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9990087537A -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537A
KR19990087537A KR1019980706972A KR19980706972A KR19990087537A KR 19990087537 A KR19990087537 A KR 19990087537A KR 1019980706972 A KR1019980706972 A KR 1019980706972A KR 19980706972 A KR19980706972 A KR 19980706972A KR 19990087537 A KR19990087537 A KR 19990087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signal
monitoring
amplifier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7885B1 (ko
Inventor
안데르스 프라비츠
마츠 홀그렌
Original Assignee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펄 위 제이케, 알곤 에이비이 filed Critical 펄 위 제이케
Publication of KR1999008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0Supervising unattended rep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40Monitoring; Testing of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중계기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중계기는 2개의 안테나(1, 2) 사이에 업링크(100) 및 다운링크(200)를 갖춘 종류의 것으로, 기지국과 이동전화 사이의 신호를 수신, 증폭 및 재전송한다. 안정성 테스트가 자동적으로 실행됨으로써, 2개의 안테나 사이의 정궤환에 따른 불안정성이나 교란신호에 기인하는 가능한 한 연속적이고 강한 신호가 검출되고, 안정성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증폭이득이 조정된다. 테스트 기준은 각 증폭기 체인의 입력신호레벨이 측정기간의 적어도 주요한 부분동안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어떤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및 감시장치
셀룰러(cellular) 전화기시스템에 사용되는 중계기는, 수신된 무선주파수(RF) 신호를 증폭하고 증폭된 신호를 동일한 반송주파수로 재전송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1개의 안테나로부터 재전송된 신호가 다른 안테나에 의해 포착되어 특정 증폭기 체인의 증폭기에 의해 유지되는 정궤환 및 강한 자기발진(self-oscillat ion) 신호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결점이 있다.
다운링크가 발진하면, 중계기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이 교란되어 이동전화가 이 영역에서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업링크가 발진하면, 관련된 기지국은 기지국의 수신기를 차단하는 연속적이고 강한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이 적절히 기능하는 것을 방해한다.
그래서, 그들 사이의 분리가 충분해지도록 하기 위해 중계기의 2개의 안테나를 장착할 때 아주 조심해야 한다.
각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은, 몇 가지의 인자, 우선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그러나, 중계기의 안테나 사이의 분리를 측정하거나, 각종 파라미터를 갱신하는 등과 같이 변화하는 상황하에서 그것을 검사하는 것은 어렵다.
더욱이, 안테나 사이의 분리는 일정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변화하는 날씨, 이동하는 큰 금속물질 등의 변화하는 환경에 의존하게 된다.
따라서, 자기발진이나 다른 강하고 연속적인 신호의 재전송을 피하기 위해 자동적이고 바람직한 연속적인 안정성의 감시가 필요하다.
상기 제1파라그래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방법 및 장치는, 이동장비가 중계기에 접근할 때 송신기 출력을 제한하도록 설계된 중계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095,528호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중계기의 출력레벨을 감시하고 그기에 따라 이득을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래서, 출력전력 레벨이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할 때는, 출력전력 레벨이 임계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몇 단계로 이득을 감소시키고 있다.
그렇지만, 공지된 방법 및 장치는, 중계기가 다수의 다른 이동장비로부터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작용하는 경우에서의 불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바, 적어도 최적의 방법이 아니다. 그 이유는, 임계치에 종종 순간적으로 도달하고, 이득이 불필요하게 낮은 값으로 감소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안테나 및 그 사이에 2개의 링크를 갖춘 이동전화 중계기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2개의 링크는 이동전화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업링크(uplink)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전화로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다운링크(downlink)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링크에는 특정신호 주파수채널(frequency channel)이나 주파수대역(frequency band )을 통과하도록 각각 설계된 다수의 증폭기 체인(chain)이 설치되며, 신호레벨의 측정 및 측정된 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어떤지에 대한 검사를 포함하는 테스트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2개의 안테나 사이의 정궤환에 따른 불안정성이나 교란신호에 기인하는 가능한 한 연속적이고 강한 신호가 검출되고, 각각의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은 안정성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조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가 설치된 중계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방법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을 제어하여 중계기의 조작성을 유지하기 위해 안정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은 청구항1에 기재된 방법 및 청구항16에 기재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 다른 잇점 및 개선된 사항은 각각 청구항2~15 및 청구항17~20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예를 설명하는 참고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중계기는, 국제 특허출원공개 제WO95/31866에 개시된 기본적인 종류의 것이다. 이 장치는, 중계기와 셀룰러 이동전화(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무선통신을 위한 제1안테나(1) 및, 중계기와 기지국(도시하지 않음) 사이의 무선통신을 위한 제2안테나(2)를 구비하고 있다. 제1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는, 증폭후 제2안테나(2)에 의해 동일한 (제1)반송주파수로 재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제2안테나(2)에 의해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는, 동일한 (제2)반송주파수로 제1안테나에 의해 재전송된다.
제1 및 제2안테나(1, 2)는, 2중 필터(duplex filter; 3, 13)를 매개로 반대로 향하고 있는 2개의 링크, 즉 이동전화로부터 발신된 신호를 관련된 기지국을 향하여 전송하는 업링크(100) 및 반대 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다운링크(200)에 연결된다.
업링크(100)에 있어서는, 제1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2중 필터(3)를 통해 다수의 병렬 증폭기 체인(6)에 신호를 분배하는 멀티커플러 증폭기(multicou pler amplifier; 4)로 공급되고, 또 콤바이너(combiner; 12) 및 2중 필터(13)를 매개로 제2안테나(2)로 공급된다. 반면에, 다운링크에 있어서는, 신호는 제2안테나(2)로부터 2중 필터(13), 멀티커플러 증폭기(14), 다수의 병렬 증폭기 체인(15), 콤바이너(5) 및 2중 필터(3)를 매개로 제1안테나(1)로 공급된다.
각 증폭기 체인(6, 15)은 각각 특정 주파수채널을 통과시키도록 설계되어 있고, 제1믹서(mixer; 7), 국부 발진기(10), 필터(8), 제2믹서(9), 다수의 증폭기(17; 도시된 예에서는 2개), 필터(9)의 입력측의 제어가능한 감쇠기(attenuator; 18), 체인(6)의 입력신호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다이오드 감지기(diode detector; 19), 어떤 상황에서 체인을 통과하는 신호를 강력히 감쇠하기 위한 스위칭장치(20), 전력 증폭기(11) 및 전력 증폭기(11)의 출력부에서 전력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다이오드 감지기(21)를 포함하고 있다.
다이오드 감지기(19, 21)는 A/D 컨버터를 매개로 디지탈 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장치(22)에 연결되어 있고, 제어장치는 D/A 컨버터를 매개로 감쇠기(18) 및 스위칭장치(20)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장치(22)는 각각의 다운링크 증폭기 체인(15)의 대응하는 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증폭기 체인(6, 15)에서 입력신호레벨 및 출력전력레벨을 측정할 수 있고, 각 감쇠기(18)에 의해 증폭이득을 제어할 수 있다. 발진기(10)는 또한 제어가능하고, 스위칭장치(20)는 중계기의 불안정성의 가능한 상태를 검사하거나 연속적인 교란신호가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 주파수채널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데 사용된다.
제어장치(22)는 소정의 테스트를 수행하고, 그 테스트 결과에 따라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장치는 중계기의 연속적인 관리 및 각종 파라미터의 갱신과 동작의 원격제어를 할 수 있도록, 전화 모뎀을 매개로 운영, 감시센터(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또, 제어장치(22)는 2개의 카운터(counter)를 포함하고 있다. 제1카운터(특별히 도시하지 않음)는 측정기간동안 감지기(19)에 의해 감지된 입력신호레벨이 임계치, 예컨대 -70dBm를 초과하는 동안의 비례시간을 측정한다. 제2카운터는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비례시간을 측정하지만, 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동안의 GSM 타임 슬롯(GSM time slot; 1-8)의 수로서 표현된다.
감지기(19)는 또한 측정기간(본 실시예에서는 2초)동안 감지되는 최대 및 최소레벨값을 기록한다. 마찬가지로, 감지기(21)도 또한 측정기간동안 감지되는 최대 출력전력레벨을 기록한다.
다음에는 도 2의 플로우 챠트도를 참조하여 안전성 테스트 및 감시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측정은 업링크에서 실행되는데 반하여, 테스트 결과에 따른 조정은 각 업링크 체인(6) 뿐만 아니라 각 다운링크 체인(15)에서 행해져 바람직한 균형이 이루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중계기의 동작을 시작할 때나 알람 리세트(alarm reset), 전력중단 또는 파라미터의 갱신후에 동작을 재시작할 때, 업링크(100)의 증폭기 체인(6)의 각각에서 안전성 테스트가 초기화된다(도 2의 T0). 먼저, 증폭이득이 선택된 정상 이득을 상당히 큰 값, 즉 2개의 안테나(1, 2)의 분리를 위해 충분한 마진(margine)을 갖도록 선택된 전형적으로 10~20dB, 특히 13dB의 안정성 마진값만큼 초과하는 이득값으로 각각의 감쇠기(18)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된다.
그 후, 특정 주파수채널이 안정하게 작용하고 있는지 또는 2개의 안테나 사이의 정궤환에 따른 자기발진이나 억압되어야 하는 연속적인 교란신호를 수반하는 불안정성이 있는지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측정(T1)이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측정기간은 대략 2초이고, 다음의 변수들이 각 증폭기 체인(6)에서 측정된다.
- 감지기(19)에서 감지된 입력신호레벨의 최대 및 최소값,
- 입력신호레벨이 임계치, 즉 -70dBm를 초과할 때 제1 또는 제2시간카운터에 의해 기록되는 비례시간 및,
- 감지기(21)에 의해 감지된 출력전력레벨.
이제, 제어장치(22)의 디지탈 프로세서는 불안정성 또는 교란의 검출에 테스트 기준을 적용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그 기준이 충족된다.
- 입력신호레벨이 측정기간의 적어도 90%, 특히 97%동안 임계치를 초과하고,
- 출력전력이 27dBm을 초과하며,
- 최대 및 최소 입력신호레벨 사이의 차이는 다른 타임 슬롯에 대해 10dB보다 작다.
테스트 기준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즉 상기 3가지의 기준중 적어도 1가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측정을 여러번 반복하며(참조부호 1b), 30초후에 테스트 결과가 바뀌지 않았다면 증폭이득을 선택된 정상값으로 조절하고, 중계기는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측정에 의해 감시되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시작한다(T1).
한편, 테스트 기준이 가능한 불안정성 또는 교란신호를 나타내는 경우(참조부호 1a)에는, 입력신호레벨에 대한 임계전압이 측정된 최대치 이하의 5dB의 값으로 증가하고, 채널을 차단하도록 스위칭장치(20)가 구동된다. 따라서, 자기발진신호나 교란신호는 측정이 적어도 5번 반복되는 동안에 확인된다(참조부호 2b, 2a).
이러한 특정 체인(6)에서의 자기발진을 수반하고 채널이 차단될 때(참조부호 3a, 3b 및 3c) 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입력신호의 감지에 의해 확인되는 불안정성이 검출시(T3)에, 증폭이득은 불안정성이 없어질 때까지 각 스텝(참조부호 4b)마다 1dB씩 감소한다(T4). 그후, 증폭이득이 마진값, 예컨대 13dB만큼 감소함으로써, 중계기가 충분한 불안정성 마진을 갖고 동작하여 증폭이득을 감소된 레벨로 유지한다. 더욱이, 불안정성 알람 신호가 제어장치(22)를 매개로 운영 및 감시센터로 보내진다.
그 결과, 불안정성이 검출된 각 증폭기 체인에 대해, 안정성 테스트가 매 60분마다 더 이루어지고, 증폭이득이 매번 13dB씩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증가된 이득에도 불구하고 불안정성이 없는 경우에는, 증폭이득은 선택된 정상 이득값으로 감소한다. 신호를 중지시키는 불안정성 알람이 운영, 감시센터로 보내진다.
채널의 차단에도 불구하고 감지기(19)에 의해 확인되는 연속적이고 강한 교란신호(T3)가 검출되면, 그러한 신호는 연속적인 교란신호로 분류되고(참조부호 3d), 대응하는 교란 알람신호가 운영, 감시센터로 보내진다. 다음에, 관련된 기지국으로의 교란신호의 재전송을 피하기 위해 특정채널을 차단한다(T5). 교란신호가 더 이상 감지기(19)에 의해 감지되지 않을 때, 알람이 리세트되고(5b), 안정성 테스트가 다시 초기화된다(T0).
어떤 경우에는, 불안정성을 검출하면(T3, T4), 최소이득이 얻어질 때까지(참조부호 4c) 증폭이득을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참조부호 4b). 그렇다면, 불안정성이 중단되거나 알람이 리세트될 때까지 특정 채널이 스위칭장치(20)에 의해 차단되고(T6), 그 결과 안정성 테스트가 다시 초기화된다(T0)
상술한 방법은 청구범위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입력신호레벨을 측정하고, 전력레벨센서(21) 및 스위칭장치(20)를 제거하도록 해도 좋다. 이때는, 증폭기 이득을 제어하고, 불안정성이 검출되었을 때 채널을 차단하는데 감쇠기(18)를 사용하게 된다.
도 1의 블록도는 개략도이고 모든 구성요소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치가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각 증폭기 체인(6, 15)에 다수의 증폭기, 감쇠기 및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특정 신호레벨, 마진값, 타임기간 등은 중계기의 상세한 설계에 따라 변경해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각 증폭기 체인(6, 15)은 특정 주파수보다 더욱 특정한 주파수대역을 통과시키도록 설계되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계기내의 각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을 제어하고, 중계기의 조작성을 유지하기 위해 안정성 테스트를 실행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2개의 안테나(1, 2)와 그 사이에 2개의 링크를 갖춘 이동전화 중계기로,
    상기 2개의 링크가 이동전화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업링크(100)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전화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다운링크(200)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링크에는 특정신호 주파수채널이나 주파수대역을 통과시키도록 각각 설계된 복수의 증폭기 체인(6, 15)이 설치되며,
    상기 2개의 링크중 1개(100)의 각 증폭기 체인에서 안정성 테스트(T0, T1)가 수행되고,
    신호레벨의 측정과 측정된 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어떤지의 검사를 포함하는 테스트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2개의 안테나 사이의 정궤환에 따른 불안정성이나 교란신호에 기인하는 가능한 한 연속적이고 강한 신호가 검출되며,
    상기 안정성 테스트의 결과에 따라 각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이 조절되는 이동전화 중계기를 감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이, 측정기간동안 입력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비례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비례시간이 상기 측정기간의 주요한 소정 부분을 초과하는지 어떤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은, 각 증폭기 체인으로부터의 출력전력레벨을 측정하는 단계(21)와, 측정된 출력전력레벨이 소정치를 초과하는지 어떤지를 검사(22)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은, 상기 측정기간동안 측정된 상기 입력신호레벨의 최대 및 최소치 사이의 차이가 설정치보다 작은지 어떤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은 다음의 3가지 조건이 모두 일치하는지 어떤지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 측정기간의 적어도 주요부분동안 입력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고,
    - 출력전력레벨이 소정치를 초과하며,
    - 상기 측정기간동안 측정된 상기 입력신호레벨의 최대 및 최소치 사이의 차이가 설정치보다 작다.
    상기 3가지 조건중 적어도 1가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측정을 여러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이 일치할 때, 상기 각 증폭기 체인의 신호를 강력히 감쇠시키고(20; T2), 그 후에 새로운 측정(T3)에 의해 강한 신호가 소멸하는 경우의 불안정성 또는 강한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의 교란신호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는지 어떤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이 일치할 때, 상기 임계치를 상기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값보다 더 높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더 높은 값은 이전에 측정한 상기 입력신호레벨의 최대값 이하의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력 및 신호레벨의 측정을 테스트 기간내에서 소정 횟수 연속하여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기준이 일치하지 않고, 불안정성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각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을 소정의 정상동작이득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계기의 동작을 시작할 때 또는 전력이 중단된 후 중계기를 갱신하거나 재설정하면서 중계기의 동작을 재시작할 때 안정성 테스트가 실행되고, 상기 증폭이득은 상기 측정기간동안 안정성 마진값으로 일시적으로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불안정성이 검출된 경우(T4)에 증폭이득이 조금씩 감소되고, 불안정성이 중지되었을 때 증폭이득이 상기 안정성 마진값만큼 감소된 동작 이득값으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중계기의 정상동작중에 안정성 테스트가 일정 간격으로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간격으로 증폭이득이 상기 안정성 마진값만큼 일시적으로 증가하고, 그에 따라 안정성 테스트가 실행되어 증폭이득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링크(100)의 각 증폭기(6)에서 조절된 증폭이득은 다른 링크(200)의 각 증폭기 체인(15)에 상응하여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정성 테스트가 상기 업링크(100)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방법.
  16. 2개의 안테나(1, 2)와 그 사이에 2개의 링크(100; 200)를 갖춘 이동전화 중계기로,
    상기 2개의 링크가 이동전화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업링크(100)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동전화로의 신호를 증폭하는 다운링크(200)로 구성되고,
    상기 2개의 링크에 특정 신호 주파수채널이나 주파수대역을 통과시키도록 각각 설계되고, 주파수 필터(8) 및 출력전력 증폭기(11)를 각각 갖춘 복수의 증폭기 체인이 설치된 이동전화 중계기를 감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각 증폭기 체인의 입력신호레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19)와,
    각 증폭기 체인(6)의 증폭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22) 및,
    측정기간동안 상기 감지장치(19)에 의해 감지된 입력신호레벨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비례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각 증폭기는 상기 증폭기 체인의 증폭이득을 제어하는 제어가능한 감쇠기(1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2)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 체인의 상기 출력전력 증폭기(11)의 출력의 전력레벨을 감지하는 전력감지장치(21)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레벨 감지장치(19)의 출력측에서 상기 증폭기 체인에 삽입된 스위칭장치(2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위칭장치(20)는 상기 제어장치(22)에 연결되어 상기 증폭기 체인의 출력신호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2)는 청구항 1 내지 15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정성 테스트를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디지탈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 중계기의 감시장치.
KR10-1998-0706972A 1996-03-04 1997-02-19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KR100427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0842-0 1996-03-04
SE9600842A SE511385C2 (sv) 1996-03-04 1996-03-04 Sätt och anordning för övervakning av en mobiltelefonrepea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537A true KR19990087537A (ko) 1999-12-27
KR100427885B1 KR100427885B1 (ko) 2004-11-06

Family

ID=20401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972A KR100427885B1 (ko) 1996-03-04 1997-02-19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09324A (ko)
EP (1) EP0885491B1 (ko)
JP (1) JP3911027B2 (ko)
KR (1) KR100427885B1 (ko)
CN (1) CN1172457C (ko)
AU (1) AU711591B2 (ko)
BR (1) BR9707916B1 (ko)
CA (1) CA2244873C (ko)
DE (2) DE885491T1 (ko)
ES (1) ES2177944T3 (ko)
NO (1) NO315677B1 (ko)
SE (1) SE511385C2 (ko)
WO (1) WO19970333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687B1 (ko) * 2002-02-15 2005-08-23 주식회사 위다스 옥외형 무선중계기의 절연상태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028311B1 (ko) * 2004-08-27 2011-04-11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525B1 (ko) * 1997-10-13 2000-03-15 윤종용 운용중인 시스템에서 채널 카드 유형 변경에 따른 장애 처리방법
FR2770707B1 (fr) * 1997-10-30 2004-01-16 Telediffusion Fse Repeteur de signal en modulation de frequence
KR20000042660A (ko) * 1998-12-26 2000-07-15 서평원 광중계 시스템의 이득제어방법
DE19902407A1 (de) * 1999-01-22 2000-08-17 Mikom Gmbh Mikrotechnik Zur K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Verstärkung eines Repeaters
US6122492A (en) * 1999-02-08 2000-09-19 Motorola, Inc. Adjustable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and transmitter
JP2000286786A (ja) * 1999-03-31 2000-10-13 Harada Ind Co Ltd 無線中継装置
FR2793630B1 (fr) * 1999-05-10 2004-09-24 Sagem Repeteur de reseau radiotelephonique cellulaire
SE516753C2 (sv) 1999-06-11 2002-02-26 Allgon Ab Metod och anordning för bestämning av stabilitetsmarginal i en repeater
US6469984B1 (en) * 1999-06-24 2002-10-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traffic o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repeater
WO2001052447A2 (en) 2000-01-14 2001-07-19 Andrew Corporation Repeater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3782616B2 (ja) 1999-08-31 2006-06-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ブースター、監視装置、ブースター・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監視方法
US6442384B1 (en) * 1999-10-22 2002-08-27 Ericsson Inc.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ication of uplink/downlink interference sources
AU2601101A (en) 1999-12-29 2001-07-09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Discrete power level coding for indicating uplink mobile receive level in a wireless repeater system
FR2814613B1 (fr) * 2000-09-22 2003-10-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ntre une antenne mobile de vehicule automobile et un boitier electronique d'utilisation des signaux recus par l'antenne installe dans le vehicule
KR100480043B1 (ko) * 2000-12-04 2005-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신 경로 점검 장치
KR100385611B1 (ko) * 2001-06-01 2003-05-27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시스템의 무선 중계장치
KR100393672B1 (ko) * 2001-06-19 2003-08-06 (주)씨앤드에스 마이크로 웨이브 양방향 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진 검출 장치 및 방법
GB2380355B (en) * 2001-08-03 2003-08-06 Hutchison Whampoa Entpr Ltd Mobile telephone communications networks
CN1518370B (zh) * 2003-01-13 2011-08-10 和记黄埔企业有限公司 移动电话通信网
US20040146013A1 (en) * 2003-01-22 2004-07-29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time division duplex relay system with high speed automatic up-link and down-link detection
US20040156097A1 (en) * 2003-02-06 2004-08-12 Spotwave Wireless Inc.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7555261B2 (en) 2003-03-04 2009-06-30 O'neill Frank P Repeater system for strong signal environments
US6993287B2 (en) 2003-03-04 2006-01-31 Four Bars Clarity, Llc Repeater system for strong signal environments
US7254370B2 (en) * 2003-07-21 2007-08-07 Cellular Specialties, Inc. Method to maintain stability in a bi-directional amplifier
KR100974456B1 (ko) * 2003-09-03 2010-08-06 넥스티비티 인코포레이티드 단거리 셀룰러 부스터
JP4336880B2 (ja) * 2003-10-01 2009-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オートネゴシエーション監視システム、中継伝送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オートネゴシエーション監視方法
AU2005251169B2 (en) * 2004-05-26 2010-07-15 Zboost, Llc Wireless repeater for a duplex communication system implementing a protection based on oscillation detection
US7280799B1 (en) * 2004-08-18 2007-10-09 Broadlink Research Inc. Mobile phone repeater
US20060189276A1 (en) * 2004-12-08 2006-08-24 Michael Halinski Methods and systems for intelligent adaptive gain control
WO2006099210A2 (en) * 2005-03-11 2006-09-21 Ems Technologies, Inc. Dual polarization wireless repeater including antenna elements with balanced and quasi-balanced feeds
US8559896B2 (en) * 2005-06-30 2013-10-15 Harris Stratex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radio power level control
KR100997063B1 (ko) * 2006-01-27 2010-11-29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중계기 개방 루프 게인 측정
US20070232228A1 (en) * 2006-04-04 2007-10-04 Mckay David L Sr Wireless repeater with universal server base unit and modular donor antenna options
GB0624218D0 (en) * 2006-12-04 2007-01-10 Vodafone Plc Base station repeater
KR100893010B1 (ko) * 2007-05-21 2009-04-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감쇄 장치를 구비한 중계기의 가변 감쇄 방법 및 그 원격관리 시스템
JP4744544B2 (ja) * 2008-03-24 2011-08-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セル再選択方法及び移動局
US8787827B2 (en) * 2009-10-29 2014-07-22 Rf Industries Pty Ltd Gain control and frequency stability in digitally-channelised RF bi-directional amplifiers
CA2814303A1 (en) 2013-04-26 2014-10-26 Cellphone-Mat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signal boosters
WO2017072951A1 (ja) * 2015-10-30 2017-05-04 株式会社東芝 電池制御装置および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6032A (en) * 1985-05-15 1988-10-0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epeater for a same frequency with spillover measurement
US5115514A (en) * 1987-08-03 1992-05-19 Orion Industries, Inc. Measuring and controlling signal feedback between th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of a communications booster
US5095528A (en) * 1988-10-28 1992-03-10 Orion Industries, Inc. Repeater with feedback oscillation control
FI91201C (fi) * 1992-06-05 1994-05-25 Nokia Mobile Phones Ltd Boosteri
FI93159C (fi) * 1992-09-23 1995-02-27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radiopuhelimen radiotaajuusvahvistimen ohjaamiseksi ja menetelmän mukainen ohjausjärjestelmä
AU672054B2 (en) * 1992-12-30 1996-09-19 Radio Communication Systems Ltd. Bothway RF repeater for 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687B1 (ko) * 2002-02-15 2005-08-23 주식회사 위다스 옥외형 무선중계기의 절연상태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028311B1 (ko) * 2004-08-27 2011-04-11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5491B1 (en) 2002-08-28
SE9600842L (sv) 1997-09-05
ES2177944T3 (es) 2002-12-16
NO315677B1 (no) 2003-10-06
CA2244873C (en) 2005-10-18
EP0885491A1 (en) 1998-12-23
SE511385C2 (sv) 1999-09-20
CA2244873A1 (en) 1997-09-12
AU1949297A (en) 1997-09-22
CN1172457C (zh) 2004-10-20
DE69714975D1 (de) 2002-10-02
US6009324A (en) 1999-12-28
KR100427885B1 (ko) 2004-11-06
JP2000506340A (ja) 2000-05-23
BR9707916B1 (pt) 2009-05-05
BR9707916A (pt) 1999-07-27
CN1212797A (zh) 1999-03-31
DE69714975T2 (de) 2003-04-30
AU711591B2 (en) 1999-10-14
DE885491T1 (de) 1999-10-07
WO1997033381A1 (en) 1997-09-12
SE9600842D0 (sv) 1996-03-04
NO984034D0 (no) 1998-09-02
JP3911027B2 (ja) 2007-05-09
NO984034L (no) 1998-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85B1 (ko)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US8073387B2 (en) On frequency repeater with AGC stability determination
KR100353413B1 (ko) 부스터, 감시 장치, 부스터 시스템, 제어 방법 및 감시방법
JP2755241B2 (ja) 無線中継器用発振検出装置およびこの装置が適用された無線中継器
US5095528A (en) Repeater with feedback oscillation control
US20020045431A1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US10009049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oscillations in a signal booster device,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KR100400540B1 (ko) 이동 통신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6334577A (ja) 無線中継装置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0757185B1 (ko)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KR100736757B1 (ko) 이동통신 중계장치에서의 송ㆍ수신 과입력 차단 장치 및 그방법
EP1391060A2 (en) Intelligent gain control in an on-frequency repeater
KR100449328B1 (ko)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측정 단말기를 이용한 순/역방향이득 조정, 자동 주파수 설정 및 중계 기지국 지역의 통화품질 측정 방법과 이를 구현한 무선 중계장치
KR101022322B1 (ko)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GB2258586A (en) Radio signal enhancer
JP2009055191A (ja) 中継器発振検出装置、中継器発振検出方法、中継器発振検出プログラム及び中継器
KR100682714B1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JPS6173408A (ja) 送信出力の制御方法
JP4847785B2 (ja) 無線中継増幅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JP4811871B2 (ja) 中継増幅装置
JP2002217844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
KR20220165335A (ko) 기지국 역방향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rf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20070071567A (ko) 간섭신호 제거 기능을 갖는 무선 중계 시스템
KR20070032869A (ko) 중계기 및 중계기에서 아이솔레이션을 자동 측정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202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4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7081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