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026U - 언더컷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언더컷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6026U KR20000006026U KR2019980017027U KR19980017027U KR20000006026U KR 20000006026 U KR20000006026 U KR 20000006026U KR 2019980017027 U KR2019980017027 U KR 2019980017027U KR 19980017027 U KR19980017027 U KR 19980017027U KR 20000006026 U KR20000006026 U KR 2000000602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support
- undercut
- deformation
- pro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Landscapes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형밀편(60)을 이용하는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여 금형을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60)을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형지지대(10)에 장착되어 제품(12)의 상형을 형성하는 고정형판(11)과, 제품(12)의 하형을 형성하는 가동형판(21), 변형밀편코아(61)와 밀봉(62)으로 이루어져 제품(12)의 언더컷부(13)를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60) 및, 가동형판(21)과 변형밀편(60)을 지지하는 서페이스 블록(22)과 상/하부밀판(23,24) 및 하형지지대(20)로 구성된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있어서, 변형밀편코아(61)의 측면에 설치된 키홈(51)과 밑면에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만큼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52)이 내장된 조정봉(53)으로 구성된 조정부(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부밀판(23,24)에 설치된 밀봉(62)의 선단에 굴림와셔(63)가 설치되어 금형 가공시에 변형밀편코아(61)의 밑면과 상기 굴림와셔(63)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밀봉(62)을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변형밀편을 이용하는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여 금형을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을 상형지지대와 하형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언더컷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형밀편을 이용하는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형지지대(10)에 장착되어 제품(12)의 상형을 형성하는 고정형판(11)과, 제품(12)의 하형을 형성하는 가동형판(21), 변형밀편코아(31)와 밀봉(32)으로 이루어져 제품(12)의 언더컷부(13)를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30), 상기 가동형판(21)과 상기 변형밀편(30)을 지지하는 서페이스 블록(22)과 상/하부밀판(23,24) 및 하형지지대(20), 상기 변형밀편(30)이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되도록 하는 경사부(40) 및, 상기 변형밀편(30)의 밀봉(32)을 안내하는 가이드편(33)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변형밀편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장치는 금형 가공시에 상기 변형밀편(30)의 밀봉(32)이 상기 경사부(40)와 함께 마찰운동을 하면서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변형밀편(30)의 밀봉(32)에 모멘트(Moment)가 가해져 밀봉(32)이 휘거나 부러지는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서 금형 가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금형 가공을 위해 경사지게 작동하는 변형밀편(30)에 대한 정밀한 각도 조절이 요구되므로 가공이 어렵고 가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상기 가이드편(33)과 같이 밀봉(32)을 안내하고 밀봉(32)의 휨 방지 또는 굴절 방지를 위한 부수적인 부착물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여 금형을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을 상형지지대와 하형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언더컷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언더컷 처리장치는 상형지지대에 장착되어 제품의 상형을 형성하는 고정형판과, 제품의 하형을 형성하는 가동형판, 변형밀편코아와 밀봉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언더컷부를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 및, 상기 가동형판과 상기 변형밀편을 지지하는 서페이스 블록과 상/하부밀판 및 하형지지대로 구성된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형밀편코아의 측면에 설치된 키홈과 밑면에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만큼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이 내장된 조정봉으로 구성된 조정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밀판에 설치된 상기 밀봉의 선단에 굴림와셔가 설치되어 금형 가공시에 상기 변형밀편코아의 밑면과 상기 굴림와셔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밀봉을 상형지지대와 하형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언더컷 처리장치는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여 금형을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을 상형지지대와 하형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는 상기 변형밀편의 밀봉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금형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공비는 물론 사후 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언더컷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형지지대 11: 고정형판
12: 제품 13: 언더컷부
20: 하형지지대 21: 가동형판
22: 서페이스 블록 23: 상부밀판
24: 하부밀판 30: 변형밀편
31: 변형밀편코아 32: 밀봉
33: 가이드편 40: 경사부
50: 조정부 51: 키홈
52: 스프링 53: 조정봉
60: 변형밀편 61: 변형밀편코아
62: 밀봉 63: 굴림와셔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의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고정형판(11)은 상형지지대(10)에 장착되어 제품(12)의 상형을 형성한다.
가동형판(21)은 제품(12)의 하형을 형성한다.
변형밀편(60)은 변형밀편코아(61)와 밀봉(62)으로 이루어져 제품(12)의 언더컷부(13)를 언더컷 처리한다.
서페이스 블록(22)과 상/하부밀판(23,24) 및 하형지지대(20)는 상기 가동형판(21)과 상기 변형밀편(60)을 지지한다.
조정부(50)는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측면에 설치된 키홈(51)과 밑면에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만큼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52)이 내장된 조정봉(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부밀판(23,24)에 설치된 상기 밀봉(62)의 선단에는 굴림와셔(6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굴림와셔(63)는 금형 가공시에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밑면과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밀봉(62)을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가 작동하기 전, 즉 상기 고정형편(11)과 가동형편(21)이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변형밀편코아(61)가 제품(12)의 언더컷부(13)에 면접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밀봉(62)은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경사면 중앙부에서 상기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변형밀편코아(61)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작동전 상태에서 상기 고정형편(11)과 가동형편(21)이 분리(Parting)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부(50)의 조정봉(53)에 내장된 스프링(40)의 힘에 의해 상기 변형밀편코아(61)가 상기 조정부(50)의 키홈(51)을 따라서 상기 스프링(40)의 스트로크(Stroke) 만큼 작동함과 동시에,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밑면에 있는 상기 굴림와셔(63)의 미끄럼 운동에 의해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밑면과 상기 밀봉(62)이 서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상기 밀봉(62)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경사면 끝부분에서 상기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변형밀편코아(61)를 지지하며, 그 결과 제품(12)의 언더컷부(13)가 언더컷 처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는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여 금형을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을 상형지지대와 하형지지대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각도에 따라서 경사지게 작동하는 상기 변형밀편의 밀봉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금형 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공비는 물론 사후 관리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언더컷 처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 상형지지대(10)에 장착되어 제품(12)의 상형을 형성하는 고정형판(11)과,제품(12)의 하형을 형성하는 가동형판(21),변형밀편코아(61)와 밀봉(62)으로 이루어져 제품(12)의 언더컷부(13)를 언더컷 처리하는 변형밀편(60) 및,상기 가동형판(21)과 상기 변형밀편(60)을 지지하는 서페이스 블록(22)과 상/하부밀판(23,24) 및 하형지지대(20)로 구성된 사출금형의 언더컷 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측면에 설치된 키홈(51)과 밑면에 소정의 스트로크(Stroke) 만큼 작동할 수 있는 스프링(52)이 내장된 조정봉(53)으로 구성된 조정부(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부밀판(23,24)에 설치된 상기 밀봉(62)의 선단에 굴림와셔(63)가 설치되어 금형 가공시에 상기 변형밀편코아(61)의 밑면과 상기 굴림와셔(63)가 서로 미끄러지면서 상기 밀봉(62)을 상형지지대(10)와 하형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작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더컷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7027U KR20000006026U (ko) | 1998-09-08 | 1998-09-08 | 언더컷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7027U KR20000006026U (ko) | 1998-09-08 | 1998-09-08 | 언더컷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6026U true KR20000006026U (ko) | 2000-04-06 |
Family
ID=6952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7027U Withdrawn KR20000006026U (ko) | 1998-09-08 | 1998-09-08 | 언더컷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06026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869A (ko) * | 2017-12-27 | 2019-07-05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 언더컷을 갖는 제품용 압축성형 금형 |
-
1998
- 1998-09-08 KR KR2019980017027U patent/KR20000006026U/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78869A (ko) * | 2017-12-27 | 2019-07-05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 언더컷을 갖는 제품용 압축성형 금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K1023979T3 (da) | Pressestøbeform til gummidele og gummidele fremstillet derved | |
JPS55122636A (en) | Hamming device | |
ATE191175T1 (de) | Hinterschnittene mehrteilige pressform | |
ES2097636T3 (es) | Maquina de moldeo por inyeccion. | |
CA2202493A1 (en) | Injection moulding machine | |
KR20000006026U (ko) | 언더컷 처리장치 | |
BR9702348A (pt) | Máquina de moldagem por injeção | |
WO1980002250A1 (en) | Moulding machine for bricks or the like | |
KR200142349Y1 (ko) | 프레스 금형장치 | |
KR940007308Y1 (ko) | 게이트 절단장치 | |
CN216501910U (zh) | 一种具有数字显示导向功能的金属连续模具 | |
CN221339397U (zh) | 一种内缩行位的顶位件 | |
CN221775080U (zh) | 一种车牌扣底座成型模具 | |
CN117261125B (zh) | 一种内缩行位的注塑结构 | |
KR0140802B1 (ko) | 사출성형기 형체장치 | |
KR20000001349U (ko) | 슬라이드 코어 장치 | |
KR19990010204U (ko) | 언더컷 처리 장치 | |
KR20000000715U (ko) | 금형 | |
JPS5666365A (en) | Metal mold device | |
KR920004582Y1 (ko) | 사출금형의 성형품 언더컷 처리장치 | |
KR19990023709U (ko) | 프레스기의 안내장치 | |
KR20000001352U (ko) | 사출금형의 언더컷처리장치 | |
KR920006683Y1 (ko) | 용기형 판금물의 복동 사이드 포오밍 장치 | |
KR940007311Y1 (ko) | 사이드 게이트 절단장치 | |
KR890003348Y1 (ko) | 가동식 다이를 이용한 밴딩금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908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UC1204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