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0260085Y1 - 화일 - Google Patents

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085Y1
KR200260085Y1 KR2020010029400U KR20010029400U KR200260085Y1 KR 200260085 Y1 KR200260085 Y1 KR 200260085Y1 KR 2020010029400 U KR2020010029400 U KR 2020010029400U KR 20010029400 U KR20010029400 U KR 20010029400U KR 200260085 Y1 KR200260085 Y1 KR 200260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paper
file
backing paper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옥
Original Assignee
서동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동옥 filed Critical 서동옥
Priority to KR2020010029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08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일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이면지에 파스너를 직접 설치하므로 외부에서 파스너가 노출되어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또한 화일내에 CD를 보관할 수 있는 구조가 없어 CD를 단순히 표면지와 이면지사이에 끼워넣으므로 CD가 쉽게 바닥으로 떨어져 깨지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면지(200)의 상단에 파스너(300)의 괘지발(320) 삽입용 구멍(211)이 형성된 소정의 파스너설치부(210)를 접힘선(20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파스너(300)가 설치된 상기 파스너설치부(210)를 표면지(100)와 이면지(200) 사이에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표면지(100)의 상단에는 CD 지지편(510)이 절결 형성되고 그 양쪽 단부와 하단에 양면테이프(600)가 부착된 CD 보관부(500)를 절결부(101)에 의해 절결 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이면지(200)에 파스너설치부(210)를 별도로 설치한후 파스너(300)를 파스너설치부 (210)에 설치하므로 외부에서는 파스너(300)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키고, CD는 CD보관부(500)에 보관토록 하여 한개의 화일에 서류와 CD를 함께 보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화일{The file}
본 고안은 화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일을 덮었을 때 외부에서 파스너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미를 향상시킨 것은 물론 서류와 CD를 같이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화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류를 표지와 밑지등과 함께 뭉치를 이루도록 한후 철끈등으로 철하여 왔으나 근래에는 필요한 서류만을 부분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의 화일은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표면지(10)와 이면지(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이면지(20)에는 화스너(30)가 설치되는 삽입공(21)이 천공되어 있어 이면지(20)의 후면에서 파스너(30)의 괘지발(32)을 상기 삽입공(21)속으로 관통시켜 돌출되도록 한후 괘지발(32)에 고정편(도면중 미도시)을 결합한 후 상기 괘지발(32)을 오므려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화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괘지발(32)을 수직으로 세워준후 고정편을 상기 괘지발(32)에서 이탈시킨 다음 서류에 구멍을 뚫어 상기 괘지발(32)이 서류의 구멍에 끼워지도록 한후 고정편을 다시 괘지발(32)에 끼워준 다음 상기괘지발(32)을 오므려주면 서류가 화일에서 이탈되지 않고 보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화일은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파스너(30)의 몸체는 머리부(31)와 괘지발(32)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면지(20)의 후면에서 파스너(30)의 괘지발(32)을 삽입공(21)속으로 끼워 설치하면 파스너(30)의 머리부(31)는 이면지(20)후면에 그대로 밀착되면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상 보기가 좋지않은 것이다.
이에따라 이를 조금이라 방지하고자 파스너(30)의 머리부(31)에 접착용 커버지(도면중 미도시)를 씌워 머리부(31)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역시 커버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화일은 서류만을 보관하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즉, 근간에는 정보기술의 발달로 가정이나 직장에서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에서 활용하는 프로그램은 모두 CD로 제작되어 있는데, 화일에는 CD를 보관할 수가 없어 CD를 별도로 보관하여 관리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화일에 철해진 서류와 관계있는 CD일 경우에는 서류와 같이 보관되는 것이 나중에 이용하기가 편리한 것이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화일속의 서류와 함께 CD를 같이 보관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는 단순히 화일의 표면지(10)와 이면지(20)사이에 CD를 그대로 끼워 보관하는 것이기 때문에 화일을 들고 가던중에 조금만 부주의하게 되면 CD가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깨져버려 낭패를 당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에서 파스너의 머리부가 전혀 노출되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킨 것은 물론 이면지에 CD를 보관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CD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는 화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이면지의 상단에 파스너의 괘지발 삽입용 구멍이 형성된 소정의 파스너 설치부를 접힘선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파스너가 설치된 상기 파스너 설치부를 표면지와 이면지 사이에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면지의 상단에는 CD 지지편이 절결 형성되고 그 양쪽 단부와 하단에 양면테이프가 부착된 CD 보관부를 절결부에 의해 절결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면지의 중앙에는 상측의 파스너 설치부와 소정 간격을 두고 CD 보관부의 부착부위를 표시하여 표면지에서 절취된 CD 보관부를 상기 부착부위에 부착토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스너를 이면지에 직접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이면지 상단에 절첩될수 있는 파스너설치부를 별도로 형성한후 상기 파스너설치부에 파스너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에서 파스너가 노출될 우려가 없어 외관미를 향상시킨 것이고, 또한 표면지의 상단에 별도의 CD보관부를 절결 가능하게 형성하여 소비자가 간편하게 이를 절결하여 이면지에 부착하여 CD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개의 화일에 서류와 CD를 함께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화일에 파스너가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표,이면지에 CD보관부와 파스너가 구비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화일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서 CD 보관부와 파스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화일에 CD를 보관시켜 놓은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화일에 CD와 서류를 보관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화일을 접어논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면지 101 : 절결부
200 : 이면지 201 : 접힘선
210 : 파스너설치부 211 : 괘지발삽입용 구멍
220 : 부착부위 300 : 파스너
310 : 머리부 320 : 괘지발
400 : 커버지 500 : CD보관부
510 : CD지지편 600 : 양면테이프
700 : CD 800 : 서류
이하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의 표,이면지에 CD보관부와 파스너가 구비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화일을 펼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서 CD 보관부와 파스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의 화일에 CD를 보관시켜 놓은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고안의 화일에 CD와 서류를 보관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표면지(100)와 이면지(200)가 접힘선에 의해 절첩되는 화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면지(200)의 상단에 파스너(300)의 괘지발(320) 삽입용 구멍(211)이 형성된 소정의 파스너 설치부(210)를 접힘선(20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파스너(300)가 설치된 상기 파스너 설치부(210)를 표면지(100)와 이면지(200) 사이에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표면지(100)의 상단에는 CD 지지편(510)이 절결 형성되고 그 양쪽 단부와 하단에 양면테이프(600)가 부착된 CD보관부(500)를 절결선 (101)에 의해 절결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면지(200)의 중앙에는 상측의 파스너설치부(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CD 보관부(500)의 부착부위(220)를 표시하여 표면지(100)에서 절취된 CD보관부(500)를 상기 부착부위(220)에 부착토록 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310)은 파스너의 머리부이고, (400)은 파스너의 머리부가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머리부에 붙여주는 커버지이고, (700)은 CD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면지(200)의 상단에 파스너(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별도의 파스너설치부(210)를 형성하되 상기 파스너설치부(210)는 접힘선(201)에 의해 절첩되도록 하여 파스너(300)를 설치한후 상기 파스너설치부(210)를 접어주면 외부에서 파스너(300)가 전혀 보이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킨 것은 물론 CD(700)를 보관할 수 있는 CD 보관부(500)를 절결할 수 있도록 표면지(100)에 별도로 형성하여 소비자가 상기 CD보관부(500)를 절결하여 이면지(200)의 부착부위(220)에 부착하여 CD(70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한개의 화일을 이용하여 서류(800)뿐만 아니라 CD(700)도 함께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2 내지 도 3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이면지(200)의 상단에는 파스너 (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파스너설치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스너설치부 (210)는 이면지 (200)와 접힘선(20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즉, 파스너(300)의 괘지발(320)을 파스너설치부 (210)에 형성된 삽입용구멍(211)에 끼워준후 파스너설치부(210)를 이면지(200)내면방향으로 접어주면 파스너(300)의 머리부(310)는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노출되지 않고, 괘지발(320)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괘지발(320)에 고정편(330)을 끼워준후 괘지발(320)을 접어주면 상기 파스너(300)는 파스너설치부(210)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파스너설치부(210)에 파스너(300)를 고정시켜 준후 다시 파스너설치부(210)를 상향으로 들어올리면 파스너(300)의 머리부(310)는 외부로 노출되는데이때에는 도3에서와 같이 커버지(400)를 머리부(310)에 붙여주면 상기 머리부(310)는 파스너설치부(210)를 전,후이동시킬 때에 전혀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커버지(400)는 파스너(300)를 파스너설치부(210)에 설치하기전에 파스너(300)의 머리부(310)에 미리 붙여주어도 무방한 것이다.
그리고 표면지(100)의 상단에는 절결부(101)에 의해 CD보관부(500)가 붙어있는데 상기 CD보관부(500)에는 CD지지편(5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CD지지편 (510)의 양쪽단부와 하단에는 양면테이프(60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가 본 고안의 화일을 사용할 때에는 먼저 CD보관부(500)를 절결부(101)를 따라 절결하여 준다음 CD보관부(500)에 붙어있는 양면테이프(600)를 벗겨낸후 상기 CD보관부(500)를 뒤집어서 양면테이프(600)와 이면지(200)가 서로 붙도록 하는데 상기 이면지(200)에는 소비자가 CD보관부(500)를 정해진 위치에 정확히 붙일수 있도록 부착부위(220)가 점선으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표면지(100)에서 절취한 CD보관부(500)를 이면지(200)의 정확한 위치에 붙일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CD보관부(500)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같이 표면지(100)에서 소비자가 직접 절결하여 이면지(200)에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고, 생산공장에서 미리 CD보관부(500)를 이면지(200)에 부착할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CD보관부(500)를 이면지(200)의 부착부위(220)에 정확히 부착하면 상측으로는 파스너설치부(210)가 상기 CD보관부(500)와 소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놓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후 CD(700)를 CD보관부(500)에 보관할 때에는 먼저 상측에 위치한 파스너설치부(210)를 젖혀준후 CD보관부(500)의 CD지지편(510)속에 CD(700)의 일단을 끼워준후 파스너설치부(210)를 다시 원상태로 접어주면 도4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파스너설치부(210)가 CD(700)에 접면되면서 CD(700)의 타단을 막아주기 때문에 CD(700)가 빠질 우려가 없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파스너설치부(210)에 설치된 파스너(300)를 이용하여 도6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서류(800)를 철하고 나면 CD(700)의 타단을 상측에서 서류가 압압하기 때문에 CD(700)를 인위적으로 빼내기 전에는 CD(700)가 CD보관부(500)에서 이탈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는 반대로 CD(700)를 CD보관부(500)에 보관하고 난후 CD(700)를 빼줄 때에는 먼저 파스너설치부(210)를 상향으로 들어올려 CD(700)의 타단을 개방시켜 준후 CD(700)를 상향으로 밀어올리면 CD(700)는 CD지지편(510)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한개의 화일에 서류는 물론 CD(700) 까지도 함께 보관 할 수가 있어 종전처럼 CD를 별도로 보관함에 따른 불편함이나 단순히 화일에 CD를 끼워 보관하여 조금만 부주의하면 CD가 땅에 떨어져 깨어지는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화일은 상기 표면지(100)와 이면지(200)의 가로폭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표면지(100)를 열기 쉽게 형성한 것으로서 즉,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표면지(100)의 폭길이를 이면지(200)의 폭 길이보다 크게하여 화일을 열기 위해서 손으로 화일을 잡았을 때 표면지(100)만이 손에 잡히도록 하여 화일을 손쉽게 열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파스너를 이면지에 직접 설치하지 않고, 별도의 파스너설치부에 설치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파스너의 머리부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를 향상시킨 것은 물론 화일내에 CD를 보관할 수 있는 CD보관부를 설치하여 CD를 보관토록 하므로서 한개의 화일에 서류는 물론 CD까지도 함께 보관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표면지(100)와 이면지(200)가 접힘선에 의해 절첩되는 화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이면지(200)의 상단에 파스너(300)의 괘지발(320) 삽입용 구멍(211)이 형성된 소정의 파스너 설치부(210)를 접힘선(201)에 의해 절첩 가능하게 형성하여 파스너(300)가 설치된 상기 파스너 설치부(210)를 표면지(100)와 이면지(200) 사이에 접어 넣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100)의 상단에는 CD 지지편(510)이 절결 형성되고 그 양쪽 단부와 하단에 양면테이프(600)가 부착된 CD 보관부(500)를 절결부 (101)에 의해 절결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면지(200)의 중앙에는 상측의 파스너설치부(210)와 소정 간격을 두고 CD 보관부(500)의 부착부위(220)를 표시하여 표면지(100)에서 절취된 CD 보관부(500)를 상기 부착부위(220)에 부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3. 제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지(100)와 이면지(200)의 가로폭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표면지(100)를 열기 쉽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일.
KR2020010029400U 2001-09-24 2001-09-24 화일 Expired - Fee Related KR200260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00U KR200260085Y1 (ko) 2001-09-24 2001-09-24 화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00U KR200260085Y1 (ko) 2001-09-24 2001-09-24 화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085Y1 true KR200260085Y1 (ko) 2002-01-10

Family

ID=7310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00U Expired - Fee Related KR200260085Y1 (ko) 2001-09-24 2001-09-24 화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0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4143B2 (en) Three-dimensional stand alone pop up assembly and method
RU24191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емонстрации предмета
US10682583B2 (en) Three-dimensional stand alone pop up assembly and method
CA2190322A1 (en) Erectable periscoping display device for planar elements
US6354486B1 (en) Expansible document holder
KR200260085Y1 (ko) 화일
US2976631A (en) Display mounts for calendar pads or the like
US6431354B1 (en) Picture frame type cover for disk storage case
KR20070121875A (ko) 액자도화지첩
JP3248386U (ja) カードケース
KR200436237Y1 (ko) 출석부
KR101051282B1 (ko) 책갈피
JPH0716676Y2 (ja) テープホルダ
WO2000035681A1 (en) Diorama/stand-up picture card
KR200328022Y1 (ko) 잠금 수단을 구비한 서류철
KR200210097Y1 (ko) 개폐문이 형성된 검침용 기록함
KR200315727Y1 (ko) 압정
JP3185409B2 (ja) 時計用梱包部材
KR200343085Y1 (ko) 벽걸이용 달력
JP2945866B2 (ja) 折り畳み式スタンド
US20040089565A1 (en) Media storage disk case
JP2539270Y2 (ja) ファイル用綴込具
JPH0327509Y2 (ko)
KR200208514Y1 (ko) 광고판 부착용 지지대
KR200249978Y1 (ko) 탁상달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92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12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92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2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30725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U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Notification of Correction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G17011E0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