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7728A -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 Google Patents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728A
KR20000007728A KR1019980027201A KR19980027201A KR20000007728A KR 20000007728 A KR20000007728 A KR 20000007728A KR 1019980027201 A KR1019980027201 A KR 1019980027201A KR 19980027201 A KR19980027201 A KR 19980027201A KR 20000007728 A KR20000007728 A KR 20000007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haft
rivet
universal joi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832B1 (ko
Inventor
김성윤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8-0027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83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6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comprising pushing or pulling links attached to both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5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 F16D3/7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with the coupling parts connected by one or more intermediate members with axially-spaced attachments to the coupl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슬립 구조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축의 중단에 슬립 구조를 형성하되, 가공 난이도가 높지 않아 생산성이 양호하고, 조립이 쉬우며,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일측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를 연결하되,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습동축, 상기 습동축의 연장선상에서 역시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축, 상기 습동축의 통공에 끼워지는 제1리벳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1링크와 제2링크, 상기 고정축의 통공에 끼워지는 제2리벳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3링크와 제4링크, 상기한 제1링크와, 제3링크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3리벳, 상기한 제2링크와, 제4링크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4리벳으로 구성하여 습동축쪽의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고정축쪽의 제3링크와 제4링크와 연동하여 마름모꼴을 유지하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습동축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본 발명은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슬립 구조에 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중단에 마련하는 슬립구조를 링크타입으로 개선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라 하면 자동차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동기구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는 종동기구로 동력을 전달하되, 상기 원동축과 상기 종동축이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지도 않고, 서로 나란하지도 않은 상태일 때 사용하는 동력 전달 기구로써, 이 경우 원동축 또는 종동축 중 어느 한쪽의 축에는 차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한편,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 길이가 수시로 보상될 수 있는 슬립구조를 마련하여야 한다.
즉, 슬립 구조는 주행시 노면의 충격에서 들어오는 킥-백(Kick-Back)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칼럼과 조향 기어박스를 조립할 때, 축방향으로 습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조립이 편리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며, 이러한 종래의 슬립 구조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도1에서 일측 고정축(1)은 끝단부에 스플라인(11)을 형성하고, 타측의 습동축(2)은 중공형으로하여 튜브 스플라인(21)을 형성한 후, 상기 스플라인(11)이 튜브 스플라인(21)에 끼워지도록 연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립 구조에서 지적되는 문제점은 축의 끝단부에 형성된 스플라인(11)을 전조후, 전조 또는 호빙(Hobbing)으로 정밀가공해야되고, 타측 습동축(2)은 튜브 스플라인(21)을 브로우칭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이 어려운 만큼 생산성이 떨어지며, 결국 생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축의 중단에 슬립 구조를 형성하되, 가공 난이도가 높지 않아 생산성이 양호하고, 조립이 쉬우며, 생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일측으로 유니버셜 조인트를 연결하되,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습동축, 상기 습동축의 연장선상에서 역시 끝단에 통공이 형성된 고정축, 상기 습동축의 통공에 끼워지는 제1리벳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1링크와 제2링크, 상기 고정축의 통공에 끼워지는 제2리벳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3링크와 제4링크, 상기한 제1링크와, 제3링크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3리벳, 상기한 제2링크와, 제4링크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4리벳으로 구성하여 습동축쪽의 제1링크와 제2링크가 고정축쪽의 제3링크와 제4링크와 연동하여 마름모꼴을 유지하면서 그 길이 방향으로 습동축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2의 본 발명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조를 보인 리벳팅 상태의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링크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고정축 4 : 습동축
5 : 와셔 6 : 코팅부
31 : 통공 41 : 통공
R1,R2,R3,R4 : 리벳 L1,L2,L3,L4 : 링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로서 일측 끝단에 유니버셜 조인트(U)가 연결되는 습동축(4)과 원동력측에 연결되는 고정축(3)을 볼 수 있으며, 이들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슬립 구조를 볼 수 있다.
습동축(4)의 내단에는 통공(41)을 형성한 후, 제1리벳(R1)으로 제1링크(L1) 및 제2링크(L2)의 일단을 리벳팅하여 각각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 고정축(3)의 내단에는 역시 통공(31)을 형성하되, 제2리벳(R2)으로써 제3링크(L3) 및 제4링크(L4)를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리벳팅한다.
이후, 상기한 제1링크(L1)와 제3링크(L3)의 자유단을 또 다른 제3리벳(R3)으로 리벳팅하고, 제2링크(L2)와 제4링크(L4)의 자유단을 또 다른 제4리벳(R4)으로 리벳팅하여 4개의 링크가 마름모꼴이 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슬립 구조는 원동력측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축(3) 및 습동축(4)이 모두 회전을 하되, 상기한 링크 타입의 슬립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축의 길이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충격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4개의 링크가 좁은 마름모꼴로 변하여 그 길이를 보상하고, 반대로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4개의 링크가 긴 마름모꼴로 변하여 그 길이를 보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력이 충분히 전달되어야 하므로 각각의 링크가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며 따라서 각각의 관절부분이 회동은 하되, 틈새가 없어야 한다.
따라서 제1리벳(R1) 내지 제4리벳(R4)이 리벳팅되는 사이에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셔(5)를 개입시키는 것이 좋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링크(L1) 내지 제4링크(L4)의 끝단 마다 합성수지재(6)로 코팅을하여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일측 끝단에 유니버셜 조인트(U)를 연결하므로써 축이 그 길이 방향으로 습동되어 길이가 보상되어야 하는 슬립 구조에 있어서, 스플라인을 이용하는 종래의 구조와 달리 고정축(3)과 습동축(4)의 사이에 4개의 링크를 마름모꼴로 연결하여 길이 보상을 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높은 정밀도가 필요치 않으며, 따라서 생산성이 양호하고, 더 나가서 생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3)

  1. 일측으로 유니버셜 조인트(U)를 연결하되, 끝단에 통공(41)이 형성된 습동축(4);
    상기 습동축(4)의 연장선상에서 역시 끝단에 통공(31)이 형성된 고정축(3);
    상기 습동축(4)의 통공(41)에 끼워지는 제1리벳(R1)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1링크(L1)와 제2링크(L2);
    상기 고정축(3)의 통공(31)에 끼워지는 제2리벳(R2)을 힌지점으로하여 회동 가능토록 리벳팅된 제3링크(L3)와 제4링크(L4);
    상기한 제1링크(L1)와, 제3링크(L3)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3리벳(R3);
    상기한 제2링크(L2)와, 제4링크(L4)의 끝단을 회동가능토록 리벳팅하는 제4리벳(R4);
    으로 구성하여 습동축(4)쪽의 제1링크(L1)와 제2링크(L2)가 고정축(3)쪽의 제3링크(L3)와 제4링크(L4)와 연동하여 마름모꼴을 유지하면서 습동축(4)이 그 길이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1리벳(R1)내지 제4리벳(R4)은 리벳팅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와셔(5)를 개입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제1링크(L1)내지 제4링크(L4)는 리벳팅후,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각각의 양측 끝단을 합성수지재(6)로 코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조인트 축의 링크타입 슬립구조.
KR10-1998-0027201A 1998-07-07 1998-07-07 유니버셜조인트축의링크타입슬립구조 KR100365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201A KR100365832B1 (ko) 1998-07-07 1998-07-07 유니버셜조인트축의링크타입슬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201A KR100365832B1 (ko) 1998-07-07 1998-07-07 유니버셜조인트축의링크타입슬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728A true KR20000007728A (ko) 2000-02-07
KR100365832B1 KR100365832B1 (ko) 2003-03-29

Family

ID=19543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201A KR100365832B1 (ko) 1998-07-07 1998-07-07 유니버셜조인트축의링크타입슬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5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22B1 (ko) * 2003-10-31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322B1 (ko) * 2003-10-31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5832B1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993B1 (en) Ball-type system for coupling two sliding shafts
US5507203A (en) Variable length shaft assembly
DE19831016C2 (de) Gelenkwellen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Personenkraftwagen
US7288029B1 (en) Propshaft with crash-worthiness
US20140178127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steering column to a steering gear housing
US20060053934A1 (en) Ball coupling device for keeping two sliding shafts articulated
CA1286119C (en) Propeller shaft for motor vehicle
JPH10955A (ja) 駆動軸、特に自動車の車輪駆動用サイドシャフト
US663407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plined member for use in a slip joint
US6364778B1 (en) Axially adjustable steering shaft assembly with ball spline
DE4227180C2 (de) Gleichlaufdrehgelenk
KR100365832B1 (ko) 유니버셜조인트축의링크타입슬립구조
US7819406B2 (en) Split stabilizer with optimized spring rate
KR100380244B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JP4846216B2 (ja) 動力伝達構造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CN220315100U (zh) 一种汽车转向机电机输出轴与齿毂配合连接结构
JP3712540B2 (ja) 衝撃吸収可能な動力伝達装置
KR200324493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JPH10338045A (ja) プロペラシャフトの衝撃吸収構造
KR20090013220U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가진 프로펠러 샤프트
KR100211694B1 (ko) 자동차의 자재이음용 등속조인트의 결합구조
KR19980031884U (ko) 자동차 구동축용 샤프트
GB2343154A (en) Steering shaft assembly
JP2005106257A (ja) ドライブ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07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912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010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807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2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2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2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