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00005869U -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869U
KR20000005869U KR2019980016781U KR19980016781U KR20000005869U KR 20000005869 U KR20000005869 U KR 20000005869U KR 2019980016781 U KR2019980016781 U KR 2019980016781U KR 19980016781 U KR19980016781 U KR 19980016781U KR 20000005869 U KR20000005869 U KR 200000058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ay
cover
flow
portable lear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7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채
Original Assignee
김병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채 filed Critical 김병채
Priority to KR20199800167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5869U/ko
Publication of KR200000058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869U/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의 겉표지에 속지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학습용품의 휴대중에 속지가 겉표지 내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속지가 유동되어 필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휴대용 학습용품의 겉표지(10) 내측면 상.하단부와 외측부 즉, 상.하부 가로변과 일측 세로변의 근접위치에 속지(16)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유동방지수단(20)의 걸림단(22)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속지(16)의 각 변이 각각의 유동방지수단(20)의 걸림단(22)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속지(16)의 유동이 방지되어 속지(16)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속지(16)가 겉표지(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본 고안은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학습용품의 겉표지 내측에 속지를 끼워 사용할 경우에, 상기 속지의 상.하단과 외측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겉표지의 내측면 각 외측부에 속지의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휴대용 학습용품의 사용중에 속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학습용품은 겉표지의 내부에 이탈과 끼움이 가능하게 형성된 고정수단에 속지가 끼워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학습용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B)의 일측면만이 겉표지(A)의 고정수단(A-1)에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휴대한 상태에서 상기 속지(B)에 필기를 할 경우에 속지(B)가 유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상기 겉표지(A)에는 속지의 상.하단부(C,D)와 외측단(E)을 겉표지(A)의 좌측판(A-2)이나 우측판(A-3)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고, 이로 인하여 휴대용 학습용품을 휴대한 상태에서 속지(B)에 필기를 할 경우에, 상기 속지(B)가 유동되어 올바른 필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표지(A)에 고정수단(A-1)이 구비되지 않은 휴대용 학습용품을 휴대할 경우에, 좌측판(A-2)과 우측판(A-3) 사이에 끼워진 속지(B)가 겉표지(A)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겉표지 내측면에 속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유동방지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속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속지가 겉표지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된 겉표지의 내측에 각종 속지를 끼워 사용하도록 된 휴대용 학습용품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 내측면의 각 가로변과 세로변측에 상기 속지가 끼워져 유동이 방지되도록 유동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겉표지의 각 변 근접위치에 걸림단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이 걸림단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속지가 끼워지도록 끼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에 속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1b는 속지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속지 유동방지수단에 속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속지 유동방지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a, 5b, 5c는 본 고안에 의한 속지 유동방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겉표지 12 : 좌측판
14 : 우측판 16 : 속지
20 : 유동방지수단 22 : 걸림단
24 : 끼움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3b는 본 고안에 의한 속지 유동방지수단에 속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의 유동방지수단(20)은 좌측판(12)과 우측판(14)으로 된 겉표지(10)의 내측면 상부(상부가로변)와 하부(하부가로변) 그리고 외측부 가장자리(세로변)에 근접한 부위에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동방지수단(20)은 상기 겉표지(10)의 내측면 상,하부 가로변과 세로변의 근접위치 일부분을 사각형상으로 절개하여 걸림단(22)을 형성하되, 이 걸림단(22)의 바깥측은 겉표지(10)와 연결되도록 절개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겉표지(10)의 상.하부 가로변과 세로변의 일부분이 일정한 형태로 절개되어 걸림단(22)이 형성되면, 이 걸림단(22)을 겉표지(10)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곡시켜 겉표지(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다시 이 걸림단(22)의 중간부를 일측으로 절곡하여 걸림단(22)과 겉표지(10)의 내측면 사이에 끼움부(2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겉표지(1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속지(16)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유동방지수단(20)은 속지(16)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그 설치위치가 변화될 수 있고, 상기 유동방지수단(20)은 겉표지(10)의 좌측판(12) 또는 우측판(14)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미설명 부호 (25)는 절개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표지(10)의 상부 가로변이나 하부 가로변 그리고 일측 세로변의 가장자리 근접위치에 유동방지수단(20)의 걸림단(22)이 겉표지(10)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걸림단(22)이 절곡되어 형성된 끼움부(24)에 속지(16)의 각 단부를 끼움으로써 속지(16)의 유동은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표지(10)의 우측판(14) 상.하부 가로변에 형성된 걸림단(22)의 끼움부(24)에 속지(16)의 상.하단부를 끼우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같이 속지(16)의 외측단부(세로변)를 겉표지(10)의 세로변측에 형성된 걸림단(22)의 끼움부(24)에 끼우게 되면, 상기 속지(16)는 상.하단부(가로변)와 일측 외측단부(세로변)이 상기 각 걸림단(22)에 걸리게 되어 필기도중 속지(16)가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속지(16)의 상.하단부와 외측단부가 각 걸림단(22)의 끼움부(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겉표지(10)의 좌측판(12)과 우측판(14)을 접게 되면, 학습용품을 휴대하더라도 상기 속지(16)가 겉표지(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속지(16)의 세변이 각 걸림단(22)의 끼움부(24)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속지(16)를 각 걸림단(22)에 끼우지 않거나 겉표지(10)에서 속지(16)를 제거하게 되면, 상기 걸림단(22)은 이 걸림단(22)이 절개된 부위로 삽입되어 속지(16)의 사용이나 겉표지(10)의 접힘등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걸림단(22)은 겉표지(10)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그 내측면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기 때문에 상기 걸림단(22)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절개부(25)에 걸림단(22)을 삽입하여 보관하고, 다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걸림단(22)을 겉표지(10)의 외측으로부터 내측면으로 밀어 돌출시킴으로써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수단(2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미설명 부호 (28)은 고정수단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지(16)의 내측 세로변이 고정수단(28)에 고정된 스케치북과 같은 휴대용 학습용품의 경우에 상기 속지(16)가 상.하부로 유동되지 않도록 겉표지(10)의 상.하단부(가로변) 가장자리 근접위치에 유동방지수단(20)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속지(16)의 내측 세로변이 고정수단(28)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다시 상.하부 가로변이 유동방지수단(20)의 걸림단(22)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속지(16)의 유동이 방지되어 스케치북의 휴대가 용이하게 되고 속지(16)의 사용이 편리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a, 5b,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수단(20)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유동방지수단(20)의 걸림단(22) 형태를 삼각형상 또는 원형 그리고 세로나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단(22)을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겉표지(10)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겉표지 내측면 상.하부 가로변과 일측 세로변의 근접위치에 속지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유동방지수단의 걸림단을 절개하여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속지의 각 변이 각각의 유동방지수단의 걸림단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속지의 유동이 방지되어 속지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속지가 겉표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상기 걸림단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겉표지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좌측판(12)과 우측판(14)으로 된 겉표지(10)의 내측에 각종 속지(16)를 끼워사용하도록 된 휴대용 학습용품에 있어서,
    상기 겉표지(10) 내측면의 각 가로변과 세로변측에 상기 속지(16)가 끼워져 유동이 방지되도록 유동방지수단(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수단(20)은 상기 겉표지(10)의 각 변 근접위치에 걸림단(22)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이 걸림단(22)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어 상기 속지(16)가 끼워지도록 끼움부(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KR2019980016781U 1998-09-04 1998-09-04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KR200000058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1U KR20000005869U (ko) 1998-09-04 1998-09-04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781U KR20000005869U (ko) 1998-09-04 1998-09-04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869U true KR20000005869U (ko) 2000-04-06

Family

ID=6951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781U KR20000005869U (ko) 1998-09-04 1998-09-04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58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554A (en) Tool box assembly with a swivel tool rack
KR940020977A (ko) 도시락
KR20000005869U (ko) 휴대용 학습용품의 속지 유동방지구조
JP2006225007A (ja) 包装容器
ITMI20011649A1 (it) Portafiori di sagoma piastriforme ad elevata semplicita' di impiego
KR200419336Y1 (ko) 다중지퍼구조 및 이를 이용한 필통
JP2000053176A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
KR101427482B1 (ko) 서류 홀더
KR200478255Y1 (ko) 오토바이용 커버
EP1326571B1 (en) An easily carried eye rinsing device
KR200256035Y1 (ko) 독서대 기능을 갖춘 휴대용 파일박스
KR100875990B1 (ko) 케이블 인식표
JP2009285958A (ja) ブックカバー
KR200372871Y1 (ko) 서류 보관용 클리어 화일
KR200355119Y1 (ko) 서랍손잡이
ES2216461T3 (es) Caja archivadora.
KR200343713Y1 (ko) 바인더 커버
KR200190437Y1 (ko) 사진 등을 내장할 수 있는 티슈 케이스
KR200493921Y1 (ko) 문구용 투명 케이스
KR200257109Y1 (ko) 도면 통
KR200343712Y1 (ko) 바인더 커버
KR200386010Y1 (ko) 폭조절이 가능한 서류케이스
KR200156775Y1 (ko) 필통
JPH01198396A (ja) ファイルボックス
KR200260085Y1 (ko) 화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9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6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0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