리와 시간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 장치의 어떤 부분을 위한 연소물질은 역시 제공되는 고체 미립자를 모으기 위한 필터가 요구된다. 상술한 종래 기술장치에서 필터링되기 위한 고체미립자는 너무 과도하다. 어떤 다른 장치는 비교적 큰 꽃불 그레인(grain)을 이용하도록 요구되어 진다.
상기 그레인은 결정적으로 그레인 내의 연소율, 작동압력 및 연소시간에 영향을 미치고 연소표면에서 진동으로 인해 조각나고 부서진 그레인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큰 그레인이 느린 연소율로 이용될 때, 작동온도의 범위를 넘는 수행에서의 진동은 바람직하지 않게 크다. 예를 들어, 40-50 초/1000(millisecond)의 작용시간을 가정할 때, 꽃불물질의 연소율의 변화는 팽창수단의 작용시간은 온도가 175。F 와 -65。F 사이에서 변화할 때 약 ±20% 정도로 다양해진다. 이것은 작동온도 내에서 진동하는 꽃불물질의 연소율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상기 고려할만한 비율의 연소율 변화는 탑승자의 운동을 가소시키기위한 에어백에서 이용가능한 시간의 상당한 부분인, 대략 15-20 초/1000의 전체 기능시간의 변화를 제공한다. 상술한 전체 기능의 변화는 결과적으로 탑승자의 보호에 변화를 준다. 차량의 측면에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은 차량의 전면에서 가해지는 충격보다 잠재적으로 더 위험하다.
한 가지 이유는 충격이 챠량의 측면에서 발생할 때 차량이 탑승자를 훨씬 덜 보호한다. 이것은 차량의 측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차량의 측면의 물질이 상당히 얇기 때문이다.
차량 제조자가 팽창가능한 백이 차량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에는 수년이 소요되었다. 차량 제조자는 운전자와 때로는 차량의 앞에 탑승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가능한 백을 제공하는데 전념했다.
차량제조자는 측면 충격에 대해 운전자나 다른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팽창가능한 백을 제공하는 데는 거의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팽창가능한 수단 및 팽창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및 팽창수단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1995년 12월 22일에 제출된 동반출원 번호 08/587,773 과 상기 출원의 기록의 양수인에게 기록된 양도서에서 본인은 상술한 특히, 후면후방 충돌에 대한 불이익과 결점을 극복하는 장치를 공개하고 주장하였다.
본 발명의 장치 내의 다른 부 조립체 또는 요소의 구조와 작동은 본 출원의 참고로 달성된 1995년 12월 22일에 제출된 나의 동반출원 08/587,773에 의해 보충된다.
제안된 종래의 측면 에어백은 미국특허 제 5,496,061, 5,464,246, 5,322,322 및 5,282,648의 에어백 배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팽창수단 또는 차량 내에서 팽창 가능한 백과 같은 팽창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탑승객을 보호하는 팽창수단 또는 차량 내에서 팽창 가능한 백과 같은 팽창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앞문, 시트, 시트내의 탑승자, 팽창가능한 백을 고정하기 위한 시트의 외측면에서 구획부를 도시하는 차량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2는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팽창된 백을 도시한 부분절개 사시도.
도 3은 백 내의 중심몸체부분의 맞은편 측면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플랩이 구획부내에 백을 배치하기 위해 중심몸체 부분에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팽창되기 전 백의 확대도.
도 3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팽창가능한 백을 형성하는 직물의 펼쳐 도시한 확대평면도.
도 3B는 직물의 맞은편 수평부분이 거의 완전하게 이어진 직물과 백이 확대사시도.
도 4는 백이 구획부 내에 수납되도록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를 나타낸 도 3과 유사한 백의 확대사시도
도 5는 구획부내의 백과 팽창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팽창된 후의 팽창수단, 백 및 구획부를 도시하는 부분절개 측면도.
도 6A는 구획부의 선택적 구조를 가지는 도 6과 유사한 부분단면도.
도 7은 팽창수단과 백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팽창수단이 작동되기 전 가스가 발생한 상태에서 팽창수단과 백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백으로 밀어 넣어진 플랩단부를 가진 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백이 지그재그 형태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도 4와 유사한 도면.
도 11은 팽창과 전개의 초기단계의 백을 도시한 도면.
* 부호설명
10: 백 12: 차량
10a,10b: 수직 패널부 14: 핸들
16: 시트 18: 기둥
19: 차체 20: 벨트
22: 구획부 23: 접착수단
24: 플랩 33: 수평축
34: 기초부분 35: 수직축
40: 팽창수단 42: 분기관
44: 하우징 50: 다이아 프램
54: O-링 58: 전자회로
60: 배터리 77: 용기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관한 상술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공개번호 08/587,773에 공개되고 주장된 개선된 팽창수단을 포함하고 본 장치내에 역시 포함된 백을 팽창시키는 차량의 측면 충돌에 즉시 응답하는 팽창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은 공개번호 08/587,773에 공개되고 주장된 팽창수단을 개선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상술한 공개번호 08/587,773의 모든 장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백은 상술한 충돌이 발생했을 때,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의 차체 근처에 있는 탑승자의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과 본 발명의 백 사이의 관계는 백의 길이를 따라 동시에 백을 팽창시킴으로써 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시간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상기 백은 팽창되기 전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도록 심미적인 외관을 가지며 거의 동시에 최대 크기로 팽창되기 위해 구획부 내에 시트의 측면에 대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팽창가능한 백의 맞은편 단부는 백의 중심을 향하여 접혀지고 상기 백은 차량의 측면에서 구획부 내에 수납되도록 나선형으로 감겨있다.
상기 구획부는 차량의 측면충돌시 백이 팽창되기 위해 분리될 수 있으며, 상기 백은 백의 길이를 연장되어 분기관에 고정되어 있다.
팽창가능한 가스를 담고 있는 하우징은 상기 분기관 길이를 따라 분기관내에 배치되고 다이아프램(diaphram)에 의해 분기관으로부터 압축되어 격리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백 플랩(flap)이 백 내로 밀어넣어지고 상기 백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혀진다.
꽃불 물질의 입자를 담은 파열될 수 있는 용기는 튜브내에 배치된다. 상기 꽃불 입자는 패러데이 차폐(paraday shielding)를 가지며 충돌이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할 때 활성화되는 전자회로에 의해 점화된다. 상술한 연소는 용기가 입자연소가 끝나기 전에 파열되게 한다.
그후,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소된 꽃불입자는 하우징내의 가스가 팽창하도록 열을 하우징 내의 가스로 전송하며, 이것은 다이아프램이 파괴되고 캐처에 대하여 관통되게 한다.
따라서, 하우징에 의해 한정된 통로를 통하여 가스가 흐름에 따라 분기관이 잔해로부터 청결해진다. 가스는 백을 팽창하기 위해 분기관의 길이를 따라 분기관내에 이격된 위치에서 홀을 통하여 백으로 흐른다.
연속된 홀은 백이 길이를 따라 백의 팽창을 균일하기 하기 위해 제공되는 감소된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백이 팽창하면, 상기 백은 나선형으로 풀리거나 펴지고 백의 접힌 맞은편 단부는 효과적인 백의 길이를 늘리기 위해 늘어난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과 팽창가능한 백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또 다른 유리한 점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팽창가능한 백은 차량내에서 탑승자의 목과 머리를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난폭한 움직임으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의 에어백과 팽창수단은 역시 아주 빠르게 반작용함에 따라 백이 팽창하기 전에 탑승자는 자신의 몸이 비교적 적게 움직이는 것을 경험하게 된다.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백 내의 하중의 분배는 탑승자의 몸과 머리의 넓은 영역에 미치며 따라서, 탑승자의 몸과 머리의 어떤 위치에서도 하중이 최소화된다.
팽창가능한 백의 신장특성은 비교적 백의 작용을 적게 지체시키며 탑승자의 몸과 머리의 운동을 적게 한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과 팽창가능한 백은 역시 심미적 외관을 제공하고 비교적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구획부 내에 쉽게 채워진다.
또한, 팽창수단과 팽창가능한 백의 동작은 주변온도의 변화에 나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은 역시 비교적 가볍우며, 미립자가 본 발명에 따른 팽창수단내에 생기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처럼 팽창수단내의 꽃불입자의 연소로 인한 미립자를 모으기 위한 필터를 요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0(도 2-4)으로 표시된 팽창가능한 백은 차량의 충돌시 팽창되도록 참조번호 12에 나타내어진다.
차량은 핸들(14)과 핸들의 후방에 있는 시트(16)를 포함한다. 탑승자는 시트(16)에 앉아있다. 차량(12)을 출입하는 문(명확성을 위해 완전히 도시되지 않음)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둥(18)은 차체의 후방에 도시되어 있다.
밸트(20)은 탑승자의 가슴을 지나 무릎으로 연장되어 시트(16)에 탑승자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핸들(14), 시트(16), 기둥(18), 차체(19)(완전히 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벨트(20)는 종래의 차량과 동일한 것이다.
구획부(22)는 차체(19)에 인접한 시트(16)의 측면에 접착수단(23)에 의해 부착되어 도 1에 도시되어진다. 상기 접착수단(23)은 종래에 알려진 적절한 물질이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수단(23)은 적절한 에폭시가 될 수 있다.
구획부(22)는 차량이 충돌하기 전에는 닫혀있으며, 차량이 충돌시 구획부(22)의 후방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플랩(24)(도 6)을 가진다.
팽창 가능한 백(10)은 백이 팽창되지 않는 상태에 있는 동안 구획부(2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서 플랩(24)의 회전은 백을 팽창을 가져오고 백이 팽창되면, 구획부(22)의 외부로 백을 운동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획부(22)는 백이 팽창되었을 때, 구획부의 외부로 백이 운동하도록 전방단부(27)(도 6A)에서 회전한다.
구획부(22)가 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도 6 및 도 6A에 도시된 것과 다른방법으로 열려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14)에 인접하여 도시된 시트(16)에 앉은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차량의 각 시트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응용가능하다.
상기 각 시트에서 구획부(22)에 대응하는 구획부는 각 시트와 차체 및 팽창가능한 백의 사이에서 차량의 외부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구획부(22)와 다른 구획부는 차량의 내외관에 미각적으로 어울리는 외관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장식직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 3, 3A, 3B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 가능한 백(10)은 몸체부분(26)과 각각 일체로 몸체부분으로부터 상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랩(28, 30)을 가질 수 있다.
팽창 가능한 백(10)은 다소의 탄성을 가지는 나일론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지는 단일 시트의 물질(도 3A)로 형성될 수 있다. 단일 시트의 물질은 수평축(33)에 대해 대칭일 수 있고 역시 수직축(35)에 대해서도 대칭일 수 있다.
상기 단일 시트의 물질은 두 층이 각각 상부에 형성되고 각 층이 다른층과 동일한 특성을 갖도록(도 3B) 특히 수직축상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두 층은 백을 만드는 바늘땀으로 주변이 함께 봉합된다.
팽창 가능한 백(10)은 역시 몸체부분(26)으로부터 연장된 기초부분(34)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가스가 백으로 흐르도록 상기 기초부분(34)은 도 3의 좌측단부에서 열려질 수 있다.
팽창 가능한 백(10)의 뿌리부분(34)은 몸체의 길이를 따라 몸체부분(26)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다.(도 3 및 도 4) 상부 플랩(28)은 기초부분(34)의 최상단에 적절히 일치하는 위치에서 도 3의 실선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몸체부분(26)의 하방으로 접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랩(28,30)은 몸체부분(26)이 접혀질 때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상기 백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 상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상기 백(10)이 밀집되게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은 도 4의 화살표 36으로 나타난다.
백(10)의 나선형 감김이 끝나면, 상기 백은 구획부(22) 내에 배치되고 플랩(24)은 닫힌 위치로 회전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상기 백(10)은 차량이 정상적인 상태에 있을 때는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보여지지 않는다.
이것은 차량의 탑승자가 심각한 부상의 가능성을 내포하는 충돌을 연상하는 것을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구획부(22) 내의 백(10)의 배치와 심미적 외관을 가진 구획부의 준비는 차량(12)의 장식에 부가된다.
백(10)은 차량(12)의 충돌이 일어나면 팽창되며, 백이 팽창되면 백은 단단히 감긴 나선형으로부터 풀려진다. 상기 백이 풀려지면, 구획부의 외부로 백의 팽창이 완성되도록 도 6에 도시된바와 같이 구획부의 측면에서 플랩(24)이 열린 위치로 선회한다.
백(10)의 풀림이 끝나면 백 플랩(28, 30)은 몸체부분(24)상의 접힌 배치로부터 팽창가능한 백(10)의 수직높이를 효과적으로 확장하는 위치로 각각 상하부로 연장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참조번호 16과 같은 시트에 앉은 탑승자를 보호하는 백(10)의 효과는 강화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된 백(10)은 탑승자의 시트의 외부차체측면과 차체(19)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용어 외부차체(OUTBOARD)는 본 명세서에서 시트와 차량의 차체사이의 공간을 의미하는 말이다.)
결과적으로, 백(10)은 특히 차량의 측면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효과적이다. 이것은 충돌 후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힘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차체가 얇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선택적으로 백(10)은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고 배치될 수 있다. 전후측면(28f, 28b,; 30f, 30b)을 가지는 각각의 백 플랩(28, 30)은 백 몸체전후측면사이의 백 몸체(26)로 내보내지거나 삽입된다.
도 9는 플랩(28,30)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A는 최상부점 P를 가지는 플랩 포켓을 형성하는 백 몸체 벽(30f,30b)사이에 덮여진 백 몸체(26)의 저면도이다.
플랩(30)의 최상부점 P는 팽창되기 전 플랩(30)이 백(10)의 내부에 있다는 것을 더 명확히 하도록 도 9, 9A에 도시된다.
도 10, 11에서 백(10)은 이것을 수직 패널부(10a, 10b)로 나눔으로써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있다. 이렇게 백을 접음으로써, 가스가 차는 동안의 배치가 향상되는데 이것은 배치가 완성되기 전에 가스주입동안(도 11참조) 플랩(28,30)이 백 몸체(26)밖으로 나타나기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백 몸체측면에 대향하여 백외부에 배치된 플랩을 가진 감긴 백은 풀리는 동안 풀림이 끝날 때까지 플랩(28,30)을 해제하지 않는다.(도 4참조)
부상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백(10)의 효과는 적어도 차량의 전면에서 충돌이 발생할 때 탐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에 포함되어 있는 팽창가능한 벨트 또는 팽창가능한 백의 효과만큼 중요하게 고려되어 질 수 있다.
또한, 팽창된 에어백이 차량 플로어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연장될 때, 탑승자의 머리와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이것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8에서 참조번호 40으로 표시된 팽창수단은 백(10)이 팽창하는 수직방향에서 기초봉합위치(32)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팽창수단(10)은 백을 거의 즉시 팽창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것은 특히, 백(10)이 탑승자를 차량의 측면충격으로부터 보호할 때 유리하다. 왜냐하면 차량(12)은 충격에 대해 탑승자를 거의 보호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팽창수단(40)은 백이 즉시 팽창되도록 하며 동시에 백의 전체길이까지 팽창시키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조적 및 작동상의 유리한 점을 갖는다.
상기 팽창수단(40)은 분기관(42)과 분기관의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44)을 포함한다. 상기 분기관(42)과 하우징(44)은 적은 열전도성을 갖는 금속물질 또는 적은 열도성을 갖도록 내부가 코팅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분기관(42)과 하우징(44)은 올려진 가스 압력에 견디는 두께를 갖는다.
상기 표면코팅은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진 에폭시, 파이버 글라스, 나일론 또는 적은 열전도성을 갖는 다수의 다른 적절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기율표에서 불활성으로 표시된 열에서 있는 적절한 가스는 3000에서 4000 psi 범위의 압력 하에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이 가스는 예를 들어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일 수 있다. 모든 것은 부서지기 쉬운 용기 내에 꽃불물질의 입자 또는 꽃불물질의 입자연소로부터 기인된 어떤 부산물 또는 결과물로 화학적 반응을 제한한다. 상기 용기는 적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77)는 만곡된 측벽(77s)과 단벽(77e)을 가지며 이 벽들은 측벽(77s)와 단벽(77e)이 파열된 용기(77)밖으로 물질(46)의 입자를 태우는 일정한 운동을 제공하고 거의 동시에 파열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를 가진다. 분기관(42)과 하우징(44)을 위해 상술한 특정 혼합물은 깨지기 쉬운 용기(77)를 위해 만족스러운 결과를 제공할 것이다.
아르곤은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채워지는 가스로써 적절하다. 결과적으로 꽃불물질(46)의 입자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의 실질적 부분이 아르곤 가스의 분자 내에 갇히게 된다. 상기 열은 하우징(12) 내의 아르곤 가스의 분자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내의 가스를 팽창시키게 된다.
연소가능 또는 꽃불 물질(46)은 약 0.010인치에서 0.060인치의 범위를 갖는 비교적 작은 입자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입자들은 전통적으로 대략 직경이 0.050인치의 물리적 크기를 갖고 약 0.20인치의 두께 또는 16 메쉬(mesh) 크기를 갖는 구형 또는 과립상인 물리적 크기를 갖는다.
꽃불물질(46)은 예를들어 본 출원에서 기록된 양수인에 의한 UPCO 302 또는 UPCO 7019A로 명명된 물질의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꽃불물질(46)의 입자는 연소가능한 물질의 연소시간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크기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팽창수단(40)을 위해 요구되는 크기로 사용될 때 꽃불물질(46)은 부산물로 제공하는 특성을 가지며 부분적으로 연소되거나 완전연소된 결과물일 때, 팽창수단과 함께 적은양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것은 환경적으로 안전하며 해롭거나 역겨운 냄새를 수반하지 않는다.
상기 용어 환경적으로 안전하다는 것은 여기서 꽃불물질의 연소로 얻어진 부산물과 결과물 탑승자를 다치게 하거나 차량 또는 대기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UPCO 7019A로 명명된 물질은 이것이 연소될 때 환경적으로 안전한 물질을 생산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유리하며 UPCO 302로 명명된 물질은 상기 UPCO 7019A보다 더 높은 연소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유리한 점을 가지나 이것은 연소시 탄소 일산화물과 같은 환경적으로 안전하지 않은 물질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불리하다.
그러나,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충분한 양의 산소가 탄소 일산화물을 탄소 이산화물로 산화시키기 위해 하우징(44)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UPCO 302 촉매의 과도한 탄소 일산화 연소물을 연소시키도록 부가적인 산화제가 하우징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도화관(squib)(56)이 용기(77)내에 꽃불물질(46)을 가진 통로(48)를 통하여 부속기구(52) 내의 소켓 안에 배치된다. 적절한 도화관의 구조는 종래에 알려져 있다. 통로(48)는 파열될 수 있는 다이아 프램(50)에 의해 하우징(44)으로부터 분리된다.(도 7). 부속기구(52)는 하우징과 분기관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화관은 전자회로(58)의 신호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상기 전자회로(58)는 1994년 8월 9일에 본인과 래리 라클레어에게 타이밍 및 점화 회로라는 제목으로 허여되고 본 출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특허 5,335,598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의 명세서와 도면의 내용은 상기 회로의 작동과 구조에 의문이 없는한 본 출원에서 실현된다.
전자회로(58)와 배터리(60)는 외부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는데 이것은 전자회로가 공전 전자기파(stray electromagnetic wave)에 의해 전류가 통하는 것을 막는 패러데이 차폐(Faraday shield)를 제공하는 공속과 같은 적절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62)은 단부도관(63)을 한정하도록 하우징(44)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도 8) 하우징(62)은 얇은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분기관(42)및 하우징(44)과 같이 적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처(64)는 하우징(64)상에 파열가능한 다이아프램(66)과 일렬로 인접한 하우징(62)의 외부주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캐처(64)는 다이아 프램이 파열될 때 다이아프램(66)을 관통하도록 배열되고 설치되며 단부도관(63)에 배치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도관(63)은 다이아 프램(66)이 파열될 때 막히지 않는다.
가스가 하우징내에서 팽창될 때 하우징과 도관사이의 교통을 제공하고 도관(63)으로부터 하우징을 고립하는 상기 다이아 프램(66)과 다른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스프링 편향 팝오프(spring-biased pop-off) 밸브가 다이아 프램(66)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44), 분기관(42), 하우징(62)는 이들과 함께 그물 쓰레드(threads)를 가진 인서트(68)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고정되어진다. O-링은 튜브(44)와 인서트(68)의 사이에 인서트에 대해 튜브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된다.
도 5, 6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4)은 한 단부에서 분기관과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반대쪽 단부에서 분기관을 가진 연장된 통로(72)를 한정하기 위해 배치되도록 분기관(42)에 대해 편심되어 있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72)는 실질적으로 분기관(42)과 하우징(44)의 전체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홀(74)은 분기관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분기관(42)내에 설치되며, 상기 홀(74)은 통로(72)와 팽창가능한 백(10)이 교통되도록 한다.
연속적인 쌍의 홀(74)사이의 거리는 도 6-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관을 따라 진행되는 위치에서 점점 감소한다. 상기 백(10)은 링(76)에 의해 그 반대쪽 단부에서 분기관(42)에 고정된다.
차량이 특히, 측면으로 충돌할 때, 전자회로(58)는 도화관을 점화시키기 위해 도화관을 유도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도화관(56)은 용기내의 꽃불물질을 점화시키기 위해 통로를 따라 운행하는 매우 뜨거운 물질의 동요를 차례로 일으킨다.
도화관(56)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열은 거의 즉시 다이아 프램(50)이 열리고 파열되게 하고 꽃불물질(46)을 점화시킨다. 용기(77)는 용기내의 압력이 하우징(44)내의 압력과 동일하므로 하우징(44)으로부터 고립되지 않는다.
용기(77)의 열림 또는 파열은 약 1/1000초(1ms)의 비교적 짧은 시간후에 일어난다. 이 시간의 끝에서 꽃불물질(46)의 입자크기는 입자들의 부분연소에 의해 다소 감소된다. 용기(77)가 파열된 후에 부분적으로 연소된 꽃불물질(46)의 입자는 하우징(44)을 통과하며 계속 연소한다. 상기 연소는 약 2-5ms와 같은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일어난다. 물질(46)의 크기와 연소특성은 상술한 시간 내에 연소시키기 위해 선택된다.
도 8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꽃불물질(46)의 입자는 통로(48)와 떨어진 방향으로 진행하고 용기의 모든 잔유물은 다이아 프램(66)을 향하고 이방향으로 진행하며 연소한다. 이것은 꽃불물질(46)의 입자의 크기가 감소되고 다이아프램(66)을 향하여 하우징(44)을 따라 파열된 용기(77)로부터 진행하게 된다.
다이아프램(66)을 향하여 용기(77)로 부터 움직이는 입자와 같이 꽃불물질(46)의 입자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꽃불물질(46)의 입자의 혼합물과 이것의 연소는 하우징내의 진행위치에서 어떤 중요한 잇점을 가진다. 꽃불물질(46)과 특히 UPCO 7019A 물질은 탑승자에게 또는 환경적으로 해가 없는 부산물과 결과물을 생산하도록 연소된다. 이것은 역시 부가적인 양의 산소 도는 연료가 하우징(44) 내에 배치될 때 UPCO 30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하우징(44)내의 꽃불물질(46)은 하우징 또는 다른 열흡수 표면과의 실질적인 접촉없이 하우징(44)내의 가스분자에 직접 열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하우징(44)과 용기(77)는 가열된 가가 개입되는 적은 열전도성 표면을 나타내고 이에 따라 오직 상기 가스를 가열하고 팽창시키는데 효과를 나타내도록 이용되는 꽃불물질(46)의 연소로부터 해방된 열을 발생시킨다.
또한, 용기(77)와 하우징(44)은 이들이 비교적 얇고 팽창수단(40)이 가스가 필터를 통과할 때 가스로부터 열에너지의 명확한 영을 흡수하는 어떤 필터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된 열의 어떤 명확한 양을 흡수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44)내의 가스는 질소, 헬륨 또는 아르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모두는 꽃불물질(46) 또는 상기 꽃불물질과 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어떤 부산물 또는 결과물과 가스사이의 화학적 반응을 제한한다.
불활성 가스중 아르곤은 낮은 열전도성과 높은 질량을 가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꽃불물질(46)의 입자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실질적부분은 아르곤 가스분자 내에 가두어 진다. 상기 열은 하우징(44)내의 아르곤 가스분자의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된다. 하우징(44)내에서 아르곤 가스는 팽창하고 또한 아르곤 가스는 다이아 프램(66)에 대하여 압력이 증대한다.
용기(77)와 하우징(44)은 역시 미립자 연소에 의해 발생되어진 열로 인해 하우징 내의 가스온도상승이 최소화 되도록 공동작용한다. 하우징(44)과 용기(77)의 내부코팅은 적어도 가스와 접촉하는 표면상에서 낮은 전도성을 지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질은 세라믹, 고무코팅, 폴리에틸렌 코팅 및 이와 유사한 것이다. 상기 물질은 하우징(44)과 용기(48)에 사용되는 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이 비교적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물질의 50-200 K/W(M.K.)정도의 열전도성에 비해 약 1-15K/W (M.K.)정도의 열 전도성을 가진다.
하우징(44)과 용기(77)는 역시 약 10ms 또는 그 이하의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높은 온도에 노출되기 때문에 발생된 열의 명확한 양을 흡수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약 30-60ms 동안 상승된 온도에서 기능하는 팽창수단이 존재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상술한 비교적 연장된 시간동안 열은 상기 팽창수단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전송된다.
가스가 하우징(44)내에서 충분히 팽창되었을 때 다이아프램(66)은 파열되고 가스는 통로(72)를 통하여 팽창한다. 다이아 프램(66)의 영역과 통로(72)의 단면영역은 역시 아이아프램이 열리거나 파열되어 통로를 통과한 가스가 팽창가능한 백(10)으로 흐르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66)은 약 12000 psi의 압력에서 파열되도록 구성된다. 꽃불물질(46)의 특정한 혼합물과 상기 물질의 다른 입자의 비교크기는 역시 가스가 하우징(44)내에서 가열되어지는 시간 이내로 시간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특정혼합물은 가스가 팽창가능한 백(10)으로 흐르는 시간을 조절한다.
비록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가능한 백(10)이 지시되었지만 상기 팽창가능한 백은 지시된 바와 다른 형태의 팽창가능한 수단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하우징(44)내의 가스팽창은 다이아 프램을 파열시키는 일을 유발할 수 있다. 다이아 프램(66)이 파열되었을 때 튜브(44)내의 가스는 단부도관(63)을 통하여 통로(72)로 흐른다.
상기 도관(63)은 다이아 프램이 하우징(44)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 캐처(64)가 다이아 프램을 관통하기 때문에 다이아 프램(66)이 파열된 후 열린채로 남아있게 된다.
가스가 통로(72)을 통해 흐르기 때문에 가스가 홀(74)을 통하여 백을 파열시키기 위해 백(10)으로 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백(10)은 동시에 백의 전체길이를 따라 홀(74)을 통하여 팽창된다. 이것은 백이 팽창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백의 전체길이를 따라 최소시간내에 탑승자를 보호한다.
상기 백(10)은 연속되는 홀(74)이 점점 백의 전체길이를 따라 다른것에 근접함에 따라 백(10)의 전체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비율로 동시에 팽창될 수 있다. 이것은 가스가 진행하는 위치에서 상기 홀을 통해서 흐르기 때문에 백(10)을 따라 진행하는 위치에서 통로(72)내의 가스압력의 감소를 보상한다.
백(10)이 팽창하기 때문에, 상기 백은 도 4와 도5에 개략적으로 보여진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풀려져서 세로부피가 증가한다. 이것은 차량(12)의 길이에 따른 부피이다.
백(10)이 나선형 감긴 상태에서 완전히 풀려질 때, 그 세로 부피는 도 5에 보여진바와 같이 명확히 증가한다. 완전히 풀려진 상태에서, 백(10)은 탑승자의 앉은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도 2에 보여진다. 따라서, 탑승자의 전체몸은 도 2에 개략적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충격에서 완전히 보호된다.
백(10)이 나선형 감김상태에서 완전히 풀려질 때, 상기 백 내의 플랩(28, 30)은 몸체부분(26)으로부터 올려진다. 이것은 백을 수직방향으로 팽창하게 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백은 수직으로 연장된다.
백(10)이 구획부(22) 내에 있는 동안 백의 높이는 약 16인치이다. 백이 완전히 팽창된 후에는 몸체부분(26)으로부터 플랩(28,30)이 회전하기 때문에 백의 길이는 약 26인치이다. 상기 높이는 탑승자의 엉덩이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탑승자의 머리에 인접한 위치까지 앉은 탑승자를 완전히 보호하기에 충분하다.
상기 백(10)의 팽창은 측면방향으로 회전하는 속도로부터 탑승자의 머리르 f지지하는 팽창된 쿠션을 제공함으로써 탑승자의 머리움직임을 제어한다. 탑승자의 머리가 측면으로 회전할 때, 본 발명의 장치에 따라 상기 운동에 대하여 적절한 탄성이 없이 측면에서 운동하게 되는 경우, 측면에서 탑승자의 머리의 움직임이 동반된 탑승자의 머리는 차량(12)의 창문 또는 문 또는 차체와 충돌할 수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표준 안전벨트에서는 충돌시 목에 가해진 격렬한 움직임의 결과로 탑승자의 목과 흉부는 심각하게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상기 부상들을 방지한다. 탑승자의 흉부영역과 엉덩이도 역시 본 발명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탑승자가 후방시트에 앉아있을 때, 탑승자의 목과 머리는 상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팽창가능한 백에 의해 차량(12)의 측면에 가해진 움직임으로부터 보호된다.
백의 팽창은 종래기술에 따른 장치에서 밸트와 같은 팽창수단의 팽창에 비해 충돌즉시 비교적 짧은시간에 일어난다. 이것은 팽창수단(40)이 통로(72)를 통하여 아르곤과 같은 가스의 흐름을 초기화시키기 위해 약 2-5ms의 비교적 짧은 시간에 작동한다는 사실로부터 부분적으로 일어난다.
가스가 통로(72)를 통하여 팽창가능한 백(10)으로 흐르는 시간은 역시 약 10-15ms 정도로 비교적 짧다. 따라서, 백이 팽창하는 전체시간은 차량의 측면충돌시 머리가 포함된 몸과 차량(12)의 측면의 내부사이에 보호쿠션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시간 내에 있다.
용기내의 꽃불물질(46)의 양은 역시 작고 팽창가능한 백(10)의 팽창은 너무 빨라서 팽창가능한 백의 온도상승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팽창가능한 벨트의 팽창에 따른 팽창가능한 백(10)의 온도상승은 약 20。F 보다 적다.
이것은 종래기술의 팽창수단에서 때때로 발생하듯이 팽창가능한 백에 의해 탑승자가 화상당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가능한 백(10)은 차량의 어떤 요소나 부조립체를 조정할 필요없이 갱신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팽창가능한 백(10)은 운전석의 탑승자, 다른 전방시트의 탑승자, 및 후방시트의 탑승자에게 제공되어 질 수 있으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수단을 가지도록 조립된 구획부(2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구획부(22)는 쉽게 접착수단(23)에 의해 탑승자의 시트에 부착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일체형 조립체로 각각의 시트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는 개별 부 시스템 내에 및 조립체내에 특정의 중요한 잇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팽창수단(40)은 이것이 갖는 유리함으로 인해 용기(77)의 즉시 개봉(도 1 및 도 2)과하우징 내의 가스가열을 제공한다.
상술한 잇점은 입자가 낮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가스로 하우징 내에서 병렬로 연소되기 때문에 꽃불물질(46)의 구성, 임자로서 꽃불물질의 형성, 용기(44)내의 꽃불물질의 부분적 연소 및 하우징(44)내의 꽃불물질 입자의 연소를 포함한다.
상술한 잇점은 역시 팽창수단 내에 최소수준의 요소와 용기(77), 하우징(44), 분기관(42) 및 하우징(62)를 포함하는 다른 요소를 위해 낮은 전도성을 가지는 얇은 벽을 포함한다.
또한, 꽃불물질(46)이 종래기술의 어떤 팽창수단에서 사용된 큰 그레인(본 발명에 따른 꽃불물질의 입자 또는 그레인의 크기의 20배)을 갖는 것과 구별되는 분말 또는 과림형태이기 때문에, 꽃불물질의 연소는 종래기술에서 보다 상당히 짧은시간 내에 발생할 수 있다.
꽃불물질(46)의 빠른 연소는 부분적으로 용기(44)내의 적은 꽃불물질의 양 및 역시 부분적으로 연소가 발생할 때 종래기술에 비하여 입방인치 당 2000파운드(2000 psi)의 비교적 고압으로부터 기인한다.
본 발명의 팽창수단(40)은 역시 속도부근의 주위온도의 고려할만한 변화를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 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작동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와 방법은 종래기술에 비해 또 다른 잇점을 가진다.
예를들어, 하우징(44)은 도관(63)과 통로(72)근처에 배치된다. 이것은 백이 팽창되는 시간을 줄이고 팽창수단을 최소화하며 팽창수단(40)의 무게 및 팽창수단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팽창수단내에 꽃불물질(46)의 양을 역시 줄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꽃불물질(46)은 미립자나 과립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꽃불물질(46)의 연소는 팽창수단내에 포함되어지는 필터를 요구하지 않는 부산물과 결과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장치와 방법은 또 다른 중요한 잇점을 가진다. 이것들은 팽창수단(40)과 팽창가능한 백(10)을 포함하며, 둘 다 접착수단(23)에 의해 시트(16)의 측면에 부착되어 질 수 있는 작은 크기의 구획부(22)를 포함한다.
구획부(22)의 작은 크기는 부분적으로는 팽창가능한 벨트의 나선형 감김 및 몸체부분(26)상의 플랩(28,30)의 위치에 기인한다. 이로 인하여 구획부(22)는 이제 도로상에 있는 차량의 모든 시트의 측면에 갱신될 수 있다. 또한, 구획부(22) 내의 몸체부분(26)상의 플랩(28, 30)의 배치는 구획부가 비교적 작은 크기가 되게 한다.
예를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부(22)의 높이는 시트(16)의 높이보다 낮다. 특히, 구획부가 차량(12)의 플로어로부터 상승되고 오직 시트의 높이에 따라 시트(16)에 대하여 배치된다면, 구획부(22)는 오직 제한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팽창되었을 때 백(10)의 높이는 몸체부분(26)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플랩(28,30)을 배치함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플랩(28,30)이 설치됨에 따라 백이 팽창되었을 때, 탑승자의 다리에서 머리까지 앉은 위치에서 탑승자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은 다른 명확한 잇점을 가진다. 예를들어, 분기관(42)과 하우징(44)은 통로(72)를 한정하고 길이가 연장될 수 있게 한다.
통로(72)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는 통로(72)의 길이를 따라 분기관내의 홀(74)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팽창가능한 백(10)의 전체길이를 따라 백(10)으로 도입된다. 팽창가능한 백(10)의 팽창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통로(72)의 길이를 따라 함께 근접진행하는 홀(74)이 배치됨으로써 용이해질 수 있다.
팽창가능한 백(10)은 대략 - 65。F 와 +1750。F 사이의 온도변수의 범위이상으로 주위온도가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가진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팽창수단내에서 꽃불물질(46)의 입자가 연소하는 시간이 오직 2-5ms 정도라는 사실에 의해 초래되며, 또한 부분적으로는 통로(72)가 하우징(44)에 인접해있다는 사실에 의해 초래된다.
상술한 것은 본 발명의 장치가 종래기술의 장치에서 보다 더 일정한 기능수행과 명확하게 큰 탑승자의 보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실시예에 의해 도시되고 참조되었지만 여기에 포함된 사상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수많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직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수 있다.
Claims (59)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팽창시 탑승자의 위치를 제한하는 팽창가능한 백,가열시 팽창하는 가스를 담는 하우징, 꽃불물질을 담는 용기,차량충돌시 발생하는 꽃불물질의 연소를 초기화하는 제 1수단,하우징을 가진 통로를 제한하고 하우징을 담는 분기관 및,팽창가능한 백으로 하우징과 분기관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를 도입하는 분기관의 전체길이를 따라 분기관내에 배치된 제 2수단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수단이 분기관내의 홀을 통하여 통로와 팽창가능한 백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는 분기관내의 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에 팽창가능한 백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차량내에 시트 및 팽창시 차량의 측면충격에 대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팽창가능한 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입자로 형성된 꽃불물질, 하우징 내에 꽃불불질의 부분적으로 연소된 입자의 배치를 얻는 연소가능한 물질과 하우징 내에 부분적으로 연소된 꽃불물질의 입자의 연소에 대해 하우징을 여는 용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차량내의 시트가 있고, 제 2수단이 가스가 분기관내의 홀을 통해 통로와 팽창가능한 백으로 흐르도록 하는 분기관내에 홀을 포함하고,분기관에 팽창가능한 백을 고정하는 수단과 차량의 측면충돌에 대하여 팽창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시트에 배치된 팽창가능한 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위한 장치에 있어서,꽃불물질을 담는 용기, 불활성 가스를 담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은 용기내의 입자의 부분적 연소시 용기와 교통하고, 상기 가스는 꽃불물질의 입자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에 따라 팽창가능하며,하우징을 가지는 통로를 한정하고 하우징을 담는 분기관 그리고,통로를 통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팽창된 가스의 흐름을 수용하는 통로와 교통하는 분기관으로 지지되는 팽창가능한 백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하우징으로부터 흐르느 가스를 팽창가능한 백으로 통과시키는 팽창가능한 백의 내부와 교통하는 통로를 따라 진행위치에서 분기관내에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진행시 통로의 길이를 따라 팽창가능한 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팽창을 제공하기 위해 통로의 길이를 따라 감소된 거리로 이격된 분기관내에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꽃불물질의 입자의 연소가 끝나기 전 하우징 내에 꽃불물질의 입자의 연소를 완성시키며, 연소의 초기화시 하우징에 열린 용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꽃불물질의 입자가 환경적으로 안전한 부산물과 결과물을 생산하고, 튜브내의 가스가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분기관상의 팽창가능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분기관 내에 홀이 있고, 진행위치에서, 백으로부터 팽창가능한 백으로 가스가 흐르도록 하기위해 팽창가능한 백의 내부와 교통하는 통로를 따라, 통로의 길이를 따라 팽창가능한 백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팽창을 제공하기위해 홀이 진행시 감소된 거리로 통로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으며,용기는 연소의 초기화시 하우징에 열리며 꽃불물질의 연소가 끝나기전 하우징내의 꽃불물질의 연소를 완성시키며 연소시 꽃불물질이 환경적으로 안전한 부산물과 결과물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시트와, 일반적으로는 닫혀있고 차량의 충돌시 열리는 구조를 가지며 시트의 측면에서 지지되는 구획부와, 중심부분과 팽창을 위해 구획부가 열릴 때 구획부내에 배치된 단부플랩을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 및, 차량의 충돌시 팽창가능한 백을 초기화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한 백은 구획부 내에 감겨서 배치되어 있고 차량의 충돌시 백의 팽창에 따라 구획부가 열려서 백이 풀리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5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의 단부가 나선형으로 감기기전 백의 중심부분에서 접히고 팽창가능한 백이 차량의 충돌시 구획부가 열려서 나선형으로 풀려 펼쳐지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구획부가 일반적으로는 닫혀있고 차량의 충돌시 열린위치로 회전하여 백의 나선감김이 풀리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가능한 백의 단부플랩은 백의 중심부분으로 삽입되고 삽입되어진 단부플랩을 가진 백은 지그재그 형태로 접혀며 차량의 충돌시 백이 팽창할 때 구획부내에서 펼쳐지고 구획부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부는 일반적으로는 닫혀있고 차량의 충돌시 열린위치로 선회하는 플랩을 가지고 백이 나선형으로 감기며 팽창가능한 백은 구획부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고 팽창가능한 수단은 구획부의 길이를 따라 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구획부의 길이를 따라 배치되며 백이 나선형으로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용기를 위한 팽창가능한 백과, 용기내의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과, 화학적으로 불활성 특성을 가지고 가열시 팽창하는 특성을 가지는 가스를 저장하는 수단과, 열을 발생시키는 도화관과, 용기내의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의 연소를 초기화하기 위해 도화관을 점화하고 하우징으로 용기를 열고 연소가능한 물질의 부분적으로 연소된 입자를 하우징으로 방출하고 하우징내의 가스로 연소시 생기는 열을 전송하도록 하우징 내에 배치된 전자수단과,그리고 가열된 가스를 가진 팽창가능한 백을 초기화하도록 하우징내의 가스로 열을 전송함에 따라 응답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수단은 공전 전기신호(stray electrical signals)에 의해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러데이 차폐(Faraday shield)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와 용기는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가 용기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소되는 특징을 갖고 연소가능한 물질의 부분적으로 연소된 입자가 용기가 하우징으로 열린후 하우징내에서 완전히 연소되는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0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이 탑승자를 위한 시트와 탑승자의 시트의 바깥쪽에 대하여 배치된 구획부를 가지며,개폐되며 일반적으로는 폐쇄된 상태로 차량 내에 배치되고 차량의 측면충돌시 열리는 구조를 가지며 팽창가능한 백이 구획부내에 배치되고 구획부가 열리면 팽창되도록 구성되며 하우징내의 가스로 열을 전송하는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3항에 있어서, 전자수단이 공전 전기신호에 의해 전류가 통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러데이 차폐특성을 가지고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와 용기는 용기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소되는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특성을 가지고,연소가능한 물질의 부분적으로 연소된 입자를 위해서는 하우징으로 용기가 열린후 하우징내에서 완전히 연소되는 특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제 1수단은 팽창되도록 구성되고, 가열시 팽창가능한 가스를 담는 하우징과,제 2수단은 하우징내의 가스를 팽창시키는 열을 발생시키는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를 담는 하우징과 협동하도록 배치되고,분기관은 하우징에서 압축되어 고립된 하우징을 담고 압축되어 하우징내의 가스의 특정압력을 생성하여 하우징과 압축되어 교통하도록 구성되고,가스가 하우징내로 통로를 통하여 흐르도록 하우징과 분기관사이에 통로가 있으며,제 1수단은 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가스에 의해 팽창되도록 통로와 교통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차량내에 시트가 있고, 제 1수단은 제 1수단이 팽창되었을 때, 시트내의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차량내의 시트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5항에 있어서, 도화관은 점화되는 특성을 가지며 연소가능한 물질을 점화하기 위하여 제 2수단과 협동하도록 배치되고 전자수단은 도화관의 점화를 위하여 차량의 충돌시 차량에 가해진 힘에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제 1수단은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제 3수단은 제 1수단을 분기관에 고정시키며 분기관은 통로를 통하여 팽창된 가스가 흐르는 동안 팽창된 가스가 제 1수단의 연장된 길이를 따라 제 1수단으로 통과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가 아르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제 1수단은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으로 구성되고, 제 3수단은 팽창가능한 백을 분기관에 고정시키며, 분기관은 팽창된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된 가스가 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동안 통과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26항에 있어서, 제 2수단이 하우징 내에서 부분적으로 연소된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를 하우징으로 통과시키기 위하여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의 연소가 완료되기 전에 열리는 특성을 갖고 하우징으로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분기관, 분기관을 통하여 팽창가능한 가스가 흐르도록 통로를 분기관으로 한정하고 팽창가능한 가스를 담기 위하여 분기관내에 배치된 하우징,하우징 내에서 가스를 팽창시키는 제 1수단,가스가 통로로 흐르게 하기 위해 하우징내의 가스의 팽창에 응답하는 제 2수단,분기관에 가스가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는데 응답하는 제 3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2항에 있어서, 제 1수단은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를 포함하고 하우징내의 가스를 팽창시키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연소가능한 물질의 입자의 연소를 초기화시키는 전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2항에 있어서, 분기관은 팽창된 가스가 구멍을 통하여 제 3수단으로 흐르도록 통로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위치에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2항에 있어서, 제 4수단은 제 3수단을 분기관에 고정시키며상기 제 3수단은 팽창되기 전에 접힌 팽창가능한 백을 가지며, 팽창되는 동안 풀려지는 특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비팽창된 상태에서 길이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팽창가능한 백,차량의 충돌시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는 제 1수단,팽창수단에 의해 백이 팽창되고 팽창되는 동안 백이 나선형으로 풀리도록 하는 백의 팽창초기화시 열리는 구조를 가지는 구획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6항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이 반대쪽 단부에 몸체부분을 가지고 하나이상의 플랩이 몸체부분으로부터 하나이상의 몸체부분의 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플랩은 비팽창된 상태에서 길이를 따라 몸체부분에 나선형으로 감기기 전에 몸체부분에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내측면과 외측면을 가지는 시트를 포함하고 탑승자의 출입을 위한 문을 가지며,상기 구획부는 시트의 외측면에서 시트의 측면에 대하여 배치되고,구획부내의 구멍은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를 보호하도록 팽창가능한 백을 위치시키기 위해 문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6항에 있어서, 제 1수단은 구획부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탑승자의 높이에 따라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가능한 백에 관하여 구성하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단은 구획부의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구획부의 전체 높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가능한 백에 관하여 구성하고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단은 구획부의 전체 높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동시에 팽창가능한 백을 팽창시키도록 팽창가능한 백에 관하여 구획부내에 배치하고 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팽창에 따라 풀며, 팽창가능한 백의 팽창에 의해 보호되는 탑승자의 몸의 부분을 증가시키도록 몸체부분으로부터 플랩의 팽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이 하우징내에 가스를 담고,하우징과 분기관사이에 통로를 한정하기 위해 분기관내에 하우징을 배치하고, 분기관내에 하우징을 통상 고립시키고,하우징과 분기관사이의 고립을 풀기위해 차량의 충돌시 하우징내에서 가스를 팽창시키고, 통로를 통하여 팽창된 가스가 흐르도록 하고,통로를 통하여 흐르는 팽창된 가스에 의해 백이 팽창되도록 팽창가능한 백을 통로에 대하여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2항에 있어서, 백이 팽창하기전에 닫힌 구획부내에 팽창가능한 백을 배치하고, 구획부의 외부로 백이 팽창하도록 구획부내에 백의 팽창을 초기화하도록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2항에 있어서, 백이 팽창되기 전에 나선형 특성을 갖도록 팽창가능한 백을 감고, 나선형으로 감긴 팽창가능한 백을 열린특성을 가지는 구획부내에 배치하고, 구획부의 외부로 백이 팽창되도록 구획부내에서 백의 팽창을 초기화하도록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고, 백의 팽창에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백이 풀리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2항에 있어서, 백이 팽창되기 전에 지그재그로 접힌 특성을 갖는 팽창가능한 백의 패널을 접고,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닫힌 구획부내에 접힌 팽창가능한 백을 배치하고,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백을 구획부의 외부로 팽창시키고 백의 팽창을 따라 접힌 백이 풀리도록 하기 위해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2항에 있어서, 몸체부분을 가진 팽창가능한 백과 몸체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이상의 플랩을 설치하고,상기 플랩을 백이 팽창하기 전에 몸체부분으로 삽입하고,백이 팽창하기 전에 접혀지는 특성을 가지는 몸체부분을 접고,차량의 충돌시 백을 팽창시키고 백의 팽창에 따라 접힌백을 풀고 나선형으로 감긴 백이 풀림에 따라 몸체부분으로부터 풀랩을 풀기 위해 접혀진 팽창가능한 백을 탑승자의 시트부근에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6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을 설치하고,팽창수단과 접혀진 팽창가능한 백을 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구획부내에 배치하고,구획부를 차량내 시트의 측면에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을 설치하고,백이 팽창되기 전에 상기 백을 접고,통상 닫혀있지만 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구획부내에 접힌 팽창가능한 백을 배치하고,차량 충돌시 상기 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상기 백과 관련되어 작동가능하도록 결합된 구획부내에 팽창수단을 배치하고,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고백의 팽창에 따라 접힌 백이 풀려지고, 차량의 충돌시 시트내의 탑승자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차량내의 시트에 인접하여 구획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8항에 있어서, 몸체부분을 가진 팽창가능한 백을 설치하고,백이 접히기전에 몸체부분으로 플랩을 배치하고,백을 구획부내에 배치하기 전, 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고, 구획부의 구멍에서 접힌백을 풀기 위해 접힌 백을 풀 때 몸체부분으로부터 플랩을 푸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42항에 있어서, 몸체부분을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을 설치하고,하나이상의 플랩이 몸체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백이 팽창하기전 플랩을 몸체부분에서 접고, 백이 팽창하기전 몸체부분을 나선형으로 감고,나선형으로 감긴 팽창가능한 백을 차량의충돌시 백을 팽창시키도록 탑승자의 시트부근에 배치하고, 백의 팽창에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풀고, 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풀 때, 몸체부분으로부터 플랩을 푸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0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가스를 팽창시키는 팽창수단을 설치하고,팽창수단과, 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구획부내에 나선형으로 감긴 팽창가능한 백을 배치하고, 상기 구획부를 차량내의 시트의 측면에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팽창가능한 백을 설치하고,백의 팽창전 나선형을 감기는 특성을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을 감고,나선형으로 감긴 팽창가능한 백을 통상적으로는 닫혀있으나 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구획부내에 배치하고,팽창수단을 차량의 충돌시 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팽창가능한 백과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된 구획부 내에 배치하고,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구획부에 구멍을 설치하고,백의 팽창에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풀고,차량의 충돌시 부상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차량내의 시트에 인접하여 구획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2항에 있어서, 몸체부분을 가지는 팽창가능한 백을 설치하고,하나이상의 플랩이 몸체부분으로 연장되고,백이 나선형으로 감기기전, 몸체부분상에 플랩을 배치하고,구획부내에 백을 배치하기전 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구획부의 구멍에 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풀기위해 구획부의 구멍을 설치하고,나선형으로 감긴 백을 풀 때, 몸체부분으로부터 플랩을 푸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2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구획부의 높이를 따라 동시에 백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3항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시 구획부의 높이를 따라 동시에 백을 팽창시키고, 진행방향에서 동시에 백이 팽창되는 동안 진행방향에서 구획부의 높이를 따라 백이 동일하게 백이 팽창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차량 충돌시 차량내의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실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우징에 가스를 담고,하우징내에서 꽃불물질의 입자가 연속적으로 연소되게 하기위해 용기내의 꽃불물질의 입자가 부분적으로 연소될 때 하우징으로 열리는 특성을 가지는 용기 내에 꽃불물질의 입자를 배치하고, 상기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인해 가스가 팽창되며,하우징과 분기관사이의 통로를 한정하는 하우징에 대해 고립되어 담긴 분기관을 배치하고,팽창된 가스에 의한 백의 팽창을 위해 통과하는 팽창된 가스를 수용하는 분기관에 팽창가능한 백을 배치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6항에 있어서, 백과 통로사이에서 통로의 길이를 따라 동시에 진행방향으로 백을 팽창시키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6항에 있어서, 진행방향에서 통로의 길이를 따라 백을 동시에 균일하게 팽창시키기 위해 백과 통로사이의 교통을 제공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 58항에 있어서, 백의 연속된 팽창을 위해 백의 팽창을 초기화할 때, 열려지는 특성을 가지는 닫힌 구획부내에 백을 배치하고 차량내의 시트의 외부측면에 구획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66497396A | 1996-06-03 | 1996-06-03 | |
US8/664,973 | 1996-06-0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6267A true KR20000016267A (ko) | 2000-03-25 |
Family
ID=24668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709840A KR20000016267A (ko) | 1996-06-03 | 1997-06-03 |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및 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6142508A (ko) |
EP (1) | EP0901433A4 (ko) |
JP (1) | JP2000511489A (ko) |
KR (1) | KR20000016267A (ko) |
CN (1) | CN1226211A (ko) |
BR (1) | BR9709428A (ko) |
WO (1) | WO199704642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802B1 (ko) * | 2007-07-06 | 2008-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abs 유압유니트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131663B1 (en) * | 1999-08-10 | 2006-11-07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Inflator for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
GB2357465B (en) * | 1999-12-21 | 2003-05-21 | Autoliv Dev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
DE10105720B4 (de) * | 2000-02-11 | 2006-08-24 | Trw Inc., Lyndhurst | Aufblasbarer Seitenvorhang mit Füllrohr |
JP3915544B2 (ja) * | 2002-02-25 | 2007-05-16 | タカタ株式会社 | エアバッグ装置 |
US20050029785A1 (en) * | 2003-08-06 | 2005-02-10 | Arc Automotive, Inc. | Compact multi-level output hybrid gas generator |
US7232001B2 (en) | 2004-08-24 | 2007-06-19 | Sam Hakki |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
DE102004062569A1 (de) * | 2004-12-24 | 2006-07-20 | Autoliv Development Ab | Airbagmodul |
DE102005048842B4 (de) * | 2005-10-12 | 2009-01-22 | Daimler Ag | 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mit einem Beckenairbagmodul |
US7980590B2 (en) | 2008-03-19 | 2011-07-19 | Amsafe, Inc. |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having web-mounted inflato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
US7665761B1 (en) | 2008-03-27 | 2010-02-23 | Amsafe, Inc. |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
DE102009001426A1 (de) * | 2009-03-10 | 2010-09-16 | Robert Bosch Gmbh | Halt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alten eines Fahrzeuginsassen in einem Fahrzeugsitz |
DE102009031617A1 (de) * | 2009-07-03 | 2011-03-03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 Insassenschutzvorrichtung und Airbagsystem für ein Fahrzeug, sowie ein Fahrzeug mit der Insassenschutzvorrichtung |
US8469397B2 (en) | 2011-04-13 | 2013-06-25 | Amsafe, Inc. | Stitch patterns for restraint-mounted airbag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US8439398B2 (en) | 2011-07-29 | 2013-05-14 | Amsafe, Inc. | Inflator connectors for inflatable personal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JP5724909B2 (ja) | 2012-03-09 | 2015-05-27 | 豊田合成株式会社 |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
US8523220B1 (en) | 2012-03-19 | 2013-09-03 | Amsafe, Inc. |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US9511866B2 (en) | 2012-03-19 | 2016-12-06 | Amsafe, Inc. | Structure mounted airbag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JP5860442B2 (ja) * | 2013-08-12 | 2016-02-16 | ▲高▼橋 奈緒 | 自転車用チャイルドシートおよび自転車、ならびに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
US10155495B2 (en) * | 2014-06-30 | 2018-12-1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Side and seat-back airbag |
US10569890B2 (en) | 2014-08-25 | 2020-02-25 | Amsafe, Inc. | Airbag assembly for leg flail protec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US9352839B2 (en) | 2014-10-02 | 2016-05-31 | Amsafe, Inc. | Active positioning airbag assembly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US9944245B2 (en) | 2015-03-28 | 2018-04-17 | Amsafe, Inc. | Extending pass-through airbag occupant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WO2016168124A1 (en) | 2015-04-11 | 2016-10-20 | Amsafe, Inc. | Active airbag vent system |
US10604259B2 (en) | 2016-01-20 | 2020-03-31 | Amsafe, Inc. |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
GB2563248A (en) * | 2017-06-07 | 2018-12-12 | Mtfx Ltd | Visual effect device |
US11529927B2 (en) * | 2018-12-11 | 2022-12-20 | Hyundai Motor Company |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
US10829077B2 (en) | 2019-03-07 | 2020-11-1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seat side airbag bracket |
JP7194241B1 (ja) * | 2021-09-10 | 2022-12-21 | 株式会社啓愛社 | ガス発生器処理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21456A (en) * | 1971-04-23 | 1973-03-20 | Gen Motors Corp | Multiple stage inflater |
US3756621A (en) * | 1971-11-03 | 1973-09-04 | Allied Chem | Argon compressed gas supply |
US3807754A (en) * | 1972-01-03 | 1974-04-30 | Uniroyal Inc | Passive restraint systems for vehicle occupants |
US3874694A (en) * | 1972-12-11 | 1975-04-01 | Allied Chem | Unitary tongue inflator for inflatable restraint |
US4153273A (en) * | 1978-04-14 | 1979-05-08 | General Motors Corporation | Occupant restraint cushion system |
JP3003182B2 (ja) * | 1990-08-20 | 2000-01-24 | タカタ株式会社 | 助手席用エアバッグの畳み込み方法 |
US5161821A (en) * | 1991-09-13 | 1992-11-10 | Davidson Textron Inc. | Side impact airbag system attached to seat belt |
US5335940A (en) * | 1992-03-03 | 1994-08-09 | Trw Inc. | Air bag inflator having flow control for slowing and filtering inflation gas |
US5251931A (en) * | 1992-03-09 | 1993-10-12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afety apparatus |
DE4211209C2 (de) * | 1992-04-03 | 1995-05-18 | Hans Otto Dipl Ing Grandi | Gurtairbag |
JP3113081B2 (ja) * | 1992-08-18 | 2000-11-27 | タカタ株式会社 |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
US5480181A (en) * | 1993-02-19 | 1996-01-02 | Simula Inc. |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
US5322322A (en) * | 1993-02-19 | 1994-06-21 | Simula Inc. | Side impact head strike protection system |
US5464246A (en) * | 1993-02-19 | 1995-11-07 | Simula Inc. | Inflatable tubular cushions for crash protection of seated automobile occupants |
US5454586A (en) * | 1993-12-06 | 1995-10-03 | Alliedsignal Inc. | Driver side air bag module with extruded housing |
US5499840A (en) * | 1994-03-31 | 1996-03-19 | Ikeda Bussan Co., Ltd. | Automotive seat with air-bag |
US5468012A (en) * | 1994-06-13 | 1995-11-21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Air bag module |
US5472230A (en) * | 1994-12-02 | 1995-12-05 | Every, Sr.; Robert H. | Portable vehicular air bag device |
US5496061A (en) * | 1995-03-31 | 1996-03-05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eat mounted air bag assembly |
US5570900A (en) * | 1995-05-23 | 1996-11-05 |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 Side impact head air bag |
US5533750A (en) * | 1995-06-01 | 1996-07-09 | Takata, Inc. | Simplified inflatable restraint module |
US5556127A (en) * | 1995-06-26 | 1996-09-17 | Takata, Inc. | Seat mounted side impact module |
-
1997
- 1997-06-03 KR KR1019980709840A patent/KR2000001626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03 BR BR9709428A patent/BR9709428A/pt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03 EP EP97927948A patent/EP0901433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7-06-03 JP JP10500801A patent/JP2000511489A/ja active Pending
- 1997-06-03 WO PCT/US1997/009589 patent/WO1997046426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06-03 CN CN97196732.6A patent/CN1226211A/zh active Pending
- 1997-09-09 US US08/999,923 patent/US6142508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7802B1 (ko) * | 2007-07-06 | 2008-11-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abs 유압유니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26211A (zh) | 1999-08-18 |
WO1997046426A1 (en) | 1997-12-11 |
EP0901433A4 (en) | 2001-05-30 |
US6142508A (en) | 2000-11-07 |
JP2000511489A (ja) | 2000-09-05 |
BR9709428A (pt) | 1999-08-10 |
EP0901433A1 (en) | 1999-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16267A (ko) | 측면 충격 에어백 장치 및 그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방법 | |
US6425601B1 (en) | Air bag module | |
US6199905B1 (en) | High thermal efficiency inflator and passive restraints incorporating same | |
JP5624019B2 (ja) | 出力適応型インフレータ | |
US5845933A (en) | Airbag inflator with consumable igniter tube | |
KR950009343B1 (ko) | 제2단계의 점화를 지연시키는 점화 물질을 사용하는 자동차 가스백의 2단계 팽창기 | |
WO1997023367A9 (en) | Inflatable seat belt system | |
US5772238A (en) | Efficient airbag module | |
US5368329A (en) | Dual stage inflator | |
US5160163A (en) | Impact-absorbing device for occupants of a motor vehicle and use of this device | |
JP5707328B2 (ja) |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及びエアバッグ膨張方法 | |
WO2000032447A1 (en) | Pyrotechnic inflator for a vehicle | |
JPH05319199A (ja) | エアバッグ用インフレータ | |
US5520415A (en) | Hooded heat shield for an automotive air bag cushion | |
US7316417B2 (en) | Inflator with internally mounted initiator | |
EP0041369B1 (en) | A gas gener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device | |
JPH0790744B2 (ja) | 乗員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 |
JP2865153B2 (ja) |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 |
JP3070132B2 (ja) |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 |
JPH04146843A (ja) | エアバック展開用ガス発生装置 | |
KR100356907B1 (ko) | 일체형 디퓨저를 구비한 에어백 조립체 | |
WO2000069690A1 (en) | Side impact inflator assembly with external gas cooling | |
JP2784425B2 (ja) |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 |
JPH06179346A (ja) | エアバッグ展開用ガス発生装置 | |
MXPA97009005A (es) | Inflador de sistema de bolsa de ai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199812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